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334A -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 Google Patents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334A
KR20040099334A KR10-2004-7014606A KR20047014606A KR20040099334A KR 20040099334 A KR20040099334 A KR 20040099334A KR 20047014606 A KR20047014606 A KR 20047014606A KR 20040099334 A KR20040099334 A KR 20040099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tching member
latching
component
compon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839B1 (ko
Inventor
포레스트테렌스로버트프레드릭
튜처마크
왈쉬필립
Original Assignee
아머샴 피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머샴 피엘시 filed Critical 아머샴 피엘시
Publication of KR2004009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4/00Radioactive sources
    • G21G4/04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 G21G4/06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G21G4/08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applic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Nuclear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칭 부재(5)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지지부(29)이며, 래칭 부재와 기계적으로 관련되고 래칭 부재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버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COMPONENT SUPPORT AND RADIOISOTOPE GENERATOR INCLUDING ONE OR MORE COMPONENT SUPPORTS}
방사선과에서의 질병의 진단 및/또는 치료는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주요한 용도 중 하나를 구성한다. 방사선과에서 세계적으로 매년 수행되는 진단 절차 중 90% 이상이99mTc 표지된 방사능 약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짧은 반감기의 진단 방사능 약제가 주어지면, 적합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현장에서 발생시키기 위한 설비를 갖추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따라서, 휴대용 병원/의료원 크기의99mTc 발생기의 채택은 수년간 크게 증가되었다. 휴대용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를 사용하여 이온 교환 칼럼 내의 베드 상에 대개 흡수되는 반감기가 긴 어미 동위원소의 방사능 붕괴의 산물인 반감기가 짧은 딸 동위원소를 얻는다. 종래에,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는 식염수와 같은 용출액에 의해 칼럼으로부터 딸 동위원소를 용출시키기 위한 수단과 함께 어미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 칼럼을 둘러싸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사용 시에, 용출액은 이온 교환 칼럼을 통과하고, 딸 동위원소는 용출액에 의해 용액 내에 수집되어, 필요할 때 사용된다.
99mTc의 경우에,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는99Mo 방사능 붕괴의 주요 산물이다. 발생기 내에서, 종래에99Mo는 산화 알루미늄의 베드 상에 흡수되고 자연 붕괴되어99mTc를 발생시킨다.99mTc는 비교적 짧은 반감기를 가지므로, 대략 24시간 후에 이온 교환 칼럼 내에서 일시적인 평형을 이룬다. 따라서, 염소 이온의 용액, 즉 멸균 염수를 이온 교환 칼럼을 통해 흘려보냄으로써 이온 교환 칼럼으로부터 날마다99mTc가 용출될 수 있다. 이로써 염소 이온이99mTc을 대체하지만99Mo을 대체하지 않는 이온 교환 반응이 촉진된다.
방사능 약제의 경우에,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 공정이 발생기 내로 박테리아의 침입이 없어야 하는 무균 상태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발생기에 의해 사용되고 발생되는 동위원소가 방사성이어서 올바른 방식으로 취급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로 인해,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 공정 또한 방사능에 대해 안전한 상태 하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당연히, 용출 공정이 수행될 때, 발생기의 방사능 안전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출액이 발생기 내로 도입될 때, 발생기의 방사능 안전성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방사능 보호를 보장하려는 시도로, 몇몇의 공지된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방사능 보호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상호 연결이 신뢰할 수 없을 때 손상될 수 있다. 그러한 복잡한 구조는 또한 발생기의 비용이 추가된다. 따라서, 발생기의 실제 구조가 신뢰할 수 있으며 모든 구성요소 상호 연결이 고도의 신뢰성으로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특허 제3,946,238호는 중심 저장소를 위한 원통형 차폐식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폐식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를 설명한다. 저장소는, 납으로부터 만들어지고 차폐부로서 작용하는 제거 가능한 상부 커버, 측벽, 및 기부에 의해 한정된다. 저장소 내에,99Mo가 흡수되어 있는 이온 교환 칼럼을 포함하는 병이 위치된다. 시스템에 용출액을 추가하여99mTc의 용출을 촉진할 필요가 있을 때, 상부 커버가 제거되고 염류가 전달 피펫에 의해 도입된다. 피펫에 의해 병과 차폐부의 내측 표면 사이의 환형 영역으로 염수가 도입된다. 이러한 환형 영역으로부터, 염수는 제어된 방식으로 병의 벽 내의 일련의 방사상 개구를 거쳐 이온 교환 베드를 포함하는 병 내로 흐른다. 전달 피펫은, 염류가 병 둘레의 환형 영역 내로 도입될 때 사용자의 손이 항상 발생기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설계된 긴 손잡이를 갖는다. 그러나, 저장소의 내부가 방사성이므로, 염수의 도입을 위한 상부 커버의 제거는 허용할 수 없는 방사능 위험을 준다.
