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64A -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364A
KR20040094364A KR1020040030465A KR20040030465A KR20040094364A KR 20040094364 A KR20040094364 A KR 20040094364A KR 1020040030465 A KR1020040030465 A KR 1020040030465A KR 20040030465 A KR20040030465 A KR 20040030465A KR 20040094364 A KR20040094364 A KR 2004009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s
data tones
symbol
data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티. 코페이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6Mechanically-driven p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장치는, 호스트 로직(5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57), 및 안테나(59)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57)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구비하는 심볼을 전송하며, 패킷 내의 심볼 중에서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한다.

Description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 방법 및 장치{INCREASING EFFECTIVE NUMBER OF DATA TONES IN A MULTI-TON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하나의 장치로부터 무선 또는 케이블(전기 케이블, 광섬유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모든 것이 동등하다면,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데이터 율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구조를 가능한 수용하면서 현재의 무선 랜(LAN)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높은 율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 도면에 참조 부호를 기재한다.
도 1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여러 심볼 중에서 데이터 톤의 수를 가변하는 네트워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가변 수의 데이터 톤을 갖는 일련의 심볼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송기의 블록도.
도 6은 도 3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수신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50 통신 네트워크 52 액세스 포인트
53 호스트 로직 5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
59 안테나 61 전송기
63 수신기 65 파일럿 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장치는 호스트 로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갖는 심볼로 구성된 패킷을 전송하며, 그 패킷 내의 심볼 중에서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한다.
주석 및 명칭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걸쳐 특정한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하여 소정의 용어를 사용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다양한 사람들이 구성 요소를 상이한 이름으로 칭한다. 본 명세서는 동일하게 기능하지만 이름이 다른 구성 요소를구별하지 않는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개방형으로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접속"이라는 용어는 직접 또는 간접 접속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장치가 제2 장치에 접속된다면, 이 접속은 직접 접속을 통해, 또는 다른 장치와 접속부 간의 간접 접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특정하지 않는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당업자는, 다음에 따르는 설명이 널리 응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단지 예일 뿐이며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발명의 범위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실시예에 대해서만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1a 무선 통신 표준에서 채용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변조 기술은, 312.5kHz의 간격으로 이격된 64개의 주파수 톤(또한, 빈(bins)이라고도 칭함)을 필요로 한다. 802.11a 표준에서의 64개 톤은 48개의 데이터 톤, 4개의 파일럿 톤, 및 12개의 미사용 톤을 포함한다. 데이터 톤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톤이다. 파일럿 톤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듯이 수신기에서 복합 전송된 신호의 가간섭성(coherent)복조를 보조하는데 사용되는 톤이다. 