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998A -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998A
KR20040091998A KR1020030025800A KR20030025800A KR20040091998A KR 20040091998 A KR20040091998 A KR 20040091998A KR 1020030025800 A KR1020030025800 A KR 1020030025800A KR 20030025800 A KR20030025800 A KR 20030025800A KR 20040091998 A KR20040091998 A KR 20040091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transmission
digital baseband
baseband modem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352B1 (ko
Inventor
서유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352B1/ko
Priority to JP2004093867A priority patent/JP4036841B2/ja
Priority to AT04009745T priority patent/ATE373350T1/de
Priority to CNB2004100430190A priority patent/CN100536356C/zh
Priority to US10/831,608 priority patent/US7352736B2/en
Priority to EP20040009745 priority patent/EP1471666B1/en
Priority to DE200460008824 priority patent/DE602004008824T2/de
Publication of KR2004009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9Closed loop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1Synchronisation of a mobile station with one base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는 수신 채널에 대한 동기를 맞춘 후 송신 채널에 대한 동기를 단순히 송신 경로 구성원들에서의 소요 시간만 고려하여 제어했기 때문에 모뎀 내부적인 처리에 따른 비균일적인 지연에 따른 부정확한 송신으로 동기를 보장할 수 없으며 교신중인 다른 단말기의 통신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프트웨어 플렛폼으로 동기화 장치를 구현한 경우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정밀한 시간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마다 변동이 있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동기 패턴 발생부 및 분석부를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에 부가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동기 스위치를 임의의 송신부 출력단과 임의의 수신부 입력단 사이에 더 구성하는 것으로 송수신부 사이에 송신부 동기화를 위한 루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서 소정의 패턴 신호로 상/하향 링크 동기 시점을 적응형으로 보상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수신 채널 동기후 송신 채널 동기를 정밀하게 맞출수 있고 송신 채널 시간 슬롯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플렛폼은 물론이고 소프트웨어 플렛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밀한 동기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CHANNEL SYNCHRONIZATION APPARATUS FOR TIME DIVISION DUPLEX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이중(Time Division Duplex) 기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신 모뎀 중에서 소프트웨어 모뎀을 이용한 경우에도 적응형 채널 동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채널을 동기화 할 수 있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과 수신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처리하는 시분할 이중(이하, TDD라 칭함) 기반 이동통신 단말기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의 UTRA(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규격에서 정의하는 3세대 이동통신 방식중의 하나로, 그 최대 특징은 무선 구간에서의 송신과 수신이 하나의 공통된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TDD는 하향링크(downlink)와 상향링크(uplink)가 하나의 무선 주파수에서 송수신되야 하므로 정해진 시간 구간(time slot)에서만 상/하향 링크가 송수신되어야 하며,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통신이 불가능하다.
주파수 분할 이중(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의 경우는 송신과 수신이 무선 대역에서 분리되어있으므로 상/하향 링크의 동기가 정확히 맞을 필요가 없으며 일정 구간내에만 있으면 송수신 채널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TDD는 대단히 제한된 시간 간격(time slot) 내에서 반드시 상향, 하향 링크가 존재해야 하므로 정확한 채널 동기가 통신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된다.
종래 TDD 단말기는 상향 및 하향 링크의 시간 슬롯(time slot) 위치제어를 위해 하향 링크(수신)의 시간 슬롯을 찾은 후(기지국과 수신 채널을 열고 전체 시간 슬롯과 하향링크 시간 슬롯 정보를 얻어 그 경계값을 인지함) 상향 링크(송신)로 보낼 데이터를 송신부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TDD 스위치가 상/하향으로 전환해야할 시점도 함께 알려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Digital Base Band(DBB) modem)에서 나온 데이터가 무선송신부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슬롯 경계 안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된다.