미국 특허 제3,564,256호는 용출 공정을 위한 신속 결합 부재를 갖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를 설명한다. 발생기는 이온 교환 베드에 결합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하는 원통형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는 양 단부에서 고무 플러그에 의해 폐쇄되며, 각각의 니들(needle)이 위치되는 고무 플러그 각각에 대향하는 통로를 갖는 차폐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니들의 최외측 단부에 신속 결합 부재가 제공되어, 염수를 함유하는 주사 용기가 니들 중 하나에 신속하고 쉽게 연결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수집 용기가 두 개의 니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사용 시에, 원통형 홀더의 고무 플러그 각각은 니들 중 하나에 의해 관통되어, 이온 교환 칼럼으로부터의99mTc의 용출을 촉진한다. 상기 문헌에서 제안된 적합한 신속 결합 부재는 주입 주사기 연결을 위한 종래의 탈착 가능한 주입 니들이다.
미국 특허 제4,387,303호는 어미 방사성 동위원소를 갖는 이온 교환 베드를 함유하고 용출액 입구 구멍 및 용출액 출구 구멍을 갖는 칼럼을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를 설명한다. 용출액 입구 및 출구 모두는 둘러싸는 차폐부 내의 채널과 연통한다. 용출액 출구와 연통하는 채널 중 하나는 용출액 도관을 거쳐 발생기 상의 탭핑(tapping) 지점에 연결된다. 탭핑 지점은 용액 내의 딸 방사성 동위원소의 수집을 위한 진공 용출 바이알(vial)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공 용출 바이알로 밀봉부를 관통시키는 중공 니들로 구성된다. 용출액 도관 또한 멸균 공기 공급원과 연통하고, 발생기는 멸균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용출 바이알이 충전되기 전에 용출 공정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발생기의 구조에대한 정보가 제공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탭핑 지점에서 중공 니들이 어떻게 제 위치에 유지되는 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테크네튬 99m(99mTc)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내에 설치하기 특히 적합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상호 결합식(interengaging) 구성요소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지지부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를 탭핑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지만 기존의 단순한 구성요소 지지부보다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하여, 구조가 단순하지만 필요한 정도의 멸균성 및 방사능 보호를 보장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에 방사성 동위원소 내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구성요소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결합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칭 부재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지지부에 있어서, 래칭 부재와 기계적으로 관련되고 래칭 부재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버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 지지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지지부는 래칭 부재가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는 버팀 부재를 수용하도록 래칭 부재에 있거나 그에 인접하고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내의 개구는, 양호하게는 래칭 부재의 결합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래칭 부재의 측면으로 래칭 부재에 인접하고 있는 제1 플레이트 내의 구멍이다.
양호하게는, 개구는 비원형 단면이고, 버팀 부재는 대응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버팀 부재는 래칭 부재를 개방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압박하하도록 버팀 부재에 의해 맞물림 가능한 캐밍 표면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더 양호하게는, 구성요소 지지부는 버팀 부재가 장착된 제2 플레이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버팀 부재가 제1 플레이트 내의 개구를 통해 삽입될 때 제1 플레이트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된다.
래칭 부재는 양호하게는 벽과 그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로 구성된 대체로 L형인 구조이고, 양호한 실시예에서 래칭 부재는 제1 플랜지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플랜지를 또한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슬롯을 한정한다. 구성요소 지지부는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는 래칭 부재 및 각각의 버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질적이지는 않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 지지부를 갖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가 제공된다. 버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발생기의 래칭 부재는 발생기의 폐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버팀 부재는 발생기의 커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개구 내로 버팀 부재가 삽입됨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가 폐쇄 플레이트 위에 장착되게 된다.
