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904A -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904A
KR20040101904A KR1020040029204A KR20040029204A KR20040101904A KR 20040101904 A KR20040101904 A KR 20040101904A KR 1020040029204 A KR1020040029204 A KR 1020040029204A KR 20040029204 A KR20040029204 A KR 20040029204A KR 20040101904 A KR20040101904 A KR 20040101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soil
layer
roofto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718B1 (ko
Inventor
김이호
김영민
이상호
김영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썸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4010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녹화 수종의 식재용 식생층; 상기 식생층의 하단에 구비된, 오염 물질 제거용의 여재 및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이 배합된 토양층; 상기 토양층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토양 및 여재로부터의 부유 물질 및 오염 물질 유출 억제용 여과 매트; 상기 여과 매트의 하단에 구비된 배수층; 상기 배수층의 하단에 구비된, 건물 내로의 수분 침투 방지용 방수층; 상기 배수층과 연결되고, 식생층, 토양층 및 여과 매트를 통과한 우수 등의 물의 이동 통로인 집수 홈통; 상기 집수 홈통과 연결되고, 상기 집수 홈통을 통해 유입된 우수 등의 물 정화용의 수처리 시설; 상기 수처리 시설과 연결되고, 정화된 우수 등의 물 저장용의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와 연결되고, 저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 및 공급용 급수 시설;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적인 옥상 녹화면을 구축하면서, 상기 옥상 녹화면으로부터 수집된 우수 등의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ROOFTOP PLANTING SYSTEM FOR WATER TREATMENT AND RAINWATER UTILIZ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 개발 사업은 녹지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태계 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화에 따른 미세한 기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녹지 공간 대신 증가된 아스팔트 등의 불투수층은, 강우가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홍수시 도시의 침수 피해를 가중시키고, 또한, 침투되지 못한 강우를 그대로 방류시킴으로써 비강우시에는 물부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시 내 건물의 옥상 공간을 활용하여 녹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14544호 공보, 제332076호 공보 및 제349557호 공보에서는, 도시 내 공기 정화 및 도시 열섬화 방지 효과를 부여하고, 저수량의 증대 및 유출수 방출의 지연에 따른 홍수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옥상 녹화 시스템의 구조 및 시공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라 옥상에 녹화면을 조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또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즉,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들은 수처리 기능이 미흡하기 때문에, 이러한 옥상 녹화 시스템을 거쳐 방출되거나 지하로 유입되는 우수 등의 물에는 토양 및 비료로부터 유출된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와 함께 황사나 도시 분진으로부터 유래한 중금속류, 부유성 고형물, 유기 오염물 및 내분비계 장애 물질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우수는 도시 내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하여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처리 기능을 부여한 옥상 녹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옥상 녹화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우수 등의 물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옥상에 자체 수처리 기능이 부가된 녹화면을 조성하여, 우수 등의 물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우수를 정화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한 개략적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 토양층 중의 보크싸이트 계통 광물의 배합량에 따른 중금속 제거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철이온 농도와,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철이온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총인 농도와,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총인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2: 집수 홈통
3: 침전조 4: 여과조
5: 제1 저류조 6: 소독조
7: 제2 저류조 8: 제1 펌프
9: 제2 펌프 10: 고가 수조
11: 급수관 101: 옥상면
102: 방수층 103: 배수층
104: 여과 매트 105: 토양층
106: 식생층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것에 우수 이용 시설을 연계시킴으로써, 옥상에 녹지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우수를 수집하여 정화시켜 재활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녹화 수종의 식재용 식생층; 상기 식생층의 하단에 구비된, 오염 물질 제거용의 여재 및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이 배합된 토양층; 상기 토양층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토양 및 여재로부터의 부유 물질 및 오염 물질 유출 억제용 여과 매트; 상기 여과 매트의 하단에 구비된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의 하단에 구비된, 건물 내로의 수분 침투 방지용 방수층;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녹화 수종의 식재용 식생층; 상기 식생층의 하단에 구비된, 오염 물질 제거용의 여재 및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이 배합된 토양층; 상기 토양층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토양 및 여재로부터의 부유 물질 및 오염 물질 유출억제용 여과 매트; 상기 여과 매트의 하단에 구비된 배수층; 상기 배수층의 하단에 구비된, 건물 내로의 수분 침투 방지용 방수층; 상기 배수층과 연결되고, 식생층, 토양층 및 여과 매트를 통과한 우수 등의 물의 이동 통로인 집수 홈통; 상기 집수 홈통과 연결되고, 상기 집수 홈통을 통해 유입된 우수 등의 물 정화용의 수처리 시설; 상기 수처리 시설과 연결되고, 정화된 우수 등의 물 