도 1은 종래의 TDD 단말기의 구조를 간략히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을 위한 필터(20),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1), TDD 중간 주파 송신부(22), TDD 무선 주파 송신부(23)를 구비하며, 수신을 위해 TDD 무선 주파 수신부(33), TDD 중간주파 수신부(3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1), 필터(30)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을 위한 TDD 무선 주파 수신부(33)의 입력은 TDD 스위치(40)에 의해 안테나와 소정 시간 연결되며, 송신을 위한 TDD 무선 주파 송신부(23)의 출력은 TDD 스위치(40)에 의해 안테나와 소정 시간 연결되는데, 이러한 TDD 스위치(40)의 제어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TDD 스위치(40)는 먼저 수신 채널의 동기를 확보한 후 송신 채널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과 겹치지 않도록 제어되어 안테나를 상기 TDD 무선 주파 수신부(33)와 TDD 무선 주파 송신부(23)에 적절히 연결하는데, 이러한 TDD 스위치(40)의 작동 시점은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을 제외한 무선/중간주파 구간(송수신 경로 각각에 연결된 구성원들)의 고정된 처리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결정된다. 이러한 각 경로 상에 구현된 소자들의 고유 지연 시간은 설계 파라메터이므로 고정된 값이다.
상기와 같이 결정되면 이를 그대로 유지하여 통신을 실시하게 되는데, 동기화 이후에서는 상기 TDD 스위치(40) 동작의 정상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상기 TDD 스위치(40)를 제어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의 스위치 제어부(11)는 RF/IF부(송신 경로)의 처리 소요시간을 파라메터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말기마다 정확한 시간을 측정해야 하며 단말기 구현시마다 상이해질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여 제품의 비용을 낮추려는 시도가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클럭 하나 단위로 정밀하게 데이터의 시간 슬롯 위치를 제어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동기화가 이루어질 경우마다 변동이 있어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 플렛폼으로 구현된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으로는 소프트웨어의 동작 특성상 데이터 송신 시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으므로(송신을 결정한 시점과 실제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점이 클럭 단위로 변동됨) 정밀한 시간 제어는 원천적으로 어려워진다.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이 하드웨어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전술한 시간 제어를 비교적 정확히 제어할 수 있지만, 종래의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은 그 플렛폼(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관계 없이 몇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즉,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0)은 수신부의 시간 슬롯 경계를 단말기 또는 기지국측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동기 신호로 정확하게 얻을 수 있지만 송신부는 전송한 데이터의 시간 경계가 정확히 동기화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정확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지라도 모뎀 내부적인 연산에 의해 즉각적인 데이터 출력을 보장할 수없기 때문에 동기 타이밍이 동기 시마다 변동되며, 이 경우 이를 단말기 자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가 1대 1로 통신할 경우는 송신 채널의 동기가 초기에 잘 이루어지지 않아도 점진적으로 맞추어갈 수 있지만 다수의 단말기가 이미 기지국과 교신하는 중이라면 새로운 단말기의 부정확한 송신은 이미 교신중인 다른 단말기의 통신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즉, 송신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고 출력되는 데이터는 다른 단말기에 할당된 시간 슬롯을 침범할 수 있다.
정리 하자면, 기존의 TDD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TDD 스위치를 온오프할 시간 슬롯 경계 정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서 지연되는 시간은 설계 파라메터 이므로 이 역시 정확히 알 수 있어 송신 시점에 송신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동기를 맞출 수 있는 것 처럼 보인다. 그러나,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내부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에 의해 즉각적인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점과 실제 데이터를 모뎀에서 출력하는 시점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송신 동기화를 매 동기화마다 정밀하게 맞춘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렛폼에 상관 없이 수신 채널 동기후 송신 채널 동기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고 송신 채널 시간 슬롯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하며 기존에 기지국과 교신중인 단말들의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는 수신 채널에 대한 동기를 맞춘 후 송신 채널에 대한 동기를 단순히 송신 경로 구성원들에서의 소요 시간만 고려하여 제어했기 때문에 모뎀 내부적인 처리에 따른 비균일적인 지연에 따른 부정확한 송신으로 동기를 보장할 수 없으며 교신중인 다른 단말기의 통신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프트웨어 플렛폼으로 동기화 장치를 구현한 경우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정밀한 시간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마다 변동이 있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동기 패턴 발생부 및 분석부와, 송수신부 경로 사이에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동기 스위치를 더 부가하는 것으로 송수신부 사이에 송신부 동기화를 위한 루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소정의 패턴 신호로 상/하향 링크 동기 시점을 적응형으로 수행하여 플렛폼에 상관 없이 수신 채널 동기후 송신 채널 동기를 정밀하게 맞추면서 송신 채널 시간 슬롯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22: TDD 중간 주파 송신부
23: TFF 무선 주파 송신부 30: 수신 필터
3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32: TDD 중간 주파 수신부
33: TDD 무선 주파 수신부 50: 송신 필터
40: TDD 스위치부 100: 모뎀부
110: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 111: 스위치 제어부
112: 패턴 선택부 120: 동기패턴 생성부
