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419A -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419A
KR20040081419A KR10-2004-7004908A KR20047004908A KR20040081419A KR 20040081419 A KR20040081419 A KR 20040081419A KR 20047004908 A KR20047004908 A KR 20047004908A KR 20040081419 A KR20040081419 A KR 2004008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bone
bones
soft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엥만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네오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네오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t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5Tips of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꼭 맞는 보철을 고정시키는 임플란트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뼈 속으로 죄여 들어가며, 첫번째 단부와 두번째 정점 단부를 구비하는 외부 나삿니 임플란트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첫번째 단부는 단부가 축방향 구멍인 내부 개구부를 갖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상기 정점 단부가 상기 첫번째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가늘어지는 각도는 2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증가하는 절단 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임플란트{Implant}
니즈닉(Niznick)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427,527호는 복수개의 세로 홈들을 갖는 나사 원통 형태를 이용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는 원뿔형이나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나사 임플란트이며, 임플란트의 밑 부분이 원통형 보어 구멍보다 직경에 있어서 작고, 임플란트의 윗 부분이 직경에 있어서 크다. 더욱 상세하게는, 니즈닉은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보어 구멍의 직경이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작다. 그러나 니즈닉 시스템의 한가지 단점은 임플란트의 밑부분이 사용되는 보어 구멍보다 직경에 있어서 작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삽입을 더 쉽게 하지만, 임플란트의 고정물은 오직 제한된 안정성만을 갖는다.
림스(Reams)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902,109호는 감소된 마찰의 나사 형태의 치과 임플란트를 개시하는데, 상기 임플란트는 비원형의 단면을 갖고, 복수개의 둥근 돌출부와 드웰(dwell, 일시정지)을 포함하여, 뼈 속으로 삽입시, 오직 상기둥근 돌출부는 뼈 조직과 맞물려 뼈가 상기 드웰 속으로 자라게 한다.
브존(Bjorn)등에 의한 국제특허 제 WO 99/23970은 위에서 설명된 노벨 바이오케어의 브레인마크 Mk-IV 시스템을 개시한다. 브존은 나사 원추형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나사 원추형 임플란트는 윗부분에서 끝이 가늘어지는 고정 홈을 갖는다. 특히, 브존의 도 2는 절단날(5)을 갖는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6,099,312호는 일반적으로 세로 원통형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재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 각각으로 부터 등거리의 이중 구획 홈을 갖는다.
게다가, 하티 덴탈(Ha-Ti Dental)로 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임플란트 시스템은 원추형 구멍안에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세로형 홈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원추형의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 많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번째로, 제품 사양이 주어진 디자인과 증상을 위한 실질적인 용도를 항상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는 올바르지 못하거나 더욱 악화시키는 치료, 연속적인 학대 또는 최적화되지 않은 치료를 초래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부적당한 선택은 나쁜 임플란트 안정성과 허용할수 없을 정도의 높은 뼈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실패, 괴저(壞疽), 깨짐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예로, 치밀골(dense bone)에서 노벨 바이오케어의 Mk IV 임플란트를 사용할 때를 들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새로운 증상에 적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기능이나 임상 과정에 맞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상품 분류(종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문제는 임상의(학자)를 위한 처치 및 지시 상황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의 기능에 관련된다. 이러한 디자인 개조는 확실히 분류(종류)를 증가시키고 재고량과 개발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세번째로, 원통형의 임플란트가 제조될 때, 중간부분에서 치밀골로 삽입하는 동안 임플란트가 안착하는 것에 실패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점의 나사 부분과 두정(頭頂)의 나사부분 사이의 직경 차에서 음의 오차가 일반적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안정성은 물렁뼈에서 더 나빠질 것이다.
나사 절단 임플란트는 과거에는 절단날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소실(chamber)을 모이게 하는 뼈조각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접촉력을 제공하는 절단 날에 관하여 양각 면을 제공함으로써, 절단효율을 극대시키는 것으로 디자인되어왔다. 임상적 문제들은 이러한 형태들의 임플란트들을 설치하는 동안 야기된다. 그러한 문제들 중 일 예로 나사가 들어가는 뼈와 원통형의 표본 구멍이 잘 맞지 않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렇게 잘 맞지 않으면 임플란트 안정성이 나빠진다. 이렇게 잘 맞지 않는 것은 양각 면과 절단 소실이 존재함으로써 원주의 나사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설치하는 동안 흔들림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표명되는 뼈 접촉에 나쁜 임플란트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뼈 안에 임플란트를 설치할때, 임플란트의 밑부분의 직경이 준비된 원통형의 보어 구멍의 직경보다 작다. 한편, 예를 들면, 상악골의 부드러운골소주에서 최적의 안정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준비된 보어 구멍은 가능한한 작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임플란트의 나사된 부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준비된 상태의 뼈에 압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치조(齒槽) 안에서 정상적인 임상 과정은 정점으로부터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임플란트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보어 구멍을 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뼈의 전체 길이를 따라 뼈와 맞물린다. 