저장용의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와 연결되고, 저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 및 공급용 급수 시설;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수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수처리 시설은 침전조, 여과조 및 소독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독조로서는 염소 소독 설비, UV 소독 설비 및 오존 소독 설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이용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으로부터 집수된 우수 등의 물을 수용 가능할 만큼 충분한 크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월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류조에 침투 설비를 부가적으로 연결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도면 및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1a 및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과 그에 연계되어 있는 우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옥상면(101)에 방수층(102)을 깔고, 그 위에 배수층(103)을 두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방수층(102)은, 방수 기능을 갖는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조성할 수 있고, 상기 배수층(103)은 쇄석 또는 쇄석보다 저렴하고 방수층(102)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시판의 배수판 소재를 이용하여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층(103)은 수평 배수 불량으로 인한 하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루프드레인 등을 부가적으로 연결시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배수층(103) 위에는 여과 매트(104)를 둘 수 있는데, 이는 그 위에 차례로 조성하는 토양층(105) 및 식생층(106)으로부터의 세립토, 부유성 고형물, 인 등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또한 오염 물질의 거름망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오염 물질 제거용의 여재 및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이 배합된 상기 토양층(105)은, 토양으로서 배수성이 양호하고, 외부로부터의 비료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인공 경량 토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인공 경량 토양은 식재용 세라소일(cera-soil), 펄라이트(perlite) 및 슬러지 재활용 골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토양층(105)에 배합하는 여재로서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 및/또는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로서는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은 헤마타이트(hematite, (Fe2O3)), 보에마이트(boehmite, γ-AlOOH), 깁싸이트 (gibbsite, (Al(OH)3)), 소달라이트(sodalite, (Na4Al3Si3O12Cl)), 석영(quartz, (SiO2)) 및 칸크리나이트(cancrinite, (Na,Ca,K)8(Al,Si)12O24(SO4,CO3)·3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은 중금속과의 일반적인 반응 기작에 따라, 우수 등의 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과 이온 교환, 침전, 동형 치환 및 촉매 반응하여 상기 중금속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로서는 목질 잔사 및 추출물인 리그노셀룰로오즈(lignocellulosic) 계통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적 전처리에 의한 2가의 알루미늄 작용기 또는 나노 알루미늄 입자가 상기 필터의 표면에 도입되어 있는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적 전처리에 의해 반응성이 향상된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는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과 이온 교환, 배위, 2단계 여과, 침전 수집 등의 반응을 일으켜 이들을 제거한다. 상기 언급한 여재는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여재의 구성이나 토양층(105)과의 배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토양과 여재가 배합된 토양층(105)은 건물의 구조적인 안정도를 고려하여, 토심을 10~20㎝로 조성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의 최상부에 조성된 식생층(106)에는, 건물의 위치에 따른 기후 환경, 개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녹화 수종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키가 작고, 뿌리가 천근성이며, 생육이 너무 왕성하지 않은 잔디, 초본류 및 목본류 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b는 도1a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1)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1)에 있어서의 배수층(103)과 연결되어 있는 집수 홈통(2)은, 식생층(106), 토양층(105) 및 여과 매트(104)를 통과한 우수 등의 물의 유입 통로가 되고, 이를 통해 유입된 물은 곧장 침전조(3)로 수송된다. 상기 침전조(3)에 머물면서 물에 함유된 부유 물질, 토사 등은 자연 침전되고, 이어서 상기 침전조(3)와 연결된 여과조(4)를 거치면서 정화된 물은 제1 저류조(5)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여과조(4)는 여재로서 쇄석 및 모래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수처리 시설로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세부 용도에 따라 목표하는 수질에 부합되는 처리를 부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여과조(4)를 거쳐 상기 제1 저류조(5)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1 저류조(5)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펌프(8)에 의해 일부 취수되어 조경 및 살수 등의 용도에 활용되거나, 소독조(6)로 이송되어 물의 소독 과정을 거친다. 상기 소독조(6)는 우수 등의 물을 특히 화장실 세정 용수, 목욕 용수, 비상시 음용수 등의 생활 용수로 재활용할 경우 요구되는 시설이다. 