130: 동기패턴 분석부 200: 동기 스위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수신 채널 설정으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슬롯을 인지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이 시분할 이중 스위치를 제어하여 송신 채널을 동기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선택에 의해 동기 패턴을 생성하는 동기패턴 생성부와; 상기 동기 패턴의 생성에 따라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이 선택적으로 온시켜 송수신 처리부 사이에 내부 루프를 형성하는 동기 스위치부와; 상기 동기 스위치부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동기 패턴을 분석하여 정확한 송수신 동기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에 제공하는 동기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 스위치부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시분할 이중 스위치 제어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시분할 이중 스위치가 수신 경로와 연결되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패턴 분석부는 기 설정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에서 얻어진 송신 시점에 일치하는 송신 데이터 출력을 위해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를 통한 패턴 데이터 출력 시점과 실제 수신 데이터 입력 시점을 고정된 경로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상기 인지하는 송신 시간 슬롯의 시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위한 편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일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TDD 무선 단말기의 구조에 동기 패턴 생성부(120), 동기 패턴 분석부(130)를 추가하고,송수신 경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동기 스위치부(2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에 의해 제어되는 동기 스위치부(200)는 상기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를 연결하여 일종의 궤환 루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 경로로 받아서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120)는 소정의 주기 또는 비주기 디지털 파형을 생성하는데, 해당 파형은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에 구비된 패턴 선택부(112)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이 생성되는 동기 패턴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서, 상기 패턴 선택부(112)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제어부에 간단히 포함될 수 있는 기능이다.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120) 역시 간단한 기능이므로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은 기지국과 수신 채널을 설정하면서 전체적인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며, 그로인해 정확한 송신 시간 슬롯의 경계를 얻어낼 수 있다. 문제는 상기 추출한 송신 시간 슬롯의 타이밍에 일치하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기화 부분이다.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은 소정의 클럭으로 내부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가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될때 까지의 정확한 소요시간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시점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어렵다. 이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내부적인 데이터 처리 능력이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이며, 실제로 송신 동기화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이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시점과 실제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점이 동기화 할때 마다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제, 도시된 동기 패턴 생성부(120) 및 동기 패턴 분석부(130)를 통해 이러한 가변적인 송신 지연을 해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동기 패턴 분석부(130)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과 연결되며(미도시) 실질적으로는 기저대역 모뎀(110)의 내부 기능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에 의해 선택된 동기 패턴이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 경로를 따라 전송될때, 상기 동기 스위치부(200)를 온시켜 궤환 루프를 형성하면, 해당 전송 내용은 상기 루프를 따라 수신 경로에 제공되어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 경로에는 동기 패턴 분석부(130)가 연결되는데, 상기 동기 패턴 분석부(130)는 송신한 동기 패턴을 알고 있고 설계 시 고정된 송수신 필터(30, 50), 컨버터들(21,31)의 지연 시간도 알고 있으며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시점도 알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 기대하고 있는 결과 패턴과 실제 수신 패턴을 비교하면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내부 처리에 의한 편차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결과를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에서 TDD 스위치(40)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111)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송신 동기를 이루기 위해 궤환 루프를 통해 조절하는 것은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110)의 처리시간 변동이며, 이를 보상하여 정확한 동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설계 파라메터로 송수신 경로의 지연 시간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동기 스위치(200)는 임의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예를 들어 송신 경로의 TDD 무선 주파 송신부(23)의 출력과 수신 경로의 TDD 무선주파 수신부(33)의 입력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스위치부(200)를 제어하는 신호는 상기 TDD 스위치부(40)의 제어 신호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채널 동기화를 실행하는 동안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동기 스위치부(200)는 TDD 스위치부(40)가 안테나와 상기 TDD 무선 주파 수신부(33)를 연결하는 동안에는 온되지 않는다.
어떠한 경우에는 상기 동기 스위치부(200)를 상기 TDD 스위치부(40)의 제어신호로 제어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전술한 본 발명을 이용한 송신 동기화 방법은 초기 동기화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중에 동기화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기지국과 연결된 채널 중에 포함된 동기 관련 신호에 의해 동기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통신 중에 부적합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동기를 잃어버렸음을 알 수 있어, 기지국과 교신을 재설정하지 않더라도 단말기 스스로 동기를 복구할 수 있다.
