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433A - 하니컴 리벳 - Google Patents

하니컴 리벳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433A
KR20040086433A KR10-2004-7013155A KR20047013155A KR20040086433A KR 20040086433 A KR20040086433 A KR 20040086433A KR 20047013155 A KR20047013155 A KR 20047013155A KR 20040086433 A KR20040086433 A KR 2004008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pening
stem
honeycomb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쉬라기소헤일
Original Assignee
텍스트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트론 인크. filed Critical 텍스트론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8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16B19/1063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with a sleeve or collar sliding over the hollow rivet body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neycomb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재료에 하니컴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리벳 및 리벳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재료를 관통하는 구멍을 드릴링함으로써 리벳을 설치한다. 리벳의 후방측 슬리브는 구멍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스템 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전방측 슬리브는 구멍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어, 스템 부재의 헤드와 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는 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 내에 위치한다. 그런 다음, 스템 부재의 생크부가 인입되어, 스템 부재의 헤드는 재료 내로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를 팽창시켜, 리벳을 재료에 부착시킨다. 스템 부재의 계속된 인입 시에 스템 부재를 전방측 슬리브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칼라도 구비된다.

Description

하니컴 리벳{HONEYCOMB RIVET}
하니컴 재료는 항공기 제조 사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금속 시트와 같은 다른 재료에 부착되어 항공기 구조를 함께 유지한다. 현재는 하니컴 재료를 다른 재료에 부착하여 항공기 구조를 함께 유지하도록 디자인된 몇 개의 체결구가 있을 뿐이다. 그렇지만 이들 체결구를 사용하는 데 많은 단점이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체결구는 매우 비싸고 설치가 곤란하므로 긴 설치 공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종래 체결구 디자인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하니컴 재료를 다른 재료에 부착하여 항공기 구조를 함께 유지하기 위한 체결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체결구 디자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니컴(honeycomb) 자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구조에 하니컴 재료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하니컴 리벳의 후방측 슬리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하니컴 리벳의 전방측 슬리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하니컴 리벳의 긴 스템의 측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공작물에 하니컴 리벳의 부착됨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하니컴 리벳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 내지 도11은 공작물에 하니컴 리벳의 부착됨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하니컴 리벳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니컴 재료를 다른 재료에 체결하기 위한 리벳을 제공하면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다른 체결구에 비해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니컴 재료를 다른 재료에 확실하게 부착하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니컴 자체를 손상시키지않으면서 다른 구조에 하니컴 재료를 부착할 수 있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큰 두께의 재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니컴 재료가 부착되는 구조 또는 하니컴 재료를 부수지 않으면서 견고하고 확실하게 클램핑하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직 하나의 균일한 크기의 구멍만이 하니컴 재료 및 하니컴 재료에 부착되는 구조를 관통해 드릴링될 필요가 있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여, 하니컴 리벳이 하니컴 재료를 구조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키도록 하는 하니컴 리벳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니컴 리벳이 삽입되기 위한 꼭 끼지 않는 구멍을 제공하여, 하니컴 재료 및 하니컴 재료에 부착되는 구조에 하니컴 리벳을 부착하기 전에 하니컴 리벳이 쉽게 삽입되게 하는 구멍을 제공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니컴 재료를 바람직한 구조에 부착하기 위한 하니컴 리벳 및 하니컴 리벳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재료를 관통하는 구멍을 드릴링하여 리벳을 설치한다. 리벳의 후방측 슬리브는 구멍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스템 부재가 삽입되는 전방측 슬리브는 구멍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어, 스템 부재의 헤드와 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가 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 내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스템 부재의 생크부가 인입되어, 스템 부재의 헤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의 슬리브부를 재료 내로 팽창시켜 리벳을 재료에 부착시킨다. 스템 부재의 인입이 계속되는 동안 스템 부재를 전방측 슬리브에 로킹하기 위해 로킹 칼라도 또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설명된 대로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상세하고 구체적인 실시예를 본 명세서에 기술하고 도면에 도시할 것이다.
도1 내지 도7에는 하니컴 리벳(honeycomb rivet)(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8 내지 도11에는 하니컴 리벳(3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제1 실시예의 100 내지 200대 및 제2 실시예의 300 내지 400대로 표시되고,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리벳(100)을 후술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리벳(100)은 후방측 슬리브(back side sleeve)(102), 전방측 슬리브(front side sleeve)(104), 스템(stem) 부재(106), 내부 로킹 칼라(internal locking collar)(108) 및 구동 앤빌(driving anvil)(110)을 포함한다.
도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컴 리벳(100)의 후방측 슬리브(102)는 헤드부(112) 및 슬리브부(114)를 갖는다. 헤드부(112)는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1 단부(116)에 위치되고, 슬리브부(114)는 후방측 슬리브(102)의 헤드부(112)로부터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2 단부(118)까지 연장된다.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1 단부(116)의 헤드부(112)는 외경(D1)을 갖는다. 헤드부(112)는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1 단부(116)로부터 슬리브부(114)까지 내향 테이퍼링된다. 슬리브부(114)는 직경(D1)보다 작은 균일한 외경(D2)을 갖는다.
슬리브부(114)는 내부에,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2 단부(118)로부터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1 단부(116) 쪽으로 연장되지만 슬리브부(114)의 전체 길이 만큼 연장되지는 않는 개구(120)를 갖는다. 슬리브부(114) 내의 개구(120)는 직경(D2)보다 작은 직경(D3)을 갖는다.
