KR20040102545A -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545A
KR20040102545A KR1020030034053A KR20030034053A KR20040102545A KR 20040102545 A KR20040102545 A KR 20040102545A KR 1020030034053 A KR1020030034053 A KR 1020030034053A KR 20030034053 A KR20030034053 A KR 20030034053A KR 20040102545 A KR20040102545 A KR 2004010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low tube
supply pipe
supply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환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임춘환
최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환, 최병철 filed Critical 임춘환
Priority to KR102003003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545A/ko
Publication of KR2004010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40/00Fluid heaters having electrical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브로워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난방장치에 의해 더워져 부피가 팽창되어 배출되는 것에 의해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 시나 전기 공급이 없는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방장치의 상측부에 중공관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중공관체의 하단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관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중공관체의 하단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되게 하여 팽창시킨 후 중공관체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팽창부; 상기 중공관체의 상단부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중공관체의 상단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된 공기에 의해 회전팬을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팬의 중심부에 회전축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회전축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공급관의 외측단을 연락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팬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a heating apparatus mounted with a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워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난방장치에 의해 더워져 부피가 팽창되어 배출되는 것에 의해 회전팬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가정용 난방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도록 한 것으로, 난방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전기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경우에는 정전 시에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로워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난방장치에 의해 더워져 부피가 팽창되어 배출되는 것에 의해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 시나 전기 공급이 없는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난방장치 110 - 공기팽창부
120 - 공기공급부 122 - 공급관
124 - 브로워 130 - 회전부
132 - 회전팬 134 - 회전축
140 - 발전기 150 - 축전기
160 - 확산팬 170 - 가습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방장치의 상측부에 중공관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중공관체의 하단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관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중공관체의 하단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되게 하여 팽창시킨 후 중공관체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팽창부; 상기 중공관체의 상단부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중공관체의 상단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팬을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팬의 중심부에 회전축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회전축에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공급관의 외측단을 연락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신속하게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회전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관체의 내부에는 공급된 외부 공기를 안내함과 아울러 그 공기를 지체시키면서 이동되게 한 나선형의 저류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에 따라 물을 공급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된 가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수단은 공급관과 연락되는 게 설치된 물탱크, 그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도록 실내의 습도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배출되는 팽창 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확산되게 한 확산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팽창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팽창부(110)는 난방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중공관체의 내부는 소정 공간부를 갖도록 내통(112)과 외통(1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난방장치(100)에 대해서는 통상 사용하는 로터리 히터, 연탄, 혹목 등의 난로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난방장치(100)에 대한 도시를 도면에서는 편의상 사각형태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난방장치(10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기 중공관체의 하측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관(122)이 연락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관(122)을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난방장치(100)에 의해 더워져 팽창되면서 중공관체의 상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13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회전부(130)는 상기 중공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팬(132)은 중공관체의 내부에서 팽창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팽창 공기에 의한 회전팬(132)의 회전은, 상기 공급관(122)을 통해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초기 압력은 공기가 팽창되어 배출되는 압력과 동일하나 공기는 팽창된 상태로 배출됨으로써 회전팬(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중공관체의 내외부를 대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중공관체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공기의 배출력에 의해 상기 회전팬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중공관체 내로 공급되는 입구의 공기 압력과 중공관체의 상단부로 배출되는 공기 압력은 동일한 상태에서 공기의 부피만이 팽창됨으로서 힘이 증가되어 회전팬(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상기 회전팬(132)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34)이 설치되고 그 회전축(134)에는 발전기(140)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132)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전기(140)에서 발생된 전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전기(150)를 더 구비함이 좋다. 