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002A - 분체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002A
KR20040097002A KR1020040082172A KR20040082172A KR20040097002A KR 20040097002 A KR20040097002 A KR 20040097002A KR 1020040082172 A KR1020040082172 A KR 1020040082172A KR 20040082172 A KR20040082172 A KR 20040082172A KR 20040097002 A KR20040097002 A KR 2004009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wder
injection
injecto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826B1 (ko
Inventor
덕 용 김
Original Assignee
덕 용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용 김 filed Critical 덕 용 김
Priority to KR102004008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8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7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helica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또는 화공약품과 같은 분체(분말입자)를 액체와 혼합하는 분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를 담는 메인호퍼에서부터 액체와 분체를 혼합하는 혼합기로 분체를 주입하는 주입관까지의 외부에 열선을 설치하여 메인호퍼에서부터 주입관까지의 내부를 건조시켜 분체가 이송라인 전체에서 엉겨붙지 않게 하고, 혼합기내로 분체가 빠른 속도로 주입되도록 주입관과 연결되는 송풍관 및 분기관의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콤푸레샤를 설치하며, 혼합기 내부의 주입관 끝단부를 분사노즐 보다 높게 설치하고, 주입관의 끝단부를 실린더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입관의 끝단부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호퍼(1)에 담겨진 분체를 이송스크류(3)를 통하여 2차호퍼(7)로 이송시키고, 송풍기(8)에서 공급되는 온풍을 2차호퍼(7)의 하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인젝터(6)로 불어주어 그 온풍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혼합기(10)로 주입시켜 물과 분체를 혼합 용해 하는 분체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호퍼(1)와, 이송스크류(3)를 감싸는 이송관(5) 및 2차호퍼(7) 그리고 주입관(11)의 외부 전둘레에는 열선(18)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기 혼합기(10)에 수평 설치된 격판(13)에 관통되게 설치된 주입관(11)의 단부는 분사노즐(15)의 하단부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주입관(11)의 단부에 붙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 용해장치{Apparatus for liquefying powder}
본 발명은 의약품 또는 화공약품과 같은 분체(분말입자)를 액체와 혼합하는 분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를 담는 메인호퍼에서부터 액체와 분체를 혼합하는 혼합기로 분체를 주입하는 주입관까지의 외부에 열선을 설치하여 메인호퍼에서부터 주입관까지의 내부를 건조시켜 분체가 이송라인 전체에서 엉겨붙지 않게 하고, 혼합기내로 분체가 빠른 속도로 주입되도록 주입관과 연결되는 송풍관 및 분기관의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콤푸레샤를 설치하며, 혼합기 내부의 주입관 끝단부를 분사노즐 보다 높게 설치하고, 주입관의 끝단부를 실린더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입관의 끝단부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분체 용해장치는 특허공고 제96-1687호(명칭 : 고체입자 용해장치 및 방법)가 알려진 바가 있다.
위의 종래의 선출원특허는 호퍼 내부에 저장된 고체입자를 히이터콘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인 스크류우, 이 스크류우에 의해 이송된 고체입자를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건조함과 동시에, 인젝터로 공급하는 2중통으로 된 히이터콘과, 이 히이터콘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입자를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고체입자 분사튜브측으로 날려 보내는 인젝터, 상기한 인젝터로부터 분사된 고체입자를 용제(물)로 1차 적신 후(침윤시킨 후), 용해탱크내로 떨어져 용해되도록 분무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송풍기로부터 히이터콘으로 온풍을 불어 넣어 분무장치측으로 건조된 고체입자를 분사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고체입자가 담겨진 호퍼와, 그 하방의 스크류우가 설치된 스크류우통은 어떠한 가온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호퍼와 스크류우통 내에는 습기가 차서 그 내부의 고체입자는 그 습기로 하여금 덩어리지게 뭉치게 되었고,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호퍼의 하부 배출구와 스크류우통 내부가 막히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분무장치의 내부구조를 보면 용제(물)를 하부로 분사하는 분무노즐 보다 