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239A - Seatback frame for bus - Google Patents

Seatback frame for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239A
KR20040085239A KR1020030019868A KR20030019868A KR20040085239A KR 20040085239 A KR20040085239 A KR 20040085239A KR 1020030019868 A KR1020030019868 A KR 1020030019868A KR 20030019868 A KR20030019868 A KR 20030019868A KR 20040085239 A KR20040085239 A KR 20040085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pipe
seat back
back fram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21559B1 (en
Inventor
우호광
이상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559B1/en
Publication of KR2004008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5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for a bus is provided to reduce the weight by substituting parts of the seat back frame with aluminum, to reinforce the fatigue strength by modifying the section of the main pipe, and to improve the freedom of design by reducing the size of the pivot arm bracket. CONSTITUTION: A seat back frame(100) of a bus is composed of a main pipe(10), an upper pipe(12), a pivot arm bracket(14) and a hinge bracket(16)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pipe. The rectangular sections of the main pipe and the upper pipe are divided into plural spaces, and an installation hole is pene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pipe. A fix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lower inside of the main pipe, and the hinge bracket is attached to the outside. The main pipe is combined with the hinge bracket by inserting and combining a side frame assembling bolt(40) with the fixing bracket.

Description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Seatback frame for bus}Seatback frame structure for buses

본 발명은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강소재를 알루미늄재로 대체하여 경량화를 달성하고, 승객하중에 대한 반복피로강도를 향상시키고자 메인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개선시키고 메인파이프와 사이드프레임 및 리클라이닝 실린더간의 체결구조를 개선시킨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for a bus, and more particularly, to replace a steel material with an aluminum material in order to achieve a lighter weight and to improve the cyclic fatigue strength of a passenger load. And a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a bus which improves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side frame and the reclining cylinder.

통상적으로 버스(특히, 고속버스)용 시트는 장거리 주행에 따라 승객에게 안락감을 주기 위하여 시트백의 경사각 조절 장치, 발받침대, 암레스트 등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시트백 후면에는 컵홀더 및 수납용 그물망 등의 편의장치가 장착되어 있다.In general, seats for buses (especially express buses) are basically provided with seat back tilt angle adjusting devices, foot rests, armrests, etc. in order to provide comfort to passengers according to long distances. It is equipped with such a convenience device.

여기서, 첨부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로 기존의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5 to 6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a conventional bus.

시트백 프레임(100)의 외곽 골격은 서로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메인파이프(10)와, 이 메인파이프(10)의 상단끝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상단파이프(12)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들 파이프의 재질은 현재 고중량의 강소재를 적용하고 있고, 그 단면 형상은 중공형의 원형 튜브 형태로 되어 있다.The outer frame of the seat back frame 100 is composed of a main pipe 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op pipe 12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main pipe 10, These pipes are currently made of heavy steel, and their cross-sectional shape is in the form of hollow circular tubes.

한 쌍으로 배열되는 시트중에서 좌측(LH)의 것을 도시하고 있는 도 4에서 보듯이, 한 쪽의 메인파이프(12)의 하단에는 피봇암 브라켓(14)이 부착되고, 다른 한 쪽의 메인파이프(12)의 하단에는 사이드프레임 및 리클라이닝 실린더 장착용 힌지 브라켓(16)이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showing the left LH of the sheet arranged in pairs, a pivot arm bracket 14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one main pipe 12 and the other main pipe ( At the lower end of 12), a hinge bracket 16 for mounting a side frame and a reclining cylinder is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한편, 시트 프레임(200)의 골격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3 개의 사이드프레임(18)과,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8)들의 전후끝단부를 관통하여 연결하고 있는 크로스파이프(20)와, 이 크로스파이프(2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파이프(22)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keleton of the seat frame 200 is three side frames 18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ross-pipe 20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ide frames 18, And a support pipe 2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ross pipe 20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상기 피봇암 브라켓(14)의 하단이 상기 중앙 위치에 있는 사이드프레임(18)의 후단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 브라켓(16)이 상기 양쪽 위치에 있는 사이드프레임(18)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pivot arm bracket 1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18 at the center position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nd the hinge bracket 16 is at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8.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이와 같은 골격 구조에 여러가지의 부가적인 수단들이 더 장착되는데, 상기 힌지 브라켓(16)의 하단에는 시트백의 전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리클라이닝 실린더(24)가 장착되어 있다.Various additional means are further mounted on the skeletal structure, and a reclining cylinder 24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bracket 16 to 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back.

