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407A -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407A
KR20040095407A KR1020030026693A KR20030026693A KR20040095407A KR 20040095407 A KR20040095407 A KR 20040095407A KR 1020030026693 A KR1020030026693 A KR 1020030026693A KR 20030026693 A KR20030026693 A KR 20030026693A KR 20040095407 A KR20040095407 A KR 2004009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late
pole
steel wire
reinforcing bar
desig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314B1 (ko
Inventor
최지호
Original Assignee
정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3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의 설계하중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근농을 이루는 다수의 PC강선(1) 선단부에 끼워져 철근농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원판형의 인장판(2)이 구비되고, 상기 인장판(2)의 판면에 다수의 테이퍼홀(3)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게 테이퍼홀(3)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삽입되어 PC강선(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원통형 쵸크(4)가 구비되되, 상기 쵸크(4)의 내측에 상기 PC강선(1)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홈(4a)이 형성되어, 상기 인장판(2)에 PC강선(1)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쵸크(4)를 테이퍼홀(3)에 삽입시켜 상기 철근농의 PC강선(1)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철근농의 인장력 및 강성이 증대되어 설계하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견디는 힘이 강한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고, 전신주의 설계하중이 높아짐에 따라 전선 및 광케이블 등에 의한 무거운 하중에도 파손없이 잘 견딜 수 있으며, 전신주의 파손에 의한 물적 손실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An assembling concrete - telegraph pole for stregthening a plan load}
본 발명은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신주의 뼈대가 되는 철근농의 조립강도 및 설계하중을 높여줌으로써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함과 더불어 무거운 하중이나 자연재해에 의한 전신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는 전력이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선이나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해 지상에 기립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종래에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전신주를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전신주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설치되는 긴 원통형상의 전신주본체(101)와, 이 전신주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전력이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선(102) 및, 상기 전신주본체(10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선(102)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스 등이 구비된 지지대(103)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신주본체(101)의 내부에는 그 뼈대를 이루는 철근농(104)이 설치되는 바, 상기 철근농(10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 만큼 잘려진다수의 PC강선(105)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PC강선(105)의 외측에 철선(106)이 나선형으로 돌아가면서 용접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철근농(104)은 PC강선(105)과 철선(106)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인장을 가함으로써 전신주 내부에서 콘크리트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철근농(104)의 지름이 작은 일측에 소정의 인장을 가할 수 있도록 철근농(104)을 고정해주는 픽스링(107)이 설치되는 바, 상기 픽스링(107)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픽스링 몸체(108)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철근농(104)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09)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고, 상기 삽입홀(109)과 중첩되게 테이퍼홀(110)이 다수 형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철근농(104)의 조립은 편성된 철근농(104)의 선단을 별도의 인장판에 맞추어 삽입한 후, 상기 픽스링(107)의 삽입홀(109)에 철근농(104)의 선단을 다시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픽스링(107)을 비틀어 삽입홀(109)에 끼워진 철근농(104)이 테이퍼홀(110)에 안착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기존의 전신주는 그 설계하중이 700kgf 정도이기 때문에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이에 따라 전선 및 광케이블 등의 무거운 하중에 의한 파손과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한 파손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물적인 손실이 크며, 또한 상기 전신주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신주의 뼈대가 되는 철근농의 조립강도 및 설계하중을 높여줌으로써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함과 더불어 무거운 하중이나 자연재해에 의한 전신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근농을 이루는 다수의 PC강선 선단부에 끼워져 철근농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원판형의 인장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장판의 판면에 다수의 테이퍼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게 