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852A -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 Google Patents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852A
KR20040088852A KR1020030023253A KR20030023253A KR20040088852A KR 20040088852 A KR20040088852 A KR 20040088852A KR 1020030023253 A KR1020030023253 A KR 1020030023253A KR 20030023253 A KR20030023253 A KR 20030023253A KR 20040088852 A KR20040088852 A KR 2004008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n
gas
cupping
detection sens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484B1 (ko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2003-002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4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항을 시술시에 부항용기안에 있는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인체안의 찌꺼지 및 질소,산소,이산화탄소등(이하 독소나 가스등으로 표기)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부항용기안의 공기중에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항 시술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한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하므로 사용자의 몸상태 및 치료효과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부항치료의 혁신적인 발명이다.
본 발명은,부항용기(70)의 공기밸브(75) 상부가 유도관(41b)으로 서로간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또한 피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있는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해 측정하여 상기 몸체(10)안에 설치된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0) 일측에 독소나 가스등 검출기연결단자(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 연결단자(200)와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컨넥터(5000b,5000a)와;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omitted}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항을 시술시에 부항용기안에 있는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인체안의 찌꺼지 및 질소,산소,이산화탄소등(이하 독소나 가스등으로 표기)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부항용기안의 공기중에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항 시술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한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하므로 사용자의 몸상태 및 치료효과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부항치료의 혁신적인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는 환부에 생성된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거나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 공기밸브가 결합된 부항용기와, 상기 부항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일측에 결속관이 돌설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흡기용 부항기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항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부항용기로 환부를 덮은 다음, 상기 부항기기를 상기 부항용기 상단의 공기밸브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항기기에 구비된 작동손잡이를 작동시키면 수동펌프가 펑핌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밸브가 개방되면서 부항용기 내부의 공기가 빨려나오게 됨으로써, 환부에덮인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손잡이의 작동을 중단시키면, 펌프의 작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밸브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부항용기에 의하여 덮인 환부가 부항 내부로 강하게 흡착됨으로써, 환부의 고름이나 이상혈액이 부항용기 내부로 용출되게 되어 환부가 치료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 한의학 치료중 중요한 치료기기인 부항기는 모든 한의사 및 가정에서 조차 애용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닌데 이때 그 부항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그냥 막연히 부항이니깐 혈액순환에 좋다 그렇게만 믿고 시술하게 됨으로 언제까지 부항을 시술해야하는지 도대체 부항치료를 통하여 우리몸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는 전혀 알수가 없어서 부항기의 치료효과는 막연하기만 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막연한 시술은 동양의학의 발전을 퇴보시킴과 동시에 동양의학의 과학화를 지연시키게 된다.
피부의 표면적은 보통 성인이 약 1.6평방미터 정도이다. 이 피부가 허파의 숨쉬기처럼 숨을 쉬고 있다지만 그처럼 많은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못쓰게 된 지방 찌꺼기나 약한 산성인 땀, 가스를 내보내는 것이다
그런일은 땀샘과 기름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땀샘은 적은 땀샘과 큰 땀샘이 있고 작은 땀샘은 피부표면에 약200만개나 있어 수소지수(산성의 원인이 되는 수소이온의 농도 순수한 물인 경우 중성은 7이고 7이하는 산성이며 7이상은 알카리성이 된다)가 4.5 ~ 6.5의 약산성인 보통의 땀을 내보내면서 항상 몸안의 가스를발산하여 허파 숨쉬기에서 다하지 못한 이산화탄소등 몸안의 해로운 가스를 내보내고 있다.
이때 피부의 표면은 항상 1기압(760mmb)안팎의 기압으로 싸여 표면의 일부에서 1기압을 없애면 진공상태가 되어 몸안의 세포조직에 쌓인 못쓰게 된 찌꺼기나 가스가 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사람의 몸은 체액은 7.3 ~ 7.5의 약 알칼리성을 유지하고 있는데 병적상태가 되면 산성체질이 되고 그러면서도 병이 있는 부위는 강 알칼리 상태 즉, 병적 알칼로이즈로 나타난다
정맥을 흐르는 피는 7.2~7.3이고 동맥의 피는 7.3~7.5가 되는데 숨쉬기로 통해서 7.2~7.3인 정맥의 피를 수소지수 7.3~7.5인 동맥의 피로 맑혀서 목숨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 수소 지수의 차이는 겨우 0.2~0.3이지만은 이것이 생명을 이어가는 원동력이다. 만일 이 작용이 없으면 몸 안에 병을 고치는 힘도 생기지 않고 수술같은 것을 해도 소용없다.