또한, 상기 상단파이프(12) 안쪽 영역에 걸쳐서는 승객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플레이트(26)가 장착되고, 시트백 후면에 손잡이를 부착시키기 위한 서포트플레이트(28)가 부착되어 있다.Further, a head plate 26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ssenger is mounted over the inner region of the upper pipe 12, and a support plate 28 for attaching a handle to the rear of the seatback is attached.

한편, 승객의 착좌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힌지 브라켓(16)의 하단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지속적인 비틀림 하중이 부과되므로, 이러한 부과 하중을 완화시키고자 상기 힌지 브라켓(16)과 피봇암 브라켓(14)의 상단부 간에는 별도의 보조 크로스 파이프(30)가 더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ad applied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is concentrated on the lower end of the hinge bracket 16 to impose a continuous torsional load, the hinge bracket 16 and the pivot arm bracket 14 to alleviate such an applied loa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e auxiliary cross pipe 30 is further connected.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8)의 하단과 상기 앵글플레이트(32)의 상단간(양쪽 메인파이프 사이 공간)공간에는 시트 조립시 컵홀더, 재떨이, 수납용 그물망이 장착되는 플라스틱 판(34)이 덧대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28 and the upper end of the angle plate 32 (the space between the two main pipes), a plastic plate 34 to which a cup holder, an ashtray, and a receiving mesh is assembled when the seat is assembled is padded. It will break.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시트백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각 구성품들과 이들의 조립/체결/접합등의 연결부위를 포함하는 기존의 시트백 프레임 구조는 승객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강도 측면에서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크기와 무게를 증대시켜 강성을 보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existing seatback frame structur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existing seatback frame structure including the components and the connection parts such as assembly / fastening / joining of them is preferred in terms of fatigue strength against passenger cyclic load. Inefficiently desig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gidity is reinforced by increas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hinge bracket.

특히, 플라스틱 판을 제외하고는 메인파이프와 상단파이프 등 기타 구성품이모두 강소재로 적용됨에 따라, 시트 전체의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운반성, 조립성, 생산성의 저하를 야기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In particular, with the exception of the plastic plate, all the components such as the main pipe and the upper pipe are applied to the steel material,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entire sheet is increased, which causes a decrease in portability, assembly properties, and productivity. Ultimately,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is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트백 프레임의 최적 설계와 다른 재질의 적용을 통하여 경량화 및 부품 운반성/조립성/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연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시트백 프레임의 전체 구성품을 알루미늄으로 대체하는 동시에 피로강도 보강을 위하여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메인파이프 및 상단파이프을 눈목자(目) 단면 형상으로 적용하고, 피봇암 브라켓의 형상을 보다 작은 크기의 구조로 변경하며, 그에따라 힌지 브라켓의 형상을 자유로운 설계 구조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weight and improve parts transportability / assembly / productivity and increas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through an optimal design of a seat back frame and application of other materials. Replace the entire components of the seat back frame with aluminum and simultaneously apply the main pipe and top pipe that are integrally formed to reinforce the fatigue strength to the cross section of the eyepiece, and change the shape of the pivot arm bracket to a smaller size.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so that the shape of the hinge bracket can be easily changed to a free desig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에 대한 반복 피로 내구시험을 실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3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repeated fatigue endurance test for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에 대한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seat belt anchorage test for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eat back frame for a bus;

도 6은 종래의 버스용 시프백 프레임이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hip back frame for buses is mounted on a side fram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메인파이프 12 : 상단파이프10: main pipe 12: top pipe