따라서, 상기 소독조(6)는 상기 언급한 물의 재활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염소 소독 설비 및/또는 UV 소독 설비 및/또는 오존 소독 설비 등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소독조(6)를 거친 물은 제2 저류조(7)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제2 펌프(9)로 가압되어 고가 수조(10)에 저장된 후, 급수관(11)을 통해 자연 유하 방식으로 옥상 녹화면 및 건물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침전조(3), 여과조(4), 소독조(6) 등의 수처리 시설, 제1 저류조(5), 제2 저류조(7) 등의 저류 시설 및 제1 펌프(8), 제2 펌프(9), 고가 수조(10), 급수관(11) 등의 급수 시설은 우수 등의 물의 재활용 용도에 따라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각 시설의 배치 개수에도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수처리 시설과 저류 시설은 건물의 지하에 설치하거나, 건물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설치시에는 우수 등의 물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설치한다. 또한, 월류를 대비하기 위해, 건축물과 1~5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침투통 및 침투 트랜치 등의 침투 설비를 더 설치하여 상기 시설과 연결해 둘 수도 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와 연계된 우수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 토양층 중의 보크싸이트 계통 광물의 배합량에 따른 중금속 제거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토양층에의 깁싸이트의 배합량을 200, 400, 600, 800 및 1000㎎/ℓ로 조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조성하고, 우수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중금속 성분인 철, 구리, 아연을 사용하여 농도가 각각 1㎎/ℓ인 중금속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옥상 녹화 시스템에 상기 용액을 각각 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2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토양층에의 깁싸이트의 배합량이 증가할수록 철, 구리, 아연의 제거 효율도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깁싸이트의 배합량이 1000㎎/ℓ인 경우, 상기 중금속들의 제거 효율은 84~99.9%에 달했다. 따라서, 중금속이 우수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옥상 녹화 시스템의 조성시 토양층에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을 다량 배합하는 것이 수처리를 위해 바람직하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에 의한 수질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과 본 발명의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의 모형을 각각 제작하였다. 강우시 각각의 옥상 녹화 시스템으로부터 유출되는 우수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 채취하여 유출수 내의 철이온 농도 및 총인 농도를 측정하였다. 유출수 내의 철이온 농도는 HACH 사의 흡광도계와 철 분석 시약(No. 27426-45, HACH사 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출수 내의 총인 농도는 HACH 사의 흡광도계와 인 분석 시약(No. 1037-69, HACH사 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3a 및 도3b에 나타낸다.
도3a 및 도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철이온 및 총인의 농도가 종래의 옥상 녹화 시스템을 통과한 유출수 내의 철이온 및 총인의 농도보다 전반적으로 2~3배 정도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의 수처리 기능을 도입한 옥상 녹화 시스템의 우수한 수질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정화, 소음 흡수, 복사열 감소에 의한 도시의 열섬화 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옥상 녹화면을 조성하고, 상기 옥상 녹화면에 수처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그에 의한 수중의 오염 물질의 제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과 그의 옥상 녹화면을 집수면으로 이용하는 우수 이용 시스템을 연계시킴으로써, 상기 옥상 녹화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우수 등의 물을 정화하여 생활 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외부로 유출되어도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기 때문에, 도시 내 비점오염원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Claims (17)

  1. 녹화 수종의 식재용 식생층;
    상기 식생층의 하단에 구비된, 오염 물질 제거용의 여재 및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이 배합된 토양층;
    상기 토양층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토양 및 여재로부터의 부유 물질 및 오염 물질 유출 억제용 여과 매트;
    상기 여과 매트의 하단에 구비된 배수층;
    상기 배수층의 하단에 구비된, 건물 내로의 수분 침투 방지용 방수층;
    상기 배수층과 연결되고, 식생층, 토양층 및 여과 매트를 통과한 우수 등의 물의 이동 통로인 집수 홈통;
    상기 집수 홈통과 연결되고, 상기 집수 홈통을 통해 유입된 우수 등의 물 정화용의 수처리 시설;
    상기 수처리 시설과 연결되고, 정화된 우수 등의 물 저장용의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와 연결되고, 저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 및 공급용 급수 시설;
    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에 배합된 토양은, 배수성이 양호하고 외부로부터의 비료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인공 경량 토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에 배합된 여재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 및/또는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는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은 헤마타이트(hematite, (Fe2O3)), 보에마이트(boehmite, γ-AlOOH), 깁싸이트(gibbsite, (Al(OH)3)), 소달라이트(sodalite, (Na4Al3Si3O12Cl)), 석영(quartz, (SiO2)) 및 칸크리나이트(cancrinite, (Na,Ca,K)8(Al,Si)12O24(SO4,CO3)·3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는, 목질 잔사 및 추출물인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는, 화학적 전처리에 의한 2가의 알루미늄 작용기 또는 나노 알루미늄 입자가 상기 필터의 표면에 도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은 토심이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설은 침전조, 여과조 및 소독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조는 염소 소독 설비, UV 소독 설비 및 오존 소독 설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는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침투 설비와 부가적으로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비한 우수 이용 시스템.
