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128A - 무선 도어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도어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128A
KR20040098128A KR1020030030280A KR20030030280A KR20040098128A KR 20040098128 A KR20040098128 A KR 20040098128A KR 1020030030280 A KR1020030030280 A KR 1020030030280A KR 20030030280 A KR20030030280 A KR 20030030280A KR 20040098128 A KR20040098128 A KR 2004009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door unit
outdoor unit
uni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일
여인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128A/ko
Publication of KR2004009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무선으로 영상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실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방문자가 내부의 사람을 호출하기 위해 누르는 호출버튼, 외부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외부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호출버튼, 카메라,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실내기의 무선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송신부;
실내기의 무선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실외기 수신부; 및
상기 실외기 송신부와 실외기 수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수신부;
실내기 사용자(실내인)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신호를 실외기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송신부; 및
상기 실내기 수신부와 실내기 송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도어폰 시스템{Wireless Door Phone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도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와 실외기 간에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선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대문 또는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실외기(10)와, 방문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집안의 소정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실내기(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상호 송수신을 위해 4선 또는 2선의 유선 또는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실외기 수신부(12)와, 실외기 송신부(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외기 수신부(12)는 스피커(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 송신부(11)는 카메라(13), 마이크(14), 벨 버튼(15)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20)는 실내기 수신부(22)와 실내기 송신부(21)로 이루어지며,상기 실내기 수신부(22)는 LCD와 같은 모니터(23), 음성을 출력시키는 스피커(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 송신부(21)는 마이크(25)를 포함한다. 미 설명 부호 26은 수화기이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은 최근의 통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시공 및 고장수리가 불편한 4선식 보다는 2선식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선식 또는 4선식 등 유선방식의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은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공상의 문제점과 고장수리 등의 설치 후의 관리 문제점과, 실내기(20)가 소정 장소에 고정되어야 한다는 제한성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통상적으로, 실내기(2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실외기(10)와 최단거리에 설치되도록 현관입구 또는 거실의 현관과 가까운 위치의 벽에 고정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20)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떨어진 안방이나 주방 등에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거나 용무 중일때 외부 방문자가 찾아와서 벨버튼(호출키)를 눌러 호출음을 발생시켰을 때에는 사용자는 실내기(20)의 실내기 스피커(24)를 통해 발생되는 호출음을 듣고서 실내기(20)가 설치된 장소까지 달려와서 응대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점이 지적된다.
또한 실외기(10)와 실내기(20)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유선이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유선은 집안에서 설치할 때의 미관을 고려하여 은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은폐를 해야 하므로 시공이 곤란하고 단선 등으로 고장이 날 염려가 있으며, 고장이 났을 때에는 어디에서 단선되었는지 찾기가 쉽지 않으며, 고장부분을 수리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설치시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실내기를 모바일 형태로 운용하여 실내 어디에서나 응대가 가능한 무선 도어폰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유선 도어폰 시스템의 간략 설치 상태도 및 개요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도어폰 시스템의 간략 설치 상태도 및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도어폰의 실내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도어폰의 실외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실내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기 2 : 실내기 100 : 실외기 송신부
110 : 데이터 신호 입력부 111 : 호출버튼 112 : 카메라
113 : 마이크 120 : 데이터 신호 처리부 121 : 영상 처리부
122 : 음성 처리부 130 : 변조부 140 : 무선 송신부
200 : 실외기 수신부 210 : 무선 수신부 220 : 복조부
230 : 증폭부 240 : 스피커 300 : 듀플렉서
400 : 실내기 수신부 410 : 무선 수신부 420 : 복조부
430 : 데이터 신호 처리부 431 : 영상 처리부 432 : 음성 처리부
440 : 데이터 신호 출력부 441 : LCD 442 : 스피커
500 : 실내기 송신부 510 : 마이크 520 : 증폭부
530 : 변조부 540 : 무선 송신부 600 : 듀플렉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관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무선으로 영상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실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방문자가 내부의 사람을 호출하기 위해 누르는 호출버튼, 외부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외부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호출버튼, 카메라,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실내기의 무선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송신부;
실내기의 무선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실외기 수신부; 및
상기 실외기 송신부와 실외기 수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수신부;
실내기 사용자(실내인)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신호를 실외기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송신부; 및
상기 실내기 수신부와 실내기 송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무선 전화기 및 휴대폰과 같이, 평상시에는 충전어뎁터에 장착시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외기와 더불어 건전지로 전원 공급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기의 데이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마이크 및 호출버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버튼소리를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 송신부의 복조부에서 복원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실내인(실내기 사용자)의 음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도어폰 시스템의 간략 설치 상태도 및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실외기(1)와 실내기(2)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외기(1)는 카메라(112), 마이크(113), 호출 버튼(111) 및 스피커(2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2)는 LCD(441), 스피커(442) 및 마이크(51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및 실내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는 실외기 송신부(100), 실외기 수신부(200) 및 듀플렉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 송신부(100)는 데이터 입력부(110),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 데이터 변조부(130) 및 무선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 수신부(200)는 무선 수신부(210), 복조부(220), 증폭부(230) 및 음성출력부인 스피커(2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는 영상처리부(121) 및 음성처리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듀플렉서(300)는 데이터 전송 상황에 따라 상기 실외기 송신부(100)와실외기 수신부(2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위칭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기 송신부(10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면, 듀플렉스(300)는 상기 실외기 송신부(100)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실외기 수신부(200)를 온(ON)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는 실외기 수신부(200)의 무선수신부(210)에서 수신되며, 복조부(220), 증폭부(230)를 거쳐 스피커(240)로 출력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는 외부인(방문자)이 실내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포함하며, 여기에는 호출 버튼(111), 카메라(112) 및 마이크(11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조부(130)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변조시킨다.