이 숨쉬기는 사람이 억지로 하는게 아니고 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본능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 숨쉬기가 멎으면 금방 피 속에 산소가 모자라져서 동맥의 수소 지수가 무너져 죽게 된다. 그와 같이 극히 평범하지만 이 숨쉬기로 피를 맑게 하는 일이야말로 몸 안에 병고치는 힘을 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흡기(吸氣)에는 산소의 분량이 20.9%, 호기(呼氣)에는 16%가 들어 있어서 흡기의 산소보다 호기의 산소가 약 4% 줄어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탄산가스)는 흡기에 0.03% 있었는데 호기에는 4%로 불어나 있다. 이 사실은 숨쉬기에 의해서 피 속의 이산화탄소를 빼앗고 반대로 산소를 공급하여 얼마간 피의 PH를 알칼리쪽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작용이 없다면 살수가 없으므로 숨쉬기야말로 살아가는데 절대 조건이다.
이와 같이 아주 평범하면서 살아가는 데에 크나큰 힘이 되는 것이 숨쉬기이다. 그 숨쉬기에 의한 가스 교환은 폐포(肺胞;숨관이 폐 속에 들어가 잘게 갈라진 맨 끝의 주머니 모양 부분, 그 둘레에 모세 혈관이 무수히 얽혀 피 속의 탄산가스를 폐포속으로 쏟아 넣고 폐포속의 산소를 취한다. 폐포의 지름은 0.15~0.3mm. 사람의 폐포 수는 4억 4,400만개)에서 이루어진다. 위의 그림과 같이 폐동맥에서 보낸 피 속의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폐포의 안보다 높기 때문에 폐포막을 뚫고 폐포속으로 들어간다.
한편, 흡기로 폐포 안에 들어온 산소의 압력은 폐정맥 안보다 높기 때문에 폐포막을 뚫고 폐정맥으로 빨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피 속의 이산화탄소(탄산가스)와 산소가 교환됨으로서 피가 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 원리를 따라 피부 표면에서 물리적으로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몸 안의 액체에서 더러워진 가스를 몸밖으로 뽑아내어 피를 맑게 하는 것이 예로부터 널리 사용하여 온 부항 원리의 특징이다.
따라서 부항을 시술시 부항용기안의 공기중에 피부로부터 나온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등을 알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며 동양의학의 발전이며 또한환자에게는 보다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므로 치료효과의 극대화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실제 적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몸체내부에 적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0a:배기홀, 11:노즐부, 12:디스플레이부, 25:작동스위치, 30:제어부, 35:릴레이,
40:펌프, 41:흡기관, 42:배기관, 50:부저, 60:타임제어부, 65:타임표시부, 70:부항용기,
75:공기밸브, 100 :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량 표시부 C :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준비 표시부,
C1 : 독소나 가스등이 발생하여 경고표시부, 5000 :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 200 :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 연결단자, B :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 작동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부항용기(70)의 공기밸브(75) 상부가 유도관(41b)으로 서로간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또한 피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있는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해 측정하여 상기 몸체(10)안에 설치된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0) 일측에 독소나 가스등 검출기연결단자(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 연결단자(200)와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컨넥터(5000b,5000a)와;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 스위칭수단, 제어부(30) 및 펌프(40),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편리에 따라 여러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벽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고, 일측에 노즐부(11)와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연결단자(200)가 돌설 및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부(11)는 부항용기(70) 공기밸브(75)의 상부와 유도관(41b)으로 서로간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의 주둥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 장치연결단자(200)는 피부를 통하여 배출된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있는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을 하기 위하여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장착한 부항용기(70)안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1과 도2와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 연결단자(200)와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컨넥터(5000b,5000a)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40)는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용을 하는 전기펌프로서, 흡기관(41)과 배기관(42)을 갖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흡기관(41)은 유도관(41a)을 경유하여 상기 노즐부(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출력단에는 전원스위치(SW)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의 전압 출력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시 전원표시등(13)이 점등됨으로써, 전원스위치(SW)가 온 스위칭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Vc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10)에 내장되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Vcc)를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전하량 표시용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일측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 구동용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를 구비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하여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펌프(40)에 인가하여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펌프(40)는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펌프(40)가 흡기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인가하여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은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나온 찌꺼지 및 모든 독소나 가스등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측정독소나 가스등에 따라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부항용기 속의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나온 찌꺼지 및 모든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하는데 이때 반도체 타입으로 Think film type의 금속산화물 반도체인 SnO2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하부 및 내부등에 발열체 즉 히팅장치 및 히팅저항을 내장하여 발열량이 일정하게 나타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부항용기(7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 5와 같이 상기 몸체(10)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 및 가스등이 유도관(10000b)을 통해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연결단자(200)를 거쳐서 유도관(10000c)를 통하여 외부로 빠지지 못하고 직접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측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때에도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사용자의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의 종류에 따라 교환될 수 있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부항용기(70)안의 피부를 통하여 발생한 공기중의 찌꺼지 및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해서 측정하게하고, 측정된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및 데이터를 전송 받은후에 다시 입력된 농도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표시부(100)에 전기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를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표시부에 표시하게 한다.
