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328A -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328A
KR20040084328A KR1020030019314A KR20030019314A KR20040084328A KR 20040084328 A KR20040084328 A KR 20040084328A KR 1020030019314 A KR1020030019314 A KR 1020030019314A KR 20030019314 A KR20030019314 A KR 20030019314A KR 20040084328 A KR20040084328 A KR 20040084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block
intra
importance
upd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식
이호근
서동완
김낙훈
Original Assignee
최윤식
이호근
서동완
김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식, 이호근, 서동완, 김낙훈 filed Critical 최윤식
Priority to KR102003001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4328A/ko
Publication of KR2004008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코딩시 얻어지는 중간데이터를 이용한 적응적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은 입력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중간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Method for adaptively updating intra macroblock based on intermediate data}
본 발명은 저비트율을 목표로하는 동영상에서 오류의 시간적 공간적 전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영상 트랜스코딩 과정에서 추출된 중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적응적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된 동영상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다른 형태의 동영상 비트열로 부호화하는 기술을 트랜스코딩 기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스코더의 입력 비트열보다 출력 비트열의 비트율이 낮으며, 출력 비트열은 입력 비트열과 다른 동영상 표준으로 압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이종의 트랜스코딩(Heterogeneous Transcoding)이라 하며, 동영상 포맷의 변화 없이 비트율만 낮추는 경우를 동종의 트랜스코딩(Homogeneous Transcoding)이라 한다.
트랜스코딩 기술이 일반적인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기술과 다른 점은 영상통신의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트랜스코딩 기술은 영상압축과 영상 통신을 함께 아우르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트랜스코더는 주로 단말기 내부에 위치하기보다는, 서버나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단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환경에 속한 미디어간의 원만한 영상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영상 압축이 소스 코딩(Source Coding)의 한 부류이고, 영상 통신이 채널 코딩(Channel Coding)과 깊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트랜스코딩 기술이소스-채널 결합 부호화 기술(Source-Channel Combined Coding)의 입장에서 연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의 트랜스코딩 연구는 주로 영상 압축의 입장에서 이루어져 왔다. 위에서 소개한 주요 연구 주제들 역시 영상 통신보다는 영상 압축의 측면이 주가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영상 통신의 입장에서의 트랜스코딩 기술 연구는 아직까지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통신과 영상 압축의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트랜스코딩 기술의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출력 비트열이 H.263+인 동영상 트랜스코더를 위한 새로운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전송 오류에 강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영상 압축이 이루어지는 동영상 비트열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에는 래스터-스캔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raster-scan intra macroblock update)와 랜덤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이 있다.
래스터-스캔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매크로블록부터 순서대로 업데이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연속된 프레임에서 비슷한 위치의 매크로블록들만 집중적으로 업 데이트되기 때문에, 특정 부분이 집중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동안 다른 부분은 그대로 방치되어, 오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회복까지 소비되는 시간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방법은 각 영상이 가지는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비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래스터-스캔 업데이트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적응적 업데이트 방법인 랜덤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이 도입되었다. 랜덤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은 인트라로 업데이트 할 매크로블록을 정하기 위해 순열(permutation)을 이용하는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99개의 매크로블록으로 구성된 QCIF 영상의 경우, 매크로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1부터 99까지의 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일렬로 나열한 후, 이 순서에 따라 업데이트 한다. 프레임당 1개의 매크로블록을 인트라로 변환하는 경우, '5-25-31-2-17-…'의 순서로 숫자가 나열되었다면, 프레임 5에서 17번째 매크로블록이 인트라 업데이트 되는 것이다.
하지만, 랜덤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 역시 앞에서 소개한 래스터-스캔 방법처럼 영상의 특성 고려 없이 모든 매크로블록이 같은 횟수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비트 활용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된 부호화된 동영상의 트랜스코딩 과정에서 얻어진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탐색 영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탐색 영역 결정 방법에서의 매크로블록 움직임 예측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탐색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주위 매크로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적응적 탐색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초기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초기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움직임 예측 탐색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적응적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부호화 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중간 데이터 정보를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점은 매크로블록의 중요도 결정 기준이다.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가 현재 프레임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프레임에서의 오류의 시간적, 공간적 전파를 막기 위한 것임을 생각해보면,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판별할 때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현재 프레임의 정보보다는 다음 프레임들의 정보이다.
