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561A -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561A
KR20040097561A KR1020030029893A KR20030029893A KR20040097561A KR 20040097561 A KR20040097561 A KR 20040097561A KR 1020030029893 A KR1020030029893 A KR 1020030029893A KR 20030029893 A KR20030029893 A KR 20030029893A KR 20040097561 A KR20040097561 A KR 20040097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ignal
digital audio
audi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우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우중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Priority to KR102003002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561A/ko
Publication of KR2004009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일정구역내의 라디오 및 출력스피커로 송신할 수 있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되는 슬롯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결합부에 전송 또는 내부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특정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발진기와, 상기 주파수발진기로부터 변환된 주파수를 RF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상기 변조된 RF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RF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가 포함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Digital audio apparatus is possessed of trans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일정구역내의 라디오 및 출력스피커로 송신할 수 있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MP3플레이어 기능만이 탑재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콤팩트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장치의 저장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장치인 이어폰을 통해 소비자가 음악등의 저장데이터를 청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저장데이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극소수의 저장데이터를 반복 청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슬롯을 구비하고 저장기능을 갖는 외장형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저장데이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구조는 내부의 메모리장치나, 외장형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만을 디코딩하여 소비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다른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은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MP3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가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임시저장수단인 외장형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에 FM수신기가 장착되어 있는 외장형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MP3플레이어 기능 이외에 FM 라디오 방송도 청취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디지털 오디오 장치를 기출원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출력장치인 이어폰, 내부스피커 및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스피커를 통해 음악 또는 FM방송을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외출 할 경우에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결합된 케이블을 분리해야 되기 때문에 외부스피커를 이용한 음악 또는 FM방송을 들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크기를 증대하지 않고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외부출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들을 수 있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결합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실시일예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송신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송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디지탈 오디오 장치 110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키입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입력부
151 : 입력단자 160 : 출력부
161 : 출력단자 162 : 스위칭부
163 : 내부스피커 170 : 결합부
200 : 송신장치 210 : 접속단자
220 : 주파수 발진기 230 : 모듈레이터
240 : 증폭기 250 :RF안테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되는 슬롯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결합부에 전송 또는 내부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특정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발진기와, 상기 주파수발진기로부터 변환된 주파수를 RF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상기 변조된 RF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RF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가 포함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넓은 의미로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 전부를 뜻하며, 좁은 의미로는 MP3와 같은 음악파일을 듣기위한 휴대용 MP3플레이어를 말하는 것으로써, 본 명세서에서는 후자인 MP3플레이어를 일예로 설명한다. 이와같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결합부, 입력부, 메모리부, 출력부 및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디지탈 오디어 장치 내부에서 독출된 데이터 신호를 외장형 카드인 송신장치로 전달 또는 외장형카드(저장장치, FM수신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내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송신장치의 연결수단이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언급한 바와같이 슬롯형태를 띄고 있으나, 전송방법에 따라 USB포트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외부나, 외장형카드가 대부분 삽입되어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입력단자로부터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직접 전송받거나, 상기 결합부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는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다.
상기 출력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내장되어 있는 출력수단인 스피커로 출력 또는 출력단자(이어폰 또는 외부스피커 연결단자)를 통해 출력 및 독출된 데이터신호를 결합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각 부의 신호전송을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부로부터입력된 데이터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독출 및 독출된 데이터신호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각부의 신호전송에는 신호를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DAC) 또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ADC)가 필요한다. 이러한 변환기는 제어부에 형성되거나 입력부 및 출력부 각각에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와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입력부와 출력부가 하나로 형성될 경우 상기 변환기는 통합된 입·출력부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신호를 결합부, 출력부(내부스피커, 출력단자) , 결합부 및 출력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전송받은 데이터신호를 선별적으로 전송시키는 것으로, 선별가능한 모드로는 외부전송, 출력단자, 외부전송 및 출력단자, 내부스피커등이 있을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외부전송모드는 데이터신호를 결합부로만 전송하여 결합부에 결합되는 외장형 카드(송신카드)를 통해 무선스피커로 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모드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단자로만 전송되어 상기 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이어폰(또는 유선스피커)를 통해 음을 청취하고, 상기 외부전송 및 출력단자모드는 데이터 신호가 결합부와 출력단자로 모두에 전송되어 무선스피커와 이어폰으로 동시에 청취가 가능하며, 내부스피커모드는 데이터 신호가 내부의 스피커로만 전송되어 음을 청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독출과정에서 데이터가 갖는 정보(음악파일일 경우:곡명, 가수명, 총디스플레이 시간 등) 또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베터리 소요시간 및 기타유용한 정보등을 액정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부분으로, 제어부로부터 직접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된다.