이처럼, 파일럿 톤은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12개의 미사용 톤은, 인접하는 채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되며 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예로 802.11a 채널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러나,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는 임의의 특정한 무선 표준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통신 네트워크(50)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5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국(STA; 54)과 무선 통신 상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52)를 포함한다. 4개의 무선국(54)이 도 1의 무선 LAN(WLAN; 50)에 예시되어 있다. AP(52)는 서버 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접속을 위한 유선 접속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AP(52)는 필요시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국(54)이 복수의 AP중 임의의 AP를 통해 네트워크에 무선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치(54)는 AP(52)와 통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54)는,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관련 장비, 또는 바람직하게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각 AP(52) 또는 STA(54)는,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다중 OFDM 심볼로 구성된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심볼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고, 장치(AP(52) 또는 STA(45))는 바람직하게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여러 심볼 중에서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한다. 이처럼, 일부 심볼은 다른 심볼보다 많은 데이터 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심볼(60,70)을 예시한다. 심볼(60)은 48개의 데이터 톤(참조 번호 62), 4개의 파일럿 톤(65), 및 12개의 미사용 톤(66)을 더한 전체 64개의 톤을 포함한다. 심볼(70)은 52개의 데이터 톤(72), 및 12개의 미사용 톤(66)을 더한 전체 64개의 톤을 포함하며, 파일럿 톤은 포함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용 톤의 수는 심볼(60 및 70) 간에 동일할 수 있다. 심볼(60)에서의 파일럿 톤(65)용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심볼(70)용 데이터 톤으로서 사용되도록 보충되었다. 심볼(70)이 심볼(60)보다 많은 데이터 톤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모든 사항이 동일하다면, 심볼(70)은 심볼(60)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일럿 톤은 복조 프로세스에서 심볼의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며,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파일럿 톤 없이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되는 모든 심볼이 파일럿 톤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데이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파일럿 톤을 갖거나 갖지 않는 심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심볼(60, 70)의 시퀀스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퀀스는 하나의 심볼 패턴(60)과 뒤따르는 3개의 다른 패턴(7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심볼 패턴(60)은 48개의 데이터 톤, 4개의 파일럿 톤, 및 12개의 미사용 톤을 포함하는 한편, 심볼 패턴(70)은 52개의 데이터 톤과 12개의 미사용 톤을 포함하며 파일럿 톤은 포함되지 않는다. 심볼(60)에서의 "48-4-12"라는 것은 48개의 데이터 톤, 4개의 파일럿 톤, 및 12개의 미사용 톤을 의미한다. 심볼(70)에서의 "52-0-12"라는 것은 52개의 데이터 톤, 0개의 파일럿 톤, 및 12개의 미사용 톤을 의미한다. 4개 심볼을 갖는 시퀀스(80)에서는, 51이라는, 데이터 톤의 평균 수를 갖게 된다. 이 데이터 톤의 평균 수를 늘리기 위한 트레이드오프는, 일부 심볼이 파일럿 톤을 갖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파일럿 톤에 의해 이점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파일럿 톤을 갖지 않는 심볼을 수신하는 장치는, 이전 심볼로부터의 파일럿 톤 또는 파일럿 톤을 포함했던 심볼의 세트에 기초하여 얻어진 정보를 계속 사용한다.
도 4는 AP(52) 또는 STA(54)의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52, 43)는 바람직하게 호스트 로직(53), 미디어 액세스 콘트롤(MAC; 55), 및 물리층(PHY; 59)을 포함한다. 호스트 로직(53)은 MAC(55)에 접속되고 MAC는 PHY(57)에 접속된다. 호스트 로직(53)은 장치(52, 54)의 기능성에 특정된다. MAC(55)는, 호스트 로직(53)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 데이터를 네트워크(50)가 이용하는 응용가능 프로토콜에 적합한 패킷으로 포맷한다. 예를 들어, MAC(55)는, 관련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프리앰블 및/또는 헤더 뿐만 아니라 호스트 로직(5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PHY(57)는 네트워크(50)에서 장치(52, 54)가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테나(59)를 제공한다. PHY(57)는 MAC(55)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성공적인 전송을 보조하도록 그 패킷을 처리한다. 물론, 다른 장치로부터의 패킷은 PHY(57)에 의해 수신되어 MAC(55)을 통해 호스트 로직(53)에 제공된다. PHY(57)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전송기(61) 및 수신기(63)를 포함한다.
도 5는 PHY의 전송기(61)의 블록의 일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기(61)는 패딩 및 스크램블링 로직(100), 포워드 에러 정정 인코더(102), 하나 이상의 심볼 인터리버(104a, 104b; 통상, 인터리버(104)라 칭함), 맵 투 복소수 로직(MAP TO COMPLEX NUMBER LOGIC; 106), 맵 복소수 투 OFDM 심볼 로직(108), 파일럿 심볼 삽입 로직(110), 고속 푸리에 역변환기(IFFT; 112), 순환 프레픽스 추가 로직(114), OFDM 심볼 부가 로직(116), 및 RF 업컨버터(118)를 포함한다.
