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290A -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290A
KR20040093290A KR1020030027162A KR20030027162A KR20040093290A KR 20040093290 A KR20040093290 A KR 20040093290A KR 1020030027162 A KR1020030027162 A KR 1020030027162A KR 20030027162 A KR20030027162 A KR 20030027162A KR 20040093290 A KR20040093290 A KR 2004009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role
conversation
environ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세이링
창제카리
마핀키
Original Assignee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3002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3290A/ko
Publication of KR2004009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290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할이 선택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그에 대응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유닛 교습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 및 학습 필요에 따라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시스템은, 사용자가 문장 형성, 대화 학습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 및 역할에 대응하는 교습 자료를 찾는다. 각 교습 유닛은 사용자가 학습 과정 동안 자료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환경 및 역할의 자료를 포함한다. 문장 형성 및 대화 학습 과정 동안 평가 결과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 진보를 알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SENTENCE-CONVERSATION TEACHING SYSTEM WITH ENVIRONMENT AND ROLE SELECTION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외국어 교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여 문장 및 대화를 연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외국어 언어를 구사하는 다른 대화자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또는 컴퓨터 보조 외국어 교습에는, 대화를 강조하는 많은 코스들이 있다. 사용자가 대화 자료(material)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유망한 방법(예를 들어, 자료에 환경을 생성하는 환경 학습 방법 및사용자가 학습 동안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role play) 학습 방법)들이 종종 교습 과정에 부가되어, 사용자들의 학습을 돕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문장 구조 연습의 부족. 대화 능력의 중요한 요인은 문장 형성에 대한 사용자의 친숙함이다. 사용자가 다른 사람이 물은 질문에 대해 즉시 답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정확한 문장 구조를 편성할 수 없는 경우가 흔히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실제 대화에서 자신을 매우 유창하게 표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족한 문장 형성 연습은 대화 학습을 효과적으로 한다.
(2) 완전한 평가 메커니즘의 부족. 대화하는 동안 문장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것에 부가하여, 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말하는 동안의 억양 및 발음 기술이다. 통상적인 문장 대화 교습이 이 부분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참조를 위한 이상적인 메커니즘이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습을 계속하더라도, 자신이 달성한 실제적인 진보를 알 수가 없다.
(3) 환경과 역할의 특징들을 결합시킬 수 없다. 의심할 바 없이, 환경 및 역할의 설계는 상당히 중요하고 유망한 학습 요인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교습 설계는 종종 이러한 2개의 특징들을 완전히 결합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대화 환경에 익숙하다고 할지라도, 개별적인 좋은 역할들을 얻지 못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대화 연습에 2배 이상의 시간을 소모하면서도, 많은 진보를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컴퓨터 기술을 잘 이용하여, 환경 및 역할 특징들을 결합하고 완전한 분석 및 평가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대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가 가능한 가장 짧은 시간 내에 최소의 노력으로 자신의 대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환경 및 역할 설정을 선택하여 대화 유닛의 과정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습 과정 동안, 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자신이 달성한 진보에 대한 명백하고 정확한 평가를 제공한다.
환경과 역할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는 다른 자료의 내용을 경험함으로써, 모든 환경들에서의 각 역할에 대한 대화 기술을 터득할 수 있게 된다. 문장을 형성하고 대화를 연습하는 과정 동안 평가 결과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달성한 진보를 알 수 있다. 문장 형성 연습 및 대화 연습을 통해, 사용자는 문장 구조에 대해 보다 완전한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실제 대화에서 보다 나은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시스템은 선택 모듈, 자료 데이터베이스, 대화 교습 모듈, 문장 교습 모듈 및 입/출력(I/O) 모듈을 포함한다.
개시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환경 및 역할 선택을 받는 단계와; 문장 교습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환경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대화 교습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역할에 대응하는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유닛 학습 결과를 평가하여 평가 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한정이 아닌 예로서 제시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모듈의 블록선도이다.
도 2a는 개시된 문장 대화 교습 방법의 주요 흐름도이다.
도 2b는 문장 형성 연습 부분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2c는 대화 교습 부분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개시된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환경 및 역할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개시된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대화 연습을 수행하도록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개시된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100)은 선택 모듈(110), 자료 데이터베이스(120), 대화 교습 모듈(130), 문장 교습 모듈(140) 및 입/출력(I/O) 모듈(150)을 포함한다.
