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192A -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192A
KR20040086192A KR1020040020036A KR20040020036A KR20040086192A KR 20040086192 A KR20040086192 A KR 20040086192A KR 1020040020036 A KR1020040020036 A KR 1020040020036A KR 20040020036 A KR20040020036 A KR 20040020036A KR 20040086192 A KR20040086192 A KR 2004008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hoke
cross
rolling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2768B1 (en
Inventor
오하라유지
유끼아쯔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7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which is constructed in a simple structure and installed inexpensively, has high reliability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position misalignment of respective roll chocks within a clearance range, and a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CONSTITUTION: In a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comprising work roll chocks(3,4) for rotatably supporting work rolls(1) and back up roll chocks(5,6) for rotatably supporting back up rolls(2), the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is characterized in that spring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work roll chocks ar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ork rolls are off set during rolling of a material to be rolled, wherein spring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ck up roll chocks are additionally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 up rolls are off set during rolling of the material to be rolled, and wherein a lubricating agent is supplied between spring holders and chock liners and between cross heads(8) and cross head liners(13,14).

Description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Cross roll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roll rolling mill and a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크로스롤 압연기는 상하부 워크롤을 크로스한 상태에서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2a, 도 12b 에 상하부 워크롤과 피압연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a 는 평면도, 도 12b 는 측면도이다.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 워크롤 (101) 은 피압연재 (S) 의 폭방향 중앙부를 크로스 중심 (크로스 포인트 : c) 으로 하여 소정의 크로스각 (θ : 가변) 으로 크로스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포인트 (c) 부근의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a) 와 롤 끝단 부근의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b) 에 차이가 생기게 되고,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의, 피압연재 (S) 의 폭방향에 관한 분포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차 곡선이 된다. 크로스각 (θ) 을 크게 하면 이 이차 곡선의 아래로 볼록해지는 정도는 경사가 급해지고, 크로스각 (θ) 을 작게 하면 이차 곡선의 아래로 볼록해지는 정도는 경사가 완만해진다. 크로스각 (θ) 을 0 으로 하면 상하부 크로스롤의 개방도는 일정해진다.The cross roll rolling mill is characterized by rolling the rolled material in a state of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2A and 12B show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and the rolled material. 12A is a plan view and FIG. 12B is a side view. As shown in FIG. 12A,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are disposed so as to cross at a predetermined cross angle (θ: variable) with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as the cross center (cross point: c). Thereby, as shown in FIG. 12B, a difference arises in the opening degree (a)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near the cross point (c) and the opening degree (b)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near the roll ends. The distribution about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S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becomes a secondary curve as shown in FIG. If the cross angle θ is increased, the degree of convexity under the secondary curve becomes steep, and when the cross angle θ is reduced, the degree of convexity under the secondary curve becomes sloping. When the cross angle θ is 0,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cross rolls is constant.

크로스롤 압연기의 등장 이전의 압연기는, 압연중에는 도 1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상하부 워크롤 (101) 및 상하부 백업롤 (102) 의 휨에 의해, 피압연재 (S) 의 판두께 분포는 폭 중앙부에서 두껍고 폭단부에서 얇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크로스롤 압연기에서는 전술한 크로스각 (θ) 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를 최적인 이차 곡선으로 함으로써, 상하부 워크롤 (101) 및 상하부 백업롤 (102) 이 휘어지는 만큼을 보상하고, 도 1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압연재 (S) 의 압연후의 폭방향 판두께 분포를 균일한 것에 근접시킬 수 있으며, 막두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열간압연, 냉간압연을 불문하고 크로스롤 압연기가 많이 설치되게 되고 있다.The rolling mill prior to the appearance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has a plat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due to the bending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and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s 102 due to the rolling load during rolling. It tended to be thick at the center of the width and thin at the width end. However, in the cross-roll rolling mill,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and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s 102 are bent by setting the above-described cross angle θ optimally and mak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an optimal secondary curve. As shown in FIG. 14B, the widthwise plate thickness distribution after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S can be approximated to a uniform one, and the film thickness precision can be improved.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many cross-roll rolling machines are provided regardless of hot rolling and cold rolling.

도 15 에 크로스롤 압연기의 주요부의 개략을 나타낸다. 상하부 워크롤 (101) 을 구동하는 모터를 배치하고 있는 측을 드라이브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측을 오퍼레이터측이라 한다. 상부 워크롤 (101)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부 워크롤 (101) 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102)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백업롤 (102)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outline of the principal part of a cross roll rolling mill is shown in FIG. The side on which the motor for driving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is disposed is called the drive side, and the side operated by the operator on the opposite side is called the operator side. The rotary shaft of the upper work roll 101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air of upper work roll chokes 103 on the drive side and the operator side. The rotating shaft of the lower work roll 101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air of lower work roll chocks 104 on the drive side and the operator side. Moreover, the rotating shaft of the upper backup roll 102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upper work roll 10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ir of upper backup roll chocks 105 of a drive side and an operator side. The rotating shaft of the lower back-up roll 102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lower work roll 10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ir of lower back-up roll chokes 106 of a drive side and an operator side.

이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는, 이전의 압연기와 달리, 상하부 백업롤 초크(105, 106) 및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크로스 헤드 (107, 108) 를 가지고, 이 크로스 헤드 (107, 108) 를 도 15 중에 큰 화살표로 나타내는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을 페어로 하여 구동하여 전술한 크로스각 (θ) 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cross-roll rolling mill, unlike the previous rolling mill,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cks 105 and 106 and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cks 103 and 104 are arranged in the form of enclosing the rolled material 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The upper work roll 101 and the upper back-up roll are provided by having the cross heads 107 and 108, and driving the cross heads 107 and 108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indicated by the large arrows in FIG. 102, the lower work roll 101, and the lower back-up roll 102 are driven in pairs to set the cross angle θ described above.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을 페어로 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페어크로스 방식이라 하고, 상하부 워크롤 (101) 만을 구동하는 방식을 워크롤 단독 크로스 방식이라 한다.As shown in FIG. 15, a method of driving the upper work roll 101, the upper back up roll 102, the lower work roll 101, and the lower back up roll 102 in pairs is called a pair cross method, and the upper and lower work pieces The method of driving only the roll 101 is called a work roll single cross system.

또한,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어느 한 쪽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하고, 크로스 헤드를 배치한 측을 크로스시키고 반대측을 피봇으로 하는 방식을 편 크로스 방식 (상부 롤의 드라이브측에 크로스 헤드가 있을 때에는, 하부 롤의 오퍼레이터측에 크로스 헤드가 있음) 이라 한다. 도 15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는 그에 해당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거기에서는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크로스 헤드 (107) 가 배치되며,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크로스 헤드 (108) 가 배치되어 있다.이와는 반대로, 상부 워크롤과 상부 백업롤의 오퍼레이터측 및 하부 워크롤과 하부 백업롤의 드라이브측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부 모두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양쪽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하고, 양쪽의 크로스 헤드를 크로스시켜 피봇을 형성하지 않는 방식을 양 크로스 방식이라 한다. 이하, 페어크로스 방식이면서 편 크로스 방식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기능으로서는 워크롤 단독 크로스 방식, 양 크로스 방식도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크로스롤 압연기란 이들을 포함한 의미로 한다.In addition, the cross head is disposed on either the drive side or the operator side, and the cross side on which the cross head is disposed is crosswise and the opposite side is pivoted (when there is a cross head on the drive side of the upper roll, Crosshea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roll). The cross-roll rolling mill shown in FIG. 15 shows the corresponding one, where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ke (located on the driv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101 and the upper backup roll 102) The cross work head 10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form which encloses 105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S, and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lower work roll arrange | positioned at the operator side of the lower work roll 101 and the lower backup roll 102. The cross head 108 is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choke 104 and the lower backup roll choke 106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Cross heads may be arranged on the operator side and the drive side of the lower work roll and the lower backup roll. In addition, the cross-head is arrange | positioned at both a drive side and an operator side in bot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it does not form a pivot by crossing both cross heads. Hereinafter, although the case of a fair cross system and a single cross system is demonstrated, since the work roll single cross system and both cross systems are also the same as a basic function, the cross roll rolling mill as used in this invention shall mean including these.

