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379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379A
KR20040096379A KR20030029451A KR20030029451A KR20040096379A KR 20040096379 A KR20040096379 A KR 20040096379A KR 20030029451 A KR20030029451 A KR 20030029451A KR 20030029451 A KR20030029451 A KR 20030029451A KR 20040096379 A KR20040096379 A KR 2004009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terminal
content
cs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752B1 (ko
Inventor
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2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7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75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음성 안내 서비스(Audio Guide Service)는 크게 수신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송형 서비스(broadcast service)와 저장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독립형 서비스(standalone service)로 구분이 되며 각각의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먼저, 방송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중앙방송센터에서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으로 사전에 정해진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신형 단말기에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방식의 서비스이고, 독립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특정 음성정보를 저장형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놓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출력하는 방식의 서비스이다.
상기 방송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사전에 기록된 음성정보를 중앙방송센터에서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하고, 사용자는 리시버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단순한 형태로 동작되며, 독립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저장형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음성정보를 저장해 놓고 사용자의 요구순서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형태로 동작된다.
상기 음성 안내 서비스의 컨텐츠 변경을 위해서는, 방송형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수신형 단말기의 경우, 채널 변환 또는 중앙방송 센터의 송출 컨텐츠를 바꿔야 하며, 독립형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수신형 단말기의 경우, 모든 개수의 저장형단말기 내의 전체 메모리 영역을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 서버(AGS Database)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리적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2에서 위치정보 갱신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음성 안내 시작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와 항목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GSM 프로토콜 구조를 최대한 이용하여 GSM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안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위한 서버와 필수적인 몇 가지 구분자(Identifier)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성 안내 서버(Audio Guide Server : AGS)는 기본적인 GSM 시스템 구성에서, EIR, AUC, HLR, VLR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들의 한 구성요소로 추가될 수 있으며, 단말의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데이터는 다음 표1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AG contents Identifier)는 컨텐츠의 위치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매핑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으로, 여기서 GCI(Global Cell Identity)는 '[GSM 03.30] Numbering,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GCI AG_CSN AG_TOC AG_NOI AG_CN
GCI : Global Cell Identity(LAI+CI)
AG_CSN : AG Contents Serial Number(4Bytes)
AG_TOC : AG Type of Contents(1 Byte)
AG_NOI : AG Number Of Items(2 Bytes)
AG_CN : AG Contents Name(200 Bytes)
다음, 음성 안내 항목 구분자(AG Item Identifier)는 상기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의 NOI(AG Number of Items)의 값에 해당하는 개수의 항목들을 정의해 놓은 데이터 타입으로서 다음 표2과 같이 구성된다.
AG_CSN AG_ISN AG_IN
AG_CSN : AG Contents Serial Number(4 Bytes)
AG_ISN : AG Item Serial Number(4 Bytes)
AG_IN : AG Item Name(200 Bytes)
다음, 음성 안내 서버(AGS Database)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리적 구조는 다음 도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는데, 논리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컨텐츠 수(total number of AG_CSN #)에 해당하는 개수의 테이블로 구성되며, 각 컨텐츠(AG_CSN #)의 테이블 내에는 아이템 수만큼의 실제로 서비스에 사용되는 음성정보 데이터(audio binary data)들로 채워진다.
본 발명의 GSM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음성 안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서버가 해당 네트워크 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2 내지 도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MS)의 사용자가 특정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동작은 바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의 수행인데, 이를 통해서 단말은 자신이 속해있는 BTS(Base Tranceiver System)의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의 방문가입자 위치정보 레지스터(VLR/HLR)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음성 안내 기능을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먼저 단말이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GCI : Global Cell Identity)를 이용하여, 상술한 음성 안내 서버(AGS) 내에 유효한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AG Contents Identifier)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음성 안내 서버(AGS)에서 단말로 컨텐츠(AG_CSN)와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AG_activate flag) 값을 전송한다(S101 ~ S103).
