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3Y1 - 새들분수전 - Google Patents

새들분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3Y1
KR200400863Y1 KR20-2005-0025008U KR20050025008U KR200400863Y1 KR 200400863 Y1 KR200400863 Y1 KR 200400863Y1 KR 20050025008 U KR20050025008 U KR 20050025008U KR 200400863 Y1 KR200400863 Y1 KR 200400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ddle
constant
ball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16K11/087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the plug being only rotatable around on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관에 설치되는 새들분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부새들(10)(20)로 이루어진 새들(S)이 상수관(P)의 외주연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32) 및 이 유입구(32)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34)이 구비된 바디(30)가 새들(S)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32)를 개폐시키도록 바디(30)에 볼밸브(40)가 내장되는 새들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는,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를 여러 갈래로 분기시켜 각각의 건물로 공급하는 공급관(1)에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34)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볼밸브(40)가 바디(30)에 내장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수관에 설치된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더 설치하지 않고도, 증가되는 건축물로 상수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상수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새들분수전{WATER VALVE}
본 고안은 상수관에 설치되어 상수원을 분기시켜 가정이나 각종 건축물로 공급하는 새들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관에 설치된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증가되는 가정이나 건축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관을 기존에 설치된 새들분수전에 간편하게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공급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수원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새들분수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390674호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에 적용하여, 상수관에 다른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증가되는 건축물로 상수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새들분수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새들분수전은 스테인리스관, 주철관, 코팅관, 동관 및 PVC관 따위로 이루어진 상수관에 분기작업을 통해 단수 없이 가정이나 각종 건축물로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종래 새들분수전으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390674호 “출구방향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의 기술적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메인 상수관에 장착되는 상·하 새들붙이 본체와, 상기 새들붙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수전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수전 바디의 일측에는 분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 새들붙이 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새들붙이 본체와 분수전 바디 사이에는 상기 분수전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중단에 플랜지부가 돌출된 방향조절구와, 상기 방향조절구의 이탈방지를 위해 새들붙이 본체에 결합되어 가압력을 가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방향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과 같다.
여기서, 상기 상·하 새들붙이 본체에는 고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연결구는 분수전 바디에 구비되어 메인 상수관에서 이송된 상수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분수전 바디에는 볼밸브가 내장되어 상수관에서 공급되는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출구방향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은 출구방향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분수전 바디에 단 하나의 연결구만이 구비되어, 증가되는 각 건물이나 증설되는 공급관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수관 사이사이에 추가로 새들분수전을 더 증설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원가상승을 유도하면서, 이에 따라 시공비용이 상승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수관에 설치된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증가되는 가정이나 건축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관을 기존에 설치된 새들분수전에 간편하게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공급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수원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새들분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390674호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에 적용하여, 상수관에 다른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증가되는 건축물로 상수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새들분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수관의 외주연으로 밴드와 함께 장착되는 새들의 상부에 바디를 연결하고, 이 바디에 상수관에서 이송되는 상수를 분기시켜 공급관에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되, 이 복수개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볼밸브를 바디에 내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는 바디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배출구의 개수를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볼밸브에는 개폐노브가 연결되어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며, 상기 볼밸브는 상수관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바디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공 및 이 개방공으로 통과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된 차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새들(10)(20)로 이루어진 새들(S)이 상수관(P)의 외주연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32) 및 이 유입구(32)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34)가 구비된 바디(30)가 새들(S)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32)를 개폐시키도록 바디(30)에 볼밸브(40)가 내장되는 새들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는,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를 여러 갈래로 분기시켜 각각의 건물로 공급하는 공급관(1)에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34)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볼밸브(40)가 바디(30)에 내장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새들(S)은 상부새들(10)과 하부새들(20)로 이루어져, 상수관(P)의 외주연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이 상·하부새들(10)(20)의 각 양측에는 플랜지(1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된다.