도 16a, 도 16b 에 도 15 의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크로스롤 압연기는 페어크로스 방식이면서 편 크로스 방식이다. 이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는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108) 가 배치되어 있다.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cross roll rolling mill of FIG. 15 from FIG. 16A and FIG. 16B from an operator side is shown. This cross-roll rolling mill is a fair cross system and a single cross system. In this cross-roll rolling machine, the upper work roll chocks 103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cks 105 disposed on the driv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101 and the upper back-up roll 102 are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a pair of cross heads (not shown)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orm surrounding the lower work roll choke 104 and the lower backup roll choke 106 dispose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lower work roll 101 and the lower back up roll 102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its reverse direction. A pair of cross heads 108 are arranged.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108) 는 압연기 하우징 (10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구동은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고정된 너트 (1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측의 대향부에는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도 16b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에는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108)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한편으로,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전술한 T 와 동일한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4) 는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108)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114) 가 만곡면 (T) 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 (θ) 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크로스 헤드의 각각도 크로스 헤드 (108)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와의 대향 표면에 만곡면 (T) 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만곡면 (T) 의 각각에 만곡면을 갖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Here, each cross head 108 is free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to-be-rolled material. Each cross head 108 is driven by a screw 115 screwed to a nut 116 fixed to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As shown in FIG. 16B, the curved surface 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in FIG. 16B) in the opposing part of each crosshead 108 at the lower work roll choke 104 side. Each lower crosshead liner 113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The curved surface T is freely in contact with the cross head 10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ross head liner 113 abuts on the fl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hoke liner 117 formed on the lower work roll choke 104. Moreover,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above-mentioned T which curves by the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lso in the opposing part of the lower back-up roll choke 106 side of each cross head 108. As shown in FIG. Each lower crosshead liner 114 having a corresponding curved surface T is in contact with a flat liner,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backup roll choke 106,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ormed. The crosshead 108 is freely abu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cross head 108 and cross head liners 113 and 114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 angle θ can be changed by sliding the sliding surfaces forming the curved surface T with each other. The form surrounding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ke 105 disposed on the driv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101 and the upper backup roll 102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Each of the cross heads arranged in the shape of the cross heads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ross heads 108, and at the same time the curved surface T is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ke 105, these curves A crosshead liner (not shown) having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each of the surfaces T. As shown in FIG.

한편, 상부 워크롤 (101)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이 압연기 하우징 (10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0) 는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과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상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이 압연기 하우징 (10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과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도,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및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upper work roll pivot blocks 109 are formed in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so as to face the upper work roll chocks 103 arrange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upper work roll 10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side of each upper work roll pivot block 109, a curved surface T is formed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upper workpiece having a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The roll pivot block liner 110 abuts in a flat portion against an unshown choke liner formed in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horizontal to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109. Freely abuts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a pair of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s 111 are formed in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so as to face the upper backup roll chocks 105 arrange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10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105 side of each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1, a curved surface T is formed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upper backup having a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The roll pivot block liner 112 abuts against the upper backup roll choke 105 in a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electrically freely abu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1. . In addition, the lower work roll pivot block, the low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the lower back up roll pivot block, and the lower back up roll pivot block liner are also formed on the drive side of the lower work roll 101 and the lower back up roll 102.

그런데, 일반적으로 압연기에 따른 피압연재 (S) 의 압연 중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7110호에도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 모두 워크롤 (101) 이 백업롤 (102) 에 대해서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것을 오프셋이라 하고, 도 16a 에 있어서 압연기 중심에 대한 워크롤의 오프셋 량은 C1, 백업롤의 오프셋 량은 C2 가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C1 과 C2 의 합계를 오프셋 량이라 한다. 오프셋에 의해 수평방향 분력 (오프셋 분력이라고도 함) 을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인 도 16a 중의 화살표 e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화살표 e 의 방향은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상하부 백업롤 (102) 에는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과는 반대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수평방향 분력을 발생시킨다. 화살표 f 의 방향은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그러면,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그 역방향을 향하여 눌리고,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출측의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가압되며,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입측의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가압되어 안정된다.By the way, generally in rolling of the to-be-rolled material S which concerns on a rolling mill, as shown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8-197110, the work roll 101 i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back-up roll 102 with respect to the back-up roll 102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is shifted in a conveyance direction. This is called offset, and the offset amount of the work rol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a rolling mill is C1, and the offset amount of the backup roll is C2 in FIG. 16A. Generally, the sum of C1 and C2 is called an offset amount. The offset causes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also called the offset component force) to b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in FIG. 16A which i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FIG. The direction of arrow e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roll offsets.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s 102 generate horizontal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ckup roll offsets. Then,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103, 104 are press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the upper and lower back up roll chocks 105, 106 facing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103, 104 are rolled material ( It is pressed by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of the conveyance direction exit side of S), and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cks 105 and 106 are pressed and stabilized by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of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y side of the to-be-rolled material S.

그러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롤 초크 (103, 104, 105, 106) 과 압연기 하우징 (100) 사이 (정확하게는,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0) 사이,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17)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사이,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2) 사이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4) 사이) 에는 클리어런스 (d) 가 있기 때문에, 각 롤 초크 (103, 104, 105, 106) 의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압연 하중이 작은, 즉 오프셋에 의한 가압력이 작은 압연 중에는 크로스각 (θ) 을 변경한 경우 등에 압연기 하우징 (100) 내에서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104) 혹은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혹은 그 역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만약 그것이 좌우 (드라이브측과 그 반대측의 오퍼레이터측) 에서 불균일하거나 하면, 피압연재 (S) 의 폭방향 좌우에서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차이가 생기며, 피압연재 (S) 의 사행 (蛇行), 구부러짐, 심한 경우에는 파단으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S. 16A and 16B, the choke liner and work roll pivot formed between each roll choke 103, 104, 105, 106 and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exactly, the upper work roll choke 103). Between the block liner 110, between the choke liner 117 and the cross head liner 113 formed in the lower workroll choke 104, between the upper backup roll choke 105 and the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12 and the lower backup. Since there is a clearance d between the roll chocks 106 and the crosshead liner 114, the positioning of the rolled material S of each roll choke 103, 104, 105, 106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not performed. Otherwise,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cks 103 and 104 or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cks 105 and 106 in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for example, when the cross angle θ is changed during rolling when the rolling load is small, that is,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offset is small.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or its If the position shift occurs in the direction, and if it is non-uniform on the right and left (operator side on the drive side and the opposite side),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01 occurs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the rolled material There was a problem of (S) meandering, bending and, in severe cases, leading to fracture.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8580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3308호와 같이, 베어링 박스 (초크)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유압 실린더로 탄성지지하는 장치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2018호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압연기 하우징 수축량을 예측하여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85806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13308, an apparatus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bearing box (choke) with a hydraulic cylinder in a conveying direction of a rolled material, or Japanese Patent Laid-Open As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32018, a method of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choke and the rolling mill housing has been proposed by predicting the rolling mill housing shrinkage due to the rolling load.

여기에서, 하우징 수축이란 도 1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 중에 압연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연 하중에 의해, 하우징 상하방향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의 변형, 즉 하우징의 입측과 출측의 간격의 수축을 가리킨다.Here, the housing shrinkage refers to the deformation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lling load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lling mill housing during rolling, that is, the gap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 17B. Indicates contraction of.

그러나,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8580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3308호와 같이, 초크를 유압 실린더에 의해 압연기 하우징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방식으로는, 매우 좁은 곳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수한 실린더 구조가 되어 설치 비용이 고액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특히, 이미 설치된 압연기를 개선하는 경우에 현저하다.However, as in the above-describ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9-285806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13308,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hydraulic cylinder in a very narrow place by a method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choke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by the hydraulic cylinder.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pecial cylinder structure becomes expensiv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the case of improving the already installed rolling mill.