상기 무선 송신부(140)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캐리어에 실어 실내기(2)의 무선수신부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210)는 상기 실내기 송신부로부터 온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220)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고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는 실내기 송신부(500), 실내기 수신부(400) 및 듀플렉서(6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 송신부(500)는 실내인(실내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510),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20), 상기 증폭된 신호를 무선으로 변조하는 변조부(530), 상기 실외기 무선 수신부(210)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 수신부(400)는 무선 수신부(410), 복조부(420), 영상 및 음성 처리부(430), 상기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540)는 상기 실외기(1)의 무선 수신부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432)에서의 음성은 방문자 음성뿐만 아니라 호출버튼 소리도 포함한다.
상기 복조부(420)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며,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430)는 영상 처리부(431) 및 음성 처리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출력부(440)는 LCD(441) 및 스피커(442)를 포함한다.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실외기의 듀플렉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실내기 수신부와 실내기 송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시킨다.
상기 도면에는 도시 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유선으로 가정용 전력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하지만, 충전식 등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어폰의 설치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종 배선으로 인한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실내기(2)는 TV에 사용되는 리모콘의 일종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대신, 일정거리에서 상기 무선 실외기(1)와의 송수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실내기(2)는 도어락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2)는 실내의 어떤 장소에서도 실외기(1)와 통신(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실내기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실내기 대신 상기 실내기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700)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모바일(700)은 홈네트워크나 홈오토메이션과 연계 가능해서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문자가 실외기(1)의 호출버튼(111)을 누르게 되면, 듀플렉서(600)에 의해 실내기 송신부(500)는 오프(OFF)되고, 실내기 수신부(400)는 온(ON)이 된다. 이에 따라 방문자에 의한 호출버튼(111) 소리가 실내기(2)의 스피커(442)를 통해 출력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호출버튼 출력소리는 음성 처리부(122)에 의해 신호 처리되며, 상기 변조부(130)에 의해 변조되며, 무선 송신부(140)에 의해 전송되어진다. 상기 신호는 실내기(2)의 듀플렉서(600)에 의해 실내기 수신부(400)가 실행되며, 상기 실내기 수신부(400)의 무선수신부(410), 복조부(420), 음성 처리부(432), 스피커(442)를 통해 벨소리로 출력된다.
이때, 카메라(112)를 통해 방문자의 모습을 포함한 문 밖의 화면이 상기 실내기(2)의 LCD(441)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 사용자(실내인)이 말을 하게 되면, 실외기(1)의 듀플렉서(300)에 의해 실외기 송신부(100)는 오프(OFF)되고, 실외기 수신부(200)는온(ON)이 되어 상기 음성이 실외기의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설치시공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며, 상기 실내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홈네트워크 및 홈오토메이션와 연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현관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무선으로 영상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실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방문자가 내부의 사람을 호출하기 위해 누르는 호출버튼과 외부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및 외부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호출버튼, 카메라,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실내기의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송신부;
    실내기의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실외기 수신부; 및
    상기 실외기 송신부와 실외기 수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수신부;
    실내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신호를 실외기 수신부로 전송시키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송신부; 및
    상기 실내기 수신부와 실내기 송신부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실행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도어폰 시스템.
KR1020030030280A 2003-05-13 2003-05-13 무선 도어폰 시스템 KR2004009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280A KR20040098128A (ko) 2003-05-13 2003-05-13 무선 도어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280A KR20040098128A (ko) 2003-05-13 2003-05-13 무선 도어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28A true KR20040098128A (ko) 2004-11-20

Family

ID=3737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280A KR20040098128A (ko) 2003-05-13 2003-05-13 무선 도어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10B1 (ko) * 2007-12-28 2009-11-12 주식회사 유엠비컴 바이너리 cdma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현관출입통제시스템
KR200472819Y1 (ko) * 2014-04-03 2014-05-27 강봉철 디지털 무선 도어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10B1 (ko) * 2007-12-28 2009-11-12 주식회사 유엠비컴 바이너리 cdma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현관출입통제시스템
KR200472819Y1 (ko) * 2014-04-03 2014-05-27 강봉철 디지털 무선 도어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JP5564605B2 (ja) 通信システム
JPH09191337A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システムの特定周辺装置
KR20050007328A (ko) 텔레비전전화 감시시스템
JP485812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29128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0224316A (ja) モニタ付きワイヤレス通話システム
JPH0231545A (ja) テレビ用リモコン付ワイヤレス電話機
KR20040098128A (ko) 무선 도어폰 시스템
JPS61296859A (ja) テレビ機能付電話装置
JPH11136373A (ja) コードレス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9077122A (ja) ドアホンシステム
JPH0329356B2 (ko)
JPH11159861A (ja) 情報伝達システム
JP3035090B2 (ja) 電話システム
JPH0456505B2 (ko)
JP6941788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5159534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6519822B1 (ja) 室内親機、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050036397A (ko) 도어폰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H10155176A (ja) 構内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構内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無線中継機
JP3721988B2 (ja) ワイヤレス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ワイヤレスコール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JP3691991B2 (ja) 無線通話装置
KR20010036594A (ko)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