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133A -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133A
KR20040082133A KR1020030016784A KR20030016784A KR20040082133A KR 20040082133 A KR20040082133 A KR 20040082133A KR 1020030016784 A KR1020030016784 A KR 1020030016784A KR 20030016784 A KR20030016784 A KR 20030016784A KR 20040082133 A KR20040082133 A KR 2004008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test tube
water system
measuring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준
이상조
이성호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 텍 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 텍 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프라임 텍 인터내쇼날
Priority to KR10200300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2133A/ko
Publication of KR2004008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국부부식 측정기,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 미생물 오염 측정기 및 부식 측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냉각수계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부식, 국부부식, 스케일 및 부착경향,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 등을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utomatic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cooling water system}
본 발명은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수계의 부식, 국부부식, 스케일 및 부착경향,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 등을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설비의 냉각수 시스템에 있어서 주요한 효율저하는 냉각탑, 배관 등의 재료인 탄소강(carbon steel)의 부식이나 국부부식(pitting corrosion: "공식"), 스케일(scale) 및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율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약품을 사용하며, 약품의 주입과 함께 장해의 원인이 되는 수중에 존재하는 이온성 물질들을 전문인력들이 직접 습식 화학분석을 통해 관리한다. 그러나, 상기한 전문인력들에 의한 화학분석을 통한 관리로는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많은 전문인력이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각수 시스템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수계의 수질분석을 위한 pH, 약품 농도 측정기, 전기전도율, 잔류염소 측정기, 인산분석기, 온도측정센서, 유량계 등 각종 냉각수 시스템의 감시용 측정기 및 센서들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냉각수 시스템 장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상기 국부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에 의한 오염도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여전히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냉각수 시스템의 효율저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계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부식, 국부부식, 스케일 및 부착경향,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 등을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의 국부부식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국부부식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국부부식 측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의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의 미생물 오염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미생물 오염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부부식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오염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결과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10: 국부부식 측정기
20: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 30: 미생물 오염 측정기
40: 부식 측정기 50: 배관로
60: 데이터기록부 65: 디스플레이부
70: 온도센서 80: 히터
85: 전압컨트롤러 95: 신호전송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배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흐르는 탄소강 재질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상기 제 1 테스트 튜브의 일측에 인공적으로 제작된 전극사이에 전류계가 구비되어 미세 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국부부식(pitting corrosion) 측정기, 상기 국부부식 측정기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연결 형성되는 배관로 내부로 일정 전열량을 갖는 히터가 내삽된 제 2 테스트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히터의 표면에는 온도측정센서가 실장되어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의 표면을 거쳐 흐르는 상기 냉각수를 통한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스케일 및 부착경향(scale and deposition tendency) 측정기 및 상기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의 배관로와 결합되는 일정 배관간격을 갖는 U자형 제 3 테스트 튜브에 연결된 차압계를 통해 상기 일정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미생물 오염 측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측정기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들은 데이터 기록부(data logger)에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배관로와 연결 형성되어 선형분극저항법에 의해 부식속도를 측정하는 부식 측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식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기록부에 실시간으로 연속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기록부는 외부의 PC 또는 원격감시제어부(RTU: Remote Terminal Unit)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들이 취합되고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냉각수계의 수질분석을 위한 pH, 약품 농도 분석기, 전기전도율, 잔류염소 측정기, 인산분석기, 온도센서, 유량계 등 각종 냉각수계 분석기, 측정기 및 센서들과 연동하여 외부 입력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펌프 또는 모터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배관로와 연결되는 온도센서, 히터 및 전압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 히터 및 전압컨트롤러는 신호전송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기록부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는 국부부식 측정기(10),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20), 미생물 오염 측정기(30) 및 부식 측정기(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측정기들은 배관로(50)를 따라 상호 연결 형성되어 있어 샘플 입구(51)를 통해 냉각수계로부터 투입되는 샘플 냉각수가 배관로(50)를 따라 상기 각 측정기들을 거쳐 샘플 출구(52)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측정기들을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들은 데이터기록부(60)에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기록부(60)는 외부의 PC 또는 원격감시제어부(RTU)와 연동되어, 데이터기록부(60)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들이 취합되고 분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는 상기 배관로(50)와 결합되는 온도센서(70), 히터(80) 및 유량계(flow meter: 9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히터(80)는 전압컨트롤러(Voltage Controller: 8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70), 히터(80) 및 전압컨트롤러(85)는 신호전송부(95)를 통해 데이터기록부(60)와 연동된다.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20V AC, 50/60 ㎐의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샘플 냉각수 요구사항의 일 예로서, 샘플 냉각수 온도는 최대 5 ~ 50℃, 샘플 냉각수 유량은 최소 300ℓ/h, 샘플 냉각수 압력은 최대 5kgf/㎠ 이다.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는 데이터기록부(60)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기록부(60)의 측정 데이터들을 외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65)로 출력하여 자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농도분석기 등과 연동하여 각종 외부 입력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키패널(66)을 통해 펌프 또는 모터밸브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각 측정기들과 그 측정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의 국부부식 측정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국부부식 측정기(10)는 냉각수계와 연결 형성되는 배관로(50)를 통해 샘플 냉각수가 흐르는 탄소강 재질의 제 1 테스트 튜브(11)와 상기 제 1 테스트 튜브(11)의 일측에 인위적으로 제작된 인공 전극(12)사이에 전류계(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테스트 튜브(11)와 인공 전극(12) 사이의 미세 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한다.