테이퍼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판의 테이퍼홀에 삽입되어 PC강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원통형 쵸크가 구비되되, 상기 쵸크의 내측에 상기 PC강선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장판에 PC강선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쵸크를 테이퍼홀에 삽입시켜 상기 철근농의 PC강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조립구조는 철근농을 전신주의 아랫몰드에 조립 및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종래의 픽스링을 배제하고, 그 대신 상기 인장판에 쵸크를 사용하여 PC강선으로 편성된 철근농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철근농과 인장판을 이용하여 설계하중 1000kgf의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철근농의 인장력 및 강성이 증대되어 설계하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견디는 힘이 강한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고, 전신주의 설계하중이 높아짐에 따라 전선 및 광케이블 등에 의한 무거운 하중에도 파손없이 잘 견딜 수 있으며, 전신주의 파손에 의한 물적 손실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신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전신주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농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철근농을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픽스링의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인장판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인장판에 삽입되어 철근농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쵸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인장판과 철근농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PC강선 2 : 인장판
3 : 테이퍼홀 4 : 쵸크
4a : 고정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인장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인장판에 삽입되어 철근농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쵸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인장판과 철근농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전신주의 설계하중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근농을 이루는 다수의 PC강선(1) 선단부에 끼워져 철근농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원판형의 인장판(2)이 구비되고, 상기 인장판(2)의 판면에 다수의 테이퍼홀(3)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게 테이퍼홀(3)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삽입되어 PC강선(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원통형 쵸크(4)가 구비되되, 상기 쵸크(4)의 내측에 상기 PC강선(1)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홈(4a)이 형성되어, 상기 인장판(2)에 PC강선(1)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쵸크(4)를 테이퍼홀(3)에 삽입시켜 상기 철근농의 PC강선(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전신주의 특징은 철근농의 PC강선(1)을 인장판(2)과 쵸크(4)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에 있는 바, 철근농을 전신주의 아랫몰드에 조립 및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종래의 픽스링을 배제하고, 그 대신 상기 인장판(2)에 쵸크(4)를 사용하여 PC강선(1)으로 편성된 철근농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철근농과 인장판(2)을 이용하여 설계하중 1000kgf의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제조과정을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수검사; 시멘트(KS L 5201), 잔골재(KS F 2527), 굵은골재(KS F 2527), 물, 혼화제(KS F 2660), 혼합재, PC강선(KS D 3505), 철선(KS D 3552) 등을 사용하여 전신주를 제작하는데 적합한지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이다.
PC강선 절단; 인수검사를 거친 PC강선을 제품 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공정이다.
PC강선 가공; 철근농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PC강선의 양쪽 끝부분을 가공하는 공정이다.
철근농 편성; 소정의 인장이 가해질 수 있도록 PC강선을 가공 후 철선을 이용하여 철근농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철근농 조립; 편성된 철근농에 소정의 인장을 가하기 위해 아랫 몰드에 고정을 하는 공정이다.
중량계량;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물, 혼화제, 혼합재 등을 소정의 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배합설계에 의해 중량으로 계량하는 공정이다.
배합; 각각 계량된 콘크리트 재료를 믹서기에 넣어 비빔을 하는 공정으로 비빔시간은 90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의 투입; 배합 비빔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철근농 조립이 완료된 전신주의 몰드에 투입하는 공정이다.
몰드 조립; 콘크리트가 전주 몰드에 투입되면 윗 몰드를 덮어 양쪽 접합부를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작업이다.
인장; 콘크리트에 강선을 넣어서 몰드 조립이 끝난 후 몰드내에 조립되어 있는 PC강선이 요구하는 힘(PRETENSION)을 가하는 공정이다.
원심성형; 인장작업이 끝난 몰드를 원심대에 올려 놓고, 저속, 중속, 고속으로 회전시켜 성형하는 공정이다.
증기양생; 원심성형이 끝난 몰드를 증기 양생실로 옮겨 전치양생(대기온도 양생), 상승(20℃/1HR), 유지(85℃), 하강(20℃/1HR)으로 양생하는 공정이다.
응력도입; 양생된 몰드가 대기온도까지 내려 오면 PC강재에 압축응력(PRESTRES)을 주는 공정이다.
탈형; 몰드를 해체하는 공정이다.
중간검사; 몰드를 해체하면 콘크리트 전시주 제품이 생산되고, 생산된 제품을 KS F 4304(프리텐션 방식 원심력PC전신주) 규격에 맞는지 검사하는 공정이다.
야적; 중간검사에서 합격된 제품을 야적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이다.
자연양생; 큰크리트 전신주를 대기중에 14일 이상 야적한 상태로 자연양생시키는 공정이다.
