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450A - A fire escape - Google Patents

A fire esc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450A
KR20040094450A KR1020030028232A KR20030028232A KR20040094450A KR 20040094450 A KR20040094450 A KR 20040094450A KR 1020030028232 A KR1020030028232 A KR 1020030028232A KR 20030028232 A KR20030028232 A KR 20030028232A KR 20040094450 A KR20040094450 A KR 2004009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ain frame
evacuation
wi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용수
Original Assignee
한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수 filed Critical 한용수
Priority to KR102003002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4450A/en
Publication of KR2004009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450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6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forming sand drains containing only loose aggre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PURPOSE: An escape ladder is provided to protect human life by evacuating safely from an unexpected disaster such as a fire, etc. by installing to a wall connected to a balcony or a window. CONSTITUTION: The escape ladder(1) contains: a main frame(1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bar(130) of a vertical frame(110) provided with a slide space; a primary ladder composed of vertical bars(310) installed to slide vertically in the slide space of the main frame(100) and provided with a slide space of a secondary ladder vertical bar(310), and horizontal bars(230) supported to both vertical bars(210)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ary ladder provided with vertical bars(310) installed to slide vertically in the slide space of both vertical bars(210) of the primary ladder, horizontal bars supported to both vertical bars(310)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upport bar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and a control unit composed of a spoo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100) to take up a wire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of the secondary ladder, and a link device controlling the wire to be unwound and rewound to unfold and fold the primary ladder and the secondary ladder, so that the primary ladder and the secondary ladder are unfolded in order from the main frame(100) by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피난 사다리{A FIRE ESCAPE}Evacuation ladder {A FIRE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을 위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면서 특히 비상시 누름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중의 사다리가 절첩상태에서 자동으로 펼쳐지고 또한 최하층부에 이르까지 연속적으로 펼쳐져 안전하게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탈출로가 구축되도록 하며, 건물의 발코니는 물론, 창문과 통하는 벽체 어느 곳에라도 전천후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화재사고 등과 같은 비상재난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하도록 하는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for emergency escape, the multiple ladders are automatically unfolded in a folded state by the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push button or touching the switch without occupying the indoor space, even up to the lowest floor. The emergency escape route to reach the ground safely spreads continuously,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ll the weather anywhere in the wall as well as the balcony of the building, so that it can be safely evacuated in case of an emergency disaster such as a fire accident. It is about evacuation ladder to let you protect.

통상적으로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는 비상탈출구 및 비상탈출장비가 구비되어있으나 일반주택 또는 소형건물에는 비상탈출장비에 대한 인식이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Typically, high-rise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re equipped with emergency exits and emergency escape equipment, but in general houses or small buildings, the recognition of emergency escape equipment is neglected.

또한, 공동주거건물인 아파트의 경우에는 대형건물이면서도 소방법상 요구되는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화재발생 등과 같은 비상사태시 탈출로가 확보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명피해를 불러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partments, which are co-residential buildings, are large buildings and do not have a separate emergency escape means required by the fire law, so there are no escape routes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re was this.

한편, 비상탈출구와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대형건물의 경우에도 막상 비상시에는 이러한 비상탈출수단의 위치를 모르거나 알고 있을 경우라도 그리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하여 피해를 보게되는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 large building equipped with an emergency exit and emergency escape equipment, there is a difficulty in seeing the damage due to the inability to move there even if the location of such emergency escape means is not known or known in case of emergency.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본 출원인은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에 대한 기술을 몇가지 제안한 바 있으며, 여기에서는 그 중의 하나인 등록실용신안 20-0265513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에 설명한다.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several techniques for emergency ladders using balustrades of balconi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265513, "Emergency ladders using balconies' balustrades".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상기 종래 기술은 도 14에 사시도, 도 15에 그 펼침상태의 측면고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된 형성된 통로(3)와 상기 통로(3)에 지지측(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사다리(5) 및 상기 사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난간에 록크시켜 상기 사다리(5)와 난간(2)이 일체의 상태를 이루게 하는 록크기구(6)로 구성된 것이다.The prior art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 perspective view in FIG. 14, a side height of the expanded state is shown in FIG. 15, the passage (3) and the passage (3) formed through which a person can pass through the balcony of the building Ladder (5) installed so as to rotate about the support side (4) in the center and the lock mechanism (6) locks on the railing in the folded state, the ladder (5) and the handrail (2) to achieve an integral state ).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종래 기술은 발코니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상태로 록크시켜 비치하여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비상시에는 록크기구를 해제하여 사다리가 펼쳐져 아래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탈출로로 전환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The prior art of such a configuration locks the ladder to the balcony railings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ladder can be functioned as a handrail, while in an emergency, the lock mechanism is released so that the ladder can be unfold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flo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종래 기술은 몇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raised some problems.