양호하게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중심 구성요소 구멍의 각 측면에서 폐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두 개의 래칭 부재를 갖고, 커버 플레이트는 폐쇄 플레이트의 구성요소 구멍과의 정렬을 위한 구성요소 구멍을 또한 포함한다.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는 중공의 대체로 원통형인 몸체와 유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체 포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중공 몸체는 폐쇄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 내의 구성요소 구멍 내에 수용되고, 유지 플레이트는 유체 포트를 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대향 래칭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는 벽과 바닥으로 구성되고 폐쇄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는 용기로의 개구를 갖는 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래칭 부재는 용기 벽 상에 위치되고, 폐쇄 플레이트는 래칭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과 브라켓에 있거나 그에 인접하고 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버팀 부재는 커버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폐쇄 플레이트 내의 개구 내로 버팀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버팀 부재가 래칭 부재와 정렬되어, 래칭 부재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구성요소 지지부는 통상 도면 부호 29로 도시되고,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플레이트(3) 내의 구멍(2)을 통해 돌출하는 스파이크(1)이며, 한 쌍의 래칭(latching) 부재(5)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평평한 장착 부재(4)를 갖는다. 래칭 부재는 래칭 부재가 평평한 장착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 위치와 평평한 장착 부재가 래칭 부재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래칭 부재(5)는 각각 플레이트(3)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도1 및 도2에서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벽(6)을 포함한다. 벽(6)은 구멍(2) 양쪽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구멍(2)으로부터 각각 이격된다. 플랜지(7)가 각각의 벽(6)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다. 각각의 벽 상의 플랜지(7)는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서로를 향해 돌출하여 플레이트(3)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플랜지(7)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제2 플랜지(8)가 제1 플랜지(7)와 플레이트(3)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플랜지(7, 8)는 평평한 부재(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롯(9)을 형성한다.
플레이트(3)는 양호하게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벽(6) 및 플랜지(7, 8)는 양호하게는 플레이트(3)와 함께 단일 유닛으로서 성형된다. 이는 제1 및 제2 플랜지(7, 8)에 의해 한정된 슬롯(9) 내에 평평한 부재의 "스냅 끼워맞춤(snap-fit)" 결합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작은 탄성을 갖는 벽(6) 및 플랜지(7, 8)를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7)는, 평평한 부재(4)를 슬롯(9)을 향해 안내하고 중심 설정하도록 그리고 평평한 부재(4)가 제1 플랜지(7)의 주연부를 통과하게 하는 데 필요한 만큼 대향 벽(6)을 소량으로 만곡시키도록 플레이트(3)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캐밍 표면(10, camming surface)을 가지며, 그 결과 벽(6)은 평평 부재(4)가 제1 및 제2 플랜지(7, 8)들 사이의 슬롯(9) 내에 위치되어 유지되는 위치로 '스냅' 복귀하게 된다.
그러한 스냅 끼워맞춤 연결은 통상 공지되어 있으며, 두 개의 요소(이러한 경우에는 평평한 부재(4)와 플레이트(3))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특히 신속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고정이 벽(6)의 소량의 만곡을 요구하는사실은 고정이 매우 신뢰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그러한 고정 수단을 통상 바람직하지 않게 만든다. 플레이트(3)에 인가되는 외부력은 평평한 부재(4)가 슬롯(9)으로부터 우발적으로 해제될 정도로 벽(6)의 만곡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냅 끼워맞춤 연결은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의 구조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 지지부(29)는 종래의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에 비해 크게 개선된 고정 신뢰성을 제공하고, 이는 구성요소 지지부(29)를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내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만든다. 구성요소 지지부(29)는 플레이트(3)와 중첩되도록 배열된 커버(11)를 포함한다. 커버(11)는 플레이트(3) 내의 구멍(2)과의 정렬을 위한 구성요소 구멍(12)을 갖는다. 커버(11)는 또한 커버(11)로부터 멀어지도록 (도1 및 도2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버팀(bracing) 부재(13)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벽(6)에 인접하면서 각각의 벽(6)의 플랜지(7, 8)에 대한 대향 측면 상에, 각각의 버팀 구멍(14)이 플레이트(3) 내에 제공된다. 커버(11) 상의 버팀 부재(13)는 플레이트(3) 내의 버팀 구멍(14)과 정렬되도록 구성요소 구멍(12)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버팀 구멍(14)은 버팀 부재(13)를 통과시키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버팀 부재(13)가 버팀 구멍(14) 내로 키이 결합되도록 양호하게는 그 단면이 비원형이다. 커버(11)가 플레이트(3) 위에 위치되고 버팀 부재(13)가 버팀 구멍(14) 내로 삽입되면, 버팀 부재(13)는 벽(6)과 기계적으로 관련되어 벽(6)에 대한 버팀부로서 작용한다. 이는 벽(6)의 외향 만곡을 대체로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지지부(29)의 신뢰성은 크게 향상된다.