일반적으로, 한 프레임을 이루는 각각의 매크로블록은 다음 프레임을 구성할 때에 주는 영향이 다르다. 다음 프레임에서 주변의 여러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예측, 보상에 영향을 주는 매크로블록일수록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런 매크로블록을 우선적으로 인트라 업데이트 하면 좀 더 전송 오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는 다음 프레임의 각 매크로블록이 가지는 움직임벡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호화된 통영상 데이터의 트랜스코딩 과정에서 얻어진 중간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의 정보들을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동영상 트랜스 코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입력 데이터가 압축된 비트 스트림의 형태인 경우, 입력 비트 스트림은 가변길이 복호화부(variable length decoder: VLD)(210), 역양자화부(212), IDCT부(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IDCT)(214), 프레임 메모리(216), 및 움직임 보상부(Motion Compensation: MC)(218)로 이루어진 동영상 디코더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복호하고, 원하는 조건의 MPEG-2 스트림을 만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동영상 인코더와 동일한 MPEG-2 인코더를 이용하여 주어진 해상도로 동영상을 인코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트랜스 코딩(transcoding) 이라고 하며, 트랜스 코딩시 스케일 및 포맷 변환부(220)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동영상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의 스케일을 줄인다든지(down-scaling) 또는 스캔 포맷을 변환한 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부(230), 양자화부(Quantization: Q)(232), 가변길이 부호화부(variable length coding: VLC)(234), 역양자화부(Inverse Quantization: IQ)(236), 역DCT부(238), 프레임 메모리부(240), 및 움직임 추정부(Motion Estimation: ME)(242)로 이루어진 인코더를 사용하여, 주어진 해상도로 인코딩을 수행한다.
먼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부(230)는 공간적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8 ×8 화소 블록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DCT 연산을 수행한다. 양자화부(Quantization: Q)(232)는 DCT부(230)에서 얻어진 DCT 계수에 대해 양자화를 수행하여, 몇 개의 대표 값으로 표현함으로써, 고효율 손실 압축을 수행한다. 가변 길이 부호화부(variable length coding: VLC)(234)는 양자화 처리된 DCT 변환계수들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한다. 역양자화부(Inverse Quantization: IQ)(236)는 양자화부(232)에서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한다. 역DCT부(238)는 역양자화부(236)에서 역양자화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IDCT 변환을 수행한다. 프레임 메모리부(240)는 IDCT부(238)에서 IDCT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움직임 추정부(Motion Estimation: ME)(242)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프레임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적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부(250)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210)로부터 중간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매크로블록을 결정하고, 결정된 매크로블록에 대한 정보를 프레임 메모리부(240) 및 움직임 추정부(242)로 이루어진 움직임 정제부(motion refinement unit)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데이터 정보는 움직임 벡터 및 매크로블록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움직임 정제부는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부(250)로부터 입력된 결정된 매크로블록 정보에 기초하여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터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부(250)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부(250)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210)로부터 입력된 중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구하고, 중요도가 높은 매크로블록을 우선적으로 인트라 변환한다.