상기 종래 기술은 발코니를 이용하여 형성됨으로써 발코니가 없는 건물의 경우에는 설치가 어렵고, 발코니 난간이 이미 설치된 경우에는 기존의 난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음으로 난간공사를 다시 해야되는 경제적 부담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is formed by using a balcony,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the case of a building without a balcon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burden of having to re-run the railing because the existing railing can not be used as it is already installed balcony balustrade.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면서 비상시 누름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중의 사다리가 절첩상태에서 자동으로 펼쳐지고 또한 최하층부에 이르까지 연속적으로 펼쳐져 안전하게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탈출로가 구축되도록 하는 피난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a push button or touching a switch in emergency without occupying the interior space, multiple ladders are automatically unfolded in a folded state and continuously spread to the lowest floor to reach the ground safely. It is to provide an evacuation ladder that allows an emergency escape route to be construc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발코니는 물론 창문과 통하는 벽체 어느 곳에라도 전천후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화재사고 등과 같은 비상재난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하도록 하는 피난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cuation ladder that can be installed in all weather, not only the balcony of the building but also the wall communicating with the window so that people can be evacuated safely during an emergency disaster such as a fire accident.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정면 일부 절개도1A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의 측면 일부 절개도FIG. 1B is a partial cutaway side view of FIG. 1A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 일부 상세도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a는 도 1a의 B-B선 단면도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A

도 3b는 도 3a의 일부 상세도FIG. 3B is a partial detailed view of FIG. 3A

도 3c는 도 3b의 A 시선도FIG. 3C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B

도 4a는 도 3b의 D-D선 단면도로서 록킹상태도4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B.

도 4b는 도 4a의 해제 상태도FIG. 4B is a released state diagram of FIG. 4A

도 5는 도 4a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4A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1링크부재의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2링크부재의 사시도6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ink member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b의 일부 상세도FIG. 7 is a partial detailed view of FIG. 1B

도 8은 도 3a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3A

도 9은 도 3a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3A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횡봉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bar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펼침상태도Figure 11a is an expanded state of th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도 11a의 평면도FIG. 11B is a top view of FIG. 11A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12A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도 12a의 E-E선 단면도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12A

도 12c는 도 12a의 F-F선 단면도1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12A.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고정틀이 구비된 구성도로서,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provided with a fixing fram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정면도, b도는 측면도a is the front view, b is the side view

도 14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도 15는 종래 기술의 펼침상태 측면도Figure 15 is a sid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발명의 피난 사다리 100: 메인프레임1: Evacuation lad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frame

110: 수직프레임 130: 상부바110: vertical frame 130: upper bar

140: 보강대 200: 제1사다리140: reinforcement 200: first ladder

210: 종봉 230: 횡붕210: Longitudinal rod 230: Horizontal shelf

240: 보강대 250: 보호대240: reinforcement 250: guard

300: 제2사다리 340: 지지봉300: second ladder 340: support rod

C: 콘트롤부 401: 와이어C: control unit 401: wire

410: 와이어스플 420: 축봉410: wire splice 420: shaft

430: 누름축 431: 누름축손잡이430: push shaft 431: push shaft knob

440: 브래킷 441: 장공440: bracket 441: long hole

450: 래칫기어 460: 브레이크판450: ratchet gear 460: brake plate

80: 구동장치 500: 링크장치80: drive device 500: link device

510: 제1링크부재 520: 누름버튼510: first link member 520: push button

530: 제2링크부재 540: 스프링530: second link member 540: spring

600: 경보발생수단 700: 손잡이600: alarm generating means 700: handle

800: 고정틀800: fixing fr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는,Evacuation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이 구비된 수직프레임 상부바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과;A main frame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having a slide space therein;

상기 양측 메인프레임의 슬라이드공간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사다리 종봉의 슬라이드공간이 구비된 종봉과, 상기 양측 종봉에 지지되어 소정 간격으로 횡봉이 형성된 제1사다리와;A longitudinal rod installed to slide vertically in the slide spaces of both main frames and having a slide space of a second ladder longitudinal rod, which is described later, and a first ladder supported by both longitudinal rods and having horizontal bar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제1사다리의 양측 종봉 슬라이드공간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종봉과 상기 양측 종봉에 지지되어 소정간격으로 횡봉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횡설되는 지지봉이 구비된 제2사다리와;A second ladder having longitudinal rods installed so as to slide vertically in both longitudinal rod slide spaces of the first ladder, and horizontal rod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being supported by both longitudinal rods;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사다리의 지지봉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회되기 위한 스플과, 상기 와이어의 풀기 및 되감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사다리 및 제2사다리의 펼침 및 절첩을 조작하기 위한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고,A spool to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of the second ladder, and a link for winding and folding the wire to adjust the unfolding and rewinding of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A control unit including a device;

상기 콘트롤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제1사다리, 제2사다리가 순차적으로 펼쳐져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adder and the second ladder are sequentially unfolded and connected from the main frame by th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피난 사다리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evacuation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a의 A-A선 일부 생략 상세 단면도, 도 3a는 도 1a의 B-B선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일측 상세도, 도 3c는 도 도 3b의 좌측면 일부 생략도이다.1A is a front view, FIG. 1B is a side view,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A, and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A, FIG. 3B. 3A is a detailed side view of FIG. 3A, and FIG. 3C is a partially omitted side view of FIG. 3B.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피난 사다리(1)는 메인프레임(100), 제1사다리(200), 제2사다리(300) 및 콘틀롤부(C)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부(C)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제1사다리(200), 제2사다리(300)가 순차적으로 펼쳐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evacuation ladder 1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100, the first ladder 200, the second ladder 300 and the control roll portion (C) It includes, and the first ladder 200, the second ladder 300 from the main frame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 is configured to be spread out sequentially.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사다리의 기초구조물로서,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1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10)이 상부바(130)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바(130) 내에 상기 콘트롤부(C)가 설치된다.The main frame 100 is a basic structure of the ladder, the vertical frame 110 having a slide space 111 therei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ar 130 and the control unit in the upper bar 130 (C) is installed.