  12. 녹화 수종의 식재용 식생층;
    상기 식생층의 하단에 구비된, 식물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가 배합된 토양층;
    상기 토양층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토양 및 여재로부터의 부유 물질 및 오염 물질 유출 억제용 여과 매트;
    상기 여과 매트의 하단에 구비된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의 하단에 구비된, 건물 내로의 수분 침투 방지용 방수층;
    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에 배합된 여재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 및/또는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는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크싸이트 계통의 광물은, 헤마타이트(hematite, (Fe2O3)), 보에마이트(boehmite, γ-AlOOH), 깁싸이트(gibbsite, (Al(OH)3)), 소달라이트(sodalite, (Na4Al3Si3O12Cl)), 석영(quartz, (SiO2)) 및 칸크리나이트(cancrinite, (Na,Ca,K)8(Al,Si)12O24(SO4,CO3)·3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량의 유기 오염물, 질소 및 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는, 목질 잔사 및 추출물인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노셀룰로오즈 계통의 필터는, 화학적 전처리에 의한 2가의 알루미늄 작용기 또는 나노 알루미늄 입자가 상기 필터의 표면에 도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시스템.
KR1020040029204A 2003-05-27 2004-04-27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장치 KR10056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812 2003-05-27
KR20030033812 200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904A true KR20040101904A (ko) 2004-12-03
KR100561718B1 KR100561718B1 (ko) 2006-03-20

Family

ID=3737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204A KR100561718B1 (ko) 2003-05-27 2004-04-27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73B1 (ko) * 2006-05-04 2006-11-15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에 설치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우수저장장치
CN109855204A (zh) * 2018-11-21 2019-06-07 龚亨灿 1万m3/H大型催化氧化三级空气过滤调温去硫脱氮除臭灭菌健身系统
CN110282818A (zh) * 2019-06-18 2019-09-27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雨水存储及污染物净化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73B1 (ko) * 2006-05-04 2006-11-15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에 설치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우수저장장치
CN109855204A (zh) * 2018-11-21 2019-06-07 龚亨灿 1万m3/H大型催化氧化三级空气过滤调温去硫脱氮除臭灭菌健身系统
CN110282818A (zh) * 2019-06-18 2019-09-27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雨水存储及污染物净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718B1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698B2 (en) Hybrid artificial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sewage treatment device using same, and natural nonpoint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urifying river and lake water
CN102149441B (zh) 生物截留系统和方法
KR100967170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생물여상법
KR100966038B1 (ko) 우수 침투 시스템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Raspati et al. Review of stormwater management practices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70072A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Hamdan A literature based study of stormwater harvesting as a new water resource
US20150041379A1 (en) Underground bioretention systems
US7037423B2 (en) Method for removal and detoxication of dissolved metals in a rainwater discharge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2229560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CN104532942B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Oberts Cold climate BMPs: solving the management puzzle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CN1923721A (zh) 一种城市地表径流生态处理方法
KR100810556B1 (ko) 토양 및 식생을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 장치
KR100909352B1 (ko) 자연친화형 빗물 처리 활용 시스템
KR102097635B1 (ko) 미네랄 울 필터를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KR100561718B1 (ko) 수처리 기능형 옥상 녹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우수 이용 장치
WO2019061869A1 (zh)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KR100566559B1 (ko) 수처리 기능형 집수 및 저류 장치
Westholm Filter media for storm water treatment in sustainable cities: A review
Austin Design and performance of bioretention beds for removal of stormwater contamin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