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111A -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111A
KR20040087111A KR1020030021367A KR20030021367A KR20040087111A KR 20040087111 A KR20040087111 A KR 20040087111A KR 1020030021367 A KR1020030021367 A KR 1020030021367A KR 20030021367 A KR20030021367 A KR 20030021367A KR 20040087111 A KR20040087111 A KR 20040087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ataract
mice
asc
recombinant plasm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647B1 (ko
Inventor
이재운
이한웅
Original Assignee
(주)지노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노첵 filed Critical (주)지노첵
Priority to KR10-2003-002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6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 보조활성자인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발현시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전기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은 (ⅰ) ASC-2 단백질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작제하는 단계; (ⅱ) 전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마우스의 수정란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ⅲ)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수정란을 발생시켜 형질전환 마우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수득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백내장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그의 원인규명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Mouse as Model for Cataract and a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사 보조활성자인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발현시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전기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이란 눈 속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증상으로, 눈동자의 속이 희게 보이는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수정체 혼탁을 일으키는 원인과 혼탁의 모양, 위치 또는 정도에 따라서 선천성과 후천성, 정지성과 진행성으로 구분된다. 백내장 중 선천성인 백내장은 대부분 정지성이고, 임신 초기에 임산부가 풍진 등에 감염되거나, 유전적인 원인 등으로 발병하며, 후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진행성이고, 외상, 당뇨병, 내분비 이상(테타니 백내장), 방사선 장애, 노인성 백내장을 비롯하여 홍채모양체염, 녹내장, 망막색소 변성증 등 다른 눈조직의 질환을 원인으로 발병한다. 발병 초기에는 시력장애가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 않지만, 비문증(飛蚊症)이나 안정(眼精)의 피로 등을 느낄 수 있고, 복시(複視)나 다시(多視)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점차로 시력이 약해져 나중에는 명암만을 알게 되고 실명상태로 되는게 일반적이다. 이 기간은 흔히 수년에서 십수년에 이르며, 당뇨병에 의한 것은 경과가 빠르고, 외상성인 것은 수일 내로 실명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다.
현재, 백내장 치료를 위한 수술요법과 약물요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수술요법의 경우, 수술 후 시력회복의 정도는 수정체뿐만이 아니라 각막, 초자체, 망막 등 우리 눈의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백내장 수술은 수정체에만 해당되는 수술이므로, 수정체 외의 다른 병증에 의한 병발 백내장은 수술만으로는 회복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약물요법의 경우, 카탈린, 카타크롬, 타티온, 비타파울, 루브요리트 등의 점안약이 사용되거나, 비타민 C, 요오드제, 타액선호르몬 등의 내복, 주사 등이 시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약물요법은 진행속도를 더디게 하는 역할만 할 뿐이어서 실질적인 백내장 치료효과는 기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백내장 치료를 위한 적절한 약물이 개발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주요하게는 아직까지 백내장의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는 점과 치료제 개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동물모델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백내장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적절한 질환 동물모델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백내장 치료제 개발을 위한 백내장 질환 동물모델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전사보조활성자인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작제하고, 전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마우스의 수정란에 도입한 후, 그를 발생시키면, 생산된 형질전환 마우스가 백내장 질환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사 보조활성자인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발현시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야생형 마우스 및 DN1 TG 마우스의 눈의 세부 절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배발생 단계에서의 DN1 TG 마우스의 눈의 절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눈에서의 핵밀도 및 