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881A -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송신기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송신기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881A
KR20040086881A KR1020030017980A KR20030017980A KR20040086881A KR 20040086881 A KR20040086881 A KR 20040086881A KR 1020030017980 A KR1020030017980 A KR 1020030017980A KR 20030017980 A KR20030017980 A KR 20030017980A KR 20040086881 A KR20040086881 A KR 2004008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blast
transmitted
transmitt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074B1 (ko
Inventor
홍대식
Original Assignee
홍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식 filed Critical 홍대식
Priority to KR102003001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0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1Receiv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DBLAST(Diagon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 ratio)를 개선함에 의해 오류 정정 능력을 개선시키는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DBLAST 송수신 방법은 전송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의 비트들을 역배열하여 제2스트림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송신하는 과정;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비트들을 서로 엇갈려서 결합하여 수신 신호를 얻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은 송신단에서는 전송할 서브스트림과 이 서브스트림을 역배열하여 얻어지는 서브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엇갈리게 결합하여 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된 수신 신호를 얻음으로써 DBLAST 시스템의 오류 정정 능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송신기 및 수신기{Transmiting/receiving for DBLAST(Diagon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system, and transmitter/receiver therefor }
본 발명은 DBLAST(Diagon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 ratio)를 개선함에 의해 오류 정정 능력을 개선시키는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송신기 및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DBLAST는 정보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며, 또한, 기존의 오류 정정 부호와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초고속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이다.
DBLAST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단에서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이 동시에 정보를 전송하며, 어떤 스트림을 전송할 때 순차적으로 송신 안테나들을 순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신호가 대각 방향(diagonlal direction)으로 전송되는 것과 같게 된다.
DBLAST 수신단에서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이 동시에 정보를 수신하며, canceling 및 nulling 과정을 통하여 전송된 스트림을 분리해낸다.
그렇지만, DBLAST에서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순환해서 신호를 전송함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가 계단형의 신호대잡음비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오류 정정 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신호대잡음비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연집오류(burst error)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수신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함으로써 오류 정정 성능을 개선하는 개선된 DBLAST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송수신 방법에 적합한 DBLAST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상기의 송수신 방법에 적합한 DBLAST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DBLAST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BLAST 송신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DBLAST 수신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DBLAST 시스템에서의 신호대잡음비 특성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DBLAST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의 자유도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송신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수신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송수신 방법을 적용할 경우의 수신 신호의 자유도 특성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송신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심볼 반복기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반복 심볼 결합기(920)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DBLAST 송수신 방법은
전송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의 비트들을 역배열하여 제2스트림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송신하는 과정;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비트들을 서로 엇갈려서 결합하여 수신 신호를 얻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되거나, 직교 변조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송신기는
전송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제1신호를 입력하고, 제1신호의 비트 배열을 역으로 배열하여 얻어지는 제2신호를 발생하는 심볼 반복기; 및
상기 변조기 및 심볼 반복기에서 출력되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전송하는 DBLAST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DBLAST 송신부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전송하거나 직교 변조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수신기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전송된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제2신호는 제1신호의 비트들을 역으로 배열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수신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비트들을 서로 엇갈리게 결합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얻는 반복 심볼 결합기; 및
상기 반복 심볼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이며, 상기 DBLAST 수신기는 상기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다중 주파수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은 직교 변조된 신호들이며, 상기 DBLAST 수신기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직교 변조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DBLAST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채널 부호화부(102), 인터리버(104), 변조부(106), DBLAST 송신부(108), 채널 디코더(112), 디인터리버(114), 복조부(108), DBLAST 수신부(118)을 포함한다.
먼저, DBLAST 프레임은 독립적으로 부호화되고, 인터리브되고, 변조되는 nt개의 서브스트림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nt는 DBLAST 송신부(108)에 구비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 혹은 수신 안테나들의 개수이다. 통상 DBLAST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의 개수와 수신 안테나의 개수는 같다.
τ번째 타임 슬롯에서 채널 부호화부(102)는 입력 신호 Iτ에 대하여 채널 부호화를 수행하고, 채널 부호화된 신호 Cτ를 출력한다. 인터리버(104)는 채널 부호화된 신호 Cτ에 대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고, 인터리빙된 신호 Iτ를 출력한다. 변조부(106)는 인터리빙된 신호 Iτ에 대하여 QPSK, QAM 등의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된 신호 Mτ를 출력한다.
그 결과 채널 부호화되고, 인터리브되고, 그리고 변조된 신호 Mτ가 DBLAST 송신부(108)에 인가된다. DBLAST 송신부(108)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전송 신호 St를 전송한다. 전송된 신호 St는 H의 전달 특성을 가지는 전송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DBLAST 수신부(118)내에서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이τ를 수신한다.
수신 신호τ는 전송 신호 St에 가우시안 잡음 Vt가 혼입된 것이다.