도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컴 리벳(100)의 전방측 슬리브(104)는 헤드부(122) 및 슬리브부(124)를 갖는다. 헤드부(122)는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에 위치되고, 슬리브부(124)는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로부터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2 단부(128)까지 연장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에 있는 헤드부(122)는 외경(D4)을 갖는다. 외경(D4)은 바람직하게는 외경(D1)과 동일하다. 헤드부(122)는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로부터 슬리브부(124)의 제1 부분(132)의 제1 단부(130)까지 내향 테이퍼링된다. 슬리브부(124)의 제1 부분(132)은 외경(D5)을 갖는다. 외경(D5)은 바람직하게는 외경(D2)과 같고 직경(D4)보다 작다. 슬리브부(124)의 제1 부분(132)의 제2 단부(134)는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의 제1 단부(136)까지 내향 테이퍼링된다.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은 외경(D6)을 갖는다. 외경(D6)은 바람직하게는 직경(D3)보다 약간 작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이러한 구조의 목적을 본 명세서에서 추후에 기술한다.
전방측 슬리브(104)는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의 제2 단부(142)이기도 한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2 단부(128)로부터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까지 관통 연장되는 개구(140)를 갖는다. 개구(140)는 제1 부분(144), 제2 부분(146) 및 제3 부분(148)을 갖는다. 개구(140)의 제1 부분(144)은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에 위치되고, 직경(D7)을 갖는다. 개구(140)의 제1 부분(144)은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 내로 연장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의 부근에, 개구(140)의 제1 부분(144)의 벽(150)은 개구(140)의 제2 부분(146)까지 내향 테이퍼링된다. 개구(140)의 제2 부분(146)은 직경(D8)을 갖는다. 직경(D8)은 직경(D7)보다 작다. 개구(140)의 제2 부분(146)은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 내부로부터 슬리브부(124)의 제1 부분(132)의 제2 단부(134)까지 연장된다. 개구(140)의 제3 부분(148)은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되며, 직경(D8)보다 큰 직경(D9)을 갖는다. 직경(D9)이 직경(D8)보다 크므로, 개구(140)의 제2 부분(146) 및 제3 부분(148) 사이의 개구(140) 내에 개구 숄더(152)가 구비된다.
도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부재(106)는 스템 부재(106)의 제1 단부(156)에서의 확대 스템 헤드(154) 및 확대 스템 헤드(154)로부터 연장되는 긴 생크(158)를 포함한다. 확대 스템 헤드(154)는 후방측 슬리브(102)의 개구(120)의 직경(D3)보다 약간 작은 직경(D10)을 갖는다. 확대 스템 헤드(154)는 직경(D11)을 갖는 긴 생크(158)의 제1 부분(160)까지 내향 테이퍼링되며, 직경(D11)은 직경(D10)보다 작고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3 부분(148)에서의 개구(140)의 직경(D9)보다 약간 작다.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은 긴 생크(158)의 제1 부분(160)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부분(162)은 직경(D11)보다 작은 직경(D12)을 가져서, 숄더(164)는 긴 생크(158)의 제1 부분(160) 및 제2 부분(162) 사이에 구비된다. 직경(D12)은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2 부분(146)에서의 개구(140)의 직경(D8)보다 약간 작다.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은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으로부터 연장된다. 제3 부분(166)은 직경(D12)보다 작은 직경(D13)을 가져서, 숄더(168)는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 및 제3 부분(166) 사이에 구비된다.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은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 및 숄더(168) 부근에 내부에 형성된 환형 잠금 그루브(170)를 갖는다.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은 또한 스템 부재(106)의 제2 단부(174) 부근이면서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 및 숄더(168)에서 멀리 있는 인입부(172, pulling portion)도 갖는다. 제3 부분(166)은 복수의 환형 인입 그루브(176)를 구비하여, 제3 부분(166)은 통상적인 인입형 또는 설정 공구(178)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공구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간략하고 단순한 기재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부분(166)은 환형 잠금 그루브(170) 및 인입부(172) 사이지만 환형 잠금 그루브(170) 부근에 브레이크 노치(179)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로킹 칼라(108)는 환형 잠금 그루브(170)에 끼워 맞춰지는 두께가 늘어난 로킹 보스(180)를 갖는다. 내부 로킹 칼라(108)의 두께가 감소된 잠금 슬리브부(182)는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을 따라 스템 부재(106)의 제2 단부(174) 쪽으로 연장된다. 내부 로킹 칼라(108)는 균일한 실린더 구조이며, 내부 로킹 칼라(108)가 위치되는 긴 스템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은 바람직하게는 긴 스템 생크(158)의 제2 부분(162)의 직경(D12)과 동일한 크기인 직경을 갖는다. 내부 로킹 칼라(108)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A-286인 침전 경화(precipitation hardening) 스테인리스강 또는 Inco Alloys International, Inc.에 의해 제조된 등록상표 INCONEL로 잘 알려진 니켈, 크롬 및 철을 함유하는 합금과 같은 냉간 변형가능 재료로 성형된다.