선택적으로, 업데이트 횟수가 필요보다 적은 매크로블록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랜덤 인트라 업데이트 기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프레임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를 판별하기 위해, 가변 길이 부호화기(210)로부터 입력된 중간 데이터 정보로부터 얻은 후보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벡터 정보를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스코더 입출력 동영상의 시간, 공간 해상도, 압축에 이용하는 동영상 표준의 차이 등으로 인해, 프레임과 매크로블록의 종류가 다른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고려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여야 한다. 트랜스코더 입력 동영상에 B 픽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도 3 및 도 4는 트랜스코더의 입출력 동영상 비트열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입출력 동영상의 픽처 형태가 다른 경우의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프레임 재정렬 지연(Frame Reordering Delay)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움직임 벡터의 구체적인 결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결정 방법
- 소그룹내 첫 번째 부호화되어 있는 P 픽처(P10)의 움직임 벡터의 ⅓
-결정 방법
i) 소그룹내 첫 번째 B 픽처(B11)의 매크로블록이 전방향 예측인 경우
- 자신의 전방향 움직임 벡터 :
ii) 소그룹내 첫 번째 B 픽처(B11)의 매크로블록이 후방향 예측인 경우
- 자신의 후방향 움직임 벡터의 -½배 :
iii) 소그룹내 첫 번째 B 픽처(B11)의 매크로블록이 양방향 예측인 경우
- 자신의 전방향 움직임 벡터와 후방향 움직임 벡터의 -½배의 산술평균
-결정 방법
i) 소그룹내 두 번째 B 픽처(B12)의 매크로블록이 전방향 예측인 경우
- 자신의 전방향 움직임 벡터의 ½배 :
ii) 소그룹내 두 번째 B 픽처(B12)의 매크로블록이 후방향 예측인 경우
- 자신의 후방향 움직임 벡터의 -1배 :
iii) 소그룹내 두 번째 B 픽처(B12)의 매크로블록이 양방향 예측인 경우
- 전방향 움직임 벡터와 후방향 움직임 벡터의 ½배의 산술평균
또한, 트랜스코더 입출력 동영상의 해상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매크로블록의 종류와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해상도 감소 트랜스코딩에서의 매크로블록 종류 결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트랜스코더 입출력 동영상의 해상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매크로블록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첫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인트라 매크로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의 종류를 인트라로 결정하고,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을 인트라 부호화한다.
둘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 중 인트라 매크로블록이 없고, 하나 이상의 인터 매크로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의 종류를 인터로 결정하고,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을 인터 부호화한다.
셋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이 모두 생략된 매크로블록인 경우에는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의 종류를 생략된(skipped) 매크로블록으로 결정하고, 출력 비트열의 매크로블록을 생략된 매크로블록으로 부호화한다.
도 6은 해상도 감소 트랜스코딩에서의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트랜스코더 입출력 동영상의 해상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움직임 벡터의 결정은 아래 세 가지 방법 중의 하나를 택하여 사용한다.
첫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 움직임 벡터의 평균을 계산한 후, 그것을 2로 나누어 축소하여 출력 비트열의 움직임 벡터를 형성한다.
둘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 움직임 벡터의 중간값(median)을 취한 후, 그것을 2로 나누어 축소하여 출력 비트열의 움직임 벡터를 형성한다.
셋째, 입력 비트열의 네 개의 매크로블록 움직임 벡터 중 가장 큰 움직임 벡터 하나를 취한 후, 그것을 2로 나누어 축소하여 출력 비트열의 움직임 벡터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업데이트 인트라 매크로블록 결정부(220)에서 수행되는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은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를 파악한다. 현재 프레임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는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보상 과정에 사용되는 픽셀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때, 같은 위치의 매크로블록 움직임 보상에 이용되는 픽셀은 제외한다.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는 다음 프레임을 구성하는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수학식 1 내지 16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중요도 계산에 사용된 움직임 벡터는 부호기로 전달되어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재사용된다.
이하 수학식에서 사용되는는 프레임t+1의 매크로블록k'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tk번째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나타내며,I(t,k)는 최종적으로 계산되는 프레임t의 매크로블록k의 중요도이다.는 각각 프레임t에 있는 번째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벡터의성분과성분이며,N은 한 프레임당 매크로블록 수이고,C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를 매크로블록 크기(16)로 나눈 값이다.MB(t,k)는 프레임tk번째 매크로블록을 나타낸다.
(1)인 경우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는 도 7 및 수학식 1 내지 3에 따라 결정된다.
[수학식1]
[수학식2]
[수학식3]
(2)인 경우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는 도 8 및 수학식 4 내지 6에 따라 결정된다.
[수학식4]
[수학식5]
[수학식6]
(3)인 경우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는 도 9 및 수학식 7 내지 9에 따라 결정된다.
[수학식7]
[수학식8]
[수학식9]
(4)인 경우의 매크로블록 중요도는 도 10 및 수학식 10 내지 12에 따라 결정된다.
[수학식10]
[수학식11]
[수학식12]
상기, 도 7 내지 도 10 및 수학식 1 내지 12에 따른 4가지 경우의 매크로블록 중요도 계산 수식을 종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13]
[수학식14]
[수학식15]
여기에서,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는 최종적으로 수학식 16을 이용하여 구한다. 이 식에서S(t,k;t+1) 는 프레임t+1의 매크로블록 중, 움직임 예측, 보상 과정에서 프레임t의 매크로블록k에 의한 영향을 받는 매크로블록의 집합이다. 이 때 프레임t+1의 매크로블록kS(t,k;t+1)에 포함되지 않는다.