특히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관련된 벽(6) 및 버팀 부재(13)는 협동하는 캐밍 표면 및 종동자를 갖는다. 도1에서, 캐밍 표면(15)은 벽(6) 상에서 버팀 부재(13)를 향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플랜지(7, 8)에 의해 한정된 슬롯(9) 내에 평평한 부재(4)가 삽입될 때, 버팀 부재(13)는 벽(6)과 능동적으로 결합하게 되며 벽(6)을 평평한 부재(4)를 향해 내측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는 구성요소 지지부(29)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의 고정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한다.
도2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16) 내의 구성요소 지지부의 설치를 도시한다.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16)는 외측 용기(17)와, 외측 용기(17)에 밀봉식으로 고정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플레이트(3)로 참조되는 폐쇄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3) 위에서 외측 용기(17)에 고정된 분리식 상부 커버(11)를 갖는다. 외측 용기(17) 내부에는, 스테인리스강 쉘 내에 양호하지만 전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납 또는 감손(depleted) 우라늄 코어로부터 만들어진 방사능 차폐부(18)가 위치된다. 방사능 차폐부(18)는 이온 교환 칼럼(20)을 포함하는 튜브(19)를 둘러싼다. 이온 교환 칼럼(20)은 양호하게는 몰리브덴이 그 방사성 동위원소인99Mo 형태로 흡수되어 있는 알루미늄과 실리카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온 교환 칼럼(20)을 포함하는 튜브(19)는 대향 단부(23,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각각의 중공 니들(25, 26)에 의해 관통되는 연약한 고무 시일(21, 22)을 갖는다.
중공 니들(25, 26)은 각각 각각의 유체 도관(27, 28)과 유체 연통하며, 결국용출액 입구 및 용출액 출구와 각각 유체 연통한다. 유체 도관(27, 28)은 양호하게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tubing)이고, 이온 교환 칼럼(20)의 상부(23)에서 중공 니들(25)과 연통하는 튜빙(27)의 경우에, 튜빙(27)의 길이는 중공 니들(25)을 용출액 입구와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길이보다 훨씬 더 크다.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16)의 상부 플레이트(3)는 각각의 용출액 입구 및 용출액 출구 구성요소가 관통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구멍(2)을 갖는다. 용출액 입구 및 용출액 출구 구성요소는 각각 중공 스파이크(1)이지만, 입구 구성요소의 경우에 중공 스파이크는 필터링된 공기 입구(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중공 스파이크(1)는 길다랗고 대체로 원통형인 스파이크 몸체(31)와, 스파이크 몸체(31)의 일 단부에 부착되거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된 환형 유지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스파이크 몸체(31)의 대향 단부는 첨단으로 형성되고, 첨단에 인접하여 스파이크 몸체(31)의 내부와 연통하는 구멍(33)을 갖는다. 스파이크 몸체(31)의 이러한 뾰족한 단부는 시료 바이알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유형의 밀봉막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환형 유지 플레이트(32)는 스파이크 몸체(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커트를 형성하며, 스파이크 몸체(31) 둘레에서 연속적이거나 복수의 분리된 돌출부의 형태로 불연속적일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16)의 상부 커버(11)는 상부 플레이트(3) 내의 구멍(2)과 정렬되도록 배열되고 스파이크 몸체(31)가 관통되게 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구멍(12)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중공 스파이크(1)는 각각 상부 플레이트(3)의 내부에 위치된 래칭 부재(5)에 의해 그 환형 유지 플레이트(32)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되도록 배열되고, 중공 스파이크 몸체(31)는 상부 플레이트(3) 및 상부 커버(11) 내의 구멍을 통해 외측 용기(17)의 외부로 돌출한다. 상부 커버(11) 내의 구멍(12)은 각각 동위원소 수집 바이알(35) 또는 염류 공급 바이알(36)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웰(34)의 바닥에 위치된다. 따라서, 바이알(35, 36)은 모두 외측 용기(17)의 외부에 수용되어, 이온 교환 칼럼(20)으로부터의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는다.