14 : 피봇암 브라켓 16 : 힌지 브라켓14: pivot arm bracket 16: hinge bracket

18 : 사이드프레임 20 : 크로스파이프18: side frame 20: cross pipe

22 : 지지 파이프 24 : 리클라이닝 실린더22 support pipe 24 reclining cylinder

26 : 헤드 플레이트 28 : 서포트 플레이트26: head plate 28: support plate

30 : 보조 크로스 파이프 32 : 앵글 플레이트30: secondary cross pipe 32: angle plate

34 : 플라스틱판 36 : 이면 고정브라켓34: plastic plate 36: back fixing bracket

38 : 장착홀 40 : 사이드프레임 체결용 볼트38: mounting hole 40: side frame fastening bolt

100 : 시트백 프레임 200 : 시트 프레임100: seat back frame 200: seat fr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메인파이프과 상단파이프, 메인파이프의 하단에 부착되는 피봇암 브라켓 및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 및 상단파이프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된 사각 단면으로 성형하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하단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홀을 포함하는 메인파이프의 하단 안쪽면에 별도의 이면 고정브라켓을 덧대고, 바깥쪽면에는 힌지 브라켓을 덧대어서 사이드프레임 체결용 볼트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including a main pipe and a top pipe, a pivot arm bracket and a hinge brack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pip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main pipe and the top The pipe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ection divided into several spaces, and forms a mounting hole penetrating left and right at the bottom of the main pipe, and a separate backside fix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including the mounting hole.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racket is padded and fastened with a side frame fastening bolt.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메인파이프 및 상단파이프의 단면형상은 눈목자(目)구조로 성형되고, 상기 장착홀은 눈목자 공간의 중앙 공간을 통하여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pipe and the upper pipe is formed in a snow shepherd (目) structure, the mount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central space of the snow shepherd space.

특히, 상기 메인파이프의 하단에 장착되는 피봇암 브라켓은 "ㄴ"자 구조로서, 한 쌍이 메인파이프 하단 양측면을 감싸면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ivot arm bracke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pipe is a "b" shap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mounted while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in pipe.

또한, 상기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파이프의 안쪽에는 4개의 서포트 플레이트가 좌우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four support plates may be mounted side by side in the inner side of the main pipe arranged vertically in parallel.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중 아래쪽 두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두 개의 앵글 플레이트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wo angle pl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urther attached between the two lower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메인파이프과 상단파이프, 서포트플레이트, 앵글플레이트, 보조 크로스 파이프는 알루미늄 압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ipe and the top pipe, the support plate, the angle plate, the auxiliary cross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uded aluminu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를 나타내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name as the prior art It is indicated by a sign.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성품은 시트백 프레임(100)의 외곽 골격을 이루는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 한 쪽 메인파이프(10)의 하단에 부착되는 피봇암 브라켓(14), 다른 한 쪽의 메인파이프(10)의 하단에 부착되는 힌지 브라켓(16), 상기 상단파이프(12) 안쪽 영역에 걸쳐서 부착되는 헤드 플레이트(26), 서포트플레이트(28), 보조 크로스 파이프(3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s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are pivot arm bracket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pipe 10 and the top pipe 12 and one main pipe 10 forming the outer skeleton of the seat back frame 100 ( 14) a hinge bracket 16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main pipe 10, a head plate 26, a support plate 28, and an auxiliary cross pipe attached over an inner region of the upper pipe 12; And 30.

본 발명의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피봇암 브라켓(14)과 힌지 브라켓(16)만을 강 소재로 적용하고, 나머지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 서포트 플레이트(28), 보조 크로스 파이프(30), 앵글플레이트(32)를 알루미늄 압출재로 적용하였으며, 상기 헤드 플레이트(26)는 알루미늄 판재를 프레스 성형한 것을 적용하였다.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only the pivot arm bracket 14 and the hinge bracket 16 to the steel material, and the remaining main pipe 10 and the top pipe 12, the support plate 28, the auxiliary cross pipe (30), the angle plate 32 was applied as an extruded aluminum material, the head plate 26 was applied to press-molded aluminum plate material.

이렇게 기존의 강 소재와 달리 알루미늄재를 적용함에 따라, 현격한 중량 감소 즉,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Thus, by applying an aluminum material unlike the conventional steel material,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ignificant weight reduction, that is, light weight.