이제, 상기 발명에 의한 동기화 절차를 예를 들어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TDD 단말기는 기지국과 수신 채널을 설정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을 획득한다. 수신 채널이므로 교신중인 다른 단말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정확한 수신 동기화를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TDD 단말기는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을 알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송신 시간 슬롯의 경계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이제, 송신 동기화를 위해 송신 슬롯 시간 내에 동기 스위치부를 온시켜 궤환 경로를 만들고 소정의 동기패턴을 송신한다.
그 다음, 수신 경로에 연결된 동기 패턴 분석부는 상기 송신을 시작한 시점과 궤환 경로에 의한 지연을 고려한 기대 패턴값과 실제 수신값을 비교하여 그 편차를 얻어 송신 동기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동기화 수행에 따라 가변적인 동기 편차를 적용한 정확한 동기 시점을 적응성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송수신을 위해 상기 동기 스위치부를 오프시키고, 동기를 잃어버린 경우 상기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동기를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연산 상태에 따라 동기화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정확한 동기 시점을 얻기 때문에 하드웨어 플렛폼은 물론이고 소프트웨어 플렛폼에도 무리없이 적용하여 정밀한 동기화가 가능하며 송신 시간 슬롯이 수신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지국과 교신 중인 다른 단말기들의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때문에 다른 단말기의 교신을 교란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는 동기 패턴 발생부 및 분석부를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에 부가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동기 스위치를 임의의 송신부 출력단과 임의의 수신부 입력단 사이에 더 구성하는 것으로 송수신부 사이에 송신부 동기화를 위한 루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서 소정의 패턴 신호로 상/하향 링크 동기 시점을 적응형으로 보상함으로써 수신 채널 동기후 송신 채널 동기를 정밀하게 맞출수 있고 송신 채널 시간 슬롯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플렛폼은 물론이고 소프트웨어 플렛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밀한 동기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수신 채널 설정으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슬롯을 인지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이 시분할 이중 스위치를 제어하여 송신 채널을 동기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선택에 의해 동기 패턴을 생성하는 동기패턴 생성부와; 상기 동기 패턴의 생성에 따라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이 선택적으로 온시켜 송수신 처리부 사이에 내부 루프를 형성하는 동기 스위치부와; 상기 동기 스위치부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동기 패턴을 분석하여 정확한 송수신 동기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에 제공하는 동기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스위치부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며, 송신 처리부 중에서 무선/중간 주파수 처리부 이전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과 수신 처리부 중에서 무선/중간 주파수 처리부 다음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궤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스위치부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며, 송신 처리부 종단과 수신 처리부 입력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궤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스위치부는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시분할 이중 스위치 제어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시분할 이중 스위치가 수신 경로와 연결되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은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가 생성할 패턴을 지정하는 패턴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패턴과 상기 동기패턴 분석부의 결과를 비교하여 송신 채널 시간 슬롯이 수신 채널 시간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시분할 이중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패턴 분석부는 기 설정된 전체 시간 슬롯과 수신 시간 슬롯에서 얻어진 송신 시점에 일치하는 송신 데이터 출력을 위해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를 통한 패턴 데이터 출력 시점과 실제 수신 데이터 입력 시점을 고정된 경로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상기 인지하는 송신 시간 슬롯의 시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위한 편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은 일반 통신의 경우 동기 스위치부를 오프하며, 통신 중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부를 다시 온하고 동기 패턴 생성부 및 동기 패턴 분석부를 통해 동기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패턴 생성부 및 동기 패턴 분석부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모뎀의 일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KR10-2003-0025800A 2003-04-23 2003-04-23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KR10049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00A KR100498352B1 (ko) 2003-04-23 2003-04-23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JP2004093867A JP4036841B2 (ja) 2003-04-23 2004-03-26 Tddに基づく移動通信端末のチャンネル同期化装置
AT04009745T ATE373350T1 (de) 2003-04-23 2004-04-23 Kanalsynchronisierungsvorrichtung eines tdd- basierten mobilen kommunikationsendgeräts
CNB2004100430190A CN100536356C (zh) 2003-04-23 2004-04-23 基于时分双工移动通信终端的信道同步装置和方法
US10/831,608 US7352736B2 (en) 2003-04-23 2004-04-23 Channel synchronization apparatus of TDD-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0040009745 EP1471666B1 (en) 2003-04-23 2004-04-23 Channel synchronization apparatus of TDD-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200460008824 DE602004008824T2 (de) 2003-04-23 2004-04-23 Kanalsynchronisierungsvorrichtung eines TDD-basierten mobilen Kommunikationsendgerä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00A KR100498352B1 (ko) 2003-04-23 2003-04-23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998A true KR20040091998A (ko) 2004-11-03