이밖에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배관은 피압연재의 반송에 지장이 되지 않고 또한 압연기 하우징도 초크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배관 서포트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도 필요하다. 상기한 유압 실린더의 특수한 실린더 구조와 더불어 오일 누설 등의 트러블도 생기기 쉬워 신뢰성의 문제, 보수나 유지에 관한 비용상의 문제가 있다. 나아가서는 보수 시간 확보를 위해 설비의 조업 가동율이 저하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 piping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veyance of the material to be rolled, and it is necessary to pass through the space where neither the rolling mill housing nor the choke exists. Space is also required to install the piping support. In addition to the special cylinder struct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described above, troubles such as oil leakage are likely to occur, and there are problems of reliability, cost, and maintenance. Furtherm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ate of the facility is lowered to secure the repair time.

통상 열간압연기의 주변에는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이 대량으로 존재한다.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도록 초크와 하우징 사이나 초크와 유압 실린더 사이의 슬라이딩부에 윤활제의 공급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초크와 유압 실린더 사이의 슬라이딩부에 윤활제의 공급구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 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구멍을 관통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현할 수 없다. 또한, 유압 실린더로 초크를 가압하면 슬라이딩압이 증가하고, 초크 라이너, 실린더면의 마모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수에 관한 비용이 증가한다.Usually, a large amount of roll cooling water, choke cooling water, etc.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hot rolling mill.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upply port of the lubricant to the sliding portion between the choke and the housing or between the choke and th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lubricant does not flow by the cooling water. However, in order to arrange the supply port of the lubricant in the sliding portion between the choke and the hydraulic cylinder, it cannot be realized because it must pass through the hole for supplying the lubricant in the hydraulic cylinder. In addition, when the choke is pressed with the hydraulic cylinder, the sliding pressure increases, and the cost of maintenance increases because the wear amount of the choke liner and the cylinder surface increases.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2018호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압연기 하우징 수축량을 예측하여,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압연 하중이 작은 경우, 즉 하우징 변형량이 작은 경우에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이 잔존하여, 완전하게 초크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너무 좁게 설정한 경우에는 하우징에 의해 초크가 끼워져 롤 부전 (不轉), 베어링의 소손 (燒損) 등의 설비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in the method of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choke and the rolling mill housing by predicting the rolling mill housing shrinkage due to the rolling load, as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32018, the rolling deformation is small, that is, the housing deformation amount is small. In some cases, the gap between the choke and the rolling mill housing may remain, and the choke position may not be completely stabilized. Moreover, when setting the space | interval too narrowly between a choke and a rolling mill housing,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 choke was stuck by a housing, and equipment troubles, such as a roll failure and a burnout of a bearing,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 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각 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a simple structure, a low installation cost, and a cross-roll rolling mill capable of preventing a misalignment within the clearance of each roll choke with high reliability and the same. It is to provide a used rolling method.

도 1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b 는 도 1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FIG. 1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cross 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 roll rolling mill viewed from the operator side, and FIG. 1B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A-A in FIG. 1A.

도 2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2b 는 도 2a 에서의 B-B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FIG. 2A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viewed from the operator side, and FIG. 2B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B-B in FIG. 2A.

도 3 은 워크롤와 백업롤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에 대한 스러스트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thrust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cross angle (roll cross angle) of a work roll and a backup roll.

도 4 는 워크롤 초크 혹은 백업롤 초크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roll choke or a backup roll choke causes a position shift.

도 5 는 워크롤 초크 혹은 백업롤 초크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에 발생하는 하중차와 스러스트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load difference and a thrust force generated when a work roll choke or a backup roll choke causes a misalignment.

도 6 은 스러스트력이 생긴 경우에 압연기의 정면도 내에 발생하는 모멘트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moments occurring in the front view of the rolling mill when a thrust force is generated.

도 7 은 열간압연라인의 개략 구성도이다.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t rolling line.

도 8 은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압연 하중과 크로스 헤드측이 되는 오퍼레이터측의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ing load in the 4th stand F4, and the position shift amount of the lower work roll choke by the operator side used as the crosshead side.

도 9 는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실제로 열간압연 조업 중의 압연 하중과 하중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ing load and the load difference actually during the hot rolling operation in the fourth stand F4.

도 10 은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 구성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pparatus structure which measures the position of a lower work roll choke.

도 11 은 냉간압연라인의 개략 구성도이다.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d rolling line.

도 12a, 도 12b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cross-roll rolling mill.

도 13 은 상하부 워크롤의 개방도의, 피압연재의 폭방향에 관한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distribution regard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of the opening degree of an upper and lower work roll.

도 14a 는 종래의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onventional rolling mill.

도 14b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cross-roll rolling mill.

도 15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이다.It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principal part of a cross roll rolling mill.

도 16a 는 종래예의 크로스롤 압연기를 나타내고, 도 16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6b 는 도 16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Fig. 16A shows a cross roll rolling mill of a conventional example, Fig. 16A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 roll rolling mill viewed from the operator side, and Fig. 16B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A-A in Fig. 16A.

도 17a, 도 17b 는 압연기 하우징의 변형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7A and 17B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deformation of the rolling mill housin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1 : 워크롤 2, 102 : 백업롤1, 101: work roll 2, 102: backup roll

3, 103 : 상부 워크롤 초크 4, 104 : 하부 워크롤 초크3, 103: upper work roll choke 4, 104: lower work roll choke

5, 105 : 상부 백업롤 초크 6, 106 : 하부 백업롤 초크5, 105: upper backup roll choke 6, 106: lower backup roll choke

8, 107, 108 : 크로스 헤드 9, 109 :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8, 107, 108: cross head 9, 109: upper work roll pivot block

10, 110 :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 111 :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10, 110: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s 11, 111: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2, 112 :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3, 113 : 크로스 헤드 라이너12, 112: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3, 113: cross head liner

14, 114 : 크로스 헤드 라이너 15, 115 : 스크류14, 114: cross head liner 15, 115: screw

16, 116 : 너트 17, 117 : 초크 라이너16, 116: nut 17, 117: choke liner

18 : 초크 구속장치 19 : 스프링 홀더18: choke restraint device 19: spring holder

20 : 얇은 라이너 21 : 스프링20: thin liner 21: spring

22 : 초크 구속장치 23 : 스프링 홀더22: choke restraint 23: spring holder

24 : 얇은 라이너 25 : 스프링24: thin liner 25: spring

26 : 초크 라이너 30, 100 : 압연기 하우징26: chalk liner 30, 100: rolling mill housing

40 : 열간압연라인 41 : 가열로40: hot rolling line 41: heating furnace

42 : 사이징 프레스 43 : 조(粗)압연기42: sizing press 43: crude rolling mill

44 : 크롭 시어 (crop shear) 45 : 디스케일링 장치44: crop shear 45: descaling device

46 : 마무리 압연기 47 : 냉각 존46: finish rolling mill 47: cooling zone

48 : 권취장치 50 : 와류식 거리 센서48: winding device 50: vortex type distance sensor

51 : 앰프 60 : 냉간압연라인51: amplifier 60: cold rolling line

61 : 입측 루퍼 62, 65, 67 : 브라이들 롤61: entrance looper 62, 65, 67: bridal roll

63 : 용접기 64 : 페이오프 릴63: welder 64: payoff reel

66 : 마무리 압연기 68 : 시어66: finish rolling mill 68: shea

69 : 카로젤 텐션 릴 S : 피압연재69: carousel tension reel S: rolled material

T : 만곡면 C1, C2 : 오프셋량T: curved surface C1, C2: offset amount

d : 클리어런스d: clearance

1.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roll rolling machine having a work roll choke for rotatably supporting a work roll and a backup roll choke for rotatably supporting a back-up roll, wherein the workpiece is rolled during rolling.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work roll choke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ll is offset.

2.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ck-up roll chok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up roll offsets the rolled material during rolling. It is done.

3.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1. 과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ubricant is supplied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and between the crosshead and the crosshead liner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1. and 2.