BrdU 삽입량을 통하여 눈에서의 세포증식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DN1과 다양한 전사 보조활성자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은 (ⅰ) ASC-2 단백질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작제하는 단계; (ⅱ) 전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마우스의 수정란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ⅲ)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수정란을 발생시켜 형질전환 마우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수득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은 50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DN1(서열번호 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플라스미드와 수정란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pCAGGS 플라스미드와 FVB주 마우스의 수정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와 그의 자손 마우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백내장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그의 원인규명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생체내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전사 보조활성자들에 주목하였다. 전사 보조활성자들은 전사인자와 관련되어 있는데, 특이적인 DNA-결합활성이 없는 전사 보조활성자는 전사활성에 필수적이고, 핵 수용체 C-말단의 리간드-의존적 전사활성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다수 단백질의 분리에 유용하다. 현재까지, p160군, CBP/p300, P/CAF, TRAP/DRIP 등의 다양한 전사 보조활성자가 알려져 있는데, 특히, ASC-2는 최근 분리된 단백질로, 암 조직에서 유전자 증폭되어 과다발현되고, 핵 수용체, AP-1, NFκB, SRF 및 다양한 전사인자 등에 의한 전사활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ASC-2의 활성을 억제하여, 그에 의한 표현형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ASC-2는 그의 표적이 되는 전사인자는 다수 존재하는 반면, 상동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SC-2 유전자가 결실된 마우스는 발생 초기단계에서 치사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일반적인 유전자 표적 접근법이 아니라 생체내 ASC-2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네가티브 단편을 발현시켰다. 먼저, ASC-2가 그의 표적과 결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부위들을 조사하여 ASC-2 N-말단의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부위가 눈과 관련된 다양한 핵수용체들과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ASC-2 N-말단의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DN1 단편을 마우스의 수정란에서 발현시키고, 그를 발생시켜 형질전환 마우스를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마우스의 표현형을 분석하여 백내장이 나타난 마우스를 선별하고, 전기 마우스를 몇 세대 발생시켜 백내장 증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전기 백내장 질환 마우스로부터 수득된 수정란인 "퍼틸라이즈드 에그 프럼 DN1 트랜스지닉 마이스(Fertilized eggs from DN1 transgenic mice)"를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에 소재하는 국제기탁기관인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 은행에 2003년 2월 3일자로 기탁번호 KCTC 10419BP로 기탁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형질전환 마우스의 생산
DN1(ASC-2의 N-말단의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잔기 849-929, 서열번호 1) 및 DN1/m(N-말단의 LXXLL 모티프 중 아미노산 잔기 909-910에 해당하는 LL을 AA로 변이시킨 DN1)을 암호화하는 DN1 DNA 단편(참조: 서열번호 2) 및 DN1/m DNA 단편을 인간 CMV(cytomegalovirus)-관련 인핸서(enhancer)에 연결된 닭의 β-액틴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포유류 발현벡터인 pCAGGS(참조: Niwa, H. et al., Gene, 108, 193-199, 1991)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DN1/pCAGGS와 DN1/m/pCAGGS를 작제한 다음, FVB주 마우스의 수정란으로 극미주사하였다(참조: Jhun, B.H. et al., Mol. Cell. Biol., 14, 7466-7475, 1994). 전기 수정란을 발생시켜 수득한 형질전환 마우스의 유전자형을 유전체 DNA의 PCR 분석에 의한 꼬리생검법에 의하여 결정하고, 도입된 유전자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후, 여러 조직에서 편재적으로 DN1 또는 DN1/m을 발현하는 마우스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각각 "DN1 TG 마우스" 및 "DN1/m TG 마우스"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형질전환 마우스의 표현형 분석
전기 실시예 1에서 생산된 DN1 TG 마우스와 DN1/m TG 마우스의 표현형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DN1 TG 마우스는 여러 생체기관에서 병리학적 이상현상을 나타냈지만, DN1/m TG 마우스는 야생형과 표현형이 다르지 않았다(참조: 표 1).
표 1: DN1 TG 마우스의 표현형적 특성
표현형 이상 형질전환 마우스 DN1 TG
#54 #71 #84 #87 #104
배아의 눈- 소형눈(microphthalmia)- 망막형성 장애: 망막의 접힘 현상- 공막의 부분결손(thinner or missing)- 수정체핵후막(retrolenticular membrane)- PHPV- 백내장성체의 눈- 후부 원추수정체- 백내장- 소형눈- 망막형성 장애- 공막의 부분결손- 수정체핵후막- PHPV +*+*+*+*+*+*+*+*+*+*+*+*+* -------+¶+¶---- +*+*+*+*+*+*+*+*+*+*+*+*+* NANANANANANANA+§+§NANANANA -------+¶+¶----