통상, 냉각수계의 부식이 금속 표면의 국부에만 집중되어 이 부분에서의 부식속도가 특히 빨라서 금속 내로 깊이 뚫고 들어가는 심한 국부부식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공식(pitting)"이라고 하는데, 공식은 그 진행속도가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금속 내부로 뚫고 들어가 기계장치 등에 장해를 일으킨다. 이러한 공식의 전기화학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
...(1)
따라서, 공식의 전기화학적 반응은 전지의 방전반응과 동일하여 상기 탄소강 재질의 제 1 테스트 튜브(11)는 캐소드(cathode)에 해당하고 인위적으로 제작된 인공 전극(12)은 전자(e-)가 방출되는 애노드(anode)로 작용하므로, 미세 전류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국부부식으로 인한 공식 깊이(pitting depth)를 아래의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2)
여기서, D=공식 깊이, i=공식 전류(pitting current), K=상수이다.
상기 식(2)의 이론적인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3)
...(4)
...(5)
식(5)에 식(4)를 대입하면,
...(6)
여기서, S=단위 공식 면적, K=상수, W=부식체의 무게, V=부식체의 부피, d=부식체의 밀도, E=전압, R=저항이다.
S = a·D (이하, a, b는 상수, D= 공식 깊이)라 가정하고 식(6)에 대입하면,
...(7)
식(7)을 식(3)에 대입하면,
...(8)
...(9)
K= a/(k·b·a)= 1/(b·k)라고 가정하면,
...(10)
식(2) 및 식(10)을 통해 공식 깊이(㎜)는 전류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국부부식 측정기(10)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양을 적분해서 결과적으로 공식깊이를 유추해 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된 그래프의 일 예와 같이, 상기 측정되는 미세 전류(㎂)를 일정 주기 단위로 나타냄으로써, 공식 깊이(D), 즉 국부부식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의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20) 및 그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및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20)는 상기 국부부식 측정장치(10)의 제 1 테스트 튜브(11)와 연결 형성되는 배관로(50) 내부로 일정한 전열량을 갖는 카트리지 히터(cartridge heater: 21)가 내장된 제 2 테스트 튜브(22)가 삽입되고, 상기 히터(21)의 표면에는 지속적으로 표면온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미세한 온도측정센서(23)가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22)의 표면을 거쳐 흐르는 냉각수를 통한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와 오염계수인 파울링 팩터(fouling factor)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11)
...(12)
...(13)
또는
...(14)
여기서, Q=열부하(heat flux, ㎉/㎡·h), W=인가되는 전력(W/h), A=열전달 면적(㎡), U= 총 열전달 계수(㎉/㎡·h·℃), TW=튜브벽 온도(℃), TH2O=냉각수 온도, Rf=파울링 팩터(㎡·h·℃/㎉), ΔTWf=오염된 튜브벽과 냉각수사이의 온도차(℃), ΔTWC=오염되지 않은 튜브벽과 냉각수사이의 온도차(℃), Uf=오염된 조건에 대한 총 열전달 계수(㎉/㎡·h·℃), UO=오염되지 않은 조건에 대한 총 열전달 계수(㎉/㎡·h·℃)이다.