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앤빌(110)은 디스크형이고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의 직경(D13)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니컴 리벳(100)을 사용하여 제1 공작물(186) 및 제2 공작물(188) 사이에 그리고 적어도 제1 공작물(186)에 하니컴 재료(184)를 부착한다. 하니컴 재료(184)는, 내측 표면(192) 및 외측 표면(194)을 갖는 제1 하니컴 스킨(190)과, 내측 표면(198) 및 외측 표면(200)을 갖는 제2 하니컴 스킨(196)과, 제1 하니컴 스킨(190)의 내측 표면(192) 및 제2 하니컴 스킨(196)의 외측 표면(200) 사이에 구비되는 하니컴 인테리어(202)를 포함한다. 항공기용 프레임과 같은 제1 공작물(186)은 내측 표면(204) 및 외측 표면(206)을 갖고, 하니컴 재료(184)의 제2 하니컴 스킨(196)에 대향 위치되어, 제2 하니컴 스킨(196)의 내측 표면(198)이 제1 공작물(186)의 외측 표면(206)에 대향 위치된다. 항공기용 외부 패널과 같은 제2 공작물(188)은 내측 표면(208) 및 외측 표면(210)을 갖고, 하니컴 재료(184)의 제1 하니컴 스킨(190)에 대향 위치되어, 제1 하니컴 스킨(190)의 외측 표면(194)이 제2 공작물(188)의 내측 표면(208)에 대향 위치된다. 하니컴 재료(184)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이하 하니컴 리벳(100)을 사용하여 제1 공작물(186) 및 제2 공작물(188) 사이에 하니컴 재료(184)를 부착하는 작업을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공작물(186), 하니컴 재료(184) 및 제2 공작물(188)을 관통하는 균일한 직경의 구멍(212)이 드릴링되며, 균일한 직경은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의 직경(D2) 및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의 직경(D6)보다 약간 크다. 또한, 제1 및 제2 공작물(186, 188) 내의 구멍(212) 내에 카운터보어(214, 216)가 각각 형성된다. 카운터보어(216)는 전방측 슬리브(104)의헤드부(122)를 수용하는 크기이며, 카운터보어(214)는 후방측 슬리브(102)의 헤드부(112)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균일한 직경의 구멍(212)의 드릴링은 종래 기술에서 행해진 바와 같이 다른 크기의 구멍을 드릴링하기 위해 드릴 비트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성을 방지하거나 하나 이상의 공구에 대한 필요성을 방지하므로 시간이 절약된다.
하니컴 재료(184) 및 제1 및 제2 공작물(186, 188) 내에 구멍(212) 및 카운터보어(214, 216)가 형성된 후, 하니컴 리벳(100)은 구멍(212) 및 카운터보어(214, 216) 내에 위치된다.
제1 공작물(186)를 통해 구멍(212) 내로 하니컴 재료(184)의 제2 하니컴 스킨(196) 내로 그리고 하니컴 재료(184)의 하니컴 인테리어(202) 내로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를 삽입함으로써, 후방측 슬리브(102)가 구멍(212) 내에 위치되어, 후방측 슬리브(102)의 헤드부(112)는 카운터보어(214) 내에 위치되면서 제1 공작물(186)의 내측 표면(204)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의 외경(D2)이 구멍(21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후방측 슬리브(102)는 구멍(212) 내로 쉽게 삽입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개구(140)의 제3 부분(148)을 통해 스템 부재(106)의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을 삽입함으로써, 내부 로킹 칼라(108)가 상부에 위치되는 스템 부재(106)는 전방측 슬리브(104) 내에 위치된다. 확대 스템 헤드(154)의 직경(D10)이 개구(140)의 제3 부분(148)의 직경(D9)보다 크므로, 확대 스템 헤드(154)는 전방측 슬리브(104)의 개구(140) 내로 연장되지 않지만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2 단부(128)에 접한다. 그러므로, 직경(D11)을 갖는 긴 생크(158)의 제1 부분(160)은 직경(D9)을 갖는 개구(140)의 제3 부분(148) 내에 위치된다. 직경(D12)을 갖는 긴 생크(158)의 제2 부분(162)은 직경(D8)을 갖는 개구(140)의 제2 부분(146) 및 개구(140)의 제3 부분(148) 내에 위치된다.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 내에 위치되는 내부 로킹 칼라(108)는 개구(140)의 제2 부분(146) 내에 위치된다. 직경(D13)을 갖는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은 개구(140)의 제2 부분(146) 및 개구(140)의 제1 부분(144) 내에 위치되고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 지나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슬리브(102)가 구멍(212) 내에 위치된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공작물(188)을 통해 구멍(212) 내로 하니컴 재료(184)의 제1 하니컴 스킨(190) 내로 그리고 하니컴 재료(184)의 하니컴 인테리어(202) 내로 스템 부재(106)의 확대 스템 헤드(154) 및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를 삽입함으로써, 전방측 슬리브(104) 및 스템 부재(106)의 조합체가 구멍(212) 내에 위치되어,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가 카운터보어(216) 내에 위치되고 헤드부(122)가 제2 공작물(188)의 외측 표면(210)과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며, 스템 부재(106)의 확대 스템 헤드(154) 및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의 일부가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의 개구(120) 내에 위치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구조는 전방측 슬리브(104)가 균일한 직경의 구멍(212)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가 제1 부분(132)과 제2 부분(138) 사이에서 테이퍼링되어,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은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의 개구(120) 내로 삽입되게 된다. 간극(218)은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와 스템 부재(106)의 확대 스템 헤드(154) 사이에 형성된다. 설치에 의해 전방측 슬리브(104) 및 후방측 슬리브(102)의 팽창을 위한 간극(218)이 필요하며, 이는 하니컴 구조에서 쉽게 충족된다.
구동 앤빌(110)은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 주위에 위치되어,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1 단부(126)에 접하게 된다.