심장배아의 심장- 심실 격막 결함성체의 심장- 심방 혈전증- 비대증- 전도작용 결함 ND--- ND+++ +--- ND++ND ND+++
호흡기- 폐 저형성(hypoplasia)- 폐 출혈(congestion)- 폐 염증 --- +++ --- +++ +++
: 지방간 - + - + +
흉선 위축: 발육부전(agenesis) - + - + +
비장 위축 - + - + +
방광 수증(hydrops) - + - + +
신장 저형성 - + - + +
뇌하수체 적화(redness): 팽창 - + - + +
부신선 적화 - + - + +
운동 결함: 로타-로드 활성결함 + ND + ND ND
상기의 표 1은 DN1 TG 마우스에서 관찰된 표현형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형질전환 마우스의 숫자는 5마리의 DN1 TG 마우스에게 각각 붙여진 계통번호이고, §는 양눈 백내장과 소형눈을 모두 가진 개체, ND는 결과가 결정되지 않은 개체, NA는 눈이 없어서 조사가 불가능한 개체, *는 양눈 또는 한쪽눈의 결함, ¶는 한쪽눈 결함을 나타낸다. 표 1에서 보듯이, DN1 TG 마우스는 눈, 심장, 신장, 부신선 등의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병리학적 이상현상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54, #84 및 #87 마우스는 눈에 있어서 표현형적으로 완전한 결함을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54 마우스는 다른 기관에서는 아무런 이상을 나타내지 않고 오직 눈에서만 결함을 나타내었으며, 완전한 백내장 증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ASC-2와 핵 수용체 간의 상호작용을 DN1이 저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며, 배아와 성체의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ASC-2가 생체 내에서 핵수용체의 발생학적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표현형적 특징에 상응되는 핵 수용체를 통하여 DN1에 의하여 조절되는 핵 수용체를 예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심장의 격막폐쇄 이상은 레티노이드 X 수용체(RXR)α유전자의 결실에서 기인한다는 사실과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심장에서의 다른 결함은 RXRα 외의 다른 핵 수용체와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완전한 백내장 증상을 나타내는 전기 #54 마우스로부터 수득된 수정란을 "퍼틸라이즈드 에그 프럼 DN1 트랜스지닉 마이스(Fertilized eggs from DN1 transgenic mice)"로 명명하고,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에 소재하는 국제기탁기관인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 은행에 2003년 2월 3일자로 기탁번호 KCTC 10419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3: 형질전환된 마우스 눈의 조직학적 분석
실시예 3-1: 형질전환된 마우스의 눈 분석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모든 DN1 TG 마우스의 눈에서는 백내장과 후부 원추수정체 증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마우스의 눈을 보다 자세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DN1 TG 마우스와 야생형 마우스의 출생직후의 새끼 마우스로부터 눈을 적출하여 10% 포름알데히드에 고정시키고, 파라핀 사이에 삽입하여 4μm 두께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H&E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참조: Serrano, M. et al., Cell, 85: 27-37, 1996).
도 1은 야생형 마우스 및 DN1 TG 마우스의 눈의 세부 절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서, a와 b는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의 눈, c와 d는 야생형 마우스와 백내장을 가진 DN1 TG 마우스 눈의 빛선(slit lamp), e와 f는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눈의 절편, g와 h는 H&E 염색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수정체의 적도부분, i와 j는 H&E 염색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의 후부캡슐, k는 H&E 염색한 수많은 공포(참조: 화살표)를 갖는 DN1 TG 마우스 후부원추수정체, l은 H&E 염색한 시신경과 수정체의 후부부분 간의 지속적인 융합현상을 보여주는 DN1 TG 마우스 눈, m은 l에 표시된 사각부분의 확대, n과 o는 H&E 염색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의 망막, p는 눈이 없는 DN1 TG 마우스를 나타내며, e와 i에서 eq는 적도부분, pc는 후부 수정체캡슐, m에서 화살표는 세포질 부분,m,n 및 o에서 ln은 수정체, on은 시신경, rt는 망막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듯이, 백내장과 후부 원추수정체 증상을 가지는 DN1 TG 마우스의 눈은 후부캡슐과 망막 등에서의 이상장애를 나타내고, 이러한 현상은 후부절편에 존재하는 많은 세포질에 의한 적도부분에서 후부부분으로의 표피세포의 이상운동 유도, 시신경과 후부 수정체 단편간의 지속적인 견인 및 전기 견인에 의한 후부 수정체캡슐의 얇고 약한 부분의 파열 또는 돌출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수정란의 배아 눈 분석
DN1 TG 마우스와 야생형 마우스의 수정란으로부터 적출한 배아의 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기 실시예 3-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아 눈의 절편을 수득하였다. 한편, 수정란의 배아 눈에서의 세포증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신중인 마우스의 복막내에 BrdU(Rochce, NJ)를 부검하기 2시간 전에 주입하였다. 2시간 후, 전기 마우스로부터 수정란을 분리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 사이에 삽입하여 4μm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한 절편을 2.5% BSA에 유지시키고, BrdU에 대한 마우스의 단일클론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세척하고, FITC-결합된 항-마우스 이차항체(Pierce, USA)와 배양한 다음,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Sigma, USA)를 포함하는 PBS로 세척하였다.