(1) 선택 모듈(110)은 사용자가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학습 자료의 환경 선택 및 수행할 역할의 설정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선택 결과는 실제 문장 형성 연습과 대화 학습의 자료에 영향을 미친다.
(2) 자료 데이터베이스(120)는 모든 환경들 및 역할들의 학습 자료들을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자료들은 대화 유닛들 및 문장 형성 유닛들로 분할된다. 각 유닛은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학습 내용을 포함한다. 이들은 텍스트, 음성, 화상, 영상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료 데이터베이스(1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다.
(3) 대화 교습 모듈(130)은 사용자의 역할 선택에 따라 대화 학습 자료를 추출하여, 대화 교습을 수행한다. 대화 학습 과정 동안, 대화 교습 모듈(130)은 선택된 모든 대화 학습 유닛들을 하나씩 출력한다. 각 대화 교습 과정은 다음과 같은 필수 부분들, 즉 대화의 다른 진영의 음성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음성 내용을 받는 단계(이의 녹음을 포함함)와, 그리고 음성 내용의 유사성 분석을 수행하는(즉, 사용자의 음성 내용과 표준 음성 내용 간의 음파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화 교습 모듈(130)은 대화 유닛이 끝날 때 까지, 상기 설명한 단계들 각각을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참조를 위해 그리고 사용자의 학습 진보를 평가하기 위해, (유닛 대화 평가를 포함하는) 분석 결과가 출력된다.
(4) 문장 교습 모듈(140)은 사용자의 환경 선택에 따라 문장 형성 학습 유닛을 추출하여 문장 교습을 수행한다. 문장 형성 연습을 하는 동안, 문장 교습 모듈(140)은 선택된 모든 학습 유닛을 출력한다. 각 문장의 문장 형성 연습은 다음의 단계들, 즉 사용자를 위한 문장 형성 질문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받는 단계와, 그리고 입력 내용에 대한 일치를 비교(즉, 사용자의 입력 내용의 구성과 표준 문장의 구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문장 교습 모듈(140)은 유닛의 모든 문장 형성 연습이 끝날 때 까지, 상기 설명된 단계들을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참조를 위해 그리고 사용자의 학습 진보를 평가하기 위해, (문장 형성 연습 평가를 포함하는) 비교 결과가 출력된다.
(5) I/O 모듈(150)은 대화 교습 및 문장 교습 과정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 및 음성 내용을 받는다. 이는 또한, 대화 교습 모듈(130) 및 문장 교습 모듈(140)에 의해 제공되는 내용들(대화의 다른 진영의 음성 내용, 문장 형성 연습의 문제, 분석 결과, 비교 결과, 유닛 대화 평가 및 유닛 문장 형성 평가를 포함함)을 출력한다. 이는 또한 학습 평가 등급을 추정하여 제시한다.
학습 평가 등급은 대화 교습 모듈(130)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 대화 평가 결과 및 문장 교습 모듈(140)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 문장 형성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된다.
이제, 도 2a, 2b 및 2c를 이용하여 개시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환경 및 역할 선택을 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단계 200). 이러한 선택은 자료의 환경 및 그 내에서의 역할의 선택을 포함한다. 이후, 개시된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100)은 선택된 환경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문장 형성 연습을 시작한다(단계 300). 이와 관련된 방법은 도 2b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된다. 문장 형성 연습이 끝난 후, 선택된 역할에 대응하는 자료가 추출되어 대화 교습을 시작한다(단계 400). 이의 상세한 단계들은 이후 설명되는 도 2c에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유닛들에서의 사용자의 유닛 학습 결과들이 평가되고, 학습 등급을 추정한다(단계 500).