또한,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키입력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트랙을 변경 및 전원의 온·오프와 상술한 스위칭 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는, 접속단자, 주파수 발진기, 모듈레이터, 증폭기, RF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것으로,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슬롯형태에 맞물리는 다수의 핀형태나, USB포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형태가 적용된다.
이와같이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발진기에서 특정 대역(帶域)의 주파수로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는 모듈레이터에서 RF신호로 변조되며, 변조된 신호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RF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실시일예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송신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구성도이고, 도 3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송신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110), 입력부(150), 출력부(160), 메모리부(120), 수위칭부(162), 디스플레이부(140), 결합부(170)로 구성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100)와 접속단자(210), 주파수 발진기(220), 모듈레이터(230), 증폭기(240), RF안테나(250)로 구성된 송신장치(20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은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170)에 송신장치의 접속단자(21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100)의 작동은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어폰을 통해서 듣거나, 출력된 데이터를 RF방식으로 송출하여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10)에 키입력부(130)로부터 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의해 아날로그방식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160)로 전송하며, 독출된 음성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정보(곡명, 가수명, 총디스플레이 시간 등)는 디스플레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출력부(160)에 전송된 음성데이터는 스위칭부(162)의 선택모드에 의해 결합부(170), 출력단자(161), 내부스피커(163)로 각각 전송하게 된다.
즉, 출력부(160)로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스위칭부(162)가 ㉠외부전송모드일 경우에는 결합부(170)로만 전송되어, 상기 결합부(170)에 접속되는 송신장치(200)를 통해 RF신호로 외부에 송출되며, 외부로 송출된 신호는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출력장치(무선연결스피커)를 통해 청취할 수 있고, ㉡출력단자모드일 경우에는 출력단자(161)로만 전송하여 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이어폰이나, 외부유선스피커를 통해 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외부전송 및 출력단자모드일 경우에는 결합부(170)와 출력단자(161) 모두에 전송이 이루어져 이어폰 또는 유선스피커와 외부출력장치(무선연결스피커)를 통해 동시에 청취가 가능하며, ㉣내부스피커모드일 경우에는 음성데이터가 직접 내부스피커(163)로 전송되어 청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70)는 상기 스위칭부(162)가 외부전송모드 또한 외부전송 및 출력단자모드일 경우에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결합부에 접속되어 있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200)에 재전송하게 된다.
이와같이 디지탈 오디오 장치(100)와 송신장치(200)의 결합은, 슬롯형태에 맞물리는 다수의 핀형태나, USB포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송신장치가 삽입되면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가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체크하여 송신가능유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200) 자체적으로 전원을 갖을 수 있으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결합부(170)를 통해 디지탈 오디오 장치(100)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해보면, 메모리부(120)에서 독출된 데이터신호는 제어부(110)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송신장치(200)의 접속단자(210)로 입력된다. 상기 송신장치(200)로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발진기(220)에서 특정주파수 대역으로 변환/가공되고, 변환된 데이터신호는 모듈레이터(230)에서 무선의 주파수로 변조되며,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증폭기(240)에서 증폭된 후 RF안테나(25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키입력부로부터 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가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며, 독출된 데이터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로 전송한다.
