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85A -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 Google Patents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85A
KR20040083785A KR1020030018426A KR20030018426A KR20040083785A KR 20040083785 A KR20040083785 A KR 20040083785A KR 1020030018426 A KR1020030018426 A KR 1020030018426A KR 20030018426 A KR20030018426 A KR 20030018426A KR 20040083785 A KR20040083785 A KR 2004008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orch
potential
scan line
parasitic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03001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785A/ko
Publication of KR2004008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색 또는 풀-컬러의 OLED를 구동하는 스캔(ROW) 드라이버 IC와 데이터(Column) 드라이버 IC의 출력신호를 제어함으로서, 패널에 기생하는 축전(Capacitance)을 소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캔라인과 데이터 라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각 스캔라인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환된 후 소정의 전방포치(TFR) 구간을 유지하고,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환하기 전에 소정의 후방포치(TBK)을 유지하며,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중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이전 스캔라인의 후방포치(TBK) 구간의 전위와 같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Parasitic capacitance discharging method using a front/back porch in an organic luminescence electro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organic luminescence electro display panel, OLED)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색 또는 풀-컬러의 OLED를 구동하는 스캔(ROW) 드라이버 IC와 데이터(Column) 드라이버 IC의 출력신호를 제어함으로서, 패널에 기생하는 축전(Capacitance)을 소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은 각각의 연속된 정지 영상들이 순차적으로 재생될 때 눈의 착시현상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정지영상을 프레임이라고 하며, 각 프레임은 다시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OLED 패널은 각 픽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각 라인마다 혹은 각 프레임마다 데이터 드라이버의 출력과 스캔 드라이버의 출력이 같은 전위를 갖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OLED)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캔라인과 데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동 매트릭스 방식의 OLED 패널은 구동시 스캔라인에 (-)전압을 인가하고, 데이터 라인에 (+)전압을 인가하여 문턱전압 이상에서의 전류량에 따라 발광하는 원리와 휘도의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패널내에 기생하는 축전(Capacitance)은 패널에 잔상을 남기고 응답속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끼쳐 결국 표시 패널의 품질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예비방전(Precharge)과 방전(Discharge)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즉, 각 라인마다 또는 각 프레임 마다 같은 전위를 인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률적으로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휘도에 개선된 점은 있으나 다른 부작용을 동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생 축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중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OLED 패널에 기생하는 축전을 소거하기 위해 스캔라인에 이전 라인과의 전방 포치 리셋후 다음 라인과의 후방 포치 리셋을 수행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ㆍ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캔라인과 데이터 라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각 스캔라인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환된 후 소정의 전방포치(TFR) 구간을 유지하고,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환하기 전에 소정의 후방포치(TBK)을 유지하며,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중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이전 스캔라인의 후방포치(TBK) 구간의 전위와 같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 후에는 소정 간격의 마진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포치(TBK) 구간 전에는 소정 간격의 마진이 유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OLED)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캔라인과 데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생 축전 소거방법에서 사용되는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을 정의하기 위한 파형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을 이용하여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전위를 갖도록 하는 스캔라인과 데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TFR: 전방포치 구간,
TBK: 후방포치 구간,
(a) 구간 : 실제 라인의 스캐닝 구간,
(b) 구간 : 실제 발광 구간,
(c) 구간 : 실제 데이터 구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의 스캔라인의 전ㆍ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생 축전 소거방법에서 사용되는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을 정의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라인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져서 유지되는동안 데이터 라인의 신호는 전방포치(TFR) 구간, 마진, 실제 데이터, 마진 및 후방포치(TBK) 구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즉, 전방포치(TFR) 구간은 스캔라인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진 다음 일정 시간만큼의 구간으로 정의되며, 후방포치(TBK) 구간은 스캔라인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환되기 전의 일정 시간만큼의 구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마진은 전방포치(TFR) 구간과 데이터 라인의 실제 데이터 사이의 간격 에 위치하고, 또한, 실제 데이터 및 후방포치(TBK) 구간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마진은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생략할 수도 있으며, 2개의 마진중 하나만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을 이용하여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전위를 갖도록 하는 스캔라인과 데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다수의 스캔라인들중 4개의 연속된 스캔라인(스캔라인 1~4)을 나타내고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의 출력신호를 함께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캔 드라이버 IC(미도시)와 데이터 드라이버 IC(미도시)가 구성되고, 특히 데이터 드라이버 IC에는 스캔 출력의 전방포치와 후방포치 구간에 같은 전위를 출력하는 수단이 병설되어 있다.