고체입자를 분사시키는 고체입자 분사튜브가 하측으로 더 길게 내려와서 분무노즐에서 분무되는 물이 고체입자 분사튜브의 끝단부에 튀기면서 그 고체입자 분사튜브에서 나오는 고체입자를 적시게 되어 고체입자 분사튜브의 끝단부가 막히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미분화된 고체입자와 물을 잘 혼합하여 용해하고자 하는 고체입자 용해장치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체를 담는 메인호퍼에서부터 액체와 분체를 혼합하는 혼합기로 분체를 주입하는 주입관까지의 외부 전체에 열선을 설치하여 메인호퍼에서부터 주입관까지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건조시켜서 분체가 이송라인 전체에서 엉겨붙지 않게 하고, 분체 용해장치의 이송라인의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콤푸레샤를 설치하여 혼합기내로 분체가 빠른 속도으로 주입되도록 하며, 혼합기 내부의 주입관 끝단부를 분사노즐 보다 높게 설치하고, 주입관의 끝단부를 실린더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입관의 끝단부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호퍼에 담겨진 분체를 이송스크류를 통하여 2차호퍼로 이송시키고,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을 2차호퍼의 하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인젝터로 불어주어 그 온풍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혼합기로 주입시켜 물과 분체를 혼합 용해 하는 분체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호퍼와, 이송스크류를 감싸는 이송관, 2차호퍼, 그리고 주입관의 외부 전둘레에는 열선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 수평 설치된 격판에 관통되게 설치된 주입관의 단부는 분사노즐의 하단부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주입관의 단부에 붙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c는 도 2b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c는 도 3b의 B-B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사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
1 : 메인호퍼 2 : 모터 3 : 이송스크류
4 : 스크류통 5 : 이송관 6 : 인젝터
7 : 2차호퍼 8 : 송풍기 9 : 송풍관
10 : 혼합기 11 : 주입관 12 : 몸체
13 : 격판 14 : 물자켓부 15 : 분사노즐
16 : 급수구 17 : 용해탱크 18 : 열선
19 : 확장관 20,29 : 밸브 21,23,26 : 노즐부
22 : 분기연결관 24 : 공압분기관 25 : 콤푸레샤
27 : 공압관 28 : 솔레노이드밸브 30 : 실린더
31 : 실린더로드 32 : 마개부 9a : 2차송풍관
11a : 수직관부 11b : 관통구멍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용해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체가 담겨지는 메인호퍼(1)의 하부에는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가 스크류통(4)의 내부에 수평 설치되며, 이 스크류통(4) 측방의 이송관(5) 단부에는 하단부에 인젝터(6)가 설치된 2차호퍼(7)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통(4)은 메인호퍼(1) 내의 분체가 자유낙하하여 충분한 량의 분체가 모일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고, 스크류통(4)과 2차호퍼(7)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이송관(5)은 내부의 이송스크류(3)에 의해 스크류통(4) 내부의 분체를 2차호퍼(7)로 이송시키는 것이므로 이송스크류(3)의 외부전체를 감싸는 원통관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젝터(6)의 유입단부에는 송풍기(8)에 의해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관(9)이 연결되며, 이 인젝터(6)의 배출단부에는 혼합기(10)로 분체를 주입시키는 주입관(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혼합기(10)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된 몸체(12)의 내부에 격판(13)이 수평 설치되어 격판(13)의 상부공간에 물자켓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관(11)의 배출단부는 몸체(12)의 중앙상부로부터 격판(13)의 중앙부까지 관통하여 하향 설치되며, 격판(13)의 주입관(11) 설치부 둘레에는 격판(13) 하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5)이 하향 설치되고, 상기 물자켓부(14) 측의 몸체(12)에는 급수구(16)가 설치되고 몸체(12)의 하부에는 용해탱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호퍼(1)와 이송관(5), 2차호퍼(7) 그리고 주입관(11)의 외부 전둘레에는 열선(18)이 감겨지게 설치되어 메인호퍼(1)와 이송관(5), 2차호퍼(7), 주입관(11)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기(10)의 격판(13)에 관통되게 설치된 주입관(11)의 단부는 분사노즐(15)의 하단부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주입관(11)의 단부에 붙지 않도록 된 것이다.
다음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데다가 확장관(19)과 관경이 축소된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이 추가된 것이다.