KR100498352B1 KR100498352B1 (ko) 2005-07-01

Family

ID=3296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800A KR100498352B1 (ko) 2003-04-23 2003-04-23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52736B2 (ko)
EP (1) EP1471666B1 (ko)
JP (1) JP4036841B2 (ko)
KR (1) KR100498352B1 (ko)
CN (1) CN100536356C (ko)
AT (1) ATE373350T1 (ko)
DE (1) DE6020040088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5849C (zh) * 2003-07-18 2005-11-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对无线信号进行双向同步转发的方法及装置
US7801207B2 (en) * 2005-06-24 2010-09-21 St-Ericsson Sa Signal processing task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505485B (zh) 2008-02-05 2014-11-05 三星电子株式会社 Lte tdd系统中发送srs的方法和装置
KR101508978B1 (ko) * 2009-04-20 2015-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dd용 기지국 안테나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안테나
US20110194630A1 (en) * 2010-02-10 2011-08-11 Yang Hua-Lung Systems and methods for reporting radio link failure
JP6007790B2 (ja) * 2010-10-06 2016-10-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
CN102594381B (zh) * 2012-02-03 2014-12-31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接收机及其镜像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6023A (ja) 1984-12-20 1986-07-03 Nec Corp 時分割多元接続通信装置
JPH0618338B2 (ja) 1988-02-23 1994-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Ss−tdma衛星通信の同期バースト送信位相制御方式
JPH07212339A (ja) 1994-01-21 1995-08-11 Nec Corp 通信装置の障害監視方式
JP3078177B2 (ja) * 1994-07-01 2000-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JPH08186555A (ja) 1994-12-29 1996-07-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EP1083684A3 (en) * 1997-09-19 2001-06-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3180735B2 (ja) 1997-10-22 2001-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タイミング補正機能付き無線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US6006112A (en) * 1997-11-26 1999-12-21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ceiver with RF loopback and downlink frequency scanning
US6333974B1 (en) * 1998-05-26 2001-12-25 Altocom, Inc. Detection of a call-waiting tone by a modem
CN1150697C (zh) 2000-06-20 2004-05-19 连宇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系统物理层的tdd成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1666A2 (en) 2004-10-27
ATE373350T1 (de) 2007-09-15
DE602004008824T2 (de) 2008-06-05
US7352736B2 (en) 2008-04-01
CN1622481A (zh) 2005-06-01
DE602004008824D1 (de) 2007-10-25
JP4036841B2 (ja) 2008-01-23
JP2004328720A (ja) 2004-11-18
US20040213200A1 (en) 2004-10-28
EP1471666B1 (en) 2007-09-12
CN100536356C (zh) 2009-09-02
EP1471666A3 (en) 2005-01-19
KR100498352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57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05568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업/다운 링크 동기화 장치 및 방법
EP2771987B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time division duplexing scheme
WO2020032691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9561508B (zh) 时分双工无线通信系统
WO202014574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34753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s modes of operation
US7729727B2 (en) Aligning radio base station node transmission timing on multiple transmit paths
WO202014575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1282168B (zh) 时分双工移动通信系统共存时无线帧的发射方法、系统
US6285876B1 (en) Test unit with programmable transmit timing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WO2020145460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2006038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0498352B1 (ko) 시분할 이중 무선 단말기의 채널 동기화 장치
WO2020091554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
JP3909844B2 (ja) 無線通信装置
WO2023121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sed on predict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203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uplink power headro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44489B2 (en) Active antenna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of active antenna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2324407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3661659B (zh) 一种射频收发机、通信设备以及射频通路控制方法
US20240089885A1 (en) Beam time synchroniz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WO202213181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rs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193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운영을 위한 csi 측정 및 보고에 대한 방법 및 장치
WO2020145459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