하니컴 리벳(100)이 구멍(212) 내에 위치된 후에, 통상적인 인입형 공구(178)가 긴 생크(158)의 제3 부분(166) 주위에 위치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형 공구(178)의 일단이 구동 앤빌(110)에 접하면서 견고하고 고른 압력을 구동 앤빌(110)에 인가하여 전방측 슬리브(104)의 헤드부(122)가 구멍(212)의 카운터보어(216) 내에 위치된다. 구동 앤빌(110)은 소모성 인입 공구 요소의 마모 및 교체를 제거하여 인입 공구(178)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형 공구(178)는 구동 앤빌(110)에 하방 압축력(F1)을 인가하여 후방측 슬리브(102) 및 전방측 슬리브(104)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며, 동시에 상방 인장력(F2)을 스템 부재(106)의 긴 생크(158)의 인입부(172)에 인가한다. 인장력(F2)에 의해 확대 스템 헤드(154)는 전방측 슬리브(104)의 제2 단부(128) 부근에서 전방측 슬리브(104)의 슬리브부(124)의 제2 부분(138)을 가압(upset)하며, 결국 후방측 슬리브(102)의 제2 단부(118) 부근에서 후방측 슬리브(102)의 슬리브부(114)를 가압함으로써,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104, 102) 각각의 슬리브부(124, 114)를 가압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104, 102)가 서로로킹되어, 하니컴 재료(184) 내에서 하니컴 리벳(100)의 조인트를 체결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공구(178)가 인장력(F2)을 스템 부재(106)의 긴 생크(158)의 인입부(172)에 계속 인가하면, 내부 로킹 칼라(108)의 잠금 슬리브부(182)가 구동 앤빌(110)과 접촉하게 되며, 내부 로킹 칼라(108)의 잠금 슬리브부(182)를 변형시켜 전방측 슬리브(104)의 개구(140) 내로 채우게 된다. 전방측 슬리브(104)의 개구(140)의 제1 부분(144) 내로의 내부 로킹 칼라(108)의 변형에 의해 스템 부재(106) 및 전방측 슬리브(104)가 서로 견고하게 로킹된다. 내부 로킹 칼라(108)는 조인트 완결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며, 설치 이후에 눈에 띄게 된다. 내부 로킹 칼라(108)는 또한 스템 부재(106)가 덜커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며, 제자리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하니컴 리벳(100) 양단의 전단 부하를 추가적으로 보장하게 된다.
인입형 공구(178)에 의해 인장력(F2)이 계속 인가되므로, 스템 부재(106)의 긴 생크(158)가 브레이크 노치(179)에서 절단되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의 날카로운 부분(burr) 없는 설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하니컴 리벳(300)의 제2 실시예를 후술한다. 제2 실시예의 하니컴 리벳(300)은 후방측 슬리브(302), 전방측 슬리브(304), 스템 부재(306), 외부 로킹 칼라(309) 및 시프팅 와셔(311)를 포함한다.
하니컴 리벳(300)의 후방측 슬리브(302), 전방측 슬리브(304) 및 스템 부재(306)는 하니컴 리벳(100)의 후방측 슬리브(102), 전방측 슬리브(104) 및 스템 부재(106)와 동일하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니컴 재료(384) 및 공작물(386, 388)도 하니컴 재료(184) 및 공작물(186, 188)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도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로킹 칼라(309)를 사용하여, 환형 실린더 형상의 하니컴 리벳(300)을 설정 또는 로킹한다. 외부 로킹 칼라(309)는 브레이크 네크(379)와 인입부(372) 사이에 긴 생크(306)의 제3 부분(366) 주위에 위치된다. 외부 로킹 칼라(309)는 긴 생크(306)의 제3 부분(366)의 직경(D13)보다 약간 큰 내경과 내경보다 크면서 전방측 슬리브(304) 내 개구(340)의 제1 부분(344)의 직경(D7)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외부 로킹 칼라(309)는 예를 들어 A-286인 침전 경화 스테인레스강 또는 Inco Alloys International, Inc.가 제조한 등록상표 INCONEL로 잘 알려진 니켈, 크롬 및 철을 함유하는 합금과 같이 냉간 변형가능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팅 와셔(3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적으로 그러나 축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상부 와셔 요소(420) 및 하부 와셔 요소(422)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와셔 요소(420) 및 하부 와셔 요소(422)를 서로 결합하는 데 전단 섹션(424)을 사용한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상부 와셔 요소(420)는, 전단 섹션(424)의 전단변형 또는 파손 시에 하부 와셔 요소(422)의 내부 치수 또는 구조 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이다.
이후에 하니컴 리벳(300)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 공작물(386, 388) 사이에 하니컴 재료(384)를 부착하는 동작을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공작물(386), 하니컴 재료(384) 및 제2 공작물(388)을 관통하는 균일한 직경의 구멍(412)을 드릴링하는데, 균일한 직경은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의 직경(D2) 및 전방측 슬리브(304)의 슬리브부(324)의 제2 부분(338)의 직경(D6)보다 약간 크다. 카운터보어(414, 416)도 제1 및 제2 공작물(386, 388) 내 구멍(412) 내에 각각 형성된다. 카운터보어(416)는 전방측 슬리브(304)의 헤드부(322)를 수용하는 크기인 반면, 카운터보어(414)는 후방측 슬리브(302)의 헤드부(312)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균일한 직경의 구멍(412)의 드릴링은 종래에 행해진 바와 같이 다른 크기의 구멍을 드릴링하기 위해 드릴 비트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성을 없게 하거나 하나 이상의 공구에 대한 필요성을 없게 하므로, 시간 절약을 제공한다.