상기 출력부에서는 스위칭부에서 선택된 모드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선택된모드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외부전송모드 일때에는 변환된 데이터를 결합부로 전송하고,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장치에서 특정주파수대역으로 변환 및 RF신호로 변조하여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송출된 데이터 RF신호는 외부출력장치를 통해 소비자가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전송 및 출력모드일 경우에는 상술한 외부전송모드와 후술하는 출력모드에 모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출력모드일 경우에는 출력단자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출력수단(이어폰, 유선스피커)을 통해 데이터를 청취하며, 내부스피커모드일 경우에는 내부스피커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데이터 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외부로 전송된 RF방식의 데이터 신호는 특정지역에 설치된 외부출력장치 즉, 특정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는 수신장치가 장착된 오디오 또는 스피커에 입력되어 데이터 음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특정주파수를 수신하는 오디오 또는 스피커장치는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사업장, 자동차 등)에 설치/설정하거나,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를 판매하는 업자가 고객 서비스차원에서 임의 장소(버스정류장 등)에 설치함으로써 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탈 오디오 장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송출할 수 있고, 송출된 데이터는 외부스피커를 통해 청취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원하는 음악(데이터)을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저장시키면,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소비자가 원하는 음악을 이어폰이 아닌 스피커를 이용해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의 접속수단 구조가 기본의 소켓형과 동일하여 종래에 사용하는 임시저장장치 또는 FM수신장치를 겸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5)

  1.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외장형 카드가 결합되는 슬롯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결합부에 전송 또는 내부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
  2. 송신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입력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특정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발진기와;
    상기 주파수발진기로부터 변환된 주파수를 RF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상기 변조된 RF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RF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
  3.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슬롯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결합부에 전송 또는 내부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가 포함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와;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특정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발진기와,
    상기 주파수발진기로부터 변환된 주파수를 RF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상기 변조된 RF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RF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
    가 포함되는 카드형태의 송신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신호를 결합부, 내부출력장치 또는 결합부 및 내부출력장치에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스위칭수단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
  5.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오디오 장치의 제어부에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DAC)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장치.
KR1020030029893A 2003-05-12 2003-05-12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KR20040097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893A KR20040097561A (ko) 2003-05-12 2003-05-12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893A KR20040097561A (ko) 2003-05-12 2003-05-12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561A true KR20040097561A (ko) 2004-11-18

Family

ID=3737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893A KR20040097561A (ko) 2003-05-12 2003-05-12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793B1 (ko) 2023-08-14 2024-02-29 페어헤드 유한책임회사 카드형태의 비상용 am 방송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793B1 (ko) 2023-08-14 2024-02-29 페어헤드 유한책임회사 카드형태의 비상용 am 방송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3804A1 (en) Radio signal relaying apparatus
US20050181756A1 (en) Wireless digital music player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KR100581053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KR200170731Y1 (ko) 주파수 변조 신호 송출기능을 갖는 엠피3 음악재생기
KR100342061B1 (ko) 에프엠 송신기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20040097561A (ko) 카드형태의 송신장치가 결합된 디지탈 오디오 장치
CN101950155B (zh) 一种多功能智能闹钟音响
KR200422312Y1 (ko) Fm변환기가 내장된 전자음반
JP4906241B2 (ja) オーディオ伝送システム
KR100356032B1 (ko) 차량용 엠피3 플레이어
JP2001069205A (ja) 携帯無線電話端末を利用した音響装置
KR20030086380A (ko) 에프엠 변조 방식의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KR200415707Y1 (ko) 에프엠(fm)무선송출장치
KR20010008949A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30066578A (ko) 메모리칩과 시가플러그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 겸용 트랜스미터 인터페이스
JP2003015664A (ja) 無線端末装置
KR20010026675A (ko) 압축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듣거나 볼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KR200218470Y1 (ko) 엠피쓰리 및 녹음기가 내장된 핸즈프리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JP2011082717A (ja) 増幅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167119Y1 (ko) 디지털오디오데이터가저장된플래쉬메모리를사용하는카오디오장치
KR200384801Y1 (ko) 무선 음향중계장치
KR200347640Y1 (ko) 무선 입체음향 송출기
KR19990041218A (ko) 휴대용 무선 가요 반주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