중공 스파이크(1)는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요소 지지부(29)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몸체(31)는 상부 플레이트(3) 및 상부 커버(11) 내의 정렬된 구멍들을 통해 돌출하여, 래칭 부재(5)의 제1 및 제2 플랜지(7, 8)에 의해 한정된 슬롯(9) 내에서의 환형 유지 플레이트(32)와의 결합에 의해 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슬롯(9) 내에서의 플레이트(32)의 유지는 벽(6)의 외향 만곡을 대체로 방지하는 래칭 부재(5)의 벽(6) 외부에서의 버팀 부재(13)의 지지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16)가 구성될 때, 스파이크 몸체(31)는 상부 플레이트(3)의 구멍(2)을 통해 삽입되고, 환형 유지 플레이트(32)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1 플랜지(7) 상의 캐밍 표면(10)과 접촉한다. 유지 플레이트(32)에 인가되는 추가의 압력은 유지 플레이트(32)가 제1 플랜지(7)의 자유 단부를 지날 수 있을 때까지 제1 플랜지(7)를 지지하는 벽(6)의 외향 만곡을 일으킨다. 유지 플레이트(32)가 제1 플랜지(7)를 지나면, 벽(6)에 대한 외부 압력은 경감되고, 벽(6)은 정상 위치로 '스냅' 복귀되어 제1 및 제2 플랜지(7, 8)에 의해 한정된 슬롯(9) 내에 유지 플레이트(32)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 상부 커버(11)는 상부 플레이트(3) 위에 위치되어, 상부 커버(11) 내의 구멍(12)은 스파이크 몸체(31)와 정렬되고, 버팀 부재(13)는 각각의 벽(6)에 인접하고 있는 상부 플레이트(31) 내의 구멍(2)과 정렬된다. 상부 커버(11)가 상부 플레이트(3)와 접촉하게 되면, 버팀 부재(13)는 상부 플레이트(3) 내의 구멍(2)을 통과하여 벽(6)의 외측 표면에 근접하여, 양호하게는 그와 접촉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상부 커버(11) 상의 버팀 부재(13)와 상부 플레이트(3)의 벽(6)의 상호 작용은 제1 및 제2 플랜지(7, 8)에 의해 한정된 슬롯(9) 내에서의 중공 스파이크(1)의 유지 플레이트(32)의 신뢰할 수 있는 고정을 제공한다. 그 다음 튜빙(27, 28)은 중공 스파이크(1)에 유동적으로 부착되고, 상부 플레이트(3) 및 상부 커버(11)가 용기에 고정될 때 외측 용기(17)는 폐쇄된다.