다음, 상기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AG_activate flag)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화면에 표시하고(S104), 사용자가 기능사용을 원할 경우(S105), 음성 안내 시작 명령(AG_start)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사용자의 음성 안내 시작 명령(AG_Start)을 받은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 값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S106), 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AG_ISN ; 종류, 해당 아이템 목록 등)를 단말로 전송한다(S1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받은 정보(AG_ISN)를 바탕으로(S104) 원하는 컨텐츠의 세부 아이템 정보를 요청하고(S105),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AG_CSN #)와 세부 항목(AG_ISN #)을 가지고 음성 안내 서버(AGS)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S106)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AG_BD#)를 단말로 전송한다(S107).
즉, 상기 음성 안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과정(S104, S105)과 요청한 음성 정보 데이터(AG_BD#)를 검색하여 수신하는 과정(106, 107)을 반복 수행한다.
도3은 상기 도2에서 위치정보 갱신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단말이 새 기지국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S201), 현재의 위치정보(GCI)를 바탕으로(S202) 유효한 컨텐츠(AG_CSN #)가 있는지 확인하여(S203), 유효한 컨텐츠가 있을 경우에 컨텐츠 정보(AG_CSN #) 및 음성 안내 활성화 신호를 단말(Handset)로 전송한다(S204).
도4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음성 안내 시작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AG_CSN #)의 하위 항목인 컨텐츠 타입(AG_TOC), 항목 개수(AG_NOI), 컨텐츠 이름(AG_CN) 등을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301), 그 검색된 정보를 단말로 내려 받는다(S302).
도5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와 항목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상기 내려받은 컨텐츠에 대한 하위 항목에서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컨텐츠(AG_CSN #) 및 항목(AG_ISN #)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S401), 그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기로 다운로드 한다(S402).
이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GSM 이동 단말 사용자의 수고 없이도 단말기의 음성 안내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와 음성정보 안내 서비스에 대한 부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은,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변경에 따른 비용을 현격히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에서의 음성정보 단말을 유지 및 교체하는데 드는 비용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통합관리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에 진입하는지는 위치 정보(GCI: Global Cell Identity)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GCI)와 컨텐츠(AG_CSN)를 매핑하는 음성 안내 컨텐츠는, 컨텐츠 타입(AG_TOC)과 그 하위 항목의 수(AG_NOI) 및 컨텐츠 이름(AG_C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텐츠(AG_CSN)의 항목 수(AG_NOI)에 따른 각 항목은, 컨텐츠 번호(AG_CSN)와 그 하위의 각 항목 번호(AG_ISN) 및 항목의 이름(AG_I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서버(AGS)의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컨텐츠 수(AG_CSN #)에 해당하는 개수의 테이블로 구성되며, 각 컨텐츠(AG_CSN #)의 테이블 내에는 항목 수만큼의 실제로 서비스에 사용되는 음성정보 데이터(AG_BD #)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30029451A 2003-05-09 2003-05-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10052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ko) 2003-05-09 2003-05-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ko) 2003-05-09 2003-05-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79A true KR20040096379A (ko) 2004-11-16
KR100524752B1 KR100524752B1 (ko) 2005-11-01

Family

ID=3737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ko) 2003-05-09 2003-05-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7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4752B1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9611C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7885667B2 (en) Remote location based services
US6625457B1 (en) Mobile terminal with location database
ES2425056T3 (es) Servicios basados en localización dependientes del abonado
US5594945A (en) Method of providing registration reminder message to a roaming pager upon entry into a new service area
US20070214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mapping of soft-key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03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rvice provider initiated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96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services with a mobile terminal
CN1197405C (zh) 将通讯簿输入移动通信终端的方法
CN100423592C (zh) 与不同网络通信的移动通信设备、方法和系统及识别模块
US20010044302A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GB2375921A (en) Location-based matching service
US20120003963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updating telephone directory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164936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trolling the menu function of a mobile telephone
KR10052475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100882432B1 (ko)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시스템, 해외 로밍 컨텐츠서버 및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JP3510957B2 (ja) 地域情報表示装置,地域情報管理装置および地域情報表示システム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USRE44627E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al content data
KR2004005843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알림방법
KR100587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사서함 메뉴 목록 제공 방법
JP3405915B2 (ja) 移動電話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通知方式
KR100375658B1 (ko) 차량 음성정보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20000001518A (ko) 이동전화 위치추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