즉, 상기 송풍관(9)에 직경이 확대된 확장관(19)이 설치되고, 확장관(19) 후단의 인젝터(6)와 연결되는 2차송풍관(9a)의 관경은 송풍관(9)의 2분의 1로 축소되며, 이 2차송풍관(9a)과 주입관(11)의 사이에는 중간에 밸브(20)가 설치되며 관경이 2차송풍관(9a)와 동일한 분기연결관(22)이 연결되고, 주입관(11)과 연결된 분기연결관(22)의 단부에는 노즐부(21)가 형성되며 이 노즐부(21)가 주입관(11)의 내부로 삽입된 것이다.
다음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삼실시예는 위의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콤푸레샤(25)와 공압관(27)과 공압분기관(24)이 추가된 것이다.
즉, 삼실시예는 상기 주입관(11)과 연결되는 쪽의 분기연결관(22)의 내부에 콤푸레샤(25)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공압관(27)의 선단 노즐부(26)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공압관(27)의 중간에는 공압분기관(24)이 분기되어 그 선단부가 2차송풍관(9a)의 내부로 삽입되고, 2차송풍관(9a)의 내부로 삽입된 공압분기관(24)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즐부(23)는 인젝터(6)의 입구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압관(27)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28)와 밸브(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사실시예는 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혼합기(10)에 실린더(30)가 설치된 것만 상이하므로, 그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혼합기(1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주입관(11)의 수직관부(11a) 상부는 관통되어 관통구멍(11b)이 형성되고, 실린더로드(31)가 관통구멍(11b)을 통하여 수직관부(11a)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게 실린더(30)가 관통구멍(11b)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31)의 끝단부에는 수직관부(11a)의 끝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일실시에의 메인호퍼(1)와 이송관(5), 그리고 2차호퍼(7) 및 주입관(11)의 외부 전체면에는 열선(18)이 감겨진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열선(18)에 전원이 공급되어 열선이 발열되게 되면 그 열기가 메인호퍼(1)와 이송관(5), 그리고 2차호퍼(7) 및 주입관(11)에 전달되어 메인호퍼(1)에서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에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메인호퍼(1)에서부터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 전체가 열선의 열기에 의해 건조됨에 따라 메인호퍼(1)에서부터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 전체에서 분체가 뭉치지 않고 건조된 상태에서 혼합기(10)까지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호퍼(1)에서부터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 전체가 건조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3)의 회전에 의해 메인호퍼(1)에 담겨진 분체가 스크류통(4)에서 이송관(5)을 거쳐 2차호퍼(7)로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된 분체는 2차호퍼(7) 하방의 인젝터(6)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히터가 장착된 송풍기(8)에서 불어주는 온풍이 인젝터(6)로 불어옴에 따라 관경이 축소된 인젝터(6)의 내부에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인젝터(6)로 내려오는 분체를 주입관(11)으로 신속하게 뿜어준다.
이렇게 주입관(11)으로 뿜어지는 분체는 혼합기(10)의 내부로 주입되게 되는데, 이때, 혼합기(10)의 상부에 설치된 급수구(16)로는 액체(물)이 급수되고 있음에 따라 이렇게 급수되는 물은 물자켓부(14)에 충만되면서 주입관(11) 끝단부 둘레에 하향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5)을 통하여 격판(13)의 하부로 물을 분사시키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15)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관(11)의 끝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그 단부에서 물이 분사되므로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물이 주입관(11)의 끝단부에 묻지 않게 되며, 주입관(11)의 끝단부로 주입되는 분체와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혼합기(10)에서 혼합된 혼합물은 혼합기(10) 하방의 용해탱크(17)에 채워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물이 주입관(11)의 끝단부에 묻지 않음에 따라 주입관(11)의 끝단부가 막힐 염려가 없이 물과 분체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2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실시예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호퍼(1)에서부터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 전체가 열선의 열기에 의해 건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송풍기(8)에서 온풍이 송풍관(9)과 확장관(19)을 통하여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의 관경이 송풍관(9)보다 2분의 1만큼 축소된 상태이므로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를 통과하는 온풍의 흐름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빠른 속도로 인젝터(6)와 주입관(11)으로 온풍을 불어 넣는다.
