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786B1 -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786B1
KR100528786B1 KR20020088166A KR20020088166A KR100528786B1 KR 100528786 B1 KR100528786 B1 KR 100528786B1 KR 20020088166 A KR20020088166 A KR 20020088166A KR 20020088166 A KR20020088166 A KR 20020088166A KR 100528786 B1 KR100528786 B1 KR 10052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m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8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865A (ko
Inventor
이병술
박형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02008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7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786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단말기와 이격된 장소(원격지)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가 원격지의 제어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코드를 포함한 단문서비스(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제어코드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검색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SMS 메시지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검색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에 실린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mobile station remotely}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와 이격된 장소(원격지)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고,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저장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일정 정보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처리기기의 실예로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휴대단말기(PCS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 방법들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입력 혹은 단축키 등에 따른 해당 기능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지정한 후 소정 요구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거나, 단축키를 선택하면 단축키에 해당되는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구나, 최근에는 각 메뉴를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수행을 요구하는 기능이 있으면 그에 따른 해당 아이콘 선택을 이룬 후 해당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메뉴 선택을 통한 기능 수행 방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한 경우에는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집에서 회사에 두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집에 두고 회사에 출근한 경우 회사에서 집에 있는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다.
물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단말기를 분실하여 자신의 단말기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착신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call)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처럼 착신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알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정보(전화번호 등)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자신의 단말기에 특정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고 싶어도 자신의 단말기가 없으므로 나중에 자신의 단말기에 직접 저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와 이격된 장소(원격지)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가 원격지의 제어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코드를 포함한 단문서비스(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제어코드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검색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SMS 메시지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검색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에 실린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고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단말기를 분실하여 현재 자신의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정한 특정 단말기 번호로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등)를 전송하도록 하고, 특정 전화번호 등을 SMS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정한 특정 단말기 번호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전화번호, 스케쥴(일정관리), 메모 등)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SMS 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의 원격 검색 및 전송 기능)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시켜 놓은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 가능하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전화번호, 스케쥴(일정관리), 메모 등)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원격 제어(SMS 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의 원격 저장 기능)할 수 있어 추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번호, 스케쥴(일정관리), 메모 정보 등을 직접 저장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환경의 구성 예시도로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망에 부가적으로 공중전화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연동된 환경을 보여준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환경에서는 현재 단말기(11)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 단말기(11)내에 저장된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알람 등)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고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단말기를 분실하여 현재 자신의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 SMS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단말기(11)를 제어함으로써, 자신이 지정한 특정 단말기 번호(즉,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로 자신의 단말기(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등)를 전송하도록 하고, 특정 전화번호-이름, 스케쥴 등을 자신의 단말기(11)로 저장할 수 있는 환경을 일예로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SMS가 가능한 유무선망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 단말기(11)의 제어(정보 확인 및 저장)가 가능한 한 그 망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착신 단말기(11) 및 제어 단말기(20,21)는 SMS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SMS가 가능한 일반 유선 전화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반적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11,20),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12,19),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17), 방문자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14,18),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5), 그리고 단문서비스 센터(SMSC : SMS Center)(16)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DMA 이동통신시스템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SMS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MS)(11,20)는 임의의 기지국(12,19)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1,20)의 정보는 기지국(12,19)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 교환기(13,17)에 전송되며, 교환기(13,17)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12,19)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1,20)로 전송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2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문자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때, 모든 문자 정보는 SMS를 이용하는데, 수신시에는 이동착신(MT : Mobile Terminated) SMS를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ed) SMS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수신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시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통화중일 경우에는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20)에서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12,19) 및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교환기(13,17)로 접속된다.
기지국(BTS)(12,19)은 이동통신 단말기(11,20)를 기지국 제어기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CU : Digital Channel Unit),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CU : Timing/Frequency Control Unit), 무선 주파수 장치(RFU : Radio Frequency Unit), 및 광역 측위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19)은 이동통신 단말기(11,20)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기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기지국(12,19)을 교환기(13,17)에 접속시켜 기지국(12,19)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19)과 교환기(13,17)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기(MSC)(13,17)는 방문자위치등록기(14,18)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15) 및 단문서비스 센터(16)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13,17)는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2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방문자위치등록기(VLR)(14,18)는 이동통신 단말기(11,20)가 방문자위치등록기(14,18)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1,20)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11,20)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15)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기(13,17)에 실장된다.