바이알(35 또는 36)을 중공 스파이크(1)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때, 사용자는 바이알의 약한 시일을 스파이크의 뾰족한 단부 위에 위치시켜서 바이알을 스파이크(1) 상으로 아래로 민다. 이로써 바이알(35 또는 36) 상의 시일이 관통되어, 스파이크(1)와 바이알 사이에 유체 연통이 확립하게 된다. 시일이 스파이크(1)에 의해 관통되면, 바이알은 상부 커버(11)의 웰(34)에 놓여서 지지될 때까지 스파이크(1) 위에서 아래로 밀린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용출을 위해 요구되는 염소 이온을 이온 교환 칼럼(20)에 제공하기 위해, 이온 교환 칼럼(20) 양단에 압력 차이를 확립함으로써 염수(37)가 이온 교환 칼럼(20)을 통해 흡인된다. 튜빙(27) 및 중공 니들(25)을 거쳐 이온 교환 칼럼(20)의 상단부(23)와 유체 연통하는 용출액 입구에 염류 공급 바이알(36)을연결시키고, 튜빙(28) 및 중공 니들(26)을 거쳐 이온 교환 칼럼(20)의 하단부(24)와 유체 연통하는 용출액 출구에 진공 수집 바이알(35)을 연결시킴으로써 이러한 것이 달성된다. 압력 차이는 공급 바이알(36) 내의 염류의 유체 압력과 진공 수집 바이알(35) 내의 매우 낮은 압력에 의해 확립된다. 이로써 이온 교환 칼럼(20)을 통해 수집 바이알(35)로 염류(37)가 딸 방사성 동위원소를 운반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구성요소 지지부는 설계가 단순하지만, 하나의 플레이트 상의 버팀 부재와 다른 플레이트 상의 스냅 끼워맞춤 구성요소 벽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구성요소 지지부가 제공된다. 상세한 설명에서 중공 스파이크에 적합한 구성요소 지지부만 참조되었지만, 본 발명의 구성요소 지지부가 스냅 끼워맞춤 홀더 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 지지부는 상부 플레이트를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의 외측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래칭 부재는 외측 용기의 내측 측벽에 부착된다. 각각의 래칭 부재는 브리지 요소에 의해 외측 용기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래칭 부재와 용기의 벽 사이에 브라켓 수용 영역을 한정한다. 따라서, 래칭 부재의 벽은 용기 벽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래칭 부재의 벽 상에 장착된 쌍을 이루는 플랜지에 의해 한정된 슬롯은 용기 벽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놓인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는, 또한 각각의 래칭 부재에 대한 위치 설정 및 결합을 위해 상응하는 개수의 브라켓을가질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가 제 위치로 강하되면, 상부 플레이트의 주연부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브라켓은 래칭 부재 상의 제1 플랜지와 결합한다. 브라켓에 의해 래칭 부재가 용기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됨으로써 브라켓 수용 영역이 확대되어, 브라켓이 플랜지의 주연부를 지날 수 있게 되고, 래칭 부재는 두 개의 플랜지에 의해 한정된 슬롯 내에 브라켓의 일부를 포획하는 위치로 스냅 복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팀 부재는 상부 커버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플레이트 내의 구멍 내에 위치 가능하여, 전과 같이 래칭 부재와 기계적으로 관련되고 만곡에 대해 래칭 부재를 받쳐주도록 작용한다.
버팀 부재가 구성요소 지지부 벽에 대한 외부 접합부로서 작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 내의 구멍을 통해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요건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래칭 부재에 대한 원하는 개선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요소 지지부 벽이 버팀 수단이 삽입된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대안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지지부의 플레이트가 구성요소가 통과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건은 아니다. 대신에,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지지부(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의 벽을 유지하는 제1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제2 플레이트(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11))는 단지 버팀 부재를 제1 플레이트 내의 버팀 구멍과 정렬시키면 된다. 또한, 슬롯을 한정하는 쌍을 이룬 플랜지가 위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슬롯은 단일 플랜지와 제1 플레이트의 표면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구성요소 지지부의 추가의 다른 특징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4)

  1. 결합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칭 부재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지지부이며,
    래칭 부재와 기계적으로 관련되고 래칭 부재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버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 지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부재가 장착된 제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버팀 부재를 수용하도록 래칭 부재에 있거나 그에 인접하고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지지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의 상기 개구는, 래칭 부재의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래칭 부재의 측면으로 래칭 부재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의 구멍인 구성요소 지지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비원형 단면이며, 상기 버팀 부재는 대응하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구성요소 지지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래칭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버팀 부재에 의해 맞물림 가능한 캐밍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 지지부.