이렇게 인젝터(6)와 주입관(11)으로 온풍을 빠른 속도로 불어 ??어줄 때, 인젝터(6)와 노즐부(21)가 선단부의 직경이 대폭 축소됨에 따라 온풍의 흐름속도는 더욱더 빨라지나, 그 직경이 축소된 노즐부분에서 저항이 발생하면서 송풍기(8)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때 2차송풍관(9a)의 전방에는 직경이 대폭 확대된 확장관(19)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넓은 공간을 갖는 확장관(19)에서 상기 저항에 따른 부하가 완화되며 빠른 속도로 온풍을 인젝터(6)와 분기연결관(22)으로 불어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젝터(6)와 분기연결관(22)으로 온풍을 불어 넣을 때, 온풍의흐름량에 대한 조절은 분기연결관(22)에 설치된 밸브(2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이실시예의 경우에 빠른 속도로 인젝터(6)로 온풍이 불어줌에 따라 2차호퍼(7)에서 낙하하는 분체를 주입관(11)으로 신속하게 보낼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신속하게 이송되는 분체를 주입관(11)의 출구부분에서 다시한번 분기연결관(22)을 통하여 온풍을 불어줌에 따라 분체를 혼합기(10)로 빠른 속도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혼합기(10)로 분체를 빠른 속도로 주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수분이 투입할 틈이 없게 되어 건조한 상태의 분체를 혼합기(10)로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삼실시예의 경우에도 이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삼실시예의 요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호퍼(1)에서부터 주입관(11)까지의 이송라인 전체가 열선(18)의 열기에 의해 건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송풍기(8)에서 온풍이 송풍관(9)과 확장관(19)을 통하여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의 관경이 송풍관(9)보다 2분의 1만큼 축소된 상태이므로 2차송풍관(9a)과 분기연결관(22)를 통과하는 온풍의 흐름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빠른 속도로 인젝터(6)와 주입관(11)으로 온풍을 불어 넣게 된다.
이런 상황하에서 삼실시예의 요부는 위의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콤푸레샤(25)와 공압관(27)과 공압분기관(24)이 추가된 것이므로, 콤푸레샤(25)의 압축공기가 공압관(27)을 통하여 주입관(11)과 연결된 분기연결관(22)과, 공압관(27)에서 분기된 공압분기관(24)을 통하여 2차송풍관(9a)으로 주입된다.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기연결관(22)와 연결된 공압관(27)의 단부는 분기연결관(22)의 내부로 삽입되었으며 그 선단부에 노즐부(2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공압관(27)을 통과하는 압축공기가 더욱더 빠른 속도로 분기연결관(22)의 내부로 분출됨에 따라 이 빠른 속도의 압축공기가 혼합기(10)와 연결된 주입관(11)의 수직부로 주입되게 된다.
그리고, 공압분기관(24)의 선단부는 2차송풍관(9a)의 내부로 삽입되었으며 그 선단의 노즐부(23)가 인젝터(6)의 입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공압분기관(24)로 흐르는 압축공기가 노즐부(23)에서 더욱더 빠른 속도로 분출되면서 인젝터(6)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게 되며, 그에 따라 2차호퍼(7)에서 내려오는 분체를 주입관(11)으로 더욱더 빠른 속도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공압분기관(24)으로 인하여 2차호퍼(7)에서 내려오는 분체를 주입관(11)으로 더욱더 빠른 속도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주입관(11)의 수직부로는 공압관(27)의 노즐부(26)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를 빠르게 이송시킴에 따라 주입관(11)의 후단 수직부에서 분체는 더욱더 빠른 속도로 혼합기(10)의 내부로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혼합기(10)로 분체를 빠른 속도로 주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수분이 투입할 틈이 없게 되어 건조한 상태의 분체를 혼합기(10)로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수분이 침투하지 않은 상태로 분체가 주입됨에 따라 분체입자의크기가 미세하여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물과 혼합될 때 양질의 용액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사실시예의 경우에도 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사실시예의 요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사실시예는 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다른 점은 상기 주입관(11)의 수직관부(11a) 상부는 관통되어 관통구멍(11b)이 형성되고, 실린더로드(31)가 관통구멍(11b)을 통하여 수직관부(11a)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게 실린더(30)가 관통구멍(11b)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31)의 끝단부에는 수직관부(11a)의 끝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32)가 설치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분체 용해장치를 사용하다가 작업을 정지시킨 경우에 기존의 분체 용해장치는 분체가 나오는 주입관(11)의 말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고, 혼합기(10) 하부에 연결 설치된 용해탱크(17)에는 액체와 분체가 용해된 용액이 담겨진 상태이므로 수분이 증발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말단부가 개방된 주입관(11)의 개방된 구멍으로 용해탱크(17)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유입되어 다음에 분체를 혼합기(10)로 주입시킬 때, 먼저 주입관(11)의 말단부 내부구멍에 묻어 있던 습기와 분체가 만나면서 