4.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워크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 roll rolling mil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 roll rolling mill provided with the work roll choke which rotatably supports a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choke which rotatably supports a backup roll. And rolling the work roll choke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r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roll is offset during rolling when rolling the rolled material.

5.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백업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roll rolling mil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4. In the invention of the base material, at the time of the said rolled material to roll, the said backup roll chalk is elastic with a spring in the direction which the said backup roll offsets during rolling. It is characterized by rolling while supporting.

6.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4. 와 5.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roll rolling mil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supplying a lubricant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a choke liner, and between a crosshead and a crosshead liner in the invention of 4. and 5.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b 는 도 1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1A and 1B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viewed from the operator side, and FIG. 1B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AA in FIG. 1A. to be.

도 1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우선 하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부 워크롤 (1) 및 하부 백업롤 (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및 하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8) 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cross-roll rolling mill shown in FIG. 1A, first, the lower roll will be described. A pair of cross heads 8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work roll chocks 4 and the lower back up roll chocks 6 rotatably supporting the lower back up rolls 2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t is.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8) 는 압연기 하우징 (3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의 구동은 압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된 너트 (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워크롤 초크 (4) 측의 대향부에는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 (도 1b 에 있어서 상하방향) 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전술한 T 와 동일한 만곡면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14) 가 만곡면형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Here, each cross head 8 is free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to-be-rolled material. Each cross head 8 is driven by a screw 15 screwed to a nut 16 fixed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And as shown in FIG. 1B, the curved surface 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in FIG. 1B) by the curvature in the opposing part of the lower work roll chocks 4 side of each crosshead 8, and Each lower crosshead liner 13 having a corresponding curved surface T is in contact with the choke liner 17 formed on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n the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 Is freely in contact with the cross head 8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above-mentioned T curved at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lso formed in the opposing portion on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side of each cross head 8, and the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Each lower crosshead liner 14 formed abuts on a fl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not shown chalk liner formed on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horizontal with the crosshead 8. By electric contact freely. The cross heads 8 and the cross head liners 13 and 14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cross angle by sliding the curved surface sliding surfaces with each other.

도 1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수평방향 분력 (e)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 (수평방향 분력 (f)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고 있다. 하부 크로스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A,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s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e is generated) of the rolled material by the cross head liner 13. )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fset by the crosshead liner 14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f is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lower crossroll choke 4, the crosshead liner 13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lower work roll choke 4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apparatus 18 which elastically supports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work roll 1 is offset during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on the crosshead liner 13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 Is installed.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얇은 라이너 (20), 스프링 (21), 스프링 홀더 (19)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21) 에 의해 스프링 홀더 (19) 를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21) 으로서는 접시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탄성체 혹은 그와 동등한 기능이 있으면 적용 가능성이 있고, 접시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choke restraint 18 is comprised of the crosshead liner 13, the thin liner 20, the spring 21, and the spring holder 19, as shown in FIG. The spring holder 19 is pressed against the choke liner 17 by the spring 21 so that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As the spring 21, a disc spring is preferable. If it has an elastic body or its equivalent function, it is applicable and it is not limited to a disc spring.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스프링 홀더 (19) 에는 급지(給脂)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crosshead liner 13 and the spring holder 19 have a through hole for feeding, and the lubricant supplied between the crosshead and the crosshead liner is passed through the spring holder 19 and the choke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supposed to be supplied to the sliding surface of the liner.

한편, 도 1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FIG. 1A shows the operator side, whereas on the drive side, which is not shown, the rolling work of the rolling mill housing 30 is carried out in the low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not shown) on the entry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conveying direction. ), A choke restraint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work roll choke (not shown).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on the operator side.

다음에, 상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부 워크롤 (1) 에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upper roll, a pair of upper work rolls oppose the upper work roll choke 3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1 disposed on the operator side in the upper work roll 1. The pivot block 9 is formed in the rolling mill housing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3 side of each upper work roll pivot block 9, a curved surface T that curves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corresponding curved surface T is formed. The upper workroll pivot block liner 10 abuts in a flat portion against an unshown choke liner formed in the upper workroll choke 3,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the upper workroll pivot block 9. And freely ab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부 백업롤 (2) 에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5)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Further, the pair of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s 11 are provided in the rolling mill housing so as to face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backup roll 2 disposed on the operator side on the upper backup roll 2. It is formed in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side of each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 is formed a curved surface T that curves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rresponding curved surface T is formed.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2 abuts against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in a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도 1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는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워크롤 초크 구속장치 (18)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부 워크롤 초크 구속장치 (18)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얇은 라이너 (도시 생략), 스프링 (도시 생략),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도시 생략) 에 의해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를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게 되어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A,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s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by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is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2.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offset by the direction reverse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misalignment, the chok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choke 3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exit direc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s provided on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t the entranc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The restraining device 18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anc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choke restraint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work roll 1 is offset during rolling the rolled material. The apparatus 18 is installed. This upper work roll choke restraint 18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18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choke 4. The upper work roll choke restraint 18 is comprised of an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 thin liner (not shown), a spring (not shown), and a spring holder (not shown). A spring holder (not shown) is pressed against the choke liner by means of a spring (not shown) to thereby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work roll choke 3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에는 급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nd the spring holder (not shown) have a through hole for feeding, and the lubricant supplied between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9 and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Through this through hole, the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in other words, is supplied to the sliding surfaces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한편, 도 1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상부 워크롤 (1) 및 상부 백업롤 (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및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워크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워크롤 초크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이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백업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백업롤 초크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 1A shows the operator side, while on the drive side not shown, the upper work roll 1 and the upper work roll 1 arranged on the drive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2 are rotatable. A pair of crossheads in the form of enclosing a supporting upper work roll choke (not shown) and an upper backup roll choke (not shown)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backup roll 2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Not shown) is arranged. A curved surface T that curves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side of each cross head, and each upper cross head liner on which the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is an upper workpiece. While the flat surface portion is abutted against the choke liner formed on the roll choke, the other curved surface is freely abu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cross head (not shown). In addition, a curved surface T that curves at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side of each cross head, and each upper crosshead liner on which the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is the upper backup.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upper back-up roll cross head (not shown) while abutting against the choke liner (not shown) formed in the roll chalk.

그리고, 상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the upper work roll crosshead liner at the inlet side of the rolled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workrolled choke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outside the rolled side of the rolled material). A choke restraint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choke restraint device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work roll choke is provided in the upper work roll crosshead liner in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ance side of the to-be-rolled material in the direction which the upper work roll 1 offsets during rolling.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on the operator side.

이상 설명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퍼레이터측 및드라이브측 모두의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를 스프링 (21) 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 오프셋 방향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대해서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explained above, the roll offset direction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 3) is obtained by the simple means of the spring 21 for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3 and 4 on both the operator side and the drive side. , 4)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rolled, so that the position shift in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nd the cross head liner 13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3 and 4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roubles such as meandering, bending and breaking of the rolled material.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a,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2b 는 도 2a 에서의 B-B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Next, 2nd Embodiment of the cross roll mil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and FIG. 2B. FIG. 2A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viewed from the operator side, and FIG. 2B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B-B in FIG. 2A.

도 2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하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를 다시 형성한 점에서 도 1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와 상이하다. 이하,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ross-roll rolling mill shown in FIG. 2A is a point in which the choke restraint device 22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cks 5 and 6 in the direction which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s 2 offset during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is shown. It is different from the cross roll rolling mill shown to 1a. This is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도 2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우선 하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부 워크롤 (1) 및 하부 백업롤 (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및 하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8) 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cross-roll rolling machine shown in FIG. 2A, first, the lower roll will be described. The lower roll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1 dispose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lower work roll 1 and the lower back-up roll 2 is described. A pair of cross heads 8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work roll chocks 4 and the lower back up roll chocks 6 rotatably supporting the lower back up rolls 2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t is.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8) 는 압연기 하우징 (3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의 구동은 압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된 너트 (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워크롤 초크 (4)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의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14) 가 만곡면형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Here, each cross head 8 is free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to-be-rolled material. Each cross head 8 is driven by a screw 15 screwed to a nut 16 fixed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And in the opposing part by the side of the lower work roll chocks 4 of each crosshead 8, the curved surface T is formed by the curvature constan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lower cross in which the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was formed. The head liner 13 abuts against the choke liner 17 formed on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n a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 to fit the cross head 8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touching. 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crosses each having a curved surface T having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side of each cross head 8. The head liner 13 abuts against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in the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cross head 8. The cross heads 8 and the cross head liners 13 and 14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cross angle by sliding the curved surface sliding surfaces with each other.