상기 제1사다리(200)는 양측 메인프레임(100)의 슬라이드공간(111)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사다리 종봉(310)의 슬라이드공간(211)이 구비된 종봉(210)과, 상기 양측 종봉(210)에 지지되어 소정 간격으로 횡봉(230)이 형성된다.The first ladder 200 is installed so as to vertically slide in the slide space 111 of the main frame 100 on both sides and the longitudinal rod 210 is provided with a slide space 211 of the second ladder longitudinal rod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rizontal rods 23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being supported by the both side longitudinal rods 210.

상기 제2사다리(300)는 제1사다리(200)의 양측 종봉(210) 슬라이드공간(211)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종봉(310)과 상기 양측 종봉(310)에 지지되어 소정간격으로 횡봉(330)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브래킷(341)을 이용하여 지지봉(340)이 횡설된다.The second ladder 300 is supported by the longitudinal rods 3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rods 210 and the slide space 211 of the first ladder 200 and the longitudinal rods 310 and the horizontal ro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330 is formed and the support bar 340 is rolled up using the bracket 341 at the top.

이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수직프레임(110)을 타고 제1사다리(200)가 수직 슬라이드되고 상기 제1사다리(200)의 종봉(210)을 타고 제2사다리(300)가 수직 슬라이드되기 위하여 그 결합부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이 큰 'ㄷ'자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1사다리의 종봉(210)이 상기 큰 'ㄷ'자형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간(111)에 대응하는 'ㄹ'자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사다리의 종봉(310)은 상기 'ㄹ'자 형상의 일측 공간에 삽입되는 작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first ladder 200 slides vertically on the vertical frame 110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second ladder 300 slides vertically on the longitudinal rod 210 of the first ladder 20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part is that the vertical frame 110 has a large 'c' shape as shown in FIG. 2 and the longitudinal rods 210 of the first ladder are formed inside the large 'c' shape. A '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 space 111 is formed, and the longitudinal rod 310 of the second ladder is preferably formed of a small 'c' shape inserted into one side space of the 'd' shape.

상기 제1사다리(200)는 메인프레임(100)과 제2사다리(300) 사이에 위치되되, 펼침시 상호 이탈이 방지되고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펼친 상태에서 다시 절첩시에는 제2사다리(300)가 제1사다리(200)를 끌고 올라가도록 슬라이드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걸림부(102)(202)(302)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3)(303)은 완충부재이다.The first ladder 200 is located between the mainframe 100 and the second ladder 300, the mutual separation is prevented and the 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when unfolded, the second ladder when folded in the unfolded state ( The engaging portions 102, 202, and 302 are formed on the slide portions so that the 300 pulls up the first ladder 200. Reference numerals 203 and 303 are buffer members.

콘트롤부(C)는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부바(13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사다리(300)의 지지봉(340)에 연결되는 와이어(401)가 권회되기 위한 스플(410)과, 상기 와이어(401)의 풀기 및 되감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사다리(200) 및 제2사다리(300)의 펼침 및 절첩을 조작하기 위한 링크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C)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00, the upper bar 130, the spool 410 for winding the wire 401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300, and And a linkage device 500 for manipulating the unfolding and rewinding of the wire 401 to manipulate the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200 and 300.

도 4는 상기 상기 링크장치(500)의 구성을 보이는 도 3b의 D-D선 단면도로서, 도4a는 사다리가 절첩된 록킹상태, 도 4b는 해제 직후의 모습을 보이는 동작상태도이며, 도 6a는 제1링크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제2링크부재의 사시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B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device 500. FIG. 4A is a locked state in which a ladder is folded, and FIG. 4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mmediately after releas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ink member.

상기 콘트롤부(C)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상기 와이어스플(410)이 일체로 고정되는 축봉(420)과, 상기 와이어스플(410)의 풀림조작을 위한 누름축(430)이 설치되며,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trol unit C includes a shaft bar 420 in which the wire spools 410 are integrally fixed to both sides, and a push for releasing the wire spools 410. The shaft 430 is installed,

상기 링크장치(500)는 상기 와이어스플(410) 축봉(420)의 양단에 축봉(420)과는 별도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누름축(43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의 멈춤턱에 대응되는 돌출부(513)가 구비된 제1링크부재(510)와, 상기제1링크부재(51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누름축(430)을 조작하게 되는 누름버튼(520)과, 상기 제1링크부재(510)에 의하여 연동되며 브래킷(440)에 핀고정되고 상기 제2사다리(30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봉(340)을 록킹/해제하기 위한 요입부(532)와 상기 제1링크부재(510)가 고정되기 위한 멈춤턱(533)이 형성된 제2링크부재(530)와, 상기 제1링크부재(510)와 제2링크부재(530) 사이에 부여되는 스프링(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link device 5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re bar 410, the shaft bar 420 so as to be rotatable separately from the shaft bar 420, one side is coupled to the pressing shaft 430, the second link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link member 510 provided with a protrusion 513 corresponding to a stop of the push button, and a push button 520 for operating the push shaft 430 to operate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a concave inlet 532 for locking / releasing the support rod 340 interlocked by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pin-pinned to the bracket 440 and provided on the second ladder 300. A second link member 530 having a stop 533 for fixing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a spring 540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0.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링크장치(500)가 지지되며, 상기 누름축(430)의 이동을 위한 장공(441)이 형성되는 브래킷(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버튼(520)의 하방에는 상기 누름축(430)이 삽지되기 위한 누름축 결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The link device 500 is supported, and comprises a bracket 440 is formed with a long hole 441 for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shaft 430. Below the push button 520 is formed a push shaft coupling portion 521 for inserting the push shaft 430.

