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769A -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769A
KR20040090769A KR1020030024716A KR20030024716A KR20040090769A KR 20040090769 A KR20040090769 A KR 20040090769A KR 1020030024716 A KR1020030024716 A KR 1020030024716A KR 20030024716 A KR20030024716 A KR 20030024716A KR 20040090769 A KR20040090769 A KR 2004009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era
control
sm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2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0769A/ko
Publication of KR2004009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와 이격되어 있는 제어대상 단말기로, 상기 제어 단말기가 카메라 제어 명령을 포함한 메시지를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내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분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상하여 저장해 두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remotely}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호출기로부터 시작하여 셀룰라 폰(cellular phone), 개인휴대전화기(PCS)를 거쳐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이동통신까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동통신 환경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단말기를 통해 가능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모색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특히,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MT-2000, UMTS로의 초고속 이동통신의 발전은 무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분야의 성장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통신 중에서 현재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분야가 다름 아닌 무선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이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의 전송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데이터 크기가 큰 영상까지도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이와 같이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IMT-2000이라 하여 영상을 전송하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그 이동통신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이 구축되어,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이루게 되는데, 특히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들은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PCB 기판과 연결된 카메라 모듈과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영상을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LCD)를 구비하며, 카메라 모드(영상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에 들고 기능키(입력키)를 눌러야 피사체의 촬상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의 메뉴에서 카메라 모드(영상 촬영 모드)로 들어가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LCD에 카메라를 통하여 촬상된 영상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단말기의 LCD를 보면서 원하는 영상을 직접 촬영하게 된다. 이때, 촬상된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처럼,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단말기의 LCD를 보면서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하며, 더욱이 단말기의 기능키를 눌러야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배경 등을 담은 자신의 영상을 멀리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손을 빌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홈 제어 네트워크 기술이 활성화되어 있는데,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또 다른 기능을 갖게 한다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타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에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20 : 이동통신 단말기(MS) 12,19 : 기지국(BTS)
13,17 : 교환기(MSC) 14,18 : 방문자위치등록기(VLR)
15 : 홈위치등록기(HLR) 16 : SMS 센터(SMSC)
21 : 전화기 22 : P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와 이격되어 있는 제어대상 단말기로, 상기 제어 단말기가 카메라 제어 명령을 포함한 메시지를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내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분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상하여 저장해 두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상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촬상된 영상을 SMS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해당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제어대상 단말기)를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 단말기(SMS 및 화상 전송 가능 단말기)로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해 제어하여, 제어대상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고, 아울러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와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도 해당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환경의 구성 예시도로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망에 부가적으로 공중전화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인터넷(internet) 등이 연동된 환경을 보여준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환경에서는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를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SMS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단말기(11)를 제어함으로써, 단말기(11)가 피사체를 촬상하고, 아울러 촬상한 영상을 자신이 지정한 특정 단말기 번호(즉,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로 전송하도록 하는 환경을 일예로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SMS 및 화상 전송 가능한 유무선망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 단말기(11)의 제어가 가능한 한 그 망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착신 단말기(11) 및 제어 단말기(20,21)는 SMS 및 화상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SMS 및 화상 가능한 일반 유선 전화기, 컴퓨터(PC)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대상 단말기(11)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로, SMS가 가능하고, 촬영된 화상의 전송이 가능하면 족하다. 그리고, 제어 단말기(20~22)는 SMS가 가능하고, 수신된 화상의 재생이 가능하면 족하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반적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11,20),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12,19),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17), 방문자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14,18),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5), 그리고 단문서비스 센터(SMSC : SMS Center)(16)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DMA 이동통신시스템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SMS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MS)(11,20)는 임의의 기지국(12,19)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1,20)의 정보는 기지국(12,19)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를 거쳐 교환기(13,17)에 전송되며, 교환기(13,17)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 제어기(BSC) 및 기지국(12,19)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1,20)로 전송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2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SMS 가능한 단말기이다. 문자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때, 모든 문자 정보는 SMS를 이용하는데, 수신시에는 이동착신(MT : Mobile Terminated) SMS를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ed) SMS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수신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시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통화중일 경우에는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20)에서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12,19) 및 기지국 제어기(BSC)를 통해 교환기(13,17)로 접속된다.
기지국(BTS)(12,19)은 이동통신 단말기(11,20)를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CU : Digital Channel Unit),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CU : Timing/Frequency Control Unit), 무선 주파수 장치(RFU : Radio Frequency Unit), 및 광역 측위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19)은 이동통신 단말기(11,20)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기지국(12,19)을 교환기(13,17)에 접속시켜 기지국(12,19)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19)과 교환기(13,17)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기(MSC)(13,17)는 방문자위치등록기(14,18)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15) 및 단문서비스 센터(16)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13,17)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2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방문자위치등록기(VLR)(14,18)는 이동통신 단말기(11,20)가 방문자위치등록기(14,18)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1,20)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11,20)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15)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기(13,17)에 실장된다.