뭉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주입관(11)의 말단부가 막히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되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서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관(11)의 말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관부(11a)의 내부에 실린더로드(31)가 실린더(30)에의해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로드(31)의 끝단부에는 수직관부(11a)의 내부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부(32)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분체 용해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마개부(32)를 하측으로 내려서 수직관부(11a)의 내부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서 용해탱크(17)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수직관부(11a)의 내부구멍에 묻을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시예에서 분체 용해장치를 가동시킬 경우에는 실린더로드(31)를 최상부로 끌어올려서 수직관부(11a)를 개방시키게 되면 분체가 수직관부(11a)를 통하여 격판(13) 하부의 공간으로 주입되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압관(27)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8)와 밸브(29)는 인젝터(6)와 주입관(11)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주입시기와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 용해장치는, 분체를 담는 메인호퍼에서부터 액체와 분체를 혼합하는 혼합기로 분체를 주입하는 주입관까지의 외부 전체에 열선을 설치하여 메인호퍼에서부터 주입관까지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건조시켜서 분체가 이송라인 전체에서 엉겨붙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와 같이 분체가 건조되도록 한 상태에서 분체 용해장치의 이송라인의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콤푸레샤를 설치하여 혼합기내로 분체가 빠른 속도으로 주입됨에 따라 분체가 습기와 접할 기회를 최소화함에 따라 양질의 용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혼합기 내부의 주입관 끝단부를 분사노즐 보다 높게 설치하고, 주입관의 끝단부를 실린더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입관의 끝단부에 수분이 묻거나 분체 용해장치를 정지시킨 경우에도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주입관의 끝단부 및 그 내부에 묻지 않아 주입관의 끝단부가 막힐 염려가 없는 등의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분체가 담겨지는 메인호퍼(1)와, 메인호퍼(1)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2차호퍼(7)로 분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와, 하단에 인젝터(6)를 설치한 2차호퍼(7)와, 인젝터(6)의 입구에 송풍관(9)을 통하여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8)와, 인젝터(6)의 출구에 연결되어 혼합기(10)로 분체를 주입하는 주입관(11)과, 주입관(11)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측의 급수구(16)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다수의 분사노즐(15)을 통해 분사되면서 주입관(11)의 단부로 주입되는 분체와 혼합용해되는 분체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호퍼(1)와, 이송스크류(3)의 외부를 감싸는 이송관(5) 및 2차호퍼(7), 그리고 주입관(11)의 외부 전둘레에는 열선(18)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기 혼합기(10)의 내부에 수평 설치된 격판(13)에 관통되게 설치된 주입관(11)의 끝단부는 분사노즐(15)의 하단부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분사노즐(15)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주입관(11)의 단부에 붙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9)에 직경이 확대된 확장관(19)이 설치되고, 확장관(19) 후단의 인젝터(6)와 연결되는 2차송풍관(9a)의 관경은 송풍관(9)의 2분의 1로 축소되며, 이 2차송풍관(9a)과 주입관(11)의 사이에는 중간에 밸브(20)가 설치되며 관경이 2차송풍관(9a)와 동일한 분기연결관(22)이 연결되고, 주입관(11)과 연결된 분기연결관(22)의 단부에는 노즐부(21)가 형성되며 이 노즐부(21)가 주입관(11)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11)과 연결되는 쪽의 분기연결관(22)의 내부에 콤푸레샤(25)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공압관(27)의 선단 노즐부(26)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공압관(27)의 중간에는 공압분기관(24)이 분기되어 그 선단부가 2차송풍관(9a)의 내부로 삽입되며, 2차송풍관(9a)의 내부로 삽입된 공압분기관(24)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즐부(23)는 인젝터(6)의 입구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압관(27)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28)와 밸브(29)가 각각 설치된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11)의 수직관부(11a) 상부는 관통되어 관통구멍(11b)이 형성되고, 실린더로드(31)가 관통구멍(11b)을 통하여 수직관부(11a)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게 실린더(30)가 관통구멍(11b)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31)의 끝단부에는 수직관부(11a)의 끝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해장치.