패딩 및 스크램블링 로직(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패딩 로직은, 입력 데이터의 끝에 패드 비트를 더하여, 인코더 테일링 및 OFDM 심볼의 정수로의 매핑을 수용한다. 스크램블링 로직은 특정 패킷 시드(packet-specific see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크램블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전송되는 패킷이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포워드 에러 정정(FEC) 로직(102)은 일반적으로 간섭 및 다중경로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포워드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도 허용된다. FEC 로직(102)은 패딩 및 스크램블링 로직(100)으로부터 전송된 비트 시퀀스를 인코더로의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FEC 로직(102)은, 결정 규칙에 따라, 코딩된 비트의 대응 세트를 계산 및 출력한다.
심볼 인터리버(104)는 FEC 인코더(102)로부터 인코딩된 비트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리버(104)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코딩된 비트를 스크램블하여 페이딩에 대항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리버는, 예를 들어 IEEE 802.11a 통신용으로 적절한 인터리버는, 단일 OFDM 심볼로 매핑될 코딩된 비트를 택하고 알려져 있는 패턴에 따라 그 비트를 인터리브(즉, 스크램블)한다. 예를 들어, 초당 54메가비트의 802.11a 통신에 있어서, 톤당 6개의 코딩된 비트 및 48개의 데이터 톤이 존재한다. 이처럼, 각 OFDM 심볼에 대하여 6 x 48 = 288개의 코딩된 비트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형적인 802.11a 시스템에 대하여, 코딩된 비트 스트림은 288 비트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288비트 블록의 각각은 자신 내에서 스크램블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심볼은 가변 수의 데이터 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 심볼은 48개의 데이터 톤을 가질 수 있는 한편 다른 심볼은 52개의 데이터 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심볼당 데이터 톤의 가변 때문에, 코딩된 비트 스트림의 분할은 가변 수의 데이터 톤에 대응하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일부 심볼에서 48개의 데이터 톤과 다른 심볼에서 52개의 데이터 톤이라는 예에서, 48개의 데이터 톤 심볼은 코딩된 288비트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52개 데이터 톤 심볼의 각각은 6 x 52 = 312비트를 가질 것이다. 이처럼, 2개의 인터리버(104a, 104b)는 일부 심볼용으로 코딩된 288비트 및 다른 심볼용으로 코딩된 312비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인터리버(104)용으로 임의의 적절한 인터리빙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맵 투 복소수 로직(106)은 알려져 있는 기술에 따라 인터리브된 비트를 복소수로 매핑한다. 맵 복소수 투 OFDM 심볼 로직(108)은 바람직하게 매딩된 복소수 세트를 취하여 그 복소수를 데이터 톤 상으로 매핑한다. 당연히, 매핑 로직(108)은 데이터 톤의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위치 및 그 수를 고려할 것이다.
파일럿 심볼 삽입 로직(110)은, 전송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용가능 심볼의 파일럿 톤 요구 사항에 따라 매핑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파일럿 톤을 더한다. 상기한 일예에서, 48개의 데이터 톤의 심볼은 4개의 파일럿 톤을 필요로 하는 한편, 52개의 데이터 톤의 심볼은 파일럿 톤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IFFT 112는 파일럿 심볼 삽입 로직으로부터 수신된 비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순환 프레픽스 추가 로직(114)은 일반적으로 시간 도메인의 종료부를 복제하여 시간 도메인 신호의 시작에 프리펜드(prepend)한다. 순환 프레픽스 부가 로직(114)은 수신기(63)내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등화가 가능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OFDM 심볼 부가 로직(116)은 각 OFDM 심볼에 대응하는 시간 도메인 신호를 차례로 부가한다. 마지막으로, RF 업컨버터(118)는 심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적절한 RF 신호로 변환한다.
도 6은 PHY의 수신기(63)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63)는, RF 다운컨버터(150), OFDM 심볼 수 결정 로직(152), FFT 배치 결정 로직(154), 고속 푸리에 변환기(FFT; 156), 파일럿 심볼 제거 로직(158), 측정기준(metrics) 결정 로직(162), OFDM 심볼 디인터리버(164), FEC 디코더(166), 및 패딩, 제거 및 스크램블링 로직(168)을 포함한다. 도 6의 수신기에 도시한 기능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하여 설명한 프로세스를 역으로 수행한다.