여기서,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지는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상단파이프(12)의 단면을 사각 구조로 성형하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여러 공간으로 구획되게 성형한다.Here, the cross-sections of the main pipe 10 and the upper pipe 12, which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structure, and divided into various spaces so as to reinforce strength.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의 단면 구조는 눈목자(目)로 성형되게 하여, 승객 착좌시의 반복하중과 하단끝에 부과되는 비틀림 하중을 고려하여 피로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Preferably,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 main pipe 10 and the upper pipe 12 are molded into a eye sheath, so that the fatigue strength is sufficiently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cyclic load and the torsional load imposed on the lower end when seating the passenger. It can be reinforc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 힌지 브라켓(16)의 하단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던 비틀림 하중을 고려하여 힌지 브라켓의 강성을 보강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의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힌지 브라켓(16)의 형상 설계를 강성에 국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igidity of the hinge bracket is reinforced in consideration of the torsional load continuously acting on the lower end of the hinge bracket 16,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main pipe 10 and the upper pipe 12 is increased. By reinforcing the shape design of the hinge bracket 16 can be easily design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rigidity.

따라서, 상기 힌지 브라켓(16)의 무게도 약 50%가량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Therefore, the weight of the hinge bracket 16 can also be reduced by about 50%.

또한,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의 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메인파이프의 하단끝에 장착되는 피봇암 브라켓(14)의 크기와 무게도 줄일 수 있는바, 상기 피봇암 브라켓(14)의 형상을 단순한 "ㄴ"자 형상으로 설계하여 성형된 것을 적용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rigidity of the main pipe 10 and the upper pipe 12 is increas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pivot arm bracket 14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pipe can also be reduced, and the pivot arm bracket 14 ) Is designed to form a simple "b" shape to apply the molded.

여기서,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메인파이프와 힌지 브라켓간의 체결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2 will be described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hinge bracket as follows.

상기 메인파이프(10)는 한 쌍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바, 그 바깥쪽 메인파이프(10)의 하단부에는 장착홀(38)이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홀(38)은 메인파이프(10)의 눈목자 단면 공간의 중앙 공간을 통하여 관통 형성된다.The main pipe 10 is a pair of vertically arranged bar, the mounting hole 38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outer main pipe 10 through the left and right. In more detail, the mounting hole 38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space of the cross section space of the eye shepherd of the main pipe 10.

따라서, 별도의 이면 고정브라켓(36)을 상기 장착홀(38)을 포함하는 메인파이프(10)의 하단 안쪽면에 덧대고, 바깥쪽면에 힌지 브라켓(16)을 덧대어서, 상기 이면 고정브라켓(36)으로부터 사이드프레임 체결용 볼트(40)를 삽입 체결시킴에 따라, 메인파이프(10)와 힌지 브라켓(16)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Therefore, a separate back fixing bracket 36 is padded on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10 including the mounting hole 38, and a hinge bracket 16 is padd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back fixing bracket ( By inserting and fastening the side frame fastening bolt 40 from 36, the fastening between the main pipe 10 and the hinge bracket 16 is made.

한편, 상기 "ㄴ"자 구조의 피봇암 브라켓(14) 한 쌍은 상기 안쪽에 배열된 메인파이프(10)의 하단 양측면을 감싸면서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b" shaped pivot arm bracket 14 is mounted while wrapping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pipe 10 arranged inside.

또한, 기존에 플라스틱판(34)을 배제하고, 부품 공용화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파이프(10)의 안쪽 영역에 4개의 서포트 플레이트(28)가 상하로 대략적인 등간격을 이루며 좌우로 평행하게 장착된다.In addition, four support plates 28 are forme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up and down in the inner region of the vertically arranged main pipe 10 so as to exclude the plastic plate 34 and achieve common parts. It is mounted side by side in parallel.

또한, 손잡이, 수납용 그물망, 재떨이 등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8)중 아래쪽 두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두 개의 앵글 플레이트(32)가 더 부착된다.In addition, two angle plates 32 are further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two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plates 28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handles, a receiving mesh, an ashtray,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백 프레임 규격시험(ES88001-2)을 기준으로 반복피로내구 시험을 실시하였다(도 3의 사진 참조).The bus seatb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as subjected to repeated fatigue endurance test based on the seatback frame standard test (ES88001-2) (see photo of FIG. 3).

* 시험 법규기준: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 [38Kgf 하중×6만회] 를 적용함.* Test standard: [38Kgf load × 60,000 times]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 back frame.