KR1020040082172A 2004-10-14 2004-10-14 분체 용해장치 KR10056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72A KR100560826B1 (ko) 2004-10-14 2004-10-14 분체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72A KR100560826B1 (ko) 2004-10-14 2004-10-14 분체 용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02A true KR20040097002A (ko) 2004-11-17
KR100560826B1 KR100560826B1 (ko) 2006-03-13

Family

ID=3737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172A KR100560826B1 (ko) 2004-10-14 2004-10-14 분체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8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68B1 (ko) * 2006-01-19 2006-12-11 주식회사 이엠테크 폴리머 용해장치
KR100897994B1 (ko) * 2008-10-28 2009-05-18 김전국 하수처리용 가온식 폴리머약품 용해장치
KR100927648B1 (ko) * 2009-03-04 2009-11-20 백운석 폐아스콘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83B1 (ko) 2011-07-21 2011-09-05 (주)탑스엔지니어링 농도 측정장치가 구비된 고체입자 용해장치
KR101321069B1 (ko) 2011-11-08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 호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2632A (ja) 1983-12-21 1985-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ダ−装置
JP2001087603A (ja) 1999-09-27 2001-04-03 Sekisui Environment Kk 高分子凝集剤溶解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68B1 (ko) * 2006-01-19 2006-12-11 주식회사 이엠테크 폴리머 용해장치
KR100897994B1 (ko) * 2008-10-28 2009-05-18 김전국 하수처리용 가온식 폴리머약품 용해장치
KR100927648B1 (ko) * 2009-03-04 2009-11-20 백운석 폐아스콘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826B1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9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xing a bulk material with a fluid
US6079911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amination-free metering and conveying of solid powders which are to be dispersed or dissolved
KR100457978B1 (ko) 주조성 내화재의 건조 분사 공정
KR100560826B1 (ko) 분체 용해장치
KR100843348B1 (ko) 액상 폴리머 용해장치
KR100201821B1 (ko) 분말입자 용해장치
DE10200503708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ühlen von Zement oder zementartigen Pulvern
CN204973639U (zh) 一种湿化装置
JP5415667B2 (ja) 粉粒体の循環装置
CN207554072U (zh) 煤矿用风动水泥浆液喷涂设备
US4756624A (en) Circulation mixer for bulk material
KR100498079B1 (ko) 고형물정량충전장치
KR100656568B1 (ko) 폴리머 용해장치
KR100668707B1 (ko) 분체 용해장치용 혼합기
KR200393375Y1 (ko) 분말약품의 용해장치
KR100462245B1 (ko) 약품 용해장치
JP3216965U (ja) 吹付ノズル装置
KR101463056B1 (ko) 브리지생성을 방지하는 미세입자 정량공급장치
JP3799514B2 (ja) 繊維補強固化材の吹き付け装置及び吹き付けノズル
KR20150030857A (ko) 활성탄, 소석회 또는 탄산나트륨 분말 용해장치
JP2604085B2 (ja) 乾式コンクリート吹付装置
CN201077126Y (zh) 用于连续搅拌松散物料或建筑材料混合物的装置
CN218689160U (zh) 一种适用于锥形混合机的底部防搭桥装置
CN208482281U (zh) 一种自动喷淋除尘的粉料混合装置
JPS6054254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パウダ−自動散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