홈위치등록기(HLR)(15)는 교환기(13,17) 및 단문서비스 센터(16)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기(13,17)와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20)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위치등록기(14,18)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단문서비스 센터(SMSC)(16)는 교환기(13,17), 홈위치등록기(15)에 연결되어 SMS 라우팅 기능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이제,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를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11)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SMS를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제어하여, 단말기(11)가 피사체를 촬상하도록 하고, 아울러 촬상된 영상을 자신이 지정한 특정 단말기 번호(즉,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를 위치시키고,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타 단말기(제어 단말기)(20~22)를 통하여 특정 문자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제어대상 단말기(11)로 보내게 되면, 제어대상 단말기(11)는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검색하여 문자메시지 내에 미리 약정된 특정 문자(제어코드와 유사함)가 있으면 그 특정 문자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여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다. 아울러,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는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와 이격된SMS 및 화상 가능한 단말기(20~22)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제어하기 위한 SMS를 송신한다. 이때, SMS내에는 사용자가 미리 약정한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메시지에 예를 들면 [카온 1,2,3]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었다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연속하여 3번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문자메시지에 [카온 (10),10]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10분 간격으로 10번을 촬영하게 된다.
한편, [카온 1,2,3,전송명령(예를 들면, return)]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었다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연속하여 3번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에 [카온 (10),10,전송명령(예를 들면, return]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10분 간격으로 10번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한다.
이렇게 약정된 문자가 포함된 SMS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우선 SMS내에 포함된 문자를 분석한 후, 문자에 의한 해당 동작을 수행하여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대상 단말기(11)와 이격된 제어 단말기(20~22)에서는 전송된 영상을 재생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동일 공간에서 카메라의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기능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유아를 기르는 여성을 경우, 유아의 침대앞에 제어대상 단말기(11)를 놓아 두고 외출하여 다른 단말기(20~22)를 통해 유아의 상태를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를 이격된 장소(동일 공간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상황임을 전제로 한다.
이후, 사용자가 카메라가 부착된 제어대상 단말기(11)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의 SMS 가능한 단말기(20~22)로 특정 문자(제어코드)를 포함한 SMS를 제어대상 단말기(11)로 전송한다(201).
상기 제어코드를 살펴보면, 문자메시지에 예를 들면 [카온 1,2,3]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었다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연속하여 3번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문자메시지에 [카온 (10),10]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10분 간격으로 10번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카온 1,2,3,전송명령(예를 들면, return)]이라는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었다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연속하여 3번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문자메시지에 [카온 (10),10,전송명령(예를 들면, return]이라는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영상을 10분 간격으로 10번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특정 문자가 포함된 SMS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대상 단말기(11)는 수신된 SMS내의 특정 문자를 분석한다(202,203).
분석 결과, 특정 문자(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문자메시지 전송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한다(204).
분석 결과, 메시지내에 특정 문자(촬영명령)가 포함되어 있으면, 정해진 특정 문자에 따라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하게 된다(205).
한편, 메시지내에 특정 문자(촬영명령+전송명령)가 포함되어 있으면, 정해진 특정 문자에 따라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하게 된다(205). 그리고, 촬영된 영상을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제어 단말기(20~22)로 전송한다(206).
그러면, 제어대상 단말기(11)와 이격된 제어 단말기(20~22)에서는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전송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에서 일정 거리에 떨어져서도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아울러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격지에서의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와 이격되어 있는 제어대상 단말기로, 상기 제어 단말기가 카메라 제어 명령을 포함한 메시지를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내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분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상하여 저장해 두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상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촬상된 영상을 SMS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해당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로, SMS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로, SMS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카메라 제어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SMS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제어대상 단말기와 이격되어, SMS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촬상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KR1020030024716A 2003-04-18 2003-04-18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KR20040090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16A KR20040090769A (ko) 2003-04-18 2003-04-18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16A KR20040090769A (ko) 2003-04-18 2003-04-18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69A true KR20040090769A (ko) 2004-10-27

Family

ID=3737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716A KR20040090769A (ko) 2003-04-18 2003-04-18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07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797A (ko) * 2004-02-16 2005-08-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 촬영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0049888A1 (en) * 2008-10-27 2010-05-06 Botha Conrad D Auvergne Memento photography
RU2629006C2 (ru) * 2015-07-31 2017-08-24 Сяоми Инк.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ура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797A (ko) * 2004-02-16 2005-08-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 촬영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0049888A1 (en) * 2008-10-27 2010-05-06 Botha Conrad D Auvergne Memento photography
RU2629006C2 (ru) * 2015-07-31 2017-08-24 Сяоми Инк.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ура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039023B2 (en) 2015-07-31 2018-07-31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telligent device between test mode and normal work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8215B (zh) 切换视频通话的系统、手机、电子装置及切换方法
US6839079B2 (en) Video-telephony system
KR10065191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서 착신전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62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연결 방법
US20080002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90769A (ko) 원격지에서의 카메라 부착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358166B1 (ko) 화상 휴대폰 장치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CN112335200B (zh) 生效时间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6340204A (ja) テレビ電話通信端末
KR1011101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수족관 관람 시스템 및방법
KR100547957B1 (ko) Sms 수신 일시보류 서비스 방법
US20020165015A1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buffer system and method
KR10084041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정지 영상 서비스 방법
KR100528786B1 (ko)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560232B1 (ko)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서비스 방법
CN115866750A (zh) 用户面定位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1682652B (zh) 用于创建归因于来自外部源的触发事件的动态电话页面的方法和装置
KR10044706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전환방법
KR2004009080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과 그시스템
KR10081024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방법
KR100449858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송채널을 이용한 개인 학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069399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7528647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网络侧设备及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