홈위치등록기(HLR)(15)는 교환기(13,17) 및 단문서비스 센터(16)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기(13,17)와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20)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위치등록기(14,18)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단문서비스 센터(SMSC)(16)는 교환기(13,17), 홈위치등록기(15)에 연결되어 SMS 라우팅 기능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이제,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이격된 장소(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에 저장된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등)를 이용(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로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저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분실한 상황임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미소지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SMS를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제어하여,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에 저장된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등)를 이용(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로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는 임대용 단말기나 지인의 단말기 및 기타 가용한 단말기 등과 같은 SMS 가능한 단말기(20,21)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제어하기 위한 SMS를 송신한다. 이때, SMS내에는 사용자가 미리 약정한 제어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코드에는 "전화번호 검색 명령"과, "스케쥴 검색 명령(일정 관리 검색 명령)"과, "메모 검색 명령", "전화번호, 스케쥴, 이름 등의 정보 저장 명령"이 포함된다.
만약, 제어코드가 포함된 SMS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우선 SMS내에 포함된 제어코드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전화번호 검색 명령"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자신의 단말기(11)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SMS에 첨부된 "이름(예를 들면, 홍길동)"에 매핑된 전화번호를 찾아서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 물론, 사용자가 SMS에 전화번호를 전송하면, 전화번호에 매핑된 이름 혹은 상호명을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 "스케쥴 검색 명령"의 경우, 단말기(11)의 일정 관리 목록에 저장된 스케쥴 정보를 찾아서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 이때, 스케쥴 검색 명령은 시간별/일별 검색이 가능하므로, SMS에 "스케쥴 검색 명령" 제어코드와 함께 "검색시간" 혹은 "검색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 "메모 검색 명령"의 경우, 단말기(11)의 메모장에 저장된 메모 정보(예를 들면, "오후 2시 회의", "홍길동-전화번호(01x-xxx-xxxx)" 등)를 찾아서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
한편, 검색 명령 외에도, "전화번호, 스케쥴, 이름 등의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SMS에 첨부된 "이름(예를 들면, 홍길동)-전화번호(01x-xxx-xxxx)" 혹은 "오후 2시에 회의" 등과 같은 정보를 상기 메모장에 저장해 둘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원격지의 단말기(11)에 저장된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메모 등)를 이용(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분실한 상황임을 전제로 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이 단말기(11)를 미소지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자신의 단말기(11)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의 SMS 가능한 단말기(20,21)로 제어코드를 포함한 SMS를 제어 대상 단말기(11)로 전송한다(201).
상기 제어코드에는 "전화번호 검색 명령", "스케쥴(일정관리) 검색 명령", "메모 검색 명령", "정보(전화번호, 스케쥴, 이름 등) 저장 명령"이 포함된다.
이후, 제어코드가 포함된 SMS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 대상 단말기(11)는 수신된 SMS내의 제어코드를 분석한다(202).
분석 결과, "전화번호 검색 명령"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자신의 단말기(11)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204), SMS에 첨부된 "이름(예를 들면, 홍길동)"에 매핑된 전화번호를 찾아서 SMS 콜백번호(Call Back Number)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210). 물론, 사용자가 SMS에 전화번호를 전송하면, 전화번호에 매핑된 이름 혹은 상호명을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MS에 실린 전화번호(xxx-xxxx)에 대응되는 상호명(예를 들면, "큐리텔" 등)을 SMS로 하여 콜백번호로 전송한다.
분석 결과, "스케쥴(일정관리) 검색 명령"의 경우, 단말기(11)의 일정 관리 목록에 저장된 스케쥴 정보를 찾아서(206)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210). 이때, 스케쥴 검색 명령은 시간별/일별 검색이 가능하므로, SMS에 "스케쥴 검색 명령" 제어코드와 함께 "검색시간(예를 들면, 2시)"이 입력되면, 금일 2시에 잡힌 스케쥴(예를 들면, 회의 참석 등)을 SMS로 하여 콜백번호로 전송한다. 만약, SMS에 "스케쥴 검색 명령" 제어코드와 함께 "검색일(예를 들면, 12월 25일)"이 입력되면, 12월 25일에 잡힌 스케쥴(예를 들면, 회의 참석, 업체 방문 등) 전부를 SMS로 하여 콜백번호로 전송한다.