즉,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것처럼, 냉각수의 오염에 의해 제 2 테스트 튜브(22)의 표면에 각종 오염물이 증착되면,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22)의 표면과 상기 표면을 거쳐 흐르는 냉각수 사이에 온도변화가 발생하므로,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22)의 표면에 실장된 온도측정센서(23)를 통해 표면 온도변화를 지속적으로측정함으로써, 오염계수인 파울링 팩터(Rf)를 계산할 수 있다. 파울링 팩터(Rf)는 도 7에서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일정 주기단위의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어 오염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의 미생물 오염 측정기(3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오염 측정기(30)는,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20)의 배관로(50)와 결합되는 일정 배관간격을 갖는 U자형 제 3 테스트 튜브(31)에 연결된 차압계(32)를 통해 상기 일정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한다.
통상, 미생물에 의한 장해는 냉각수계에서 미생물이 금속표면에 부착되어 성장하면서 재생산되는 과정을 통하여 미생물에 의한 피막(35)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데, 일단 부착된 미생물 피막(35)은 살균제의 침투를 어렵게 함으로써 하부의 개체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미생물 피막(35)은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유속의 저항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피막 하부의 부식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 미생물에 의한 오염도는 바이오파울링 팩터(bio-fouling factor)로 표현되며, 일정한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을 측정함으로써, 아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15)
여기서, Bf=바이오파울링 팩터(즉, 미생물 오염 경향), ID=튜브 내경(mm), L=차압튜브 길이(m), V=유량(flow rate, ℓ/h), ρ=유체 밀도(flow specific gravity, ㎏/㎥), ΔP=압력강하(㎏f/㎠)이다.
상기 바이오파울링 팩터(Bf)도 도 8에서 도시된 일 예처럼, 일정 주기별로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어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1)는 배관로(50)와 연결 형성되어 선형분극저항법(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에 의해 부식속도를 측정하는 부식 측정기(40)를 더 포함하고 있다(도 1a 및 도 1b 참조).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부식을 모니터링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주된 방법들 중 하나인 선형분극저항법(LPR)은 복잡한 전기화학적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간략히 정리하면, 미소한 전압(혹은 분극전위)을 용액에 침적된 전극에 가하게 되면, 일정한 전위차(통상, 10㎷)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류는 용액내의 전극표면의 부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전류를 측정하게 되면 부식속도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부식속도의 상세한 계산과정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식 측정기(40)는 필드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부식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통상의 완제품임을 밝혀둔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식 측정기(40)를 통해 측정되는 부식속도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일 예와 같이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여 부식속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냉각수계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부식, 국부부식, 스케일 및 부착경향,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 등을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농도분석기와 같은 외부 센서신호를 받아서 설정값과 비교하여 펌프나 모터밸브 등을 제어함으로써, 냉각수계의 약품 주입에서 관리까지 자체적으로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냉각수계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부식, 국부부식, 스케일 및 부착경향, 미생물에 의한 오염경향 등을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측정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외부 센서신호를 받아서 설정값과 비교하여 펌프나 모터밸브 등을 제어함으로써, 냉각수계의 약품 주입에서 관리까지 자체적으로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배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흐르는 탄소강 재질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상기 제 1 테스트 튜브의 일측에 인공적으로 제작된 전극사이에 전류계가 구비되어 미세 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국부부식 측정기;
    상기 국부부식 측정기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연결 형성되는 배관로 내부로 일정 전열량을 갖는 히터가 내삽된 제 2 테스트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히터의 표면에는 온도측정센서가 실장되어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의 표면을 거쳐 흐르는 상기 냉각수를 통한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 및
    상기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의 배관로와 결합되는 일정 배관간격을 갖는 제 3 테스트 튜브에 연결된 차압계를 통해 상기 일정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미생물 오염 측정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측정기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들은 데이터 기록부에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배관로와 연결 형성되어 선형분극저항법에 의해 부식속도를 측정하는 부식 측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식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기록부에 실시간으로 연속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부는 외부의 PC 또는 원격감시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된 데이터들이 취합되고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냉각수계의 수질분석을 위한 pH, 약품 농도 분석기, 전기전도율, 잔류염소 측정기, 인산분석기, 온도센서 또는 유량계와 같은 각종 냉각수계 분석기, 측정기 및/또는 센서들과 연동하여 외부 입력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펌프 또는 모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배관로와 연결되는 온도센서, 히터 및 전압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 히터 및 전압컨트롤러는 신호전송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기록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6. 