구멍(414) 및 카운터보어(414, 416)가 하니컴 재료(384) 및 공작물(386, 388) 내에 형성된 후에, 하니컴 리벳(300)은 구멍(412) 및 카운터보어(414, 416) 내에 위치된다.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를 제1 공작물(386) 및 하니컴 재료(384)의 제2 스킨(396)을 통해 구멍(412) 내로 하니컴 재료(384)의 하니컴 인테리어(402) 내로 삽입하여 후방측 슬리브(302)가 구멍(412) 내에 위치되어, 후방측 슬리브(302)의 헤드부(312)는 카운터보어(414) 내에 위치되고 헤드부(312)는 제1 공작물(386)의 내측 표면(304)과 동일 평면에 있다.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의 외경(D2)이 구멍(41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후방측 슬리브(302)가 구멍(412) 내로 쉽게 삽입된다.
스템 부재(306)의 긴 생크(358)의 제3 부분(366)을 전방측 슬리브(304)의 개구(340)의 제3 부분(348)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스템 부재(306)는 전방측 슬리브(304) 내에 위치된다. 긴 스템 헤드(354)의 직경(D10)이 개구(340)의 제3 부분(348)의 직경보다 크므로, 긴 스템 헤드(354)는 전방측 슬리브(304)의 개구(340) 내에 연장되지 않고 오히려 전방측 슬리브(304)의 제2 단부(328)에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직경(D11)을 갖는 긴 생크(358)의 제1 부분(360)은 직경(D9)을 갖는 개구(340)의 제3 부분(348) 내에 위치된다. 직경(D12)을 갖는 긴 생크(358)의 제2 부분(362)은 직경(D8)을 갖는 개구(340)의 제2 부분(346) 및 개구(340)의 제3 부분(348) 내에 위치된다. 직경(D13)을 갖는 긴 생크(358)의 제3 부분(366)은 개구(340)의 제2 부분(346) 및 개구(340)의 제1 부분(344) 내에 위치되고, 전방측 슬리브(304)의 헤드부(322)를 지나 연장된다.
스템 부재(306)의 긴 스템 헤드(354) 및 전방측 슬리브(304)의 슬리브부(324)를 제2 공작물(388) 및 하니컴 재료(384)의 제1 스킨(390)을 통해 구멍(412) 내로 하니컴 재료(384)의 하니컴 인테리어(402) 내로 삽입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슬리브(302)가 구멍(412) 내에 위치된 후에, 전방측 슬리브(304) 및 스템 부재(306)의 조합체가 구멍(412) 내에 위치되며, 결과적으로 전방측 슬리브(304)의 헤드부(322)는 카운터보어(416) 내에 위치되면서 제2 공작물(388)의 외측 표면(410)과 동일 평면이 되고, 스템 부재(306)의 긴 스템 헤드(354) 및 전방측 슬리브(304)의 슬리브부(324)의 제2 부분(338)의 일부는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의 개구(320) 내에 위치된다. 전방측 슬리브(304)의 구성에 의해 전방측슬리브(304)는 균일한 직경의 구멍(412)을 수용한다. 전방측 슬리브(304)의 슬리브부(324)가 제1 부분(332) 및 제2 부분(338) 사이에서 테이퍼링되어, 제2 부분(338)은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의 개구(32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와 스템 부재(306)의 긴 스템 헤드(354) 사이에 간극(418)이 형성된다. 설치에 기인하여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304, 302)의 팽창을 위한 간극(418)이 필요하며, 하니컴 구조에서 쉽게 충족된다.
외부 로킹 칼라(308)가 긴 생크(358)의 제3 부분(366) 주위에 위치되어, 외부 로킹 칼라(308)는 전방측 슬리브(304)의 개구(340)의 제1 부분(340)에 근접하거나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위치된다.
시프팅 와셔(310)가 긴 생크(358)의 제3 부분(366) 주위에 위치되어, 하부 와셔 요소(422)의 하부면(426)은 전방측 슬리브(304)의 제1 단부(326)에 접하고, 상부 와셔 요소(420)의 하부면(428)은 외부 로킹 칼라(308)에 접한다.
하니컴 리벳(300)이 구멍(412) 내에 위치된 후에, 통상적인 인입형 공구(378)가 긴 생크(358)의 제3 부분(366) 주위에 위치되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형 공구(378)의 단부는 시프팅 와셔(311)의 상부 와셔 요소(420)의 상부면(430)에 접하면서 견고하고 고른 압력을 시프팅 와셔(311)에 인가하여 전방측 슬리브(304)의 헤드부(322)를 구멍(412)의 카운터보어(416) 내에 위치시킨다. 시프팅 화셔(311)는 소모성 인입 공구 요소의 마모 및 교체를 없게 하여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입 공구(378)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킨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형 공구(378)는 후방측 및 전방측 슬리브(302, 304)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시프팅 와셔(311)에 하방 압축력(F1)을 인가함과 동시에 스템 부재(306)의 긴 생크(358)의 인입부(372)에 상방 인장력(F2)을 인가한다. 인장력(F2)에 의해 확대 스템 헤드(354)는 전방측 슬리브(304)의 제2 단부(328) 부근에서 전방측 슬리브(304)의 슬리브부(324)의 제2 부분(338)을 가압하며, 결국 후방측 슬리브(302)의 제2 단부(318) 부근에서 후방측 슬리브(302)의 슬리브부(314)를 가압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304, 302) 각각의 슬리브부(324, 314)에 대한 가압은 전방측 및 후방측 슬리브(304, 302)가 서로 로킹되어 하니컴 재료(384) 내에서 하니컴 리벳(300)의 조인트를 체결하게 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형 공구(378)가 압축력(F1)을 시프팅 와셔(311)의 상부 와셔 요소(420)에 계속 인가하면, 힘(F1)이 전단 섹션(424)의 전단 강도보다 커져서 하부 와셔 섹션(422)으로부터 상부 와셔 섹션(420)이 전단 변형된다. 상부 와셔 섹션(420)이 하부 와셔 섹션으로부터 전단 변형되고, 인입 공구(378)는 상부 와셔 요소(420)에 힘(F1)을 인가하면, 상부 와셔 요소(420)는 외부 로킹 칼라(309)로 하방 가압된다. 그러므로, 외부 로킹 칼라(309)가 가압되어 전방측 슬리브(304)의 개구(340)의 제1 부분(344) 내로 및 스템 부재(306)의 환형 잠금 그루브(370) 내로 변형된다. 전방측 슬리브(304)의 개구(340)의 제1 부분(344) 내로 및 스템 부재(306)의 환형 잠금 그루브(370) 내로 외부 로킹 칼라(309)의 변형에 의해 스템 부재(306) 및 전방측 슬리브(304)가 서로 견고하게 로킹된다. 외부 로킹 칼라(308)는 조인트 완결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며, 설치 이후에 눈에 띄게된다. 외부 로킹 칼라(308)는 또한 스템 부재(306)가 덜커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며, 제자리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하니컴 리벳(300) 양단의 전단 부하를 추가적으로 보장하게 된다.