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 부재가 장착된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버팀 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의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된 구성요소 지지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부재는 벽과 그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로 구성된 대체로 L형인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지지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슬롯을 한정하는 구성요소 지지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는 래칭 부재와 각각의 버팀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지지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부재는 발생기의 폐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상기 버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 부재는 상기 발생기의 커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버팀 부재가 상기 개구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폐쇄 플레이트 위에 장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중심 구성요소 구멍의 양 측면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두 개의 래칭 부재를 갖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 내의 구성요소 구멍과의 정렬을 위한 구성요소 구멍을 또한 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중공의 대체로 원통형인 몸체와 유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체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 내의 구성요소 구멍 내에 수용되고, 상기 유지 플레이트는 상기 유체 포트를 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대향 래칭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14. 제10항에 있어서, 벽과 바닥으로 구성되고 폐쇄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는 용기로의 개구를 갖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용기 벽 상에 위치되고, 상기 폐쇄 플레이트는 상기 래칭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있거나 그에 인접하고 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 부재는 커버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플레이트 내의 상기 개구 내로 버팀 부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버팀 부재가 상기 래칭 부재와 정렬되어, 래칭 부재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KR1020047014606A 2002-03-20 2002-12-11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KR100944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06550A GB2386742B (en) 2002-03-20 2002-03-20 Radioisotope generator component support
GB0206550.6 2002-03-20
PCT/GB2002/005624 WO2003081055A1 (en) 2002-03-20 2002-12-11 Component support and radioisotope generator including one or more component suppo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334A true KR20040099334A (ko) 2004-11-26
KR100944839B1 KR100944839B1 (ko) 2010-03-04

Family

ID=993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606A KR100944839B1 (ko) 2002-03-20 2002-12-11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7060998B2 (ko)
EP (1) EP1485625B1 (ko)
JP (1) JP4509575B2 (ko)
KR (1) KR100944839B1 (ko)
CN (1) CN100342145C (ko)
AT (1) ATE466200T1 (ko)
AU (1) AU2002356290B2 (ko)
BR (1) BR0215627B1 (ko)
CA (1) CA2476930C (ko)
CY (1) CY1110674T1 (ko)
DE (2) DE20212683U1 (ko)
DK (1) DK1485625T3 (ko)
ES (1) ES2344633T3 (ko)
GB (1) GB2386742B (ko)
HK (1) HK1056434A1 (ko)
IL (1) IL163438A (ko)
MX (1) MXPA04008839A (ko)
NO (1) NO332227B1 (ko)
NZ (1) NZ534612A (ko)
PT (1) PT1485625E (ko)
RU (1) RU2300673C2 (ko)
SI (1) SI1485625T1 (ko)
WO (1) WO2003081055A1 (ko)
ZA (1) ZA200406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6742B (en) * 2002-03-20 2004-02-11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component support
GB2382453B (en) * 2002-04-11 2004-05-19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GB2386743B (en) * 2002-04-11 2004-02-11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US7511292B2 (en) * 2004-10-28 2009-03-31 Nfs-Radiation Protection Systems, Inc. Radiation protection shield
CN101233582A (zh) * 2005-07-27 2008-07-30 马林克罗特公司 与放射性同位素发生器一起使用的对准适配器及使用方法
US20070158271A1 (en) * 2006-01-12 2007-07-12 Draxis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isotope Generation
US7700926B2 (en) * 2006-01-12 2010-04-20 Draximage General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isotope generation
CA2655988A1 (en) * 2006-07-06 2008-06-05 Mallinckrod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ution from a radioisotope generator with electronic pinch valves
US8431909B2 (en) * 2006-10-06 2013-04-30 Mallinckrodt Llc Self-aligning radioisotope elution system
US8866104B2 (en) 2011-01-19 2014-10-21 Mallinckrodt Llc Radioisotope elution system
US8809804B2 (en) * 2011-01-19 2014-08-19 Mallinckrodt Llc Holder and tool for radioisotope elution system
US9153350B2 (en) 2011-01-19 2015-10-06 Mallinckrodt Llc Protective shroud for nuclear pharmacy generators
CN112043592A (zh) * 2020-08-26 2020-12-08 山西医科大学 一种过液装置及放射性药物配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0423A (en) * 1942-09-03 1944-02-01 Jr Bernard T O'shaughnessy Expansion rivet
US2826110A (en) * 1952-01-02 1958-03-11 Jerome H Lemelson Hollow sheet metal rivet with reinforcing work engaging shoulders
NL6607699A (ko) * 1966-06-03 1967-12-04
US3956603A (en) * 1973-08-03 1976-05-11 Fisher Robert C Seat belt buckle switch having wire bridging contact
US3888595A (en) * 1974-05-13 1975-06-10 Beaver Advance Corp Scaffold cam lock construction
US3946238A (en) * 1974-08-05 1976-03-23 Chevron Research Company Shielded radioisotope gener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081915A (en) * 1976-06-04 1978-04-04 Materniak Gize Exhaust system for laundry dryer
NL7713760A (nl) * 1977-12-13 1979-06-15 Philips Nv Verlichtingsarmatuur.
