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846A - 세면기 - Google Patents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846A
KR20040092846A KR1020030027256A KR20030027256A KR20040092846A KR 20040092846 A KR20040092846 A KR 20040092846A KR 1020030027256 A KR1020030027256 A KR 1020030027256A KR 20030027256 A KR20030027256 A KR 20030027256A KR 20040092846 A KR20040092846 A KR 20040092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drain
storage part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욱 filed Critical 정재욱
Priority to KR102003002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846A/ko
Publication of KR2004009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세면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세면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세수 등을 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게 형성된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저면에 물이 배수되도록 마련된 배수구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배수되도록 상기 저수부의 내벽면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배수구 일측까지 연장 돌출 형성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용돌이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면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저수부의 내벽면을 닦기 위한 새로운 물이나 화학세제가 소비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면기{WASHBOWL}
본 발명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 후, 세면기내의 물을 신속하게 배수시켜 세면기의 내벽에 물때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상되는 벽면에 설치한 후, 수도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물을 받아 세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세면기의 통상적인 재질은 대부분 금속 또는 자기로 되어있고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세면기도 생산되는 추세이다. 그 생산방법을 보면 금속의 경우 주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을 이용하고, 자기의 경우에는 몰드(mold)에 점토를 넣어 성형한 후, 초벌구이를 하고 유약을 발라 재벌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면기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는 좌우로 긴 사각형 형태이고, 저수부(2)는 전체적으로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을 모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몸체(1) 벽측에는 수도꼭지(3)가 설치되어 저수부(2)로 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저수부(2)의 저면에는 배수구(4)가 형성되어 배수구(4)에 배수관(5)을 연결하여 사용된 물이 배수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로 마개(6)를 구비하여 상기 마개(6)로 배수구(4)를 막아 물을 모아 사용하고 이 마개(6)를 뽑아 물을 배수시킨다. 따라서 세면기는 세면을 위한 기능 외에, 물을 받아쓸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다른 용도 예컨대 양말이나 수건 등과 같은 간단한 손 세탁시 마땅한 세탁장소가 없는 경우 세면기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면기를 이용하여 세안을 하거나, 간단한 손 세탁을 한 후, 상기 저수부(2)에 저장된 물을 마개(6)를 뽑고 배수하게 되면 사용된 물로 인하여 저수부(2) 내벽 전면에 때가 묻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사용된 물이 대부분 물과 비누 또는 유지 등의 혼합물이고, 상기 저수부(2)에 저장된 물이 넓은 저수부(2)에서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배수 통로인 배수구(4)를 통해 빠져나가 물의 배수 속도 느리기 때문에 쉽게 저수부(2) 내벽 전면에 때를 입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면기의 저수부(2)에 때가 묻게 되면 다시 새로운 물을 저수부(2)에 저장하여 사용하기가 어렵고, 저수부(2)의 내벽면의 때를 닦아내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 저수부(2)에 묻은 때를 닦아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화학세제를 이용하여 닦아 내야 때가 닦아진다. 따라서 세면기의 사용이 불편하고, 저수부(2)의 내벽면에 묻은 때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량의 물과 화학세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과 화학소재가 많이 소비되며, 결국 수자원이 고갈되고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된 물이 저수부에서 신속히 배수되도록 하여 저수부 내벽면에 때를 입히지 않도록 하여 물과 화학세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세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몸체
12. 저수부
14. 배수구
20. 소용돌이형성부