상기 축봉(420)은 와이어스플(410)과의 일체회전을 위하여 예컨대 육각봉과 같은 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와이어스플(410)의 내부도 대응하는 각형 의 통공으로 형성되며, 다만 제1링크부재(510)가 겉돌게 삽지되는 축봉(420)의 선단부는 원형봉으로 형성된다.The shaft bar 4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hexagonal bar for the integral rotation with the wiresplung 410, and the inside of the wirespool 410 coupled to it is also formed of a corresponding rectangular through hole, but the first link member The tip end of the shaft bar 420 in which 510 is inserted outwardly is formed as a circular bar.

또한, 상기 축봉(420)은 와이어의 수동식 되감기를 위하여 일측에 되감기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ft bar 420 may be provided with a rewind handle (not shown) on one side for the manual rewind of the wire.

상기 누름버튼(520)은 한 번 사용하면 파괴되는 파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push button 520 may be formed in a destructive type that is destroyed once used.

이와 같은 구성의 콘트롤부(C) 및 그 링크장치(500)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중심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살펴 본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C and the link device 5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ith reference to FIG. 4.

누름버튼(520)을 누르게 되면 그 하방에 형성된 누름축 결합부(521)가 누름축(430)을 하방으로 밀어주고 이에 따라 상기 누름축(530)에 일측이 결합된 제1링크부재(510)가 상기 축봉(42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When the push button 520 is pressed, the push shaft coupling part 521 formed below the push shaft 430 pushes the push shaft 430 downward, and thus the first link member 510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ush shaft 5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420.

상기 제1링크부재(510)가 회전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530)의 멈춤턱(533)에서 빠져나감에 따라 제1링크부재(510)와 제2링크부재(530)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540)에 의하여 제2링크부재(530)는 일측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그 요입부(532)의 입구가 하향하게 되어 요입부(532)에 의하여 록킹되었던 제2사다리의 지지봉(340)이 사다리의 자중에 의하여 빠짐과 동시에 사다리가 하향하여 펼쳐지게 된다.The tensio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0 as the first link member 510 is rotated to exit from the stop 533 of the second link member 530. The second link member 530 is pulled to one side by the 540 so that the inlet of the recess 532 is downward so that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which is locked by the recess 532, is laddered. At the same time, the ladder unfolds downwards due to its own weight.

또한, 이와 반대로 펼쳐졌던 상기 제1 및 제2사다리(200)(300)를 절첩할 경우에는 상기 축봉(420)을 수동 또는 구동수단(480)에 의하여 자동으로 역회전시킴으로 와이어스플(410)에 와이어(401)를 되감아 올린다. 그리고 상기 제2사다리(300)의 지지봉(340)이 상기 제2링크부재(530)의 요입부(532)에 들어오고 와이어(401)가 계속적으로 당겨 올려지면 상기 지지봉(340)이 제2링크부재(530)의 요입부(532) 상부를 밀어주어 제2링크부재(530)가 핀(5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그 멈춤턱(533)이 상기 제1링크부재(510)의 돌출부(513)와 결합되게 됨으로 록킹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200 and 300 which were unfolded on the contrary, the shaft bar 420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manual or driving means 480 to reverse the wire splice 410. Rewind the wire 401. When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300 enters the recess 532 of the second link member 530 and the wire 401 is continuously pulled up, the support rod 3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The second link member 530 is rotated about the pin 531 by pu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ss 532 of the member 530 so that the stop jaw 533 is a protrusion 513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Locking is achieved by being combined with

이 때의 누름축(430)과 와이어스풀의 축봉(420)이 이루어는 각은 15°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pressing shaft 430 and the shaft bar 420 of the wire spool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15 °.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봉(420)의 단부에는 누름버튼(520) 조작시 와이어(401)의 풀림회동이 가능한 래칫기어(4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end of the shaft rod 4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atchet gear 450 that can be released rotation of the wire 401 when operating the push button 520.

상기 래칫기어(450)는 래칫발톱(451)이 누름버튼(520)과 연동되어 누름버튼 조작시에만 축봉(4120)의 풀림회전을 허용하고, 와이어 되감기 작업시 축봉(420)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되어 되감기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ratchet gear 450 allows the ratchet claw 451 to interlock with the push button 520 to allow the release of the shaft 4120 only when the push button is operated, and preven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haft 420 during the wire rewinding operation. This ensures that the rewind operation is safe.

상기 양측의 링크장치(500)에 걸쳐서 설치되는 누름축(430)은 와이어(401) 가이드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스플(410)의 외연(411)에 밀착 설치되며, 대략 그 중앙부에 누름축손잡이(431)가 설치된다.The pressing shaft 430 installed across the link device 500 at both sides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edge 411 of the wire spool 410 for the guide of the wire 401, and the pressing shaft knob 431 i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thereof. ) Is installed.