제품검사; 양생이 완료된 제품을 제품검사 규격에 의한 검사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출하; 합격된 제품을 출하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인장판(2)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판(2)의 두께가 45mm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장판(2)에 형성된 테이퍼홀(3)의 인입구 직경이 19mm, 인출구의 직경이 26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이퍼홀(3)의 인출구쪽에 테이퍼각을 15°주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삽입되어 철근농의 선단을 고정해주는 쵸크(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쵸크(4)는 인장판(2)에 삽입된 PC강선(1)을 잡아줄 수 있도록 그 내경이 12.0mm, 인입구가 19.94mm, 인출구가 26mm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면에 15°로 테이퍼를 주어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삽입을 위하여 두 조각으로 나누어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장판(2)과 쵸크(4)를 이용하여 철근농의 PC강선(1)을 조립하는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다수의 PC강선(1)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PC강선(1)을 잡아줄 수 있도록 각 테이퍼홀(3) 마다 상기 쵸크(4)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PC강선(1)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하중 1000kgf의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철근농의 인장력 및 강성이 증대되어 설계하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재해와 외부의 충격 등에 견디는 힘이 강한 전신주를 제조할 수 있고, 전신주의 설계하중이 높아짐에 따라 전선 및 광케이블 등에 의한 무거운 하중에도 파손없이 잘 견딜 수 있으며, 전신주의 파손에 의한 물적 손실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철근농을 이루는 다수의 PC강선(1) 선단부에 끼워져 철근농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원판형의 인장판(2)이 구비되고, 상기 인장판(2)의 판면에 다수의 테이퍼홀(3)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게 테이퍼홀(3)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판(2)의 테이퍼홀(3)에 삽입되어 PC강선(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원통형 쵸크(4)가 구비되되, 상기 쵸크(4)의 내측에 상기 PC강선(1)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홈(4a)이 형성되어, 상기 인장판(2)에 PC강선(1)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쵸크(4)를 테이퍼홀(3)에 삽입시켜 상기 철근농의 PC강선(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KR10-2003-0026693A 2003-04-28 2003-04-28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KR10053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93A KR100537314B1 (ko) 2003-04-28 2003-04-28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93A KR100537314B1 (ko) 2003-04-28 2003-04-28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07A true KR20040095407A (ko) 2004-11-15
KR100537314B1 KR100537314B1 (ko) 2005-12-19

Family

ID=3737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693A KR100537314B1 (ko) 2003-04-28 2003-04-28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63B1 (ko) * 2008-10-28 2009-02-06 원기업 주식회사 앙카볼트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및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63B1 (ko) * 2008-10-28 2009-02-06 원기업 주식회사 앙카볼트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314B1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6121B1 (de) Fundament für eine windmühle
US4166347A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2005514230A (ja) ファイバー補強構造要素の製造方法
CN101654963A (zh) 环形预应力混凝土电杆及其生产工艺
US9561632B2 (en) Method for form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US9580908B2 (en) Fiber reinforced composite system for strengthening of wall-like RC colum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uch system
CN101914914A (zh) 一种混凝土预应力空心方桩及其成型方法
US5788419A (en)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foundation pile and associated installation components
KR100537314B1 (ko) 설계하중 강화용 전신주의 조립구조
JP4315328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製造装置
US5934835A (en) Prestressing concrete foundation pile having a single prestressing strand
US2535100A (en) Process for prestressing cement products
KR101269639B1 (ko) 피씨 구조물의 단부 철근 이음용 코어식 슬리브
JP2003020641A (ja) コンクリート杭
US4741875A (en) Centrifugal molding of prestressed piles
CN114833937B (zh) 一种盾构隧道缩尺模型浇筑模具及其使用方法
US11970874B2 (en) Pole assembly
US2561581A (en) Manufacture of reinforced hollow structures
KR101662379B1 (ko)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CN105729622A (zh) 一种混凝土空心方桩生产工艺
Masmoudi et al. Axial behavior of slender-concrete-filled FRP tube columns reinforced with steel and carbon FRP bars
KR20160078150A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RU2817348C1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секций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стойки
CN206132498U (zh) 一种试验用正截面受压构件
KR101585745B1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