RF 다운컨버터(150)는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된 심볼을 복구한다. OFDM 심볼 수 결정 로직(152)은 다운컨버트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로부터 심볼 수를 결정한다. FFT 배치 결정 로직(154)은, 그 심볼용 FFT를 택하기 위해, 수신된 시퀀스로부터 샘플을 택하기 위한 적절한 간격을 결정한다. FFT(156)는 FFT 배치 결정 로직으로부터의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파일럿 심볼 제거 로직(158)은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파일럿 심볼을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48개의 데이터 톤을 갖는 심볼은 4개의 파일럿 톤을 필요로 하는 한편, 52개의 데이터 톤을 갖는 심볼은 파일럿 톤을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임의의 파일럿 톤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 추적 루프(160)는 파일럿 심볼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과 같은 미스매치 및 누적 손상 영향을 보상한다.
수신 장치는 OFDM 심볼당 데이터 톤의 수가 가변되는 방식의 패턴을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있다. 한 기술은 액세스 포인트(AP)가 각 비콘(beacon)에서 전체 네트워크용 단일 방침(policy)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이다. 이것은, 유한적이며 소정의 리스트로부터 선택하여 규칙적으로 전송된 비콘에서의 선택된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패킷 헤더용 프로토콜은, 패킷 헤더 내의 패킷용 방침을 시그널링하는 전송기에 채용될 수 있으며, 수신기는 먼저 헤더를 디코딩하고 데이터 페이로드를 위해 그 결과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그 방법이 정확할 필요는 없다.
측정기준 결정 로직(162)은, FEC 디코더로의 입력에서 비트용 신뢰성 정보를, 데이터 톤 상의 수신된 신호 및 채널 추정으로부터 유도한다.
OFDM 심볼 디인터리버(164)는 일반적으로 도 5의 심볼 인터리버에 의해 구현된 프로세스를 역으로 수행한다. FEC 디코더(166)는 OFDM 심볼 디인터리버(164)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디코더(166)는 인코딩 프로세스로부터 발생가능한 모든 코딩된 비트 시퀀스를 알고 있다. 바람직하게, 디코더는 알려져 있는 모든 코딩된 비트 시퀀스에 대항하여 복구되는 코딩된 비트 시퀀스의 실행(running) 비교를 계속한다. 디코더(1646)는 최상의 매치를 유지하고 소정의 데이터 양이 복구된 후, 디코더는 정확환 디코딩된 비트의 시퀀스를 추정한다. 복구된 비트 시쿼스를 알려져 있는 모든 전송 코딩된 비트 시퀀스와 비교함으로써, 디코더(160)는 원래의 전송된 비트 시퀀스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갖춘 상태에서, 디코더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에러를 복구할 수도 있다. 패딩, 제거 및 스크램블링 로직(168)은 포워드 에러 정정 로직(FEC; 102)의 프로시저를 역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며, 제한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2종류보다 많은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모든 청구항의 내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의해 하나 이상의 이점이 가능해진다. 2개의 기본적인 심볼 프레임워크(예를 들어, 48 및 52)를 제공함으로써 융통성을 갖게 된다. 이처럼, 프레임워크는 심볼당 보다 많은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얻도록 혼합 및 매칭될 수 있다. 두번째 이점은, 종래의 아키텍쳐의 재사용의 적어도 일부가 가능하며, (이 예에서) 파일럿 톤을 갖는 모든 심볼이 파일럿 톤의 동일한 수를 갖는다는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로직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과,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구비하는 심볼을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며, 상기 심볼 중에서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에 의해 전송되는 일부 심볼은 복조가 용이하도록 사용되는 파일럿 톤을 포함하고, 다른 심볼은 파일럿 톤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부 심볼은, 48개의 데이터 톤과 4개의 파일럿 톤을 포함하고,
    다른 심볼은, 파일럿 톤 없이 52개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톤의 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은, 제1 데이터 톤의 수 또는 제2 데이터 톤의 수를 포함하도록 패킷 내의 심볼당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톤의 수는 상기 제2 데이터 톤의 수보다 크며,
    상기 제1 데이터 톤의 수를 갖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에 의해 패킷당 더 많은 심볼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제1 무선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장치는, 가변 수의 데이터 톤을 갖는 심볼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7. 심볼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톤의 결정된 수로 상기 심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심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하여 다른 심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톤의 수는, 제1 데이터 톤의 수 또는 제2 데이터 톤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파일럿 톤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을 형성하는 단계는, 48개의 데이터 톤과 4개의 파일럿 톤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톤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52개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파일럿 톤 없이 52개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30465A 2003-05-02 2004-04-30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방법 및 장치 KR20040094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743103P 2003-05-02 2003-05-02