이와 같은 구성은 와이어(401)의 이탈을 저지하고, 누름축손잡이(431)가 중앙부에 위치될 수도 있게 됨으로 비상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Such a configuration prevents the detachment of the wire 401 and facilitates an emergency operation since the push shaft knob 431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상기 콘트롤부(C)는 상기 브래킷(440)에 설치되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610)와, 상기 제2링크부재(530)에 취부되어 사다리 펼침동작시 상기 센서(610)에 접근되는 자석(620)으로 이루어지는 경보발생수단(6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C) is installed on the bracket 440 and is attached to the sensor 610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0 is approaching the sensor 610 during the ladder unfolding operation. Preferably, the alarm generating means 600 made of a magnet 620 is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은 누름버튼(520) 또는 누름축손잡이(431)와 같은 것을 통하여 링크장치(500)가 구동되는 동시에 경보신호가 발생됨으로 이웃에게 사고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Such a configuration enables the link device 500 to be drive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ush button 520 or the push shaft handle 431, and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notify the neighbor of an accident.

상기 제2사다리의 지지봉(340)에는 와이어통공(34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401)는 상기 제2사다리(300)의 지지봉(340)을 관통하여 양측 와이어스플(410)에 연결된다.A wire through hole 341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and the wire 401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300 and is connected to both wires 410. do.

이와 같은 구성은 항상 사다리의 좌우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This configuration ensures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dder are always horizontal.

상기 와이어스플(410) 일측에는 와이어스플과의 밀착정도를 조정하여와이어(401)의 풀림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브레이크판(46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미설명 부호 (465)는 브레이크판 조정자이다.One side of the wire spool 4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rake plate 46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pool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401 (see Fig. 3). Reference numeral 465 is a brake plate adjuster.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바(130)는 도 7에 일부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사다리의 하단(301)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관통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131)에 상기 누름버튼(520)이 위치되어 상층부에 설치된 사다리 펼침시 상층부의 제2사다리의 하단(301)에 의하여 자동으로 눌려져 상층부로부터 최하층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bar 130 of the main frame forms a penetrating portion 131 for inse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301 of the second ladder,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31. The push button 520 is located in the upper floor when the ladder is installed is automatically pushed b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of the second ladder 301, so that the ladder continuously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st floor.

상기 콘트롤부(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상기 누름축(430)과 와이어스플(410)의 축봉(420)을 구동하게 되는 모터(481), 기어(482)를 포함하는 구동수단(480)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480)의 전원 인가를 위한 스위칭부가 별도 구비되는 자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C includes a motor 481 and a gear 482, which eventually drive the push shaft 430 and the shaft bar 420 of the wire split 410. Means 480, and the switching unit for applying the power of the motor 480 may be configured automatically.

상기 구동수단(48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경보장치의 경보신호와 연동되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485)는 화재감지장치 연동 회로판이다.The drive means 480 i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y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alarm signal of the fire alarm device. Reference numeral 485 is a fire detection device interlock circuit board.

상기 제1사다리(200) 및 제2사다리(300)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횡봉(230)(330)은 도 10에 일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회전이 방지되기 위하여 각각의 종봉(210)(310)과의 결합부(231)(331)가 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는 미끄럼방지턱(222)(3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종봉과의 결합은 압착 리벳팅으로 결착된다.Horizontal rods 230 and 330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200 and 3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each of the longitudinal rods to prevent rotation Coupling portions 231 and 331 with the 210 and 31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non-slip jaws 222 and 333 are preferably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the coupling with the longitudinal rods is made by compression riveting.

도 11a는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11b는 평면도이다,11A is a side view of the ladder unfolded, and FIG. 11B is a plan view.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다리(200)에는 소정 간격으로 사다리 펼침과 연동되어 전방으로 90°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사다리 절첩시에는 제2사다리의 횡봉에 밀려 절첩되는 다수의 보호대(2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irst ladder 200 is fixed to the first ladder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n extended state by 90 ° and is folded by a horizontal rod of the second ladder when the ladder is folded. 250).

상기 보호대(250)는 제1사다리의 횡봉(230)에 인접하여 핀(251) 고정되어 설치되며, 사다리 절첩시에는 제2사다리의 횡봉(330)에 밀려 절첩되고, 펼침시에는 인접하는 횡봉(230)에 단부가 걸리도록 하여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스톱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guard 25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pin 251 adjacent to the side rods 230 of the first ladder, when the ladder is folded is pushed by the side bars 330 of the second ladder, when folded, the adjacent side bars ( 230 to stop the end portion is rotated by 90 degrees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양측에서 실내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7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참조).The main frame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700 is installed from both sides to the indoor side (see Fig. 1).

도 12는 상기 메인프레임(100) 등에 보강대를 구비한 구성도로서, 도 12a는 정면도, 도 12b는 도 12a의 E-E선 단면도, 12c는 F-F선 단면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in the main frame 100, etc., FIG. 12A is a front view, FIG. 1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2A, and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제1사다리(200)의 하단부에는 각각 보강대(140)(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사다리(300)의 하단부에는 완충패킹(3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2, reinforcing bars 140 and 240 are provided at lower ends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first ladder 200, respectively, and buffer packing 3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ladder 300. Is preferably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은 사다리 펼침시 구조적으로 견고성이 강화되고 부드러운 착지를 유도한다.Such a configuration is structurally strengthened when the ladder unfolds and induces a soft landing.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측 소정 위치에는 고정체에 걸어 지지되기 위한 핀고정되어 회전가능한 걸고리(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are preferably pinned and rotatable hook 150 for being supported on the fixed body (see FIG. 1).

상기 걸고리(150)는 발코니의 난간이나 방범창 등에 걸어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hook 150 allows the support to be made on the balustrade or the security window of the balcony.