도 2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수평방향 분력 (e)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 (수평방향 분력 (f)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고 있다. 하부 크로스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 도 1b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얇은 라이너 (20), 스프링 (21), 스프링 홀더 (19)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21) 에 의해 스프링 홀더 (19) 를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A,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s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e is generated) of the rolled material by the cross head liner 13. )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fset by the crosshead liner 14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f is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lower crossroll choke 4, the crosshead liner 13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lower work roll choke 4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apparatus 18 which elastically supports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work roll 1 is offset during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on the crosshead liner 13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 Is installed. This choke restraint device 18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shown in FIG. 1B and consists of a cross head liner 13, a thin liner 20, a spring 21, and a spring holder 19. The spring holder 19 is pressed against the choke liner 17 by the spring 21 so that the lower work roll choke 4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스프링 홀더 (19) 에는 급지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19) 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17) 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crosshead liner 13 and the spring holder 19 are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feeding, and the lubricant supplied between the crosshead and the crosshead lin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to the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19, in other words, the spring. It is supposed to be supplied to the sliding surfaces of the holder and the choke liner 17.

또한, 하부 백업롤 초크 (6)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 구속장치 (22)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얇은 라이너 (24), 스프링 (25), 스프링 홀더 (23)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25) 에 의해 스프링 홀더 (23) 를 초크 라이너 (26)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of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the cross-head liner 14 on the exit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lower back-up roll choke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device 22 which elastically supports 6)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choke restraint device 22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back-up roll 2 offsets the rolled material in the crosshead liner 14 on the exit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conveying direction. )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2B, the choke restraint 22 consists of a cross head liner 14, a thin liner 24, a spring 25, and a spring holder 23. The spring 25 presses the spring holder 23 against the choke liner 26, thereby pressing the lower back-up roll choke 6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스프링 홀더 (23) 에는 급지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22) 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26) 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crosshead liner 14 and the spring holder 23 have a through hole for feeding, and the lubricant supplied between the crosshead and the crosshead liner is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22 through the through hole, in other words, the spring. The sliding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choke liner 26 is supplied.

도 2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하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2)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FIG. 2A shows the operator side, while on the drive side, which is not shown, the low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not shown) on the exit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rolling mill housing (outsid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device (not shown)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choke (not shown) is provided.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on the operator side. Further, the low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not shown) on the exit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conveying direction has a choke restraining device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back-up roll choke (not shown)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Not shown) is provided.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2 on the operator side.

다음에, 상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upper roll, a pair of upper work roll pivot blocks 9 are placed on the rolling mill housing 30 so as to face the upper work roll choke 3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1.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3 side of each upper work roll pivot block 9, a curved surface T is formed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upper workpiece having a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The roll pivot block liner abuts against the choke liner formed on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n the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electrically freely abu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9. have.

또한,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5) 와의 대향표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s 11 are formed in the rolling mill housing 30 so as to face the upper backup roll chocks 5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backup roll 2.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of each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 a curved surface T is formed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on which the curved surface T is formed. The liner 12 abuts against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at the flat portion, while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11.

도 2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는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초크 (3)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초크 구속장치 (18)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얇은 라이너 (도시 생략), 스프링, 스프링 홀더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도시 생략) 에 의해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를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A,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s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by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nd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is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2.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offset by the direction reverse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3,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t the inlet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has an upper work roll choke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which elastically supports 3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anc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choke restraint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work roll 1 is offset during rolling the rolled material. The apparatus 18 is installed. This choke restraint 18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18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work roll choke 4. The choke restraint 18 consists of an upper workroll pivot block liner 10, a thin liner (not shown), a spring, a spring holder. A spring holder (not shown) is pressed against the choke liner by means of a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upper work roll choke 3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에는 급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and the spring holder (not shown) have a through hole for feeding, and the lubricant supplied between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9 and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Through this through hole, the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in other words, is supplied to the sliding surfaces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또한, 상부 백업롤 초크 (5)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상부 백업롤 초크 (5)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22) 는 도 2b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Moreover,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2 of the conveyance direction exit side of the to-be-rolled material is rolled up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y side of a to-be-rolled material). The choke restraint device 22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roll choke 5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upper backup roll pivot block liner 12 on the exit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conveying direction has a choke restraint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backup roll choke 5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backup roll 2 offsets the rolled material during rolling. The apparatus 22 is installed. This choke restraint device 22 has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2B.

도 2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도시생략) 및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워크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워크롤 초크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백업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백업롤 초크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FIG. 2A shows the operator side, while on the drive side not shown, the upper work roll choke (not shown) and the upper backup roll 2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work roll 1 are rotatable. A pair of cross heads (not shown)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supporting upper backup roll chocks (not shown)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curved surface T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side of each cross head with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cross head liner having a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the upper work roll choke. While the choke liner abuts against the flat portion,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crosshead liner (not shown). In addition, a curved surface T that curves at a constant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side of each cross head, and the cross-head liner on which the curved surface T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is the upper back-up roll chok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curved surface T is freely sup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crosshead liner (not shown), while abutting on the flat portion.

그리고, 상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부 백업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상부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22)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And,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of the upper work roll choke, the choke restraint apparatus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work roll choke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ing direction exit of the to-be-rolled material) on the crosshead liner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Not shown)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choke restraint device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work roll choke is provided in the crosshead liner at the side of the grai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work roll 1 is offset during rolling the rolled material.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on the operator side. In addition, the choke restraint apparatus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backup roll choke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the conveying direction entranc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s provided on the crosshead liner on the exit side of the rolled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upper backup roll choke. (Not shown) is provided. This choke restraint devic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oke restraint device 22 on the operator side.

이상 설명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에 추가하여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을 다시 스프링 (21, 25) 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 오프셋 방향 (예컨대, 워크롤 초크 (3, 4)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백업롤 초크 (5, 6) 를 그 역방향) 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 (3, 4, 5, 6) 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부에 직접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의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고 양호한 윤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스프링 홀더, 라이너류의 보수 유지에 관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ross-roll rolling mill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3 and 4,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cks 5 and 6 are again roll-rolled by simple means called springs 21 and 25. (For example,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work roll chocks 3 and 4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back-up roll chocks 5 and 6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the clearance of each roll choke 3, 4, 5, 6 is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salignment of the sheet and to prevent troubles such as meandering, bending and breaking of the rolled material. In addition, by supplying lubricant directly to the sliding portion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the lubricant is not flowed by the coolant such as the roll coolant or the choke coolant, so that a good lubric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cost of maintenance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liner is maintained. Can be reduced.

이하,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뿐만 아니라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도 스프링 (25) 으로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한 편이 좋은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son why it is bett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3 and 4 as well as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 chokes 5 and 6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by the spring 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혹은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사이의 클리어런스 (d) 중에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혹은 그 역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사이의 평행도가 무너지며,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이 미소하게 크로스하는 경우가 있다.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을 롤크로스각이라 한다.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을 롤크로스각이라 한다. 이 롤크로스각이 발생하면, 상하부 워크롤 (1), 상하부 백업롤 (2) 사이에 축방향으로 어긋나려고 하는 힘 (스러스트력이라 함) 이 발생한다.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cks 3 and 4 or the upper and lower back up roll chocks 5 and 6 are shown in FIG. 4, the upper work roll pivot block liner 10, the cross head liner 13, and the upper back up roll pivot block liner. (12), in the clearance d between the crosshead liner 14, the position shift occurs in the conveying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upper work roll 1 and the upper backup roll 2 or the lower work roll 1 ) And the parallelism between the lower back-up roll 2 may collapse, and the upper work roll 1 and the upper back-up roll 2 or the lower work roll 1 and the lower back-up roll 2 may cross slightly. The cross angle of the upper work roll 1 and the upper backup roll 2 is called a roll cross angle. Or the cross angle of the lower work roll 1 and the lower back up roll 2 is called roll cross angle. When this roll cross angle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force (called thrust force) which tries to shift | deviate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 and the upper and lower back up rolls 2 arises.