DBLAST 수신부(118)는 수신 신호τ로부터 canceling 및 nulling을 통하여 복조될 수신 신호τ를 출력한다. 복조부(116)는 복조될 수신 신호τ에 대하여 변조부(106)에서 처리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인터리빙될 신호τ를 출력한다. 디인터리버(114)는 인터리버(104)에서 처리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채널 복호화될 신호τ를 출력한다. 채널 복호부(112)는 채널 변조부(102)에서 처리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출력 신호τ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BLAST 송신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한 것으로서 송신 안테나의 수 nt=4인 예를 보이는 것이다. 서브 시퀀스 Mi(i=1,2,3,4)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에 의해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대각 방향으로 분산되어 전송된다.
첫 번째 서브 시퀀스 M1은 다음과 같이 전송된다. 즉, 첫 번째 타임 슬롯 TS1에서 서브 시퀀스 M1의 첫 번째 nb개의 심볼들(M1,1∼ M1,nb)이 4번째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고, 두 번째 타임 슬롯 TS2에서 서브 시퀀스 M1의 두 번째 nb개의 심볼들(M1,nb+1∼ M1,2nb)이 3번째의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4번째 타임 슬롯에서 서브 시퀀스 M1의 마지막 nb개의 심볼들(M1,3nb+1∼ M1,4nb)이 첫 번째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다. 즉, 서브 시퀀스 M1의 심볼들(M1,1∼ M1,4nb)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에 의해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되며,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대각선 방향으로 전송된다.
두 번째 서브 시퀀스 M2는 두 번째 타임 슬롯부터 전송된다. 두 번째 타임 슬롯 TS2에서 서브 시퀀스 M2의 첫 번째 nb개의 심볼들(M2,1∼ M2,nb)이 4번째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고, 세 번째 타임 슬롯 TS3에서 서브 시퀀스 M2의 두 번째 nb개의 심볼들(M2,nb+1∼ M2,2nb)이 3번째의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5번째 타임 슬롯에서 서브 시퀀스 M2의 마지막 nb개의 심볼들(M2,3nb+1∼ M2,4nb)이 첫 번째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다.
세 번째 서브 시퀀스 M3및 네 번째 서브 시퀀스 M4도 는 동등한 방법으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전송된다. 단 세 번째 서브 시퀀스 M3는 세 번째 타임 슬롯 TS3부터 전송되고, 네 번째 서브 시퀀스 M4는 네 번째 타임 슬롯 TS4부터 전송되는 것이 다르다.
이때 DBLAST 송신부(108)에 구비된 nt개의 송신 안테나들은 모두 동일한 주파수 및 대역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DBLAST 수신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nt=4인 예를 보이는 것이다. 통상 DBLAST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수신 안테나들의 개수는 같은 것으로 가정된다.
수신된 서브 스트림의 심볼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어떤 타임 슬롯에 있어서 nt-1개의 다른 수신 안테나로부터의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 간섭 신호들은 대각선 밑에 있는 간섭 신호들과 대각선 위에 있는 간섭 신호들의 두 가지로 분리된다. 대각선 밑의 간섭 신호들은 채널 응답 H와 이전 타임 슬롯에서 얻어진 수신 신호에 의해 미리 평가된 현재 슬롯의 수신 신호 St에 의해 canceling 된다. canceling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이용하여 nulling에 의해 대각선 위의 간섭 신호들이 제거된다.
도 3a에 있어서 첫 번째 타임 슬롯 ST1에서는 대각선 밑의 신호들만이 존재하므로 캔슬링에 의해 서브 시퀀스 M1에 상응하는 전송된 서브스트림 S1의 첫 번째nb개의 심볼들을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타임 슬롯(ST2, ST3)에서는 대각선 밑와 대각선 위의 간섭 신호들이 존재하므로 canceling 및 nulling에 의해 전송된 서브 스트림 S1의 두 번째 및 세 번째의 nb개의 심볼들을 얻을 수 있다. 네 번째 타임 슬롯 ST4에서는 대각선 위의 간섭 신호들만 존재하므로 nulling에 의해 전송된 서브 스트림 S1의 네 번째의 nb개의 심볼들을 얻을 수 있다.