이때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가 디지털로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표시부(100)와 동작 모드 표시용 발광램프(C,C1)가 설치된다. 이때 발광램프(C)는 측정준비 표시용이고 발광램프(C1)는 독소나 가스등이 발생하여 경고표시용이다.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표시부와 동작모드표시용 발광다이오드는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그 작동 및 전원공급등을 제어 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서 측정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가 미리 설정해놓은 농도와 비교하여 값이 높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발광램프(C')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오게하고 반대로 값이 낮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발광램프(C)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오게 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촉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10) 일측에는 부저(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저(50)는 상기 전원스위치(SW), 작동스위치(25,B)가 작동될 때마다 소정의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30)에 연결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조종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타임제어부(60)와 타임표시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임제어부(60)에는 10분 단위버튼(61), 1분 단위버튼(62) 및 시작/정지버튼(6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 단위버튼(61) 및 1분 단위버튼(6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씩 또는 1분씩 증가된 시간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감소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두번째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의 설정된 시간이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상기 타임제어부(60)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제로(0)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압부(5)는 상기 제어부(30),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작동스위치(25,B)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입력받고 소정의 저전압(5V)으로 감압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갖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Vcc)를 온 스위칭시키면,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펌프(4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35)까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전압이 감압부(5)를 거쳐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된 후,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독소나 가스등 검출센서(5000), 타임제어부(60) 등에 인가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Vcc)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에 밀착시킨 부항용기(70)의 공기밸브(75)에 상기 몸체(10)의 노즐부(11)와 서로간에 유도관(41b)으로 긴밀하게 결속시키고 부항용기(70)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상기 몸체(10)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연결장치(200)와 연결한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됨으로써, 펌프(40)가 펌핑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항용기(7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밸브(75), 노즐부(11), 유도관(41a) 및 흡기관(41)을 거쳐 흡입되게 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인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노즐부(11)와 상기 공기밸브(75)간에 서로간에 연결된 유도관(41b)를 분리시킨다. 이때 부항용기(70)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공기밸브(75)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70) 내부의 진공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게 되며, 따라서, 환부에 생성된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고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부항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의 작동스위치(B)를 누르면 상기 부항용기(70) 내부에 부항의 음압을 통하여 피부를 통해 발생한 공기중의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하여 측정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0)에서는 그 측정된 농도 및 데이터를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량 표시부(100)에 나타나게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펌프(40)의 펌핑작용은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킬 때마다 반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수회에 걸쳐서 상기 펌프(40)가 펌핑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 부저(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SW), 작동스위치(25,B)가 작동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부저(5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로 소정의 작동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부항용기(7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상기 펌프(40)의 배기관(42)을 통하여 배출된 후, 상기 몸체(10)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홀(1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10)를 경유하는 배출공기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각 전자장치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항용기(70) 내부를 진공상태 만들어 환부가 부항용기(70) 내부로 강하게 흡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노즐부(11)를 상기 공기밸브(75) 서로간에 연결된 유도관(41b)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타임제어부(60)를 조절하여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소정의 시간이 설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타임제어부(60)의 시작/정지버튼(63)을 작동시키면,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count down) 되면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표시된 시간이 제로(0)가 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 부저(50)를 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의 시간동안 부항을 놓았음은 인지하고 환부에 압착되어 있는 부항용기(70)를 제거하여 부항작업을 종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항용기(70) 내부를 진공상태 만들어 환부가 부항용기(70) 내부로 강하게 흡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노즐부(11)와 상기 공기밸브(75)간에 서로간에 연결된 유도관(41b)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의 작동스위치(B)를 누르면 상기 부항용기(70) 내부에 부항의 음압을 통하여 피부를 통해 발생한 공기중의 독소나 가스등이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하여 측정시작하게되고 그 측정된 농도 및 데이터는 상기제어부(30)로 전송되는데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을 통하여 측정된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및 데이터를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량 표시부(100)에 나타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서 측정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가 미리 설정해놓은 농도와 비교하여 값이 높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발광램프(C1)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1)에 불이 들어오게하고 반대로 값이 낮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발광램프(C)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량표시부(100)의 수치를 보고 제로 "0" 가 될 때까지나 상기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올때까지 꾸준히 지속적으로 계속하여 부항을 시술하게 되는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항을 시술시에 부항용기안에 있는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인체안의 찌꺼지 및 질소,산소,이산화탄소등(상기 독소나 가스등으로 표기)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부항용기안의 공기중에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항 시술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한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하므로 사용자의 몸 상태 및 치료효과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부항치료의 혁신적인 발명이다