도 2는 배발생 단계에서의 DN1 TG 마우스의 눈의 절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에서, a와 b는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배아의 눈, c, e, g와 d, f, h는 서로 다른 배발생 단계에 있는 H&E 염색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눈, i와 j는 DAPI 염색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눈, k와 l은 BrdU 처리된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의 눈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DN1 TG 마우스는 발생 초기 단계에서부터 수정체의 발생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어 백내장과 소형눈의 증상을 나타내고, 눈꺼풀 균열의 크기가 야생형에서보다 작으며, PHPV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최초 유기질(primary vitreous)은 야생형의 눈에서는 E17.5에서와 같이 완전하게 복귀되었으나, DN1 TG 마우스의 눈에서는 복귀되지 않았으며,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핵밀도를 나타내고, BrdU 삽입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야생형 마우스와 DN1 TG 마우스 눈에서의 핵밀도 및 BrdU 삽입량을 통하여 눈에서의 세포증식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ND는 핵밀도, BrdU+는 양성 BrdU 염색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듯이, DN1 TG 마우스의 눈은 야생형의 눈에 비하여 핵밀도의 수준이 매우 높고, BrdU의 삽입량 역시 증가되었으며, 이로써, DN1 TG 마우스의 눈에 존재하는 세포는 복제속도가 빠르고, 세포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DN1의 특이성 분석
전기 실시예 2 및 3에서 분석된 마우스의 표현형적 이상에 대한 DN1, DN1/m 및 ASC-2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RA-반응성 β-RARE-TK-루시퍼라제 리포터 작제물, 100ng의 LacZ 발현벡터, 0ng 또는 50ng의 재조합 플라스미드 (1)나 (2), 및 0ng 또는 50ng의 ASC-2, SRC-1 또는 TRAP220을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HeLa 세포를 형질전환시켰다. 전기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발현되는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LacZ 발현에 대하여 표준화시켜, 리포터 작제물 단독의 결과에 대한 배수활성(fold-activation)으로 나타내었다(참조: 도 4). 도 4는 DN1과 다양한 전사 보조활성자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RA와 +RA는 0.1μM 9-cis-RA의 부재 또는 존재조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듯이, DN1은 레티노이드 수용체 및 다른 핵 수용체에 의한 전사활성에 대하여 강력한 우세적 네가티브 저해제(dominant negative inhibitor)로 작용하는 반면, Dn1/m은 아무런 기능을 나타내지 않으며, DN1에 의한 전사 억제현상은 과다발현된 ASC-2에 의해서는 회복되지만, ASC-2와 같은 LXXLL 타입의 모티프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보조활성자인 SRC-1 또는 TRAP220에 의해서는 회복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DN1은 ASC-2 또는 ASC-2-특이적인 핵 수용체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전사 보조활성자인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발현시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전기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은 (ⅰ) ASC-2 단백질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작제하는 단계; (ⅱ) 전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마우스의 수정란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ⅲ)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수정란을 발생시켜 형질전환 마우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수득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백내장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그의 원인규명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10> GenoCheck Co. Ltd. <120> Mouse as Model for Cataract and a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8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His Gly Met Ser Phe Asn Ala Pro Phe Ser Gly Ala Pro Asn Gly Asn 1 5 10 15 Gln Met Ser Cys Gly Gln Asn Pro Gly Phe Pro Val Asn Lys Asp Val 20 25 30 Thr Leu Thr Ser Pro Leu Leu Val Asn Leu Leu Gln Ser Asp Ile Ser 35 40 45 Ala Gly His Phe Gly Val Asn Asn Lys Gln Asn Asn Thr Asn Ala Asn 50 55 60 Lys Pro Lys Lys Lys Lys Pro Pro Arg Lys Lys Lys Asn Ser Gln Gln 65 70 75 80 Asp <210> 2 <211> 243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catgggatgt ctttcaatgc acctttcagt ggagctccca atggaaatca gatgtcctgt 60 ggtcaaaatc caggcttccc agtcaataag gatgtcacgc taacgagccc attgttggtc 120 aacttattgc agagtgacat atctgcaggc cattttgggg taaacaataa gcaaaataat 180 accaacgcaa ataaaccgaa gaagaagaaa ccccctcgga agaagaaaaa tagtcagcaa 240 gat 243

Claims (8)

  1. (ⅰ) ASC-2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작제하는 단계;
    (ⅱ) 전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마우스의 수정란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ⅲ)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수정란을 발생시켜 형질전환 마우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수득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ASC-2 단백질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은 50 내지 100 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ASC-2 단백질의 N-말단 LXXLL 모티프를 포함하는 단편은 DN1(서열번호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재조합 플라스미드는 DN1/pCAGG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수정란은 FVB주 마우스의 수정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의 생산방법.