도 3 에 롤크로스각과 스러스트 계수 (스러스트력을 압연 하중으로 나눈 값) 의 관계를 나타낸다. 페어크로스 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롤 (1) 과 백업롤 (2) 은 각각의 중심축이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정상이지만, 도 3 을 참조하면, 미소하게 평행도가 무너지는 것에 따른 미소한 롤크로스각의 변동에 의해 스러스트 계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롤크로스각이 약간 커지면 큰 스러스트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 cross angle and the thrust coefficient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hrust force by the rolling load). In the fair-cross rolling machine, it is normal that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are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ir respective central axes are in parallel, but referring to FIG. It can be seen that the thrust coefficient greatly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the cross angle. Therefore, when a roll cross angle is slightly large, a large thrust force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는 각 롤 초크 (3, 4, 5, 6) 와 피봇 블록 라이너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0, 13, 12, 14) 사이에 클리어런스 (d) 를 가지고 있고 롤크로스각이 변동할 수 있다. 이 클리어런스 (d) 에 의한 롤크로스각의 변동은 통상, 제어가 불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도 1a, 도 1b 및 종래예의 도 14a, 도 14b 에 나타낸 압연기의 예에서는 압연 중 최대로 0.04°의 롤크로스각이 생긴다.As shown in FIG. 4, the rolling mill has a clearance d between each roll choke 3, 4, 5, 6 and the pivot block liner or cross head liner 10, 13, 12, 14 and the roll cross angle. This can fluctuate. The change of the roll cross angle by this clearance (d) is not normally controllable. For example, in the examples of the rolling mills shown in Figs. 1A, 1B, and Figs. 14A and 14B of the conventional example, a roll cross angle of 0.04 ° at maximum occurs during rolling.

도 5 에,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이 크로스되어 있는 경우의 롤크로스각과, 하중차 및 스러스트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하중차」란, 오퍼레이터측의 하중으로부터 드라이브측의 하중을 뺀 차를 말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4°라는 롤크로스각에 있어서도 1200 kN 의 스러스트력이 발생한다.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 cross angle, the load difference and the thrust force when the lower work roll 1 and the lower back up roll 2 cross each other. Here, the "load difference" refers to a differe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load on the drive side from the load on the operator side. As shown in Fig. 5, a thrust force of 1200 kN is generated even at a roll cross angle of 0.04 °.

이 스러스트력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의 정면도 내에서 각 롤 (1, 2) 이 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가 균형을 취하기 위한 오퍼레이터측 및 드라이브측의 하중차를 변화시킨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러스트력이 1200 kN 일 때는 하중차는 600 kN 변화한다. 하중차 변화가 600 kN 일 때, 압연기 하우징의 수직방향의 스프링 정수가 15000 kN/mm 이었다고 하면, 오퍼레이터측과 드라이브측에서 수직방향 (압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 의 신장차는 약 40 ㎛ (= 600/15000 ×1000)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가령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압연재 (S) 를 압연한다고 하고 피압연재 (S) 가 상하부 워크롤 (1) 의 폭방향의 중심을 통과했다 하더라도, 하중차 보상을 위해 드라이브측의 상하부 워크롤 (1) 의 개방도를 그 40 ㎛ 분에 상당하는 만큼 압축해야 된다.As shown in FIG. 6, this thrust force changes the load difference on the operator side and drive side for balancing the moment which the rolls 1 and 2 try to rotate in the front view of a rolling mill. As shown in FIG. 5, when the thrust force is 1200 kN, the load difference varies by 600 kN. If the load difference is 600 kN, and the spring const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lling mill housing is 15000 kN / mm, the elongation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ing load acts) on the operator side and the drive side is about 40 μm (= 600 / 15000 × 1000). Then, as shown in FIG. 6, even if the to-be-rolled material S rolls and the to-be-rolled material S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ive side for compensation of a load difference are shown. The opening degree of the work roll 1 should be compressed by the equivalent of 40 micrometers.

통상, 오퍼레이터는 피압연재를 압연하고 있을 때, 임의의 피압연재를 압연후, 다음 피압연재의 압연을 개시했을 때의 하중차의 변화를 보고, 그것을 제로로 하기 위한 레벨링 (상하부 워크롤의 오퍼레이터측과 드라이브측의 개방도차) 을 조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크로스롤 압연기와 같이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전술한 이유에 의해 발생하고, 그에 의해 발생하는 롤크로스각에 수반되는 스러스트력에 의해 하중차가 발생하는 상태에서는, 스러스트력에 의한 하중차의 분만큼, 취해야할 레벨링값도 변화해 버린다. 게다가, 전술한 클리어런스 (d) 중에서,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고 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위치가 클리어런스 (d) 내에서 변동하면, 동일한 크로스각 (θ), 동일한 치수의 피압연재를 동일한 조건으로 압연하는 경우에도, 스러스트력도 하중차도 취해야 할 레벨링값도 이미 재현성이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 압연을 속행하더라도, 피압연재에 구부러짐이나 사행이 발생하고, 특히 열간압연과 같은 사이에 중단되는 압연의 경우는, 더욱 나쁘게도 피압연재의 미단 (尾端) 드로잉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Normally, when the operator is rolling the rolled material, the operator changes the load difference when rolling the next rolled material and starts rolling the next rolled material, and then leveling to zero it (operato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And drive opening difference). However, the positional shift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o-be-rolled material of the work roll chocks 3 and 4 and the backup roll chocks 5 and 6 like the cross-roll rolling machine arises for the reason mentioned above, and the roll cross angle which arises by it is In a state in which a load difference occurs due to the thrust force accompanying, the leveling value to be taken also changes only for the load difference due to the thrust force. In addition, among the above-mentioned clearances d, the positions of the work roll chocks 3 and 4 and the backup roll chocks 5 and 6 are not constant and can fluctuate. In this way, when the positions of the work roll chocks 3 and 4 and the backup roll chocks 5 and 6 fluctuate within the clearance d, when the rolled material having the same cross angle θ and the same dimension is roll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dditi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leveling value to which the thrust force and the load difference should be taken is already lost. Even if rolling is continued in this state, bending and meandering generate | occur | produce in a to-be-rolled material,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rolling interrupted between hot rolling etc., it becomes a cause of the end drawing of a to-be-rolled material worse.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뿐만 아니라,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도 스프링 (25) 으로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해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 (3, 4, 5, 6) 의 클리어런스 (d)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하부 워크롤 (1) 과 상하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그에 따른 스러스트력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 chokes 3 and 4, the upper and lower back up roll chokes 5 and 6 also support the roll chocks 3, 4, 5 and 6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lling mill housing 30 with the springs 25. It is more preferable to prevent the position shift within the clearance (d) of. The occurrence of cross angle (roll cross ang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 and the upper and lower back up rolls 2 is suppressed to the maximum, and the occurrence of the thrust force is suppressed to the maximum, and troubles such as meandering, bending and breaking of the rolled material are prevented. Can be prevented even more effectively.

다음, 도 1a 및 도 2a 를 참조하여 워크롤 (1) 과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2A, the mounting and removal of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into the rolling mill will be described.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은, 도 1a 및 도 2a 에서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착하거나 제거한다.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을 장착하거나 제거할 때는, 기계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크로스 헤드 (8) 는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는 스크류 (15) 및 너트 (16) 중의 스크류 (15) 측을 회전시킴으로써, 초크 (4, 6) 로부터2 ∼ 5 mm 떨어지도록 개방된다.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are attached or re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FIGS. 1A and 2A. When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are mounted or removed, the cross head 8 is screw 15 in the screw 15 and the nut 16 which are screwed together to prevent machine interference. By rotating the side, it is opened so that it is 2 to 5 mm apart from the chokes 4 and 6.