Claims (11)

  1. 부항용기(70)의 공기밸브(75) 상부가 유도관(41b)으로 서로간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또한 피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있는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해 측정하여 상기 몸체(10)안에 설치된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0) 일측에 독소나 가스등 검출기연결단자(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 연결단자(200)와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컨넥터(5000b,5000a)와;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와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전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하여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펌프(40)에 인가하여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펌프(40)는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펌프(40)가 흡기작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인가하여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의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가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작동을 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타임조정부와 타임표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타임조정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 및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은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에 피부를 통하여 나온 찌꺼지 및 모든 독소나 가스등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측정독소나 가스등에 따라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하부 및 내부등에 발열체 즉 히팅장치 및 히팅저항을 내장하여 발열량이 일정하게 나타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부항용기(7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 5와 같이 상기 몸체(10)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 및 가스등이 유도관(10000b)을 통해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장치연결단자(200)를 거쳐서 유도관(10000c)를 통하여 외부로 빠지지 못하고 직접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측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때에도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는 사용자의 원하는 부항용기(70)안의 공기중 독소나 가스등의 종류에 따라 교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부항용기(70)안의 피부를 통하여 발생한 공기중의 찌꺼지 및 독소나 가스등을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를 통해서 측정하게하고, 측정된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및 데이터를 전송 받은후에 다시 입력된 농도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표시부(100)에 전기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를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표시부에 표시하게 한다. 이때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가 디지털로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표시부(100)와 동작 모드 표시용 발광램프(C,C1)가 설치된다. 이때 발광램프(C)는 측정준비 표시용이고 발광램프(C1)는 독소나 가스등이 발생하여 경고표시용이다.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 표시부와 동작모드 표시용 발광다이오드는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그 작동 및 전원공급등을 제어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검출센서(5000)에서 측정한 상기 독소나 가스등의 농도가 미리 설정해놓은 농도와 비교하여 값이 높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발광램프(C')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오게하고 반대로 값이 낮으면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발광램프(C)에 인가하여 발광램프(C)에 불이 들어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KR10-2003-0023253A 2003-04-12 2003-04-12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KR10051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253A KR100518484B1 (ko) 2003-04-12 2003-04-12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253A KR100518484B1 (ko) 2003-04-12 2003-04-12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852A true KR20040088852A (ko) 2004-10-20
KR100518484B1 KR100518484B1 (ko) 2005-10-04

Family

ID=3737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53A KR100518484B1 (ko) 2003-04-12 2003-04-12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35B1 (ko) * 2007-04-23 2007-08-09 비엔피전자주식회사 부항 영상 검출 장치
KR101098049B1 (ko) 2010-03-12 2011-1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피부 혈색소 측정이 가능한 다채널 음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484B1 (ko) 200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2558C (en) Pressure sensing device with test circuit
US20010014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n event at a desired point in the breathing cycle
US11752277B2 (en) Nebulization device having dual modules
WO20040239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tic gas analysis
US20090050139A1 (en) Liquid medicine ejection device
CN218391088U (zh) 一种多呼吸道的气体检测系统
KR100518484B1 (ko)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부항기
KR100518485B1 (ko)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슴 및 경락 마사지기
KR100549426B1 (ko) 피부를 통해 배출되는 독소나 가스등의 측정장치
KR100528830B1 (ko) 혈액등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부항기
KR20210048956A (ko) 구형 타액 혈당 측정기
CN107014877B (zh) 一种动态连续血糖监测系统
CN106093122B (zh) 臭氧浓度感测方法及臭氧消毒方法
KR20040088855A (ko) 독소나 가스등을 측정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기
KR102197188B1 (ko) 코 흡입기
CN212698859U (zh) 一种便于清洗的高原儿童肺功能仪
CN108578865B (zh) 一种多功能病人吸氧设备
FR3118694A1 (fr) Boitier autonome de monitorage d’une ventilation délivrée pendant une réanimation cardio-pulmonaire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JPH06121785A (ja) 気道過敏性測定システム
CN218631025U (zh) 一种提示关闭麻醉气体挥发罐的报警装置
CN211381359U (zh) 医用肺功能测试仪
CN115040166A (zh) 胃幽门螺旋杆菌吹气袋装置及应用方法
KR100387959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
KR20010065024A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