* 시험 방법: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상단파이프)에 로드(load)를 가하기 위한 장치와 연결되는 그립(grip)을 설치하고, 38Kgf의 하중을 6만회에 걸쳐서 반복 적용함.* Test method: A grip connected to a device for applying a load to the upper end (upper pipe) of the seat back frame is installed, and a load of 38 kgf is repeatedly applied 60,000 times.

이러한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하중 부하 횟수Number of loads 결 과result 40,00040,000 만족satisfied +20,000(60,000)+20,000 (60,000) 만족(100%)Satisfaction (100%) +12,000(72,000)+12,000 (72,000) 만족(120%)Satisfaction (120%) +28,000(100,000)+28,000 (100,000) 만족satisfied +30,000(130,000)+30,000 (130,000) 헤드 플레이트 파손Head plate breakage

위의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하중 부하 횟수(100,000번)까지 시트백 프레임에 변형이 없었고, 하중 부하 횟수(130,000번)정도에서 헤드 플레이트가 파손되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seat back frame was not deformed until the number of load loads (100,000 times), and the head plate was broken at about 130,000 loads.

이러한 시험을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알루미늄재를 적용하고, 메인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눈목자로 변경하며, 메인파이프와 힌지 브라켓간의 체결구조를 달리 적용시킨 본 발명의 시트백 프레임은 기존의 강소재를 적용한 튜브형의 시트백프레임에 비하여 경량화를 크게 이룰 수 있고, 그 반복 피로강도가 현격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Through this test, the seat b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luminum material to the seat back frame, chang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pipe to the eye shepherd, and differently apply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hinge bracket is a conventional steel material Compared with the tubular seat back frame, the weight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repeated fatigue strength is remarkably excellent.

한편, 첨부한 도 4는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기존의 강소재 시트백 프레임과 본 발명의 알루미늄 시트백 프레임간의 변형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icture showing the seat belt anchorage test, it shows that the deformation between the existing steel seat back frame and the aluminum seat b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는 더미를 시트에 안착시켜 테스트용 시트벨트로 묶어준 다음, 시트벨트에 하중을 걸어줌에 따라, 시트프레임에 변형이 발생됨을 측정하는 시험으로서, 그 시험조건은 아래와 같다.In other words, the seat belt anchorage test is a tes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of the seat frame as the dummy is seated on the seat and tied to the seat belt for testing, and then the seat belt is loaded. The test conditions are as follows. .

* 부하방향 : 전방 10±5°* Load direction: 10 ± 5 ° forward

* 부하위치 : 랩(LAP)벨트 3점* Load Position: 3 Points of Lap Belt

* 부하하중 : 300Kgf* Load Load: 300Kgf

* 요구사항 : 부하가 걸리는 부위의 이탈이 없고, 또한 버클의 해리가 없을 것.* Requirement: There should be no breakaway of the load and no dissociation of the buckle.

이러한 시험 결과, 기존의 강소재 시트백 프레임과 본 발명의 알루미늄 시트백 프레임 모두 과도한 변형없이 법규기준값에 만족되었다.As a result of this test, both the conventional steel seat back frame and the aluminum seat b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d the legal reference value without excessive deformation.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에 의하면, 시트백 프레임의 각 구성품에 알루미늄재를 적용하고, 메인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눈목자로 적용하며, 메인파이프와 사이드프레임 및 리클라이닝 실린더간의 체결구조를 기존과 달리 적용시킴에 따라, 기존의 강소재를 적용한 튜브형의 시트백 프레임에 비하여 50%의 경량화를 크게 이룰 수 있고, 반복 피로내구 성능이 200% 정도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material is a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seat back fra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pipe is applied to the eye, the main pipe, the side frame and the reclining. By applying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cylinders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it can achieve a 50% weight reduc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tubular seatback frame to which the existing steel material is applied, and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repeated fatigue endurance performance is improved by about 200%.

또한, 경량화에 따라 부품 운반성, 조립성,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경량화에 의한 연비 절감, 배기가스 배출 저감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reduction, parts transportability, assembl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ultimately, effects such as fuel economy reduction and exhaust gas emission reduction can be obtained.