도 3b에 있어서 첫 번째 타임 슬롯 ST1내지 네 번째 타임 슬롯 ST4에서 모두 대각선 위의 간섭 신호들만 존재하므로 각 타임 슬롯에서 nulling 에 의해 전송된 서브 스트림 S1의 nb개의 심볼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DBLAST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동작은 "Layered Space-Time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ading Environment When Using Multi-Element Antennas", Gerard J.Foschini, Bell Labs Technical Journal, Autumn 1996, pp 41-59에 상세히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BLAST 시스템은 nulling과 canceling을 통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동시에 전송된 신호가 분리되게 된다. 이 DBLAST 시스템은 서브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하여 분산시켜 전송하기 때문에 처음 전송되는 신호는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간섭 신호가 적은 반면에 나중에 전송되는 신호는 다른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크게 간섭받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DBLAST 시스템에서의 신호대잡음비 특성을 도식적으로 보이기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첫 번째 타임 슬롯 ST1으로부터 τ번째의 타임 슬롯 STτ까지 각각 0, 1,,,, nt-1개의 간섭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대잡음비는 각각,,,,가 되며, 자유도는 각각 2nt, 2(nt- 1),,,2가 된다.
도 5는 종래의 DBLAST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의 자유도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유도는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DBLAST 의 경우 신호가 대각 방향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나중에 전송된 신호는 처음 전송된 신호에 비해 신호대잡음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계단형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계단형 특성으로 인해 낮은 신호대잡음비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연집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연집오류는 오류정정부호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신호대잡음비의 저하 현상을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반복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오류 정정 성능을 개선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송신단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같은 신호를 반복해서 보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제1주파수를 통해서는 일반적인 DBLAST 전송 방법을 사용하고 제2주파수를 통해서는 반복된 신호를 전송하되 제1주파수를 통해 전송된 신호가 뒤집힌 형태의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제1주파수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있어서 간섭 신호가 많아 신호대잡음비가 낮은 부분이 제2주파수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있어서 신호대 잡음비가 높은 부분에 해당하게 된다. 그 결과 수신단에서 두 신호를 결합시키면 일정한 수준의 신호대잡음비를 가지는 수신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DBLAST 시스템와 같이 계단형 신호대잡음비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연집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DBLAST 시스템의 오류 정정 능력을 개선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송신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신호가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된다. 각각의 신호는 서로 뒤집혀진 형태 다르게 말하자면 각 신호의 비트들이 역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신호들은 통상의 DBLAST 시스템에서와 같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에 의해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전송된다.
한편, 두 개의 신호를 직교 변조 형태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의 수신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된 두 개의 신호들이 모두 계단형의 신호대 잡음비 특성을 보이므로, 두 신호를 서로 엇갈려서 결합함으로써 일정한 수준의 신호대 잡음비를 얻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타임 슬롯ST1으로부터 τ번째의 타임 슬롯 STτ까지 각각 0, 1,,,, nt-1개의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두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는 각각,,,,가 되며, 자유도는 각각 2nt, 2(nt- 1),,,2가 된다.
이 두 신호를 엇갈려서 결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는 각각,,,,가 되며, 자유도는 각각 2(nt+ 1), 2(nt+ 1),,,2(nt+ 1)로서 동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송수신 방법을 적용할 경우의 수신 신호의 자유도 특성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유도가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는 신호와 반대로 계단형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결합함에 의해 모든 타임 슬롯에 걸쳐 동일한 수준의 자유도를 보이는 신호대잡음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송신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반복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장치는 송신단에 위치하는 심볼 반복기(910), 그리고 변조기(106)와 심볼 반복기(910)에서 발생된 신호들을 다중화시켜 전송하는 DBLAST 수신부(918)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가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심볼 반복기(910)는 변조기(106)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역으로 배열된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신호들은 각 비트들의 순서가 서로 역으로 배열된 형태를 취한다. 도 6에서 윗 쪽에 도시된 신호가 변조기(106)에서 출력되는 신호라고 하면 심볼 반복기(910)는 변조기(10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역으로 배열하여 아래 쪽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를 발생한다.
DBLAST 송신부(910)는 변조기(106) 및 심볼 반복기(91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하고, 이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종래의 DBLAST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전송한다. 여기서, DBLAST 송신부(908)는 변조기(106) 및 심볼 반복기(910)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신호들을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OFDM과 같은 직교 변조 방식에 의해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반복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DBLAST 전송부(908)로부터 전송된 두 개의 신호 즉, 서로 역배열된 신호를 수신하는 DBLAST 수신부(918)와 반복 심볼 결합기(920)를 포함한다.
DBLAST 수신부(918)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된 두 개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DBLAST 수신부(918)의 구성은 DBLAST 송신부(908)의 구성에 대응한다. 즉, DBLAST 송신부(908)에서 두 개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전송하는 경우 DBLAST 수신부(918)도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에 의해 두 개의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DBLAST 송신부(908)에서 OFDM 변조 방식에 의해 두 개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DBLAST 수신부(918)도 OFDM 복조 방식에 의해 두 개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반복 심볼 결합기(920)는 DBLAST 수신부(918)를 통하여 수신된 두 개의 신호를 서로 엇갈리게 결합함으로써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정한 수준의 신호대 잡음비를 가지는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두 개의 신호를 서로 엇갈리게 결합시키는 이유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타임 슬롯에 걸쳐 동등한 신호대잡음비를 가질 수 있도록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신호대잡음비를 가지는 신호와 반대로 계단형으로 증가하는 신호대잡음비를 가지는 신호를 만들어주기 위함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심볼 반복기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조기(108)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신호는 버퍼(1102)에 의해 버퍼링된다. 버퍼(1102)의 출력은 컨트롤러(1104) 및 심볼 역회전기(1106)에 인가된다. 심볼 역회전기(1106)는 버퍼(1102)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신호의 순서를 역으로 바꾸는 동작을 수행한다. 심볼 역회전기(1106)의 동작을 위하여 카운터(1108)가 제공된다.