도 1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로서, 상층부만 펼쳐진 상태도로서 도 13a는 정면도, 도 13b는 측면도이다.FIG. 1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upper layer portion is unfolded, and FIG. 13A is a front view, and FIG. 13B is a side view.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해당위치의 벽체로 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기 위한 고정틀(800)이 부가된다.As shown in FIG. 13, the main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frame 800 to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a wall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고정틀(800)은 벽체로부터 직각방향, 소정 간격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초지지대(810)와, 상기 양측의 기초지지대(8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820)와 상기 수직지지대(820)를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8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frame 800 is a plurality of base support 8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right angle from the wall, the vertical support 820 and the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support 810 on both sides ( 8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830) for connecting laterally.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1)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Look at the state of use of the evacuation lad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상기 걸고리(150)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거나 상기 고정틀(800)을 이용하여 창문과 연계되는 벽체의 어느 곳이든지 직접 설치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on the balcony of the building using the hook 150 or the like or can be directly installed anywhere in the wall associated with the window using the fixing frame 800.

화재 또는 도둑의 침입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누름버튼(520)을 누르거나 또는 누름축 손잡이(431)를 조작하거나 또는 별도의 스위치를 눌러줌으로 누름축(430)과 링크장치(500)를 움직여 상기한 링크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2사다리의 지지봉(34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하여 하향된다.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or thief intrusion, press the push button 520 or operate the push shaft knob 431 or press a separate switch to move the push shaft 430 and the link device 500. The locking of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one link device an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또한, 제2사다리(300)가 하향됨으로 그 걸림부(30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던 제1사다리(200)도 순차적으로 하항됨으로 사다리의 펼침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ladder 200 supported by the locking portion 302 is sequentially lowered as the second ladder 300 descends, the ladder is unfolded.

이와 같이 상층부의 사다리가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제2사다리의 하단(301)이 그 하층의 누름버튼(520)이 위치하고 있는 메인프레임(100)의 관통부(131)로 인입되어 누름버튼(520)을 누르는 동시에 사다리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ladder of the upper part is completely un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301 of the second ladder enters the through part 131 of the main frame 100 in which the push button 520 of the lower layer is located, thereby pushing the push button 520. At the same time, a firm support is provided to prevent the ladder from shaking.

따라서, 누름버튼(520)이 눌려진 하층부의 비상사다리가 이제 상층부와 같은 순서로 펼쳐지고 연속적으로 최하층부에 이르기까지 사다리의 펼침동작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emergency ladder of the lower floor where the push button 520 was pressed is now unfolded in the same order as the upper floor, and the unfolding operation of the ladder to the lowest floor is continuously performed.

이와 같이 비상사다리가 펼쳐지는 것과 함께 탈출자는 손잡이(700)와 고정틀(800)을 이용하여 창문 등으로부터 메인프레임(100)을 타고 나오게 되며, 제2사다리(300)가 하향됨으로 제2사다리에 받혀져 절첩되었던 제1사다리(200)의 보호대(250)도 회전 고정되어 호형의 울타리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탈출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scape ladder is opened and the escaper rides out the mainframe 100 from the window by using the handle 700 and the fixing frame 800, and the second ladder 300 is lowered to the second ladder. The guard 250 of the first ladder 200 that has been folded is also rotated to form an arc-shaped fence so that a safe escape is achieved.

또한, 상기 링크장치(500)의 작동과 함께 경보발생수단(600)이 작동되어 건물내에 경보신호가 발생됨으로써 이웃이 공동대응하여 조기에 사태를 수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larm generating means 600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link device 500 to generate an alarm signal in the building so that the neighbors can cooperatively cope with the situation early.

이와는 반대로 비상사태가 수습되어 내려진 사다리를 다시 절첩할 경우에는 축봉 손잡이(미도시) 또는 구동장치(480)를 이용하여 상기 축봉(420)을 역회전시켜 와이어(401)를 되감아 올린다.On the contrary, when the emergency ladder is folded again, the shaft 420 is reversely rotated by using a shaft handle (not shown) or a driving device 480 to rewind the wire 401.

와이어가 되감아 올려지면 와이어(401)가 관통설치된 제2사다리의 지지봉(340)이 올려지면서 중간에서 상기 제1사다리(200)를 만나 각각의걸림부(202)(302)에 의하여 제1사다리가 얹혀진 상태로 함께 상승되어 메인프레임(100)의 내부로 진입되고 최대한 감아 올려져 지지봉(340)이 상기 링크장치의 제2링크부재(530)를 치고 올라가는 것에 의하여 링크장치에 의한 록킹이 이루어져 절첩지지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wire is rewinded,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through which the wire 401 is installed, is raised, meets the first ladder 200 in the middle, and the first ladder by the respective hooking portions 202 and 302. Are lifted toge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placed and enter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are rolled up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support rod 340 hits the second link member 530 of the link device and ascends to lock the link device. Support status is maintained.

이 때, 상기 누름축(430)과 축봉(420)이 이루는 대략 15°각도로 위치됨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방향을 록킹유지 상태로 유도하도록 작용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shaft 430 and the shaft bar 420 is positioned at an angle of about 15 ° to act to guid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to the locking holding state.