상기 상부새들(10)에는 상수관(P)의 이송공(P1)으로 이송되는 상수가 지나가도록 관통공(14)이 천공되며, 이 관통공(14)에는 새들실링(70)이 끼워져 상수관(P)의 이송공(P1)으로 이송되는 상수가 누수되지 않고 관통공(14)으로 기밀히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30)는 본 고안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30)의 중앙 하부에는 상수관(P)의 이송공(P1)으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2)가 형성되어 상부새들(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 유입구(32)로 유입된 상수를 배출시키도록 바디(30)의 양측에는 배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배출구(34)의 개수를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34)에는 각각의 건물로 상수를 공급하도록 공급관(1)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32)와 배출구(34) 사이에는 후술하는 볼밸브(40)가 설치되는데, 이 볼밸브(40)는 유입구(32)로 유입되어 배출구(34)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30)의 상부에는 캡(36)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된다.
상기 바디(30)와 상부새들(10) 사이에는 바디(30)가 상부새들(10)에 회전가능하도록 방향조절구(50)가 개재되는데, 이러한 방향조절구(50)의 상부는 바디(3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고, 그 하부는 상부새들(10)의 관통공(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30)와 상부새들(10)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구(50)의 중앙에는 상부새들(10)의 관통공(14)을 지나 바디(30)의 유입구(32)로 유입되도록 연결공(52)이 천공된다.
상기 방향조절구(50)는 고정플레이트(80)에 의해 상부새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 방향조절구(50)에 형성된 장착공(82)으로 장착되는 볼트(84)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새들(10)에 탭홀(16)이 형성되어, 방향조절구(50)가 상부새들(10)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볼밸브(40)는 개방공(42)과 차단면(44)으로 크게 이루어져 볼밸브(40)를 작동시키는 개폐노브(46)가 일측에 연결되며, 이 볼밸브(40)는 바디(30)와 방향조절구(50)에 장착되는 시트링(60)에 의해 상수의 흐름에 따른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공(42)은 바디(30)의 유입구(32) 및 배출구(34)에 연결되도록, 도 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0)의 좌우 양측 및 하부에 천공되어,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바디(30)의 유입구(32)를 지나, 볼밸브(40)의 개방공(42)을 통해 배출구(34)로 배출된다. 이때,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는 볼밸브(40)에 형성된 개방공(42)을 지나면서 양측으로 갈라져 배출구(34)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차단면(44)은 개폐노브(46)의 작동에 따라 개방공(42)으로 통과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개폐노브(46)의 작동에 따라 바디(30)의 유입구(32)를 차단하기도 하고,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34)를 차단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새들(S)을 상수관(P)의 적절한 분기위치에 장착하고, 상부새들(10)에 방향조절구(50) 및 바디(30)를 순차적으로 나사결합한 후, 바디(30)의 배출구(34)에 공급관(1)을 연결하여 건물로 상수를 공급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새들분수전에 연결된 공급관(1) 외에 추가로 늘어나거나 증설되는 공급관(1)을, 바디(30)의 양측 내지는 복수개로 구비된 배출구(34)에 각각 연결하여 각각의 건물로 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새들분수전을 상수관(P)에 더 설치하지 않고 공급관(1)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새들분수전은, 먼저 도 4a에서와 같은 상태로 볼밸브(40)가 위치하면, 바디(30)의 유입구(32)를 차단면(44)이 차단하여 상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즉, 볼밸브(40)의 차단면(44)이 방향조절구(50)의 연결공(52)을 막아,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바디(30)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이어서, 개폐노브(46)를 오른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0)가 바디(30)의 유입구(32)가 개방되면서 상수가 유입되고, 이같이 유입된 상수는 개방공(42)을 통과하여 바디(30)의 우측에 구비된 배출구(34)로만 배출된다.
다음으로, 개폐노브(46)를 다시 오른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0)가 바디(30)의 유입구(32)가 개방되면서 상수가 유입되는데, 이같이 유입된 상수는 개방공(42)을 통과하면서 양측으로 갈라져 바디(30)의 양측으로 구비된 배출구(34)로 동시에 배출된다.