그리고,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을 장착한 후, 크로스 헤드 (8) 는 닫혀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 (17), 스프링 홀더 (23) 와 초크 라이너 (26) 의 간극이 0 mm 가 되게 설정된다. 스프링 홀더 (19) 와 얇은 라이너 (20) 및 스프링 홀더 (23) 와 얇은 라이너 (24) 의 간극은, 압연 하중이 작용했을 때, 압연기 하우징 (30) 이 도 1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1.0 mm ∼ 2.0 mm 형성된다. 압축 하중이 작용한 경우, 압연기 하우징 (30) 의 수축에 맞춰 이 간극이 작아지고, 스프링 (21, 25) 은 롤 초크 (4, 6) 와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 (21, 25) 에 작용하는 힘으로는, 1 개의 초크당 200 ∼ 300 kN 이 바람직하다. 200 kN 을 밑돌면 롤 초크 (4, 6)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고, 300 kN 을 초과하면 롤 초크 (4, 6) 내의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의 회전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And after attaching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the cross head 8 is closed and the clearance of the spring holder 19 and the choke liner 17, the spring holder 23, and the choke liner 26 is carried out. Is set to be 0 mm. The gap between the spring holder 19 and the thin liner 20 and the spring holder 23 and the thin liner 24 is such that when the rolling load is applie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is narrow as shown in FIG. 17B. In consideration of shrinkage in the losing direction, 1.0 mm to 2.0 mm are formed.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is gap becomes small in accordance with the shrinkage of the rolling mill housing 30, and the springs 21 and 25 are compressed between the roll chocks 4 and 6. As shown in FIG. As a force acting on the springs 21 and 25 in this compressed state, 200-300 kN per choke is preferable. If it is less than 200 kN, the for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ll chocks 4 and 6 toward the rolling mill housing 30 is not sufficient, and if it exceeds 300 kN, it is unreasonable to the rotation of the unshown bearing in the roll chocks 4 and 6.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본원발명에 의한 초크 구속장치 (18) 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윤활이 중요하다. 윤활하는 부분은,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 (17) 사이, 및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사이이다. 특히,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가 만곡면형상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하는 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Lubrication is important to fully exhibit the function of the choke restraint device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to lubricate is between the spring holder 19 and the choke liner 17, and between the crosshead 8 and the crosshead liner 13.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supply lubrican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crosshead 8 and the crosshead liner 13 slide each other with curved surface sliding surfaces.

한편,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 모두, 오퍼레이터측, 드라이브측 중 어느 한쪽의 초크만이 피압연재 반송방향 입측, 출측을 향해 이동하는 편 크로스압연기에 대해 나타냈지만, 크로스각 변경시의 회전중심이 되는 피봇 블록 (9, 11) 등은 압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 (8) 와 같이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 상기 간극을 개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피봇 블록 (9, 11) 측의 스프링 홀더와 롤 초크 (3, 5) 측의 초크 라이너와의 각 간극은,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의 각 롤 초크 (3, 5)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압연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간의 간극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간극은 0.2 ∼ 1.0 mm 가 바람직하다. 0.2 mm 를 밑돌면,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 간섭할 우려가 있고, 1.0 mm 를 초과하면, 압연 하중이 작용한 경우, 압연기 하우징 (30) 이 수축되어도 스프링 홀더가 각 롤 초크 (3, 5) 의 초크 라이너까지 도달하지 않게 되어, 탄성지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 모두 이 간극은 0.4 mm 로 설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choke of either of the operator side or the drive side is shown for the cross rolling mill moving toward the inlet and outlet side of the material to be rolled, but the rotation at the change of the cross angle is shown. The pivot blocks 9 and 11 which are the center are fixed to the rolling mill housing 30, and when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are mounted and removed into the rolling mill like the cross head 8, It is impossible to open the gap. Therefore, each gap between the spring holders on the side of the pivot block 9 and 11 and the choke liners on the side of the roll chocks 3 and 5 prevents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into the rolling mill.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each roll choke 3 and 5 at the time of carrying out, it is good to make a slight gap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state in which rolling load does not apply. As for this clearance, 0.2-1.0 mm is preferable.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2 mm, the work roll 1 and the back-up roll 2 may interfere with mounting and removal in the rolling mill. If the thickness exceeds 1.0 mm, the rolling mill acts as a rolling mill housing 30. This is because the spring holder does not reach the choke liners of the respective roll chokes 3 and 5 even if it contracts,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elastic bearing force may not act. In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is gap is set to 0.4 mm.

실시예Example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의 마무리 압연기 (46) 의 제 1 ∼ 제 7 스탠드 (F1 ∼ F7) 에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만을 설치) 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와,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에 대해,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에 있어서, 도면부호 41 은 가열로, 도면부호 42 는 사이징프레스, 도면부호 43 은 조압연기, 도면부호 44 는 크롭 시어, 도면부호 45 는 디스케일링 장치, 도면부호 47 은 냉각 존, 도면부호 48 은 권취장치이다.The first to seventh stands F1 to F7 of the finish rolling mill 46 of the hot rolling line 40 shown in FIG. 7 are shown in FIG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rolling by applying only the choke restraint device) and the case of rolling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fair-cross rolling mill shown in Figs. 16A and 16B, the position shift amount of the lower work roll choke was compared and evaluated. In the hot rolling line 40 shown in Fig. 7, reference numeral 41 denotes a heating furnace, reference numeral 42 denotes a sizing press, reference numeral 43 denotes a rough rolling mill,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 crop shear, reference numeral 45 denotes a descaling apparatus, and a drawing. Reference numeral 47 denotes a cooling zone, and reference numeral 48 denotes a winding device.

도 8 은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압연 하중과 크로스 헤드측이 되는 오퍼레이터측의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 (반송방향 입측) 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제 4 스탠드의 워크롤 직경은 약 630 mm, 백업롤 직경은 약 1550 mm, 크로스각은 0.02 ∼ 1.04°, 압연속도는 350 ∼ 550 mpm 이다.FIG.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ing load in the 4th stand F4, and the position shift amount (the conveyance direction entry side) of the lower work roll choke by the operator side used as the crosshead side. On the other hand, the work roll diameter of the fourth stand in this embodiment is about 630 mm, the backup roll diameter is about 1550 mm, the cross angle is 0.02 to 1.04 °, and the rolling speed is 350 to 550 mpm.

도 8 을 참조하면, 초크 구속장치 설치전, 즉 종래의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연중에 압연기 하우징 (100) 내에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가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에 최대 1.2 mm 정도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비해, 초크 구속장치 설치후, 즉,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연 하중에 관계없이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은 0.1 mm 이하였다.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before installation of the choke restraint device, i.e., when a conventional faircross rolling mill is applied, the lower work roll choke 104 in the rolling mill housing 100 is 1.2 mm at maximum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rolling. It is causing positional deviation. On the other h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choke restraint device, ie, when the fair cross rolling machine shown in FIG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he position shift of the lower work roll choke 4 was 0.1 mm or less regardless of the rolling load.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shift of the lower work roll choke 4 can be prevented.

한편,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의 위치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라이너 (20) 에 와류식 거리 센서 (50) 를 매립하고, 이 와류식 거리 센서 (50) 와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구했다. 와류식 거리 센서 (50) 가 출력하는 신호는 앰프 (51) 로 들어가고, 앰프 (51) 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의 움직임을 항상 감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position of the lower work roll chocks 4 and 104 embeds the vortex type distance sensor 50 in the thin liner 20, and this vortex type distance sensor 50 and the lower workpiece | work It calculated | required by measuring the distance with roll chocks (4, 104). The signal output by the vortex type distance sensor 50 enters the amplifier 51, and the output of the amplifier 51 can always monitor the movement of the lower work roll chokes 4 and 104.