NL7902342A (nl) * 1979-03-26 1980-09-30 Byk Mallinckrodt Cil Bv Isotopengenerator.
JPH046372Y2 (ko) * 1986-06-18 1992-02-21
JPS6393695A (ja) * 1986-10-07 1988-04-23 Sanshin Ind Co Ltd 船舶推進機の液体タンク格納構造
US4844645A (en) * 1988-02-29 1989-07-04 Hewlett-Packard Company Locking system
US4908917A (en) * 1989-05-01 1990-03-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lide and latch mechanism
JPH0647130Y2 (ja) * 1989-08-19 1994-11-3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T形スタッド用クリップ
US4955743A (en) * 1989-11-03 1990-09-11 S&K Enterprises, Inc. Rack beam latch
CH681120A5 (ko) * 1989-12-27 1993-01-15 Multi Contact Ag
JPH0410382U (ko) * 1990-05-17 1992-01-29
FR2665493B1 (fr) * 1990-08-03 1992-09-18 Merlin Gerin Assemblage indemontable par encliquetage.
DE4032565C2 (de) * 1990-10-13 1994-08-18 Camloc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Bauteile
FR2681918B1 (fr) * 1991-09-30 1993-11-26 Bendix Europe Services Technique Dispositif pour l'assemblage et le desassemblage rapide de deux pieces l'une sur l'autre.
JPH0722113U (ja) * 1993-09-30 1995-04-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ソレノイド取付構造
IT1274563B (it) * 1995-05-24 1997-07-17 Bticino Spa Sistema di bloccaggio antimanomissione di apparecchi elettrici o "frutti" in un supporto a parete
US5931529A (en) * 1997-08-08 1999-08-03 La-Z-Boy Incorporated Apparatus for securing independent sections of a modular seating assembly
DE19739950C2 (de) * 1997-09-11 2002-01-31 United Carr Gmbh Trw Halteelement aus Kunststoff für mindestens einen plattenförmigen Gegenstand
US5826309A (en) * 1997-09-19 1998-10-27 Tsamas; Anton Jewelry safety clasp
US5871320A (en) * 1997-12-29 1999-02-16 Emhart Inc. Insulation retainer
GB2386742B (en) * 2002-03-20 2004-02-11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component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5625B1 (en) 2010-04-28
ZA200406503B (en) 2005-11-30
NO20043928L (no) 2004-09-20
CN100342145C (zh) 2007-10-10
GB2386742A (en) 2003-09-24
GB0206550D0 (en) 2002-05-01
AU2002356290B2 (en) 2007-09-06
DK1485625T3 (da) 2010-08-09
CN1623042A (zh) 2005-06-01
CY1110674T1 (el) 2015-06-10
DE60236211D1 (de) 2010-06-10
RU2300673C2 (ru) 2007-06-10
ES2344633T3 (es) 2010-09-02
PT1485625E (pt) 2010-07-26
MXPA04008839A (es) 2004-11-26
JP2006508300A (ja) 2006-03-09
EP1485625A1 (en) 2004-12-15
CA2476930C (en) 2010-09-21
DE20212683U1 (de) 2003-01-16
IL163438A (en) 2008-11-26
JP4509575B2 (ja) 2010-07-21
US7060998B2 (en) 2006-06-13
SI1485625T1 (sl) 2010-10-29
BR0215627B1 (pt) 2011-04-05
KR100944839B1 (ko) 2010-03-04
CA2476930A1 (en) 2003-10-02
ATE466200T1 (de) 2010-05-15
GB2386742B (en) 2004-02-11
HK1056434A1 (en) 2004-02-13
US20050104016A1 (en) 2005-05-19
AU2002356290A1 (en) 2003-10-08
RU2004125148A (ru) 2005-06-10
WO2003081055A1 (en) 2003-10-02
NZ534612A (en) 2007-01-26
NO332227B1 (no) 2012-07-30
BR0215627A (pt) 200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4250B2 (ja) ラジオアイソトープジェネレータ
KR100944839B1 (ko) 구성요소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지지부를포함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KR100944838B1 (ko)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및 그 구성 방법
JP200650830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