21.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면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세수 등을 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게 형성된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저면에 물이 배수되도록 마련된 배수구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배수되도록 상기 저수부의 내벽면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배수구 일측까지 연장 돌출 형성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용돌이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는, 몸체(11)와, 이 몸체(11)에 세수 등을 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게 형성된 저수부(12)와, 이 저수부(12)의 저면에 물이 배수되도록 마련된 배수구(14)와, 상기 저수부(12)에 저장된 물이 배수구(14)를 통해 배수될 때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배수되도록 저수부(12)의 내벽면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배수구(14) 일측까지 연장하며 돌출 형성된 돌기(2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용돌이형성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기(21)는 저수부(12)의 내벽면 상부에서 배수구(14) 일측까지 원호를 그리며 일정하게 형성되고, 특히 이 돌기(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12)의 내벽면 상부에서 배수구(14)로 내려오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 벽측에는 수도꼭지(13)가 설치되어 저수부(12)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저수부(12)의 저면에는 배수구(14)가 형성되어 이 배수구(14)에 배수관(15)을 연결하여 사용된 물이 배수된다. 그리고 저수부(12)에 물을 저장하거나 배수를 위해 마개(16)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안을 하거나 간단한 빨래 등을 하기 위해 상기 저수부(12)에 마개(16)를 이용하여 배수구(14)를 막아 물을 저장한다. 그리고 세안이나 빨래를 한 후, 사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마개(16)를 배수구(14)로부터 뺀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개(16)를 빼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12) 내벽면의 소용돌이형성부(20)에 의해 저수부(12)의 사용된 물이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이 소용돌이의 형성으로 사용된 물이 가속 회전운동하며 배수구(14)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렇게 사용된 물이 급속도로 회전운동을 하며 배수되기 때문에, 사용된 물이 저수부(12)의 내벽면을 휩쓸어 결국 저수부(12)의 내벽면에는 때가 묻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세면기의 저수부에 저장되어 사용된 물이 저수부의 내벽면에 때를 묻히지 않고 배수되기 때문에 사용 후, 별도로 저수부의 내벽면을 닦아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세면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저수부의 내벽면을 닦기 위한 새로운 물이나 화학세제가 소비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세수 등을 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게 형성된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저면에 물이 배수되도록 마련된 배수구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배수되도록 상기 저수부의 내벽면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배수구 일측까지 연장 돌출 형성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용돌이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저수부의 내벽면 상부에서 상기 배수구 일측까지 원호를 그리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저수부의 내벽면 상부에서 상기 배수구로 내려오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KR1020030027256A 2003-04-29 2003-04-29 세면기 KR20040092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56A KR20040092846A (ko) 2003-04-29 2003-04-29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56A KR20040092846A (ko) 2003-04-29 2003-04-29 세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46A true KR20040092846A (ko) 2004-11-04

Family

ID=373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56A KR20040092846A (ko) 2003-04-29 2003-04-29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05B1 (ko) * 2008-12-23 2009-07-23 (주)일산금속 우수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05B1 (ko) * 2008-12-23 2009-07-23 (주)일산금속 우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2846A (ko) 세면기
CN216156708U (zh) 一种洗衣盆及洗衣柜
CN216275987U (zh) 一种带搓衣板体的盥洗盆
KR200489565Y1 (ko) 빨래판이 구비된 세면기
KR20010094818A (ko) 세면기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CN211066321U (zh) 弧形座活动搓衣浴室柜
CN2327729Y (zh) 节水去污盆
KR200196509Y1 (ko) 세면대
KR200176339Y1 (ko) 간이 빨래판을 구비한 세면기
CN203878359U (zh) 人造石洗衣盆
JP2009089782A (ja) 載置台付き洗面化粧台
KR200302429Y1 (ko) 세면대
CN214833124U (zh) 一种二次利用生活废水的集水箱
CN211961867U (zh) 一种组合式洗漱脸盘
KR200348699Y1 (ko) 세면대
KR200432920Y1 (ko) 발 세척 겸용 세탁장치
KR200164020Y1 (ko) 가정용입식빨래대
KR200426042Y1 (ko) 샤워기헤드의 홀더를 구비한 대야
KR200357500Y1 (ko) 유화 붓 세척기
KR20000006365U (ko) 빨래통
KR200201246Y1 (ko) 개량비누갑
KR200154382Y1 (ko) 세탁기의 샤워 급수장치
KR20150034575A (ko) 비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