다음,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의 마무리 압연기 (46) 의 제 1 ∼ 제 7 스탠드 (F1 ∼ F7) 에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만을 설치), 도 2a, 도 2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및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설치) 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와,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에 대해, 하중차의 편차를 비교검토하였다.Next, the fair-cross rolling mill (work roll choke) shown in FIG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mounted on the first to seventh stands F1 to F7 of the finish rolling mill 46 of the hot rolling line 40 shown in FIG. 7. When only the choke restrainer supporting is installed) and the fair cross rolling machine shown in FIGS. 2A and 2B is rolled by applying the choke restrain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workroll choke and the choke restrain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ckup roll choke. And the variation of the load difference were compared and examined in the case of rolling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fair-cross rolling mill shown in Figs. 16A and 16B.

도 9 에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실제 열간압연 조업 중의 압연 하중과 하중차의 관계를 나타낸다. 초크 구속장치 설치가 없는 경우, 즉,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600 kN 가깝게 하중차의 편차가 보였다. 이에 비해,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설치한 경우, 즉,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차의 편차는 400 kN 으로 저감되었다. 또한,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및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 즉 본 발명의 도 2a, 도 2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차의 편차는 150 kN 이하로 더욱 저감되었다.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ing load and the load difference during the actual hot rolling operation in the fourth stand F4. When no choke restraint device was installed, that is, when the conventional fair-cross rolling mill shown in Figs. 16A and 16B was applied, the variation in the load difference was found to be close to 600 kN.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oke restraint device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work roll choke is provided, that is, when the fair-cross rolling machine shown in FIG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variation in the load difference is reduced to 400 kN. In addition, when the choke restraint device which elastically supports a work roll choke and the choke restraint device which elastically supports a backup roll choke are installed simultaneously, ie, when the fair-cross rolling machine shown to FIG. 2A, 2B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a load difference The deviation of was further reduced to 150 kN or less.

이상은, 열간압연라인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컨대 도 11 에 나타낸 냉간압연라인 (60) 의 마무리 압연기 (66) 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1 에 있어서, 도면부호 61 은 입측 루퍼, 도면부호 62, 65, 67 은 브라이들 롤, 도면부호 63 은 용접기, 도면부호 64 는 페이오프 릴, 도면부호 68 은 시어, 도면부호 69 는 카로젤 텐션 릴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 크로스 이외의 양 크로스의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단독 크로스 압연기에도 적용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ase where this invention was applied to the hot rolling line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finishing rolling mill 66 of the cold rolling line 60 shown, for example in FIG. In Fig. 11, reference numeral 61 denotes an entrance looper, 62, 65, 67 denotes a bridle roll, 63 denotes a welding machine, 64 denotes a payoff reel, 68 denotes a sheer, and 69 denotes a carousel. It is a tension reel. 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fair cross rolling machine of both crosses other than a single cross, and a work roll single cross rolling machin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 및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에 의하면, 워크롤 초크를 스프링과 같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옵셋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워크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 roll rolling mill and the cross 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roll chok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oll offset direction by a simple means such as a spring, so that Position shift can be prevented, and troubles such as meandering, bending and breaking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prevented.

또한, 워크롤 초크에 더하여 백업롤 초크 를 추가로 스프링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옵셋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워크롤과 백업롤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며, 그에 따른 스러스트력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ork roll choke, the backup roll choke is further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oll offset direction by a simple means such as a spring, thereby preventing misalignment within the clearance of each roll choke, and the cross angle betwee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he occurrence of (roll cross angle) can be suppressed to the maximum, and the occurrence of thrust force can be suppressed to the maximum, whereby troubles such as meandering, bending and breaking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또한, 워크롤 초크 또는 백업롤을 탄성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압연기 하우징과도 각 롤 초크와도 간섭하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유압 실린더나 유압 배관을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은 회피할 수 있게 되므로, 저가이고 신뢰성 높은 장치가 된다. 또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부에 직접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의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고 양호한 윤활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 홀더, 라이너류의 보수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spring as a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work roll choke or the backup roll,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hydraulic pipe in a narrow sp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lling mill housing or each roll choke. It is a low cost and reliable device. In addition, by supplying lubricant directly to the sliding part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the lubricant is not flowed by the coolant such as the roll coolant or the choke coolant, so that a good lubric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cost of maintenance of the spring holder and the liner is maintained. Can be reduced.

Claims (6)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In a cross-roll rolling mill having a work roll choke for rotatably supporting a work roll and a backup roll choke for rotatably supporting a backup roll, the work roll chok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ork roll offsets the rolled material during rolling. Cross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form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The cross 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said backup roll choke in a direction in which said backup roll offsets said rolled material during roll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The cross-roll rolling mil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lubricant is supplied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and between the cross head and the cross head liner.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워크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In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cross-roll rolling mill provided with the work roll choke which rotatably supports a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choke which rotatably supports a backup roll, The said work roll choke is rolled at the time of rolling of a to-be-rolled material. Rolling method using a cross-roll rolling mill characterized by rolling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with a spr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ork roll is offs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백업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5. The roll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the backup roll choke is rolled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with a spr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up roll is offset during rolling.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The roll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lubricant is supplied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the choke liner and between the crosshead and the crosshead liner.
KR1020040020036A 2003-04-02 2004-03-24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27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9473 2003-04-02
JP2003099473 2003-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92A true KR20040086192A (en) 2004-10-08
KR100632768B1 KR100632768B1 (en) 2006-10-12

Family

ID=3430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36A KR100632768B1 (en) 2003-04-02 2004-03-24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32768B1 (en)
CN (1) CN1299845C (en)
TW (1) TWI247633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70B1 (en) * 2005-04-12 2009-09-08 미쯔비시 히다찌 세이떼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KR101504930B1 (en) * 2013-09-26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Pair cross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9902A1 (en) * 2008-02-19 2009-08-27 Sms Demag Ag Rolling device, in particular push roll stand
FR3006211B1 (en) * 2013-05-28 2015-05-15 Fives Dms METHOD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ROLLING MILL AND ROLLING MIL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702A (en) * 1983-11-24 1985-06-18 Mitsubishi Heavy Ind Ltd Cross roll mill
JP2796465B2 (en) * 1991-01-29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roll rolling mill
US5666837A (en) * 1991-03-29 1997-09-16 Hitachi Ltd. Rolling mi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930469B2 (en) * 1992-03-25 1999-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Work roll chock position stabilizer for cross roll rolling mill
JP2851481B2 (en) * 1992-07-14 1999-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Roll cloth rolling machine
CN2152617Y (en) * 1992-09-29 1994-01-12 北京科技大学 Device for laterally pressing roller
DE19510694A1 (en) * 1995-03-14 1996-09-19 Mannesmann Ag Roll stand with crossed work rolls
JPH08269511A (en) * 1995-03-31 1996-10-15 Nippon Steel Corp Structure for laying brick of iron tapping hole
JP3219679B2 (en) * 1996-04-24 2001-10-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roll rolling mill
JP2001198607A (en) * 2000-01-17 200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Roll cross mi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70B1 (en) * 2005-04-12 2009-09-08 미쯔비시 히다찌 세이떼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KR101504930B1 (en) * 2013-09-26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Pair cro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2114A (en) 2004-11-01
CN1299845C (en) 2007-02-14
KR100632768B1 (en) 2006-10-12
TWI247633B (en) 2006-01-21
CN1533849A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8609B1 (en) Plate rolling mill and plate rolling method
EP074310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oll crossing and shifting system
US8353192B2 (en) Linear bearing plate for rolling mill
US6354128B1 (en) Method to eliminate the play between chocks and relative support blocks in four-high rolling stands and relative device
KR100632768B1 (en)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US8584500B2 (en) Lubrication delivery system for linear bearings
JP4820062B2 (en) Cross roll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AU2009222686B2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for flat products of steel
US4402207A (en) Zero clearance device for rolling mill apparatus
US6029491A (en) Continous spiral motion and roll bending system for rolling mills
US20010018840A1 (en) Strip rolling mill and strip rolling method
EP0110556A2 (en) Two high hot rolling mill process and narrow strip product
RU2126729C1 (en) Hot rolling mill, hot rolling mill line, hot rolling method and method for modernizing rolling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