Claims (6)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메인파이프과 상단파이프, 메인파이프의 하단에 부착되는 피봇암 브라켓 및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seat back frame for the bus including the main pipe and the upper pipe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pivot arm bracket and the hinge brack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pipe,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된 사각 단면으로 성형하고, 상기 메인파이프(10)의 하단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38)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홀(38)을 포함하는 메인파이프(10)의 하단 안쪽면에 별도의 이면 고정브라켓(36)을 덧대고, 바깥쪽면에는 사이드프레임 및 리클라이닝 실린더 체결용 힌지 브라켓(40)을 덧대어서 사이드프레임 체결용 볼트(40)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The main pipe 10 and the top pipe 12 are formed into a rectangular cross section divided into various spaces, and form mounting holes 38 penetrating left and right at the bottom of the main pipe 10, and the mounting holes. Pad a separate rear fixing bracket 36 on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10 including the 38, and on the outside surface by attaching a hinge bracket 40 for fastening the side frame and the reclining cylinder to the side frame fastening. Bus back seat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with a bolt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상단파이프(12)의 단면 형상은 눈목자(目)구조로 성형되고, 상기 장착홀(38)은 눈목자 공간의 중앙 공간을 통하여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pipe (10) and the top pipe (12) is formed in a eye shepherd structure, and the mounting hole 38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space of the eye shepherd space. A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a b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피봇암 브라켓(14)은 "ㄴ"자 구조로서, 한 쌍이 메인파이프(10) 하단 양측면을 감싸면서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The b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vot arm bracket 14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pipe 10 has a "b" shape, and a pair is mounted while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pipe 10.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파이프(10)의 안쪽에영역에는 4개의 서포트 플레이트(28)가 좌우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2. The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a b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our support plates (28) are mounted side by side in an area inside the main pipe (10) arranged vertically in parall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8)중 아래쪽 두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28)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두 개의 앵글 플레이트(32)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5. The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a b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wo angle plates (32) are further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two lower support plates (28) of the support plates (2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상단파이프(12), 보조 크로스 파이프(30), 서포트 플레이트(28), 앵글 플레이트(32)는 알루미늄 압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ain pipe 10 and the top pipe 12, the auxiliary cross pipe 30, the support plate 28, the angle plate 32 is made of aluminum extrusion material. A seat back frame structure for a bus.
KR10-2003-0019868A 2003-03-31 2003-03-31 Seatback frame for bus KR100521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868A KR100521559B1 (en) 2003-03-31 2003-03-31 Seatback frame for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868A KR100521559B1 (en) 2003-03-31 2003-03-31 Seatback frame for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239A true KR20040085239A (en) 2004-10-08
KR100521559B1 KR100521559B1 (en) 2005-10-17

Family

ID=3736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868A KR100521559B1 (en) 2003-03-31 2003-03-31 Seatback frame for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5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3333A (en) * 2010-08-07 2010-12-15 冯世英 Backrest of vehic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3333A (en) * 2010-08-07 2010-12-15 冯世英 Backrest of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559B1 (en)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800B2 (en) Seat back frame for automotive seat
US20060152060A1 (en) Vehicle seat having light alloy frame provided with airbag module
JP3044066B2 (en) Seats, especially public transport vehicle seats
US20130093226A1 (en) Seat back frame
KR20120075304A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US5626396A (en) Frame structure of seat
JP7320949B2 (en) vehicle seat
US6682146B2 (en) Structure of seat cushion frame in vehicle seat
US5568961A (en) Tubular seat frame
JP2022132540A (en) Seat
JP4235934B2 (en) Side fixed suspension seats on structural support for transport vehicles
KR101844250B1 (en) structural of front seat mounted rear member for automobile
JP3962975B2 (en) Structure of slide rail for automobile seat
KR100521559B1 (en) Seatback frame for bus
WO2011162017A1 (en) Vehicle seat mounting structure
JP2012521918A (en) Passenger seat device with tension unit
CN105730210A (en) Utility vehicle
JP3670204B2 (en)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2005067331A (en) Seatback frame in use for automobile seat
JP6984223B2 (en) Seat support structure for saddle-mounted vehicles
US10793037B2 (en) Vehicle seat back
US20220250510A1 (en) Load support apparatus for lumbar support assembly
KR100351357B1 (en) seat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JP7469721B2 (en)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CN209813787U (en) Rear seat backrest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