  6. 재조합 플라스미드 DN1/pCAGGS를 포함하는 마우스의 수정란인 퍼틸라이즈드 에그 프럼 DN1 트랜스지닉 마이스(Fertilized eggs from DN1 transgenic mice, KCTC 10419BP).
  7. 제 1항의 방법으로 생산된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8. 제 7항의 마우스로부터 생산되는 자손 마우스.
KR10-2003-0021367A 2003-04-04 2003-04-04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KR10051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367A KR100518647B1 (ko) 2003-04-04 2003-04-04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367A KR100518647B1 (ko) 2003-04-04 2003-04-04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111A true KR20040087111A (ko) 2004-10-13
KR100518647B1 KR100518647B1 (ko) 2005-10-04

Family

ID=3736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367A KR100518647B1 (ko) 2003-04-04 2003-04-04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446A (zh) * 2020-10-28 2021-01-15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小鼠白内障检测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446A (zh) * 2020-10-28 2021-01-15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小鼠白内障检测设备
CN112220446B (zh) * 2020-10-28 2024-01-30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小鼠白内障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647B1 (ko) 200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Transgenic mice expressing the Tyr437His mutant of human myocilin protein develop glaucoma
Lamb et al. Drosophila coracle, a member of the protein 4.1 superfamily, has essential structural functions in the septate junctions and developmental functions in embryonic and adult epithelial cells
Karali et al. Localization of myocilin/trabecular meshwork–inducible glucocorticoid response protein in the human eye
Maitra et al. The tumor suppressors Merlin and Expanded function cooperatively to modulate receptor endocytosis and signaling
Lőrincz et al. MiniCORVET is a Vps8-containing early endosomal tether in Drosophila
Mandal et al.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 of MFRP and its interaction with CTRP5
Fogerty et al. 174delG mutation in mouse MFRP causes photoreceptor degeneration and RPE atrophy
Daniele et al. Mutation of wrb, a component of the guided entry of tail-anchored protein pathway, disrupts photoreceptor synapse structure and function
Cho et al. Dlg1 activates beta-catenin signaling to regulate retinal angiogenesis and the blood-retina and blood-brain barriers
US8779093B2 (en) Neuronal viability factor and use thereof
Duncan et al. Truncated forms of Pax-6 disrupt lens morphology in transgenic mice
Kivelä et al. Ezrin, a membrane-organizing protein, as a polarization marker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 vertebrates
Huang et al. Highroad is a carboxypetidase induced by retinoids to clear mutant Rhodopsin-1 in Drosophila Retinitis Pigmentosa Models
DE60127982T2 (de) Transgene drosophila melanogaster, die beta-amyloid exprimiert
Esposito et al. Diurnal photoreceptor outer segment renewal in mice is independent of galectin-3
SCHÜTTE et al. Connexin50, a gap junction protein of macroglia in the mammalian retina and visual pathway
KR100518647B1 (ko) 백내장 질환 모델마우스 및 그의 생산방법
Li et al. Piccolo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mouse retina but not cochlear hair cell function
US20060058504A1 (en) Peptides capable of inducing attraction to the axonal growth and their use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102040893B1 (ko) Arl6ip1의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의 치료 용도
Kivelä Parvalbumin, a horizontal cell-associated calcium-binding protein in retinoblastoma eyes.
JP2002363107A (ja) 色覚不全動物の色覚復元方法
Jentzsch et al. A new preclinical model of retinitis pigmentosa due to Pde6g deficiency
KR101567921B1 (ko) Otx2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ang et al. Tweek-dependent formation of ER-PM contact sites enables astrocyte phagocytic function and remodeling of neur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