또한, 개폐노브(46)를 다시 오른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0)가 바디(30)의 유입구(32)가 개방되면서 상수가 유입되고, 이같이 유입된 상수는 개방공(42)을 통과하여 바디(30)의 좌측에 구비된 배출구(34)로만 배출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개폐노브(46)를 적절히 작동시키면, 바디(30)의 양측에 구비된 배출구(34) 각각에 연결된 공급관(1)을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물의 증가에 따라 상수관에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각각의 건물에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관(1)과 간편히 연결할 수 있게 되며, 개폐노브(46)로 작동되는 볼밸브(40)에 의해 상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구로 인해, 상수관에 다른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증가되는 각각의 건축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배출구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개폐노브로 작동되는 볼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수원의 흐름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390674호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에 적용하여, 상수관에 다른 새들분수전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증가되는 건축물로 상수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4d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새들 14 : 관통공
20 : 밴드 30 : 바디
32 : 유입구 34 : 배출구
40 : 볼밸브 42 : 개방공
44 : 차단면 46 : 개폐노브
50 : 방향조절구 60 : 시트링
70 : 새들실링 B : 고정볼트
N : 너트 P : 상수관

Claims (3)

  1. 상·하부새들(10)(20)로 이루어진 새들(S)이 상수관(P)의 외주연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32) 및 이 유입구(32)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34)가 구비된 바디(30)가 새들(S)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32)를 개폐시키도록 바디(30)에 볼밸브(40)가 내장되는 새들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는,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를 여러 갈래로 분기시켜 각각의 건물로 공급하는 공급관(1)에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34)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볼밸브(40)가 바디(3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4)는, 바디(30)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를 각각의 건물로 공급하도록 공급관(1)에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34)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볼밸브(40)를 바디(30)에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40)에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개폐노브(46)를 연결하되,
    상기 볼밸브(40)는, 개폐노브(46)의 작동에 따라 상수관(P)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바디(30)의 배출구(34)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공(42) 및 이 개방공(42)으로 통과되는 상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된 차단면(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
KR20-2005-0025008U 2005-08-30 2005-08-30 새들분수전 KR200400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08U KR200400863Y1 (ko) 2005-08-30 2005-08-30 새들분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08U KR200400863Y1 (ko) 2005-08-30 2005-08-30 새들분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3Y1 true KR200400863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008U KR200400863Y1 (ko) 2005-08-30 2005-08-30 새들분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2B1 (ko) 2011-03-24 2011-05-20 수원시 제수밸브용 가변디스크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093782B1 (ko) * 2011-03-30 2011-12-19 진원개발 주식회사 역류방지를 위한 새들분수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2B1 (ko) 2011-03-24 2011-05-20 수원시 제수밸브용 가변디스크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093782B1 (ko) * 2011-03-30 2011-12-19 진원개발 주식회사 역류방지를 위한 새들분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0105A1 (en) Integrated plug/choke valve
US20050205697A1 (en) Combination showerhead with waterfall nozzle
CA2214237A1 (en) Flush valve refill head for controlling flow during operating cycle
KR200400863Y1 (ko) 새들분수전
US6311728B1 (en) Fluid distribution valve
US6360767B1 (en) Fluid distribution valve
JP4100693B2 (ja) 流量制御弁
US20030178077A1 (en) Fluid multieconomizer device
KR200442311Y1 (ko)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US11466785B2 (en) Water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US7325568B2 (en) Sprinkler valve manifold
WO2014063339A1 (zh) 摇杆切换功能的顶喷花洒
DE502006004713D1 (de) Duschkopf
KR920001149Y1 (ko) 수도미터 접속장치
CN208535265U (zh) 一种柔性管双出水的厨房龙头
US20120073686A1 (en) Control valve assembly for faucet and faucet using the same
KR200314120Y1 (ko) 가스밸브의 연장 설치구조
KR101276226B1 (ko) 새들 분수전
CN217153174U (zh) 一种新型预埋恒温龙头
JP2001082375A5 (ko)
CN209723526U (zh) 一种装修施工控制出水口的间距装置
KR200336870Y1 (ko) 이중토출구를 갖는 급수밸브
KR101601870B1 (ko) 다단 분배용 수전구
KR890001377Y1 (ko) 수동 샤우어기 살수량 조정장치
KR200395456Y1 (ko) 급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