또한, 래칫기어(450)가 구비됨으로 되감는 도중에 사다리가 낙하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atchet gear 450 is provided so that the ladder is prevented from falling while rewinding.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는,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vacuation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내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면서 비상시 누름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중의 사다리가 절첩상태에서 자동으로 펼쳐지고 또한 최하층부에 이르까지 연속적으로 펼쳐져 안전하게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탈출로가 구축되도록 하는 잇점을 갖으며, 또한 건물의 발코니는 물론 창문과 통하는 벽체 어느 곳에라도 전천후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화재사고 등과 같은 비상재난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하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An emergency escape route is constructed to reach the ground safely by multiple ladders being automatically unfolded in a folded state and continuously extended to the lowest floor by simple operation by pressing push button or touching switch in case of emergency without occupying the indoor space. It is a technology that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people by allowing them to be evacuated safely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ccident, as it can be installed in all weathers on the balcony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wall through the window. .

Claims (17)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1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10) 상부바(1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100)과;A main frame 1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30 of the vertical frame 110 having the slide space 111 therein; 상기 양측 메인프레임(100)의 슬라이드공간(111)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사다리 종봉(310)의 슬라이드공간(211)이 구비된 종봉(210)과, 상기 양측 종봉(210)에 지지되어 소정 간격으로 횡봉(230)이 형성된 제1사다리(200)와;Installed on the slide space 111 of the main frame 100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rod 210 and the slide bar 211 of the second ladder longitudinal rod 3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od 210 A first ladder 200 supported and formed with a transverse bar 2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제1사다리(200)의 양측 종봉(210) 슬라이드공간(211)에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종봉(310)과 상기 양측 종봉(310)에 지지되어 소정간격으로 횡봉(330)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횡설되는 지지봉(340)이 구비된 제2사다리(300)와;Longitudinal rods 3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rods 210 and slide spaces 211 of the first ladder 200 are supported by the longitudinal rods 310 and the two longitudinal rods 310, and horizontal bars 33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econd ladder 300 having a supporting rod 340 to be rolled;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사다리(300)의 지지봉(340)에 연결되는 와이어(401)가 권회되기 위한 스플(410)과, 상기 와이어(401)의 풀기 및 되감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사다리(200) 및 제2사다리(300)의 펼침 및 절첩을 조작하기 위한 링크장치(500)를 포함하는 콘트롤부(C);를 포함하고,The spool 410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0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300 to wind the spool 410, and the release and rewind of the wire 401 is adjusted. And a control unit (C) including a link device (500) for manipulating the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200) and (300). 상기 콘트롤부(C)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제1사다리(200), 제2사다리(300)가 순차적으로 펼쳐져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 so that the first ladder 200, the second ladder 300 is spread out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트롤부(C)는,The control unit C, 양측에 상기 와이어스플(410)이 일체로 고정되는 축봉(420)과, 상기 스플의 풀림조작을 위한 누름축(430)이 설치되며,A shaft rod 42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wire spool 410 is integrally installed, and a pressing shaft 430 for the loosening operation of the spool is installed, 상기 링크장치(500)는 상기 와이어스플(410) 축봉(420)의 양단에 축봉(420)과는 별도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누름축(430)에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510)와, 상기 제1링크부재(51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누름축(430)을 조작하게 되는 누름버튼(520)과, 상기 제1링크부재(510)에 의하여 연동되며 브래킷(440)에 핀고정되고 상기 제2사다리(30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봉(340)을 록킹/해제하기 위한 요입부(532)와 상기 제1링크부재(510)가 고정되기 위한 멈춤턱(533)이 형성된 제2링크부재(530)와, 상기 제1링크부재(510)와 제2링크부재(530) 사이에 부여되는 스프링(540)을 포함하는 링크장치(500)와,The link device 5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re bar 410, the shaft bar 420 so as to be rotatable separately from the shaft bar 420, and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coupled to the pressing shaft 430. And a push button 520 for operating the push shaft 430 to operate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interlocked by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pinned to the bracket 440. And a second link having a recess 532 for locking / releasing the support rod 340 provided on the second ladder 300 and a stop 533 for fixing the first link member 510. A link device 500 including a member 530, and a spring 540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0; 상기 링크장치(500)가 지지되며, 상기 누름축(430)의 이동을 위한 장공(441)이 형성되는 브래킷(4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link device 500 is supported,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440) is formed a long hole (441) for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shaft (43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양측의 링크장치(500)에 걸쳐서 설치되는 누름축(430)은 와이어(401) 가이드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스플(410)의 외연(411)에 밀착 설치되며, 대략 그 중앙부에 누름축손잡이(43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pressing shaft 430 installed across the link device 500 at both sides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edge 411 of the wire spool 410 for the guide of the wire 401, and the pressing shaft knob 431 i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thereof.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콘트롤부(C)는 상기 브래킷(440)에 설치되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610)와, 상기 제2링크부재(530)에 취부되어 사다리 펼침동작시 상기 센서(610)에 접근되는 자석(620)으로 이루어지는 경보발생수단(6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control unit (C) is installed on the bracket 440 and is attached to the sensor 610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0 is approaching the sensor 610 during the ladder unfolding operation.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generating means (600) consisting of a magnet (620) is provid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콘트롤부(C)에는 상기 축봉(420)의 단부에 누름버튼(520) 해제시 회동가능한 안전 래칫기어(4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 is provided with a safety ratchet gear 450 that can be rotated when the push button 520 at the end of the shaft bar (42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와이어(401)는 상기 제2사다리(300)의 지지봉(340)을 관통하여 양측 와이어스플(410)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401 is connected to both wires 410 through the support rod 340 of the second ladder (30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와이어스플(410) 일측에는 와이어스플과의 밀착정도를 조정하여 와이어(401)의 풀림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브레이크판(4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plate 460 for adjusting the release rotation speed of the wire 401 by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pool on one side of the wire spoo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바(130)는 상기 제2사다리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관통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누름버튼(520)이 위치되어 상층부에 설치된 사다리 펼침시 상층부의 제2사다리의 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눌려져 상층부로부터 최하층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사다리가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upper bar 130 of the main frame forms a penetrating portion 131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and the push button 520 is positioned at the penetrating portion to expand the ladder installed at the upper layer. An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dder is automatically pushed down b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of the upper layer to extend continuously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콘트롤부(C)는 결국 상기 누름축(430)과 와이어스플(410)의 축봉(420)을 구동하게 되는 모터(481)를 포함하는 구동수단(480)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480)의 전원 인가를 위한 스위칭부가 별도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control unit (C)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480 including a motor (481) that eventually drives the push shaft 430 and the shaft bar 420 of the wirespool 410, the motor 480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unit for power supply separately provid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동수단(480)은 화재경보장치의 경보신호와 연동되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drive means 480 is an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n conjunction with the alarm signal of the fire alar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사다리(200) 및 제2사다리(300)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횡봉(230)(330)은 각각 회전이 방지되기 위하여 각각의 종봉(210)(310)과의 결합부(231)(331)가 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는 미끄럼방지턱(222)(3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Horizontal rods 230 and 330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200 and 3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rods 210 and 310, respectively, to prevent rotation thereof.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331 is formed in a square and the non-slip jaw (222, 33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제1사다리(200)의 하단부에는 각각 보강대(140)(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사다리(300)의 하단부에는 완충패킹(35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Reinforcing rods 140 and 240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first ladder 200, respectively, and the buffer packing 3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ladder 300. Evacuation lad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사다리(200)에는 소정 간격으로 사다리 펼침과 연동되어 전방으로 90°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사다리 절첩시에는 제2사다리의 횡봉에 밀려 절첩되는 다수의 보호대(2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first ladder 20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90 °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ladder expan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ladder is folded a plurality of guards 250 are pushed by the side bars of the second la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Evacuation lad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양측에서 실내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7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main frame 100 has an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700 is provided from both sides to the indoor s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측 소정 위치에는 고정체에 걸어 지지되기 위한 걸고리(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frame 100 is provided with hooks 150 to be supported on the fixed body on both side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해당위치의 벽체로 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기 위한 고정틀(800)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main frame 100 is an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rame 800 is add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from the wall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고정틀(800)은 벽체로부터 직각방향, 소정 간격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초지지대(810)와, 상기 양측의 기초지지대(8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820)와 상기 수직지지대(820)를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830)로 구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The fixing frame 800 is a plurality of base support 8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right angle from the wall, the vertical support 820 and the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support 810 on both sides ( Evacuation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 (830) connecting the 820 laterally.
KR1020030028232A 2003-05-02 2003-05-02 A fire escape KR20040094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32A KR20040094450A (en) 2003-05-02 2003-05-02 A fire esc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32A KR20040094450A (en) 2003-05-02 2003-05-02 A fire escap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816U Division KR200320691Y1 (en) 2003-05-02 2003-05-02 A fire esc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450A true KR20040094450A (en) 2004-11-10