분석 결과, "메모 검색 명령"의 경우, 단말기(11)의 메모장에 저장된 메모 정보(예를 들면, "오후 2시 회의", "홍길동-전화번호(01x-xxx-xxxx)" 등)를 찾아서(208)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210).
분석 결과, 기 정의된 명령 이외의 제어 명령에 대해서는, 검색 실패 메시지를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210).
상기 메모장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1)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원격지에서도 입력이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원격지의 단말기(11)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이름, 스케쥴, 메모 등)를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집에 두고 출근하거나 회사에 두고 퇴근하는 경우처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한 상황임을 전제로 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이 단말기(11)를 미소지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자신의 단말기(11)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의 SMS 가능한 단말기(20,21)로 제어코드를 포함한 SMS를 제어 대상 단말기(11)로 전송한다(301).
다음으로, 제어코드가 포함된 SMS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 대상 단말기(11)는 수신된 SMS내의 제어코드를 분석한다(302).
분석 결과, "정보 저장 명령"의 경우(303), 이동통신 단말기(11)는 SMS에 첨부된 "이름(예를 들면, 홍길동)-전화번호(01x-xxx-xxxx)" 혹은 "오후 2시에 회의" 등과 같은 정보를 메모장에 저장한 후(304), 무사히 저장이 완료된 경우(305) 저장 성공 메시지를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하고(306), 저장에 실패한 경우(305) 저장 실패 메시지를 SMS 콜백번호의 해당 SMS 가능한 단말기(제어 단말기)(20,21)로 전송한다(30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경우(즉, 단말기를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하거나 분실한 상황 등)에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켜 놓은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나중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저장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환경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20 : 이동통신 단말기(MS) 12,19 : 기지국(BTS)
13,17 : 교환기(MSC) 14,18 : 방문자위치등록기(VLR)
15 : 홈위치등록기(HLR) 16 : SMS 센터(SMSC)
21 : 전화기

Claims (3)

  1.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가 원격지의 제어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코드를 포함한 단문서비스(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제어코드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검색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SMS 메시지를 통하여 콜백번호의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검색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상기 SMS 메시지내의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에 실린 해당 전화번호/스케쥴(일정관리)/메모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KR20020088166A 2002-12-31 2002-12-31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52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8166A KR100528786B1 (ko) 2002-12-31 2002-12-31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8166A KR100528786B1 (ko) 2002-12-31 2002-12-31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65A KR20040061865A (ko) 2004-07-07
KR100528786B1 true KR100528786B1 (ko) 2005-11-15

Family

ID=3735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88166A KR100528786B1 (ko) 2002-12-31 2002-12-31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7813C (zh) * 2004-09-28 2008-02-06 国际商业机器公司 移动电话及其控制方法
CN102572113A (zh) * 2012-02-17 2012-07-1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从文本中提取联系人信息进行手机操作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65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451A (en) Location based method of and system for forwarding wireless telephone calls
CN1745567B (zh) 从无线通信设备自动通知个人应急联系人
CN100579144C (zh) 向来电者提供用户可选状态指示的系统和方法
EP0899974A2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to a mobile station
CN101646165B (zh) 携号转网业务的通话方法、系统以及移动交换中心
EP0910223A2 (en) Mobile radio terminal with SMS function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863861B2 (ja) Gsm端末機のsmsメッセージ格納方法
JP2002142254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方法
JP2007251332A (ja) 移動体通信端末、着信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28786B1 (ko) 원격지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US20020085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scheduling
KR100556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CN101690148A (zh) 移动网络架构中无法复机报文的处理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JP2005348233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ならびに携帯電話装置,中継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JPWO2008053836A1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CN101682652B (zh) 用于创建归因于来自外部源的触发事件的动态电话页面的方法和装置
KR100587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사서함 메뉴 목록 제공 방법
KR200600566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방법
JPH11351903A (ja) 簡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011982A (ko) 발신번호 별 선택적 착신 전환 및 자동 연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45643B1 (ko) 무선휴대통신 단말기 위치 및 상태의 이모티콘 표시 방법
KR20040054065A (ko) 그룹 통화 기능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