도 2b를 참조하여, 문장 형성 연습은 자료의 환경 선택 내용을 읽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단계 310). 이후, 시스템은 환경에 대응하는 문장 형성 연습을 결정한다(단계 320). 이후, 시스템은 문장 형성 자료로부터 질문을 한다(단계 330). 적어도 2개의 질문 방법, 즉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법 또는 시스템이 임의로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하나는 비 재편성 방법으로서, 여기에서는 (질문의 버전 또는 문장의번역과 같은) 문장 형성 자료의 힌트 내용들이 사용자에게 출력되며, 사용자는 한 단어씩 입력한다. 다른 하나는 재편성 방법으로서, 여기서 문장 물질은 임의로 재배열된 다음 사용자에게 출력되며, 사용자는 정확한 순서를 입력한다. 이러한 재편성 방법은 다른 많은 방식들, 즉 단어 재편성, 어휘 특성 재편성, 어휘 타입 재편성 및 방해 단어 재편성을 포함한다. 이후,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받는다(단계 340). 사용자는 (키보드, 육필 입력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단어 및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내용을 받은 후, 시스템은 입력 내용에 대한 일치 비교를 수행한다(단계 350). 즉, 사용자의 입력 내용과 표준 문장이 비교된다. 시스템은 비교가 끝났는 지를 체크한다(단계 360). 비교가 끝나지 않았으면, 단계(350)로 진행되며; 비교가 끝났으면, 비교 결과가 임시로 저장되고, 시스템은 비교를 위한 다른 어떠한 문장이 있는 지를 결정한다(단계 370). 비교를 위한 다른 어떠한 문장도 없으면, 최종 비교 결과를 출력하고 유닛 문장 형성 평가를 생성한다(단계 380). 최총 비교 결과는 각 문장 형성 연습의 비교 결과의 통계적인 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는 그 유닛에서의 사용자의 이해 레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비교 결과는 또한 포괄적인 학습 평가에 있어서 유닛 문장 형성 평가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이후, 시스템은 단계(400)로 진행된다. 미처리된 문장들이 있으면, 모든 문장 형성 연습이 끝날때 까지 단계들(330 내지 370)이 반복된다.
도 2c를 참조하여, 대화 교습은 역할 선택 내용을 읽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단계 410).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 자료를 결정한다(단계 420). 시스템은 대화 자료 내의 다른 진영의 음성 내용을 출력한다(단계 430). 이후,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내용을 받는다(단계 440). 사용자는 (마이크로폰 또는 음성 콜렉팅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내용을 받은 후, 시스템은 음성 내용 유사성 분석을 수행하기 시작한다(단계 450). 이는 사용자의 음성 내용과 표준 음성 내용이 같은 지를 결정한다. 이는 대개 음파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시스템은 또한 분석이 끝났는 지를 결정한다(단계 460). 분석이 끝나지 않았으면, 단계(450)로 진행되고; 분석이 끝났으면, 분석 결과가 임시로 저장되고, 시스템은 수행할 다른 어떠한 대화가 있는 지를 결정한다(단계 470). 다른 어떠한 대화도 없으면, 최종 분석 결과가 출력되며, 유닛 대화 평가가 생성된다(단계 480). 최종 분석 결과는 각 대화의 분석 결과의 통계적인 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는 대화 유닛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이해 레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는 또한 포괄적인 학습 평가에 있어서 유닛 대화 평가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이후, 시스템은 단계(500)로 진행한다. 유닛에 미처리된 대화가 있으면, 유닛의 모든 대화 자료들이 끝날때 까지 단계들(430 내지 470)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와같이 설명된 본 발명이 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하기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장 대화 교습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환경과 역할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는 다른 유형의 내용을 경험하고 모든 환경들에서의 각 역할에 대한 대화 기술을 터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학습 과정 동안, 사용자는 달성한 진보에 대한 명백하고 정확한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4)

  1. 문장 및 대화의 교습 및 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환경 및 역할의 선택에 따라 학습 내용을 발생시키는,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으로서,
    환경 및 역할 선택 설정을 수행하는 선택 모듈과;
    다수의 환경들 및 역할들에 대한 학습 유닛들을 저장하는 자료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역할 선택에 따라 대화 교습을 수행하기 위해 대화 학습 유닛을 추출하는 대화 교습 모듈과;
    상기 환경 선택에 따라 문장 형성 연습을 수행하기 위해 문장 학습 유닛을 추출하는 문장 교습 모듈과; 그리고
    상기 대화 교습 및 상기 문장 형성 연습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및 음성 내용을 받고, 상기 대화 교습 모듈 및 상기 문장 교습 모듈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며, 그리고 학습 평가 등급을 추정하여 제시하는 입/출력(I/O)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및 역할 선택의 설정은 적어도 수행할 역할 및 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대화 교습 유닛 및 문장 형성 연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교습 유닛 및 상기 문장 형성 연습 유닛은 적어도 텍스트, 음성, 화상 및 영상의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등급은 유닛 대화 평가 및 유닛 문장 형성 평가를 이용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문장 및 대화의 교습 및 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환경 및 역할 선택에 따라 학습 내용을 발생시키는,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환경 및 역할 선택 설정을 받는 단계와;
    문장 형성 연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환경 선택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대화 교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역할 선택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유닛 학습의 결과를 추정하고, 학습 평가 등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및 역할 선택의 설정은 적어도 수행할 역할 및 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형성 연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환경 선택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단계는,
    학습 자료에 대한 환경 설정 내용을 읽는 단계와;
    상기 환경 설정에 대응하는 문장 형성 연습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와;