Family

ID=3737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232A KR20040094450A (en) 2003-05-02 2003-05-02 A fire esc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445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84B1 (en) * 2006-09-07 2007-03-12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The porch railing which served as an apartment house emergency ladder
CN107914830A (en) * 2017-12-20 2018-04-17 江苏科技大学 A kind of offshore wind farm safeguards that buffering is stepped on by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WO2018070602A1 (en) * 2016-10-13 2018-04-19 (주)파인디앤씨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84B1 (en) * 2006-09-07 2007-03-12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The porch railing which served as an apartment house emergency ladder
WO2018070602A1 (en) * 2016-10-13 2018-04-19 (주)파인디앤씨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GB2561038A (en) * 2016-10-13 2018-10-03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US10260285B2 (en) 2016-10-13 2019-04-16 Fine Dnc Co., Ltd.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AU2016425976B2 (en) * 2016-10-13 2019-07-04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GB2561038B (en) * 2016-10-13 2021-12-15 Fine Dnc Co Ltd Intergrated folding safety handrail and outdoor escape stairs
CN107914830A (en) * 2017-12-20 2018-04-17 江苏科技大学 A kind of offshore wind farm safeguards that buffering is stepped on by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07914830B (en) * 2017-12-20 2024-04-19 江苏科技大学 Offshore wind power maintenance buffer land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261B1 (en) A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US4079812A (en) Movable shelter floor type emergency escape
KR20070004492A (en)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system of skyscraper
US4211306A (en) Emergency building escape ladder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043604B1 (en) Emergency ladder with safety descender and auto unfolding device
KR20040094450A (en) A fire escape
KR200320691Y1 (en) A fire escape
KR101099765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EP0440636B1 (en) Emergency stairs for external mounting on buildings
KR200357968Y1 (en) Rail for escape
JPS6140429B2 (en)
JP2004324283A (en) Ladder for escape
CN210302081U (en) Escape assembly
JP2004197456A (en) Emergency ladder apparatus
KR101080810B1 (en) A semicircle type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JP2003250918A (en)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KR100481693B1 (en) An emergency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200265513Y1 (en) An emergency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2639113B1 (en)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KR102612618B1 (en)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102190468B1 (en) Stairs type safety balustrade for emergency evac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