배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흐르는 탄소강 재질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상기 제 1 테스트 튜브의 일측에 인공적으로 제작된 전극사이에 전류계가 구비된 국부부식 측정기를 통해 미세 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국부부식 측정장치의 제 1 테스트 튜브와 연결 형성되는 배관로 내부로 일정 전열량을 갖는 히터가 내삽된 제 2 테스트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히터의 표면에는 온도측정센서가 실장된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를 통해 상기 제 2 테스트 튜브의 표면을 거쳐 흐르는 상기 냉각수를 통한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 및 부착경향 측정기의 배관로와 결합되는 일정 배관간격을 갖는 제 3 테스트 튜브에 차압계가 연결된 미생물 오염 측정기를 통해 상기 일정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측정기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들은 데이터 기록부에 실시간으로 연속 자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배관로와 연결 형성된 부식 측정기를 통한 선형분극저항법에 의해 부식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식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기록부에 실시간으로 연속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부의 측정 데이터들은 외부의 PC 또는 원격감시제어부와 연동되어 취합되고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은, 냉각수계의 수질분석을 위한 pH, 약품 농도 분석기, 전기전도율, 잔류염소 측정기, 인산분석기, 온도센서 또는 유량계와 같은 각종 냉각수계 분석기, 측정기 및/또는 센서들과 연동하여 외부 입력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펌프 또는 모터밸브를 자체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전류의 양과 국부부식으로 인한 공식 깊이(D)의 관계식은,
    이며, 여기서 D는 공식 깊이, i는 공식 전류, K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면에서의 온도변화와 오염계수인 파울링 팩터(Rf)의 관계식은,
    또는
    이며, 여기서 Q는 열부하(㎉/㎡·h), ΔTWf는 오염된 튜브벽과 냉각수사이의 온도차(℃), ΔTWC는 오염되지 않은 튜브벽과 냉각수사이의 온도차(℃), Uf는 오염된 조건에 대한 총 열전달 계수(㎉/㎡·h·℃), UO는 오염되지 않은 조건에 대한 총 열전달계수(㎉/㎡·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배관간격에서의 압력손실과 미생물에 의한 오염계수인 바이오파울링 팩터(Bf)의 관계식은,
    이며, 여기서 ID=튜브 내경(mm), L=차압튜브 길이(m), V=유량(ℓ/h), ρ=유체 밀도(㎏/㎥), ΔP=압력강하(㎏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방법.
KR1020030016784A 2003-03-18 2003-03-18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040082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84A KR20040082133A (ko) 2003-03-18 2003-03-18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84A KR20040082133A (ko) 2003-03-18 2003-03-18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33A true KR20040082133A (ko) 2004-09-24

Family

ID=3736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84A KR20040082133A (ko) 2003-03-18 2003-03-18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21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147A (zh) * 2017-11-24 2018-03-16 常州罗盘星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热阻垢检测仪
US10168378B2 (en) 2014-12-16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bnormality of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unit
WO2024019657A1 (en) * 2022-07-19 2024-01-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 system and method for enumerating microorganis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8378B2 (en) 2014-12-16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bnormality of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unit
CN107807147A (zh) * 2017-11-24 2018-03-16 常州罗盘星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热阻垢检测仪
CN107807147B (zh) * 2017-11-24 2024-04-26 常州罗盘星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热阻垢检测仪
WO2024019657A1 (en) * 2022-07-19 2024-01-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 system and method for enumerating microorgan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18405B (zh) 一种油井管线防腐蚀效果在线监测系统及方法
US5992505A (en) Fouling monitoring apparatus of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US8111078B1 (en) Oxidizing power sensor for corrosion monitoring
US6131443A (en) Corrosion monitor
US4762168A (en) Condenser having apparatu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inner surface of condenser tubes
CN108535178B (zh) 一种管道腐蚀速率在线监测装置及在线监测方法
US20110286492A1 (en) Sensor,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fouling level
JPH0519104B2 (ko)
RU2685055C1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углекислотной коррозии в промысловых газопровод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5057197A1 (en) A deposition sensor based on differential heat flux measurement
US8517600B2 (en) Deposition sensor based on differential heat transfer resistance
CA2497503A1 (en) Corrosion monitor
KR20040082133A (ko)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497909B1 (ko) 유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냉각수계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016298A1 (en) Apparatus for tank bottom soil side corrosion monitoring
JP3314645B2 (ja) 孔食の監視方法
CN110596204A (zh) 一种核电站管道内衬胶层破损情况检测方法和系统
CN106290123B (zh) 使用多变量传感器的腐蚀速率测量
US20080053204A1 (en) Electrochemical Sensor
Yang et al. Monitoring of Localized Corrosion
Young | Water Handling Systems
JP3314644B2 (ja) 孔食深さ算出方法
JP2003121290A (ja) 漏洩検知装置
Yang Real-time localized corrosion monitoring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Saluja et al. Non-intrusive online corrosion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