    문장 형성 자료로부터 질문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내용을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내용에 대한 일치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비교 결과를 출력하고, 유닛 문장 형성 연습 평가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형성 연습 유닛은 적어도 텍스트, 음성, 화상 및 영상의 데이터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형성 자료로부터 질문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비 재편성 방법 및 재편성 방법중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편성 방법은, 단어 재편성, 어휘 특성 재편성, 어휘 타입 재편성 및 방해 단어 재편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교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역할 선택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자료로부터 역할 설정 내용을 읽는 단계와;
    상기 역할 설정에 대응하는 대화 교습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의 다른 진영의 음성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음성 내용을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음성 내용에 대한 유사성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고, 유닛 대화 평가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교습 유닛은 적어도 텍스트, 음성, 화상 및 영상의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등급은 상기 유닛 대화 평가 및 상기 유닛 문장 형성 평가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27162A 2003-04-29 2003-04-29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62A KR20040093290A (ko) 2003-04-29 2003-04-29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62A KR20040093290A (ko) 2003-04-29 2003-04-29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90A true KR20040093290A (ko) 2004-11-05

Family

ID=3737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62A KR20040093290A (ko) 2003-04-29 2003-04-29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3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25B1 (ko) * 2006-05-29 2008-01-07 주식회사 케이티 대화형 다국어 학습을 위한 대화 예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를 이용한 대화형 다국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25B1 (ko) * 2006-05-29 2008-01-07 주식회사 케이티 대화형 다국어 학습을 위한 대화 예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를 이용한 대화형 다국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kenazi An overview of spoken language technology for education
Engwall et al. Pronunciation feedback from real and virtual language teachers
Cucchiarini et al. Oral proficiency training in Dutch L2: The contribution of ASR-based corrective feedback
Kim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Reliability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pronunciation
Wang et al. Effectiveness of feedback for enhancing English pronunciation in an ASR‐based CALL system
US20080027731A1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KR20160008949A (ko) 음성 대화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6990476B2 (en) Story interactive grammar teaching system and method
Rachmawati et al. Male and female students’ perception on the use of popular song to improve students’ vocabulary mastery
US20050239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ster teacher testing in a computer environment
Sugiarto et al. The impact of shadowing technique on tertiary students’ English pronunciation
Tejedor-Garcıa et al.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synthetic voice for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in a pronunciation training tool based on minimal pairs
Strik ASR-based systems for language learning and therapy
US11587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anguage learning
Strik et al. Developing a CALL system for practicing oral proficiency: How to design for speech technology, pedagogy and learners
Apriani et al. Imroving English University Students’ Speaking Skill Through Effortless English Movie Technique
Sari et al. The TED Talks Application as a Learning Tool in Teaching Spaking
US20040214145A1 (en) Sentence-conversation teaching system with environment and role selections and method of the same
Ikhsan BOOSTING STUDENTS’PRONUNCIATION THROUGH SONG DICTATION
KR20040093290A (ko) 환경 및 역할을 선택하는 문장 대화 교습 시스템 및 방법
Strik et 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Speech technology into COurseware for language learning: the DISCO project
Permana et al. Disney Movie Soundtrack: Does It Give Effect to Students’ Speaking Skill?
TW583609B (en) Sentence making and conversation teach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ituation and role selection
Eklesia et al. Using short stories to teach vocabulary in basic reading 2 class at Sanata Dharma University
Rayner et al.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System Responses In A Spoken CALL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