[수학식 16]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한 프레임은 4개의 매크로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프레임t+1의 매크로블록 d의 움직임 벡터가 (-4,-5) 이고, 나머지 매크로블록의 음직임 벡터가 (0,0)이라면, 프레임t의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는 매크로블록 d의 움직임 벡터에만 영향을 받게 된다. 매크로블록 a의 중요도는 20, b는 60, c는 44가 되며, d의 중요도는 0이 된다. 프레임t의 매크로블록 d에서 픽셀 132개가 프레임t+1의 매크로블록 d의 움직임 예측, 보상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같은 위치의 매크로블록이므로, 이 픽셀 수는 중요도 계산 과정에서는 제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고려한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각 프레임별로 몇 개의 매크로블록을 인트라로 변환할 것인지 정한후, 앞의 과정을 통해 구한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중요도가 높은 매크로블록을 우선적으로 인트라 업데이트 한다. 이 때, 앞 프레임에서 업데이트 된 위치의 매크로블록은 업데이트 과정에서 배제한다. 이는 특정 위치의 매크로블록이 과도하게 연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막아 비트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중요도가 같은 매크로블록이 다수 발생하여 이 중 몇 개를 선택하여 업데이트 해야 하는 경우는 임의로 선정하여 업데이트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업데이트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매크로블록들이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중요도를 고려한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랜덤 인트라 업데이트 기법을 도입하여 중요도와 무관하게 프레임당 한두 개정도의 매크로블록을 인트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먼저 각 위치의 매크로블록에 1부터N까지의 수를 랜덤하게 할당한다. 여기서N은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매크로블록의 수이며, 다른 위치에 있는 매크로블록에 같은 값이 배정되지 않도록 한다. 할당된 숫자는 업데이트 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즉,k번째 프레임에서는k를 할당받은 매크로블록이 인트라 업데이트된다. 이 방법에 의해 업데이트 된 매크로블록은 위의 중요도를 이용한 업데이트과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따른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업데이트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전송 오류에 대해 강인하고 보다 우수한 화질을 나타내는 동영상 비트열을 얻을 수 있으며, 추가 정보의 추출없이 기존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 만으로 향상된 트랜스 코딩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적응적 인트라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b)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중간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추출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d) 상기 결정된 각 매크로블록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블록의 중요도는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픽셀의 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픽셀의 수는 현재 매크로블록과 같은 위치의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보상에 이용되는 픽셀은 제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데이터 정보는 매크로블록별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데이터 정보는 매크로블록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19314A 2003-03-27 2003-03-27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KR20040084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14A KR20040084328A (ko) 2003-03-27 2003-03-27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14A KR20040084328A (ko) 2003-03-27 2003-03-27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328A true KR20040084328A (ko) 2004-10-06

Family

ID=3736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314A KR20040084328A (ko) 2003-03-27 2003-03-27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4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4392B (zh) 用于视频译码的低复杂度符号预测
EP1457056B1 (en) Skip macroblock coding
JP2020074638A (ja) 復元ブロック生成方法、予測情報符号化方法、ビットストリーム、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07357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compensation prediction
US113501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a-prediction
JP2009531980A (ja) デジタルビデオエンコーダの内部予測及びモード決定処理の計算を低減する方法
US20150063452A1 (e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intra predictio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17302A (ko) 움직임 벡터의 정확도 조절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903184B2 (en) Image-encoding method, image-encod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encoding program
US117064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a-prediction
JP201706986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98030A (ko) 오프라인 cabac을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의 비트 예측 기반 비트 레이트 컨트롤 방법 및 그 장치
WO200607404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tion estimation with weight prediction
KR101596085B1 (ko) 적응적인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10015484B2 (en) Adaptive scan 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thereof
KR101911587B1 (ko) 적응적인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WO2014084674A2 (ko) 잔차 변환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JPWO2017082304A1 (ja) 情報圧縮装置、情報圧縮方法、情報圧縮プログラム、及び、符号化装置
KR20040084328A (ko) 중간 데이터에 기초한 적응적 인트라 매크로블록 갱신 방법
JP201220987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JP2012209874A (ja) 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