인입 공구(378)에 의해 힘(F2)이 계속 인가되므로, 스템 부재(306)의 긴 생크(358)가 브레이크 노치(379)에서 절단되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의 날카로운 부분 없는 설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시프팅 와셔(311)가 내부에서 붕괴되므로, 쉽게 회수되고 제거되는 고체 와셔가 남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리벳(100, 300)은 하니컴 재료를 다른 재료에 체결하기 위한 리벳을 제공하며, 동일한 목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다른 체결구에 비해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리벳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업계의 당업자라면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를 안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Claims (20)

  1. 공작물에 하니컴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구이며,
    상기 공작물과 상기 하니컴 재료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제1 슬리브와,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되는 스템 헤드 및 상기 스템 헤드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 2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되는 생크를 갖고, 상기 스템 헤드가 상기 제 2 슬리브의 개구 내로 인입되면 상기 스템 헤드가 상기 제2 슬리브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슬리브의 팽창에 의해 상기 제1 슬리브가 팽창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가 서로 로킹되고 상기 체결구가 상기 하니컴 재료와 상기 공작물에 부착되는 스템 부재를 포함하는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는 제1 단부에 헤드를 갖고 상기 헤드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리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슬리브의 헤드는 상기 구멍을 통해 지나갈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는 상기 제1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슬리브의 제1 단부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슬리브는 제1 단부에 헤드를 갖고 상기 헤드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리브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슬리브의 헤드는 상기 구멍을 통해 지나갈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의 슬리브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슬리브의 슬리브부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을 상기 제2 슬리브에 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체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스템 내에 구비된 로킹 그루브와 상기 제2 슬리브의 슬리브부 사이에 위치되는 로킹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스템 주위에 위치되는 구동 앤빌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 앤빌은 상기 로킹 칼라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템 헤드가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내로 인입되는 동안 상기 로킹 칼라가 상기 구동 앤빌을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상에 접촉시킬 때 상기 로킹 칼라는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및 상기 로킹 그루브 내에 변형되고, 상기 로킹 칼라의 변형에 의해 상기 스템은 상기 제2 슬리브에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리브의 헤드 내 개구의 직경은 상기 제2 슬리브의 슬리브부 내 개구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 로킹 칼라가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내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연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약부와 상기 스템 헤드 사이의 스페이싱이 상기 체결구의 그립 길이 내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로킹 칼라의 변형이 상기 스템의 움직임을 봉쇄하면 상기 연약부가 파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부는 상기 로킹 그루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브레이크 그루브이며, 상기 로킹 칼라는 상기 제2 슬리브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그루브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설정 공구에 의해 파지 가능하여 상기 구동 앤빌에 인가된 압축력에 대한 반작용인 신장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제1 와셔 요소와 제2 와셔 요소를 갖는 시프팅 와셔 및 로킹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 요소들은 동심적으로 그러나 축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고 전단 섹션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와셔는 상기 전단 섹션의 전단 시에 상기 제2 와셔 요소의 내부 치수 내에 자유롭게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치수이고, 상기 로킹 칼라는 초기에 상기 와셔 요소들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와셔 요소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슬리브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방사상 내측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최대 가압력에 대응하는 절단 부분의 결과로서 그 위의 상기 제2 와셔 요소에 의해 맞물림 가능하여 상기 스템 상의 수단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협력시켜 상기 스템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각각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리브의 헤드 내 개구의 직경은 상기 제2 슬리브의 슬리브부 내 개구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 로킹 칼라는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내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연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약부와 상기 스템 헤드 사이의 스페이싱이 상기 체결구의 그립 길이 내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로킹 칼라의 변형이 상기 스템의 움직임을 봉쇄하면 상기 연약부가 파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부는 상기 로킹 그루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브레이크 그루브이고, 상기 로킹 칼라는 상기 제2 슬리브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그루브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설정 공구에 의해 파지 가능하여 상기 시프팅와셔에 인가된 압축력에 대한 반작용인 신장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4. 일단에 헤드 및 대향단에 연장 가능한 슬리브부를 갖고, 상기 연장 가능한 슬리브부가 개구를 내부에 갖는 제1 슬리브와,
    일단에 헤드부 및 대향단에 슬리브부를 갖고,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제1 슬리브의 슬리브부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슬리브와,