컨트롤러(1104)는 변조기(108)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신호와 그것을 역배열한 신호를 DBLAST 송신부(918)에 제공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반복 심볼 결합기(920)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DBLAST 수신부(918)의 출력은 버퍼들(1202, 1204)에 의해 버퍼링된다. 제2버퍼(1204)의 출력은 심볼 역회전기(1206)에 인가된다. 심볼 역회전기(1206)은 도 11에 도시된 심볼 역회전기(1106)과 동등한 동작을 수행한다. 심볼 역회전기(1206)에 입력되는 신호는 도 11에 도시된 심볼 역회전기(1106)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므로 심볼 역회전기(1206)의 출력은 도 11에 도시된 심볼 역회전기(1106)에 입력되는 신호와 같게 된다.
제1버퍼(1202)와 심볼 역회전기(1206)의 출력은 결합기(1208)에 의해 결합되어 복조기(906)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BLAST 시스템은 송신단에서는 전송할 서브스트림과 이 서브스트림을 역배열하여 얻어지는 서브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엇갈리게 결합하여 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된 수신 신호를 얻음으로써 DBLAST 시스템의 오류 정정 능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전송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의 비트들을 역배열하여 제2스트림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송신하는 과정;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비트들을 서로 엇갈려서 결합하여 수신 신호를얻는 과정을 포함하는 DBLAST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직교 변조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전송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제1신호를 입력하고, 제1신호의 비트 배열을 역으로 배열하여 얻어지는 제2신호를 발생하는 심볼 반복기; 및
    상기 변조기 및 심볼 반복기에서 출력되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전송하는 DBLAST 송신부를 포함하는 DBLAST 시스템의 송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BLAST 송신부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시스템의 송신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BLAST 송신부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직교 변조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시스템의 송신기.
  7.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전송된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을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제2신호는 제1신호의 비트들을 역으로 배열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수신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비트들을 서로 엇갈리게 결합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얻는 반복 심볼 결합기; 및
    상기 반복 심볼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DBLAST 시스템의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이며,
    상기 DBLAST 수신기는 상기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다중 주파수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시스템의 수신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들은 직교 변조된 신호들이며,
    상기 DBLAST 수신기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직교 변조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LAST 시스템의 수신기.
KR1020030017980A 2003-03-22 2003-03-22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KR10062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980A KR100625074B1 (ko) 2003-03-22 2003-03-22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980A KR100625074B1 (ko) 2003-03-22 2003-03-22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81A true KR20040086881A (ko) 2004-10-13
KR100625074B1 KR100625074B1 (ko) 2006-09-19

Family

ID=3736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980A KR100625074B1 (ko) 2003-03-22 2003-03-22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74A1 (en) * 2005-12-29 2007-07-05 Posdat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ansmission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74A1 (en) * 2005-12-29 2007-07-05 Posdat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ansmission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39652B2 (en) 2005-12-29 2012-03-20 Seah Network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ansmission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074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7095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а
US91786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interleaver and layer mapp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754191B1 (ko) Ofdm mimo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인터리버 및 파서
CN1879374B (zh) 无线系统的重复编码
US200602509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signal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7660232B2 (en) Interleaver design with column skip for IEEE 802.11n standard
RU240626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а
US66148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er dimensional modulation
EP16198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interleaved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123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ge error correction coding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in a multiple antennae communication system
JP2006135990A (ja) 送信器及び送信方法
JP2008533801A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時空間符号化データの副搬送波写像装置及び方法
KR20030010402A (ko)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KR20060092991A (ko) 성능 향상위한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을구현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200337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831178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제어 헤더를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60164970A1 (en) Transmitter and receiver in DBLAST system
KR20090031733A (ko) 공간-시간-주파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과 장치
EP16613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carrier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d multi-carrier signal
US7519126B2 (en) Space-time block-coding (STBC) with multiple streams in or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itplexing (OFD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and error metrics for soft decision with channel information
CN1801793A (zh) 接收差分时空分组码的装置和方法
KR100625074B1 (ko) Dblast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US8149943B2 (en) Space time coded MB-OFDM UWB system
KR100392638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KR10044922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