US60/467,431 2003-05-02
US10/696,045 US20040219945A1 (en) 2003-05-02 2003-10-29 Increasing effective number of data tones in a multi-tone communication system
US10/696,045 2003-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64A true KR20040094364A (ko) 2004-11-09

Family

ID=3251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465A KR20040094364A (ko) 2003-05-02 2004-04-30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19945A1 (ko)
JP (1) JP2004336769A (ko)
KR (1) KR20040094364A (ko)
GB (1) GB24020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6483B2 (en) * 2004-02-20 2016-12-06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of differing protocols
JPWO2005109709A1 (ja) * 2004-05-06 2008-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送信方法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受信方法
US20070076708A1 (en) * 2005-09-30 2007-04-05 Mikolaj Kolakowski Error protection techniques for frames on a wireless network
KR101223637B1 (ko) * 2006-01-12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채널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8229036B2 (en) * 2007-12-21 2012-07-24 Broadcom Corporation Characterizing channel response using data tone decision feedback
CN107547094B (zh) 2016-06-29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4773B2 (ja) * 1999-09-07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及び通信方法
JP2002009734A (ja) * 2000-06-27 2002-01-11 Denso Corp Ofdm方式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6721267B2 (en) * 2000-08-01 2004-04-13 Motorola, Inc. Time and bandwidth scalable slot format for mobile data system
US20020075949A1 (en) * 2000-12-14 2002-06-20 Raja Banerjea Variable bandwidth discrete multi-tone (DMT) rate-adaptive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 transceiver
JP2003087218A (ja) * 2001-06-29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
DE10141971A1 (de) * 2001-08-28 2003-03-27 Siemens Ag Adaptive Kanalschätzung in einem OFDM-basierten Mobilfunksystem durch Variation der Anzahl der Pilotsymbole
US7248559B2 (en) * 2001-10-17 2007-07-24 Nortel Networks Limited Scattered pilot pattern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for MIMO-OFDM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19945A1 (en) 2004-11-04
GB2402029A (en) 2004-11-24
JP2004336769A (ja) 2004-11-25
GB0409812D0 (en)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4573A1 (en) Identification of packet traffic transmitted by various devices operated in multiple overlapped frequency bands in packet-based ofdm systems
JP4515501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元方式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イロット信号を送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US73695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pilot signal for distinguishing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FDM scheme
US6934340B1 (en) Adaptive control system for interference rej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736731B1 (ko)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8194530B2 (en) Dual packet configu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070014169A (ko) 다중-입력-다중-출력 ofdm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402580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g a dedicated pilot channel for identification of a base stat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579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ilot patterns for identifying base stations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US20050135517A1 (en) Increasing effective number of data tones in a multi-antenna multi-ton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94364A (ko) 멀티톤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톤의 실효 수를 증가하는방법 및 장치
WO2008083605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transmettre/recevoir un signal de préambule basé sur un multiplexage par répartition orthogonale de la fréquence (ofdm)
KR20050090982A (ko) 피크 대 평균전력비의 축소
KR20040055227A (ko) 무선랜의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