    스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템 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대향단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템 부재를 인입하기 위한 공구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구성된 인입부를 상기 대향단에 갖는 생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가 상기 스템 부재를 인입하면, 상기 스템 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내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슬리브의 슬리브부를 팽창시키며, 상기 제2 슬리브의 팽창은 결국 상기 제1 슬리브의 슬리브부를 팽창시켜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을 상기 제2 슬리브에 로킹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16. 내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제1 하니컴 스킨, 내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제2 하니컴 스킨, 상기 제1 및 제2 하니컴 스킨의 상기 내부 표면들 사이에 구비된 하니컴 인테리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하니컴 재료와,
    상기 제1 하니컴 스킨의 외부 표면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와 정렬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 제1 공작물과,
    상기 제2 하니컴 스킨의 외부 표면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와 정렬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 제2 공작물과,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 공작물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면서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부분적으로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내에 방사상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니컴 재료에 제1 슬리브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제1 슬리브와,
    상기 제2 공작물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면서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및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에서 방사상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슬리브에 제2 슬리브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조합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스템 부재 및 상기 스템 부재를 상기 제2슬리브에 로킹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템 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생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슬리브의 상기 방사상 팽창된 부분에 근접하여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작물은 상기 제1 및 제2 공작물의 개구들과 연통하는 카운터보어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는 헤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슬리브의 헤드부는 상기 제1 공작물의 카운터보어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의 헤드부는 상기 제2 공작물의 카운터보어 내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제2 슬리브의 헤드부와 상기 스템 부재의 생크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20. 하니컴 재료에 제1 및 제2 공작물을 부착하는 방법이며,
    상기 하니컴 재료는 제1 하니컴 스킨, 제2 하니컴 스킨, 상기 제1 및 제2 하니컴 사이의 하니컴 인테리어 및 관통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공작물은 관통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공작물은 관통 개구를 갖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1 하니컴 스킨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공작물을 위치시켜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및 상기 제1 공작물 개구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2 하니컴 스킨에 대향하여 상기 제2 공작물을 위치시켜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및 상기 제2 공작물의 개구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c)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제1 슬리브를 상기 제1 공작물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d) 제2 슬리브의 개구를 통해 스템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는 전체적으로 관통 연장되고, 상기 스템 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생크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 바깥쪽에 위치되는 단계와,
    e) 상기 제2 슬리브를 상기 제2 공작물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니컴 재료의 개구 내로 및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로 삽입하여, 상기 스템 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제1 슬리브의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f) 상기 스템 부재의 생크부를 인입하여, 상기 스템 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제2 슬리브의 개구로 진입하면서 상기 제2 슬리브 및 상기 제1 슬리브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가 서로 부착되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하니컴 재료가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g) 상기 스템 부재의 긴 생크부와 상기 제2 슬리브를 서로 로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13155A 2002-02-25 2003-02-14 하니컴 리벳 KR20040086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49702P 2002-02-25 2002-02-25
US60/359,497 2002-02-25
US10/358,863 US6898918B2 (en) 2002-02-25 2003-02-05 Honeycomb rivet
US10/358,863 2003-02-05
PCT/US2003/004532 WO2003072280A2 (en) 2002-02-25 2003-02-14 Honeycomb riv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33A true KR20040086433A (ko) 2004-10-08

Family

ID=2776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55A KR20040086433A (ko) 2002-02-25 2003-02-14 하니컴 리벳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98918B2 (ko)
EP (1) EP1478477A4 (ko)
JP (1) JP2005518509A (ko)
KR (1) KR20040086433A (ko)
CN (1) CN1639469A (ko)
AU (1) AU2003213069A1 (ko)
BR (1) BR0307923A (ko)
CA (1) CA2474799A1 (ko)
TW (1) TWI254104B (ko)
WO (1) WO20030722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8412A (en) * 2002-05-08 2003-11-12 Emhart Llc Blind rivet
KR20150100967A (ko) * 2006-09-20 2015-09-02 부트벨딩 아게 건축 재료의 앵커링
US7824141B2 (en) * 2007-08-03 2010-11-02 Newfrey Llc Blind rivet
US8096742B2 (en) * 2007-08-03 2012-01-17 Newfrey Llc Blind rivet
DE102007041058A1 (de) * 2007-08-29 2009-03-12 Zimmer, Günther Dübel für selbsttätigen Deckplattenhintergriff und dessen Injektionsklebeverfahren
US8556943B2 (en) * 2007-12-13 2013-10-15 Alexandre Worcel Lock ring for osteosynthesis device and osteosynthesis device including such ring
US7712340B2 (en) * 2008-04-30 2010-05-11 Wen-Kwei Chang Lock structure