도 3에서 전방포치 구간은 "TFR" 으로 표시되고, 후방포치 구간은 "TBK" 로 표시된다. 또한, 도 3에서, (a) 구간은 실제 라인의 스캐닝 구간이고, (b) 구간은 OLED 패널의 실제 발광 구간이며, (c) 구간은 실제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출력구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이 정의된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을 설정하여,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중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이전 스캔라인의 후방포치(TBK) 구간의 전위와 같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스캔라인2에서,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하이레벨이면, 이전 라인인 스캔라인1에서 후방포치(TBK) 구간에서의 전위도 역시 하이레벨이다.
도 3의 스캔라인3에서,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로우레벨이면, 이전 라인인 스캔라인2에서 후방포치(TBK) 구간에서의 전위도 역시 로우레벨이다.
도 3의 스캔라인4에서,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하이레벨이면, 이전 라인인 스캔라인3에서 후방포치(TBK) 구간에서의 전위도 역시 하이레벨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속하여 모든 스캔라인에 대해 전방포치(TFR) 구간과 후방포치(TBK) 구간이 정의 되고, 해당 포치구간의 전위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정해진다.
즉, 스캔 드라이버 IC에 스캔 파형의 출력을 전방포치와 후방포치 시간을 충분히 설정하여 홀수선 또는 짝수선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방포치와 후방포치에 역전위를 인가하여 실제 발광 구간의 전후로 방전 및 예비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서, 선택된 라인과 전ㆍ후라인은 실제 발광 구간의 전후에서 리셋관계를 이루므로 주변 픽셀들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고, 변형예로서,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OLED의 스캔라인의 전ㆍ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에 의하면,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리셋 동작을 수행하다면,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 리셋 동작을 수행하므로 한 라인의 스캐닝 되는 시간동안 2번의 리셋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로써, OLED 패널 내의 기생 축전을 확실히 소거할 수 있고, 또한,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는 매 라인마다 2번의 같은 전위를 통한 리셋동작이 수행됨으로, 전체 프레임 시간이 증가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스캔라인과 데이터 라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각 스캔라인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환된 후 소정의 전방포치(TFR) 구간을 유지하고,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환하기 전에 소정의 후방포치(TBK)을 유지하며,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중 전방포치(TFR) 구간의 전위가 이전 스캔라인의 후방포치(TBK) 구간의 전위와 같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에서 스캔라인의 출력신호와 데이터의 전위가 (-)전위를 갖고, 후방포치(TBK) 구간에서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포치(TFR) 구간 후에는 소정 간격의 마진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포치(TBK) 구간 전에는 소정 간격의 마진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 축전 소거방법.
KR1020030018426A 2003-03-25 2003-03-25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KR20040083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26A KR20040083785A (ko) 2003-03-25 2003-03-25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26A KR20040083785A (ko) 2003-03-25 2003-03-25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85A true KR20040083785A (ko) 2004-10-06

Family

ID=3736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426A KR20040083785A (ko) 2003-03-25 2003-03-25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7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81B1 (ko) * 2004-11-30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7633088B2 (en) 2005-10-28 2009-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device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200486834Y1 (ko) 2018-05-31 2018-07-04 엄기혁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길이 조절 양면 광고판
WO2024093278A1 (zh) * 2022-11-03 2024-05-10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显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81B1 (ko) * 2004-11-30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7633088B2 (en) 2005-10-28 2009-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device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200486834Y1 (ko) 2018-05-31 2018-07-04 엄기혁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길이 조절 양면 광고판
WO2024093278A1 (zh) * 2022-11-03 2024-05-10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557B2 (ja) 発光装置、電子機器
US96727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31091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80197479A1 (en) Oled pwm digital driving method and circuit
EP1619652A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river circuit,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such a driver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such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7479972B2 (en) Display device
WO2018164105A1 (ja) 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188752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0199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aratus
US10692431B2 (en) Gate drive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282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082538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60044231A1 (en) Drive device and drive method of self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equipment equipped with the drive device
KR100659622B1 (ko) 표시 장치
JP4454943B2 (ja) 発光装置の駆動方法
JP4107101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40083785A (ko) Oled의 스캔라인의 전후방 포치 구간을 이용한 기생축전 소거방법
JP7079579B2 (ja) 画像表示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1468853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44369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143698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for moving and still image modes and method thereof
KR101922072B1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방법, 평판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2005006250A (ja) 電流駆動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電流駆動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KR100370922B1 (ko) 프레임 리셋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구동방법
US20210264845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