이러한 발전기(140) 및 축전기(150)에 대한 구조는 통상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발전기(140)에서 전기를 발전하기 위해 사용하는 동력원을 풍력을 이용한 것인데, 그 풍력은 난방장치(100)에서 더워지면서 대류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이용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중공관체의 내부에 나선형의 저류판(116)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류판(116)은 공급관(122)을 통해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안내함과 아울러 그 공기를 지체시키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회전팬(132)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저류판(116)에 의해 공기의 체류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공기의 팽창력을 극대화하여 공기 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공기공급부(120)는 상기 회전축(134)에 브로워(124)를 설치하고, 그 브로워(124)에 상기 공급관(122)의 일측을 연락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급관(122)을 통해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대류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브로워(124)에 의해 외부 공기를 더욱 신속하게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로워(124)의 회전은 팽창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132)에 의해 회전되게 함으로서 난방장치의 화력과 비례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작동상의 불안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팬(132)을 회전시키면서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확산팬(160)이 상기 회전축(134)에 설치됨이 좋다. 이러한 확산팬(160)에 의해 더워진 공기가 신속히 확산될 수 있음으로서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수단(17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습수단(170)은 상기 공급관(122)의 소정 위치에 그 공급관(122)과 연락되게 물탱크(172)를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72)의 물을 공급관(122)을 통해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되게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7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4)는 실내의 습도 센서에 의해 작동하도록 함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난방장치(100)로는 로더리 히터, 연탄, 및 화목 등의 난로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난로에 대류작용에 의한 풍력을 조합하여 발전을 하도록 한 것을 겸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팬(132)을 회전시키면서 배출된 공기는 확산팬(160)에 의해 신속히 주변으로 확산됨과 아울러 브로워(124)에 의해 외부의 찬 공기를 이송시켜 난방장치의 표면 열을 난방장치의 외부로 분산시킴으로서, 열효율의 증대를 최대로 할 수 있어 별도의 복수기가 필요 없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경우 전기를 축적시켜 놓을 수 있음으로써, 정전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를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면서 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그 팽창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팬을 회전시키게 하여 전기를 발생기킴으로서, 정전 시나 전기 공급이 없는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의 상측부에 중공관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중공관체의 하단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관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중공관체의 하단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되게 하여 팽창시킨 후 중공관체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팽창부;
    상기 중공관체의 상단부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중공관체의 상단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팬을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팬의 중심부에 회전축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회전축에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공급관의 외측단을 연락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신속하게 중공관체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회전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체의 내부에는 공급된 외부 공기를 안내함과 아울러 그 공기를 지체시키면서 이동되게 한 나선형의 저류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에 따라 물을 공급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된 가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수단은 공급관과 연락되는 게 설치된 물탱크, 그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도록 실내의 습도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배출되는 팽창 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확산되게 한 확산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KR1020030034053A 2003-05-28 2003-05-28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KR20040102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53A KR20040102545A (ko) 2003-05-28 2003-05-28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53A KR20040102545A (ko) 2003-05-28 2003-05-28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33U Division KR200324216Y1 (ko) 2003-05-28 2003-05-28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545A true KR20040102545A (ko) 2004-12-08

Family

ID=3737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053A KR20040102545A (ko) 2003-05-28 2003-05-28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54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6884A (en) * 1978-03-21 1979-10-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pparatus for rainsing* controlling and maintaining liquid temperature
JPS6071851A (ja) * 1983-09-28 1985-04-23 Osaka Gas Co Ltd ガス暖房機
JPS62266354A (ja) * 1986-05-14 1987-11-19 Toyo Mach Kk 電力併給温風機
KR950007456U (ko) * 1993-08-04 1995-03-21 신재식 기계식 가변속 농형 유도전동기
KR20030059627A (ko) * 2002-01-03 2003-07-10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KR200329122Y1 (ko) * 2003-05-27 2003-10-08 최병철 발전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6884A (en) * 1978-03-21 1979-10-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pparatus for rainsing* controlling and maintaining liquid temperature
JPS6071851A (ja) * 1983-09-28 1985-04-23 Osaka Gas Co Ltd ガス暖房機
JPS62266354A (ja) * 1986-05-14 1987-11-19 Toyo Mach Kk 電力併給温風機
KR950007456U (ko) * 1993-08-04 1995-03-21 신재식 기계식 가변속 농형 유도전동기
KR20030059627A (ko) * 2002-01-03 2003-07-10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KR200329122Y1 (ko) * 2003-05-27 2003-10-08 최병철 발전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567B2 (ja) 燃焼装置
JP2003521613A (ja) 熱及び電力を発生する小規模コ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BRPI0601630A (pt) sistema de células de combustìvel de alta temperatura com rede integrada de trocador de calor
KR20150121839A (ko)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20140007042A (ko) 동식물 생육 난방기
KR200324216Y1 (ko)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KR20040102545A (ko) 발전 기능을 구비한 난방장치
KR102190853B1 (ko) 가스 온풍기
US3941311A (en) Heating unit
JP2010127575A (ja) 熱発生装置、温風ボイラー装置、温水ボイラー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ー装置
KR100828382B1 (ko) 복합 보일러
US4380153A (en) Total energy heating unit
JP4671076B2 (ja) 過熱水蒸気暖房機
CN2282150Y (zh) 家庭热风供暖器
KR20090062322A (ko) 스팀 발생장치용 전기 난방기
KR20090093412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풍기
KR20010054778A (ko) 난방기용 가습장치
KR200299750Y1 (ko) 황토온돌침대
CN216384349U (zh) 一种带有恒温结构的节能取暖炉
KR20190057671A (ko)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KR20000061549A (ko) 전기가열식 온수보일러
CN100359261C (zh) 一种供热装置
KR101246922B1 (ko) 마찰히터를 이용한 급탕 및 난방 시스템
KR200397963Y1 (ko) 난방장치
KR20030055738A (ko) 가습기 일체형 팬코일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