US8136328B2 (en) * 2008-05-28 2012-03-20 The Boeing Company Fastener receptacle for a panel
DE102010017296A1 (de) 2010-06-08 2011-12-08 Newfrey Llc Blindniet und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m Blindniet
DE102010044902B4 (de) * 2010-09-09 2020-02-06 Audi Ag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Gewindehülse in ein Werkstück und Fügeverbindung zwischen Gewindehülse und Werkstück
JP5972376B2 (ja) * 2011-08-17 2016-08-17 ビー イー エアロスペイス,インク. 埋込みインサートを備えた高強度航空機インテリアパネル
DE102014108547B4 (de) * 2014-06-17 2017-03-02 John Meyers Verfahren zum Einsetzen und Festlegen eines Befestigungseinsatzes in einer Leichtbau-Sandwichplatte sowie Befestigungseinsatz
JP6583659B2 (ja) * 2014-07-24 2019-10-02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その締結方法
CN107061456A (zh) * 2017-06-16 2017-08-18 航天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夹紧力自锁抽芯铆钉
CN107013545B (zh) * 2017-06-16 2021-03-09 航天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抽芯铆钉
CN107061459A (zh) * 2017-06-16 2017-08-18 航天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锁环内置型抽芯铆钉
CN110281603B (zh) * 2018-03-15 2021-10-08 杜邦安全与建筑公司 具有蜂窝芯的复合层合板及其制造方法
CN108891715B (zh) * 2018-08-24 2024-05-14 贝贝托物流科技(深圳)有限公司 物流托盘
CN109435424B (zh) * 2018-09-30 2020-12-01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通孔衬套安装的航空铝蜂窝夹芯板拼接方法
RU2734185C1 (ru) * 2019-10-25 2020-10-13 Ершов Антон Владимирович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с односторонним доступом
CN110953231B (zh) * 2019-12-04 2021-04-16 航天精工股份有限公司 可调预紧力机械锁紧型抽芯铆钉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1537A (en) * 1968-04-10 1970-08-05 Diamond H Contro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rmal control means
US3771410A (en) * 1972-05-01 1973-11-13 Vsi Corp Fastener
US3937123A (en) 1974-04-08 1976-02-10 Textron Inc. Blind fastener with shear washer
US4012984A (en) 1975-06-19 1977-03-22 Textron, Inc. Blind rivet assembly with locking collar on rivet stem
DE2536136A1 (de) * 1975-08-13 1977-03-03 Hilti Ag Spreizduebel
US4432679A (en) 1977-09-21 1984-02-21 Huck Manufacturing Company Lock spindle blind fastener for single action application
FI58732C (fi) * 1979-09-28 1981-04-10 Fiskars Ab Oy Anordning vid sax foer utjaemning av saxens slutningskraft
US4490083A (en) * 1980-01-10 1984-12-25 Russell, Burdsall, & Ward Corporation Sealing capped nut and bolt therefor
SE8005318L (sv) * 1980-07-23 1982-01-24 Sven Bertil Larsson Anordning vid blindnitar
US4844673A (en) 1982-06-29 1989-07-04 Huck Manufacturing Company Lock spindle blind bolt with lock collar providing pin stop support
US4784551A (en) * 1985-05-24 1988-11-15 Huck Manufacturing Company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flush and protruding head blind fasteners with common pin and particularly such fasteners constructed of exotic material
US4826378A (en) * 1985-07-22 1989-05-02 R B & W Corporation Sealing cap tubular rivet head and assembly
US4678384A (en) * 1986-06-13 1987-07-07 Lockheed Corporation Controlled expansion blind fastener design
US4949450A (en) 1988-01-14 1990-08-21 Scharres Harry J Insulated blind rivet mounting and method of making
US5275529A (en) * 1992-03-16 1994-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Sandwich panel joint
GB9324378D0 (en) * 1993-11-26 1994-01-12 Emhart Inc Blind rivet
US5536344A (en) 1994-09-13 1996-07-16 Shur-Lok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plastic composite fastener in a panel
GB2344864A (en) * 1998-12-17 2000-06-21 Textron Fastening Syst Ltd Blind fastener
US6077009A (en) * 1999-04-09 2000-06-20 Huck International, Inc. Blind fastener with high strength blind head and high clamp and high shear load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18509A (ja) 2005-06-23
WO2003072280A3 (en) 2004-05-13
EP1478477A4 (en) 2007-06-06
BR0307923A (pt) 2005-08-16
AU2003213069A8 (en) 2003-09-09
AU2003213069A1 (en) 2003-09-09
CN1639469A (zh) 2005-07-13
CA2474799A1 (en) 2003-09-04
US20030159387A1 (en) 2003-08-28
WO2003072280A2 (en) 2003-09-04
TWI254104B (en) 2006-05-01
EP1478477A2 (en) 2004-11-24
TW200303397A (en) 2003-09-01
US6898918B2 (en)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6433A (ko) 하니컴 리벳
KR100732306B1 (ko) 블라인드 패스너
US4089247A (en) Blind fastener
US4850771A (en) Installation system for securing workpieces of composite materials and the like and threaded fastener for such system
US4142439A (en) Blind fastener assembly
JP2006342963A (ja) 改良型ブラインド・リベット
EP1623126B1 (en) Blind fastener and method of removing it from a workpiece
JP2013152025A (ja) 複合材料用のナット板締結具アセンブリ
JP2005518509A5 (ko)
US5620287A (en) Fastener system with controlled clamping load
JP2004100955A (ja) 自動穿孔ブラインドファスナ
US7722303B2 (en) Frangible blind rivet
EP0766011B1 (en) Blind rivet
US20070224014A1 (en) Fastener for the temporary joinder of parts made of composite material
KR20000069177A (ko) 블라인드 리벳 및 그 제조 방법
US6081984A (en) Method of fastening members of an assembly
KR20040072656A (ko) 고정방법
JP2545697B2 (ja) 固定部材、特に化粧プレート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部材
JP4154579B2 (ja) ブラインド締結具及びこのブラインド締結具を用いて加工物を固定する方法
JPH08232928A (ja) 複数の部材を締着する方法
ZA200507051B (en) Blind fastener and method of removing it from a workpiece
GB2343725A (en) Pin for pin and collar fastener
GB2420835A (en) Swaged rivet
JP2000084757A (ja) 締結部材ならびに、締結部材のスペーサ部材及び分解方法
JPH11132214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