이러한 과정은, 미국 특허 제 5,427,527호에서 개시된 것과는 별개인, 원통형 보어 구멍안에서 끝이 가늘어지는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식하지 않는 임플란트 및 그것과 관련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뼈 속에, 바람직하게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 안에 보철을 고정시키거나 매이게 하는 수단으로서, 나사로 들어갈 나사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과 같은 현재의 임플란트 디자인은 물렁하거나 단단한 뼈 안에서 배치와 같은 서로 다른 임상 상태와 관련하여 점점 개조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타입의 임플란트는 골소주(trabecular) 또는 망상골(poor quality bone), 예를 들면 부드러운 뼈 속으로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임플란트는 치밀한 피질골(cortical bone) 또는 단단한 조직속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단한 뼈 안에 놓여지는 임플란트는 디자인면에서 바람직하게 결합되는 공통된 주안점이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주안점으로는 삽입 토크(insertion torque)가 허용할 만한 수준을 갖기 위해 좋은 절단 효율과 낮은 마찰등이 있다. 반면에, 부드러운 뼈와 같은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뼈 압박에 의해 초기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높은 삽입 토크를 갖아야 한다. 치과 종사자들에게 이용할만한 현재의 시스템은 이러한 모순된 요구들을 쉽게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추세의 결과로서, 현재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상태를 위해 디자인을 분리한다. 일예로 노벨 바이오케어(Nobel Biocare)로부터 이용가능한브레인마크(Branemark) 시스템의 Mk III-임플란트를 들 수 있다. 상기 Mk III-임플란트는 주로 단단한 뼈안에서 사용을 위해 디자인된다. 유사하게, 역시 노벨 바이오케어로부터 이용가능한, 대체(Replace) 시스템은 특히 강(腔, 몸안의 빈곳)을 대체하는 용도를 위해 디자인된다. 혹은, 노벨 바이오케어로부터 이용가능한, 브레인마크(Branemark) 시스템의 Mk IV-임플란트는 특히 부드러운 뼈 안에서 사용을 위해 디자인 된다. 이것으로부터 종래의 시스템은 뼈의 질의 타입에 따라 임플란트를 디자인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의 단부 정점을 나타내며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따라서, 외과적 처리 및/또는 기구사용 면에서 변화 및/또는 디자인을 변화시킴으로써 실제 상태에 적용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드러운 뼈에서나 단단한 뼈에서 모두 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설치에 적합한 자유자재의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단단한 뼈 속으로 삽입하는 동안 그리고 그 후에, 절단시 주안점을 정함으로써, 높은 압박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최적의 임플란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뼈 속으로 삽입시 삽입 토크가 증가하는 디자인의 임플란트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에 따르면, 꼭 맞는 보철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뼈속에 나사로 박힐 외부적으로 나삿니가 형성된 임플란트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는 첫번째 단부와 두번째 정점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첫번째 단부는 내부 구멍을 갖는데 상기 내부구멍의 단부는 축방향 보어 구멍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끝이 가늘어져 상기 정점은 상기 첫번째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점점 가늘어짐(taper)은 2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증가하는 절단면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환상(環狀)의 언더컷 영역을 갖는다. 상기 환상의 언더컷 영역은 개조되어 나삿니 절단 요소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플란트는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그러한 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증가하는 절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세로 절단 홈일 수 있다. 상기 절단 홈의 상기 정점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요소의 상기 정점 단부에 인접한다. 상기 절단 홈의 상기 정점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상의 언더컷 영역과 중첩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 요소의 상기 정점 영역은 세개의 같은 크기를 갖는 베인 영역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정점 단부가 그러하여 상기 임플란트는 세개의 올려진 영역과 세개의 홈통을 나타낸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단 홈은 각각의 올려진 영역 안에 위치한다.
나삿니 부분이 극히 작게 가늘어지는 것(tapering)은 상기 정점에서 상기 테두리 쪽으로 증가하는 직경까지 직경차로 보면 0.05 에서 0.2mm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가늘어지는 것은 또한 0.3에서 2도, 바람직하게는 0.4에서 2도 사이의 범위안의 각도로 표시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나삿니 부분이 전체적으로 가늘어질 수 있거나 또는 오직 일부분이 가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직 정상 부분의 끝이 가늘어진다.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은 홈의 일 단부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홈은 나삿니 부분안에서 상기 정점으로 부터 상기 테두리쪽으로 축 방향으로 확장되며, 다르고 그리고/또는 변하는 단면을 갖을 수 있으나, 주로 한개의 나삿니 깊이 정도로 돌출된다. 상기 나삿니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15에서 0.6mm이고 특히 0.2에서 0.4mm이다. 상기 홈의 깊이는 변할 수 있으나, 그중에서도 특히 사용되는 뼈 조직 그리고/또는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다양한 기술 분야 및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치과 임플란트에 적용된다.
또는,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척골(脊骨)(spine)의 임플란트와 같이 정형 외과의 임플란트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두개(頭蓋)의 안면의 임플란트와 같은 다른 임플란트들일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조립품의 특별한 장점은, 이전에 설명했듯이, 상기 임플란트는 티타늄 임플란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물렁하거나 단단한 조직 안의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도록 디자인된 나사 임플란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꼭 맞는 보철을 고정시키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뼈속으로 나사로 박힐 외부적으로 나사된 임플란트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는 첫번째 단부와 두번째 정점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첫번째 단부는 내부 구멍을 갖는데 상기 내부구멍의 단부는 축방향 보어 구멍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끝이 가늘어져 상기 정점은 상기 첫번째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점점 가늘어짐(taper)은 2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임플란트는증가하는 절단면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공간 또는 소실과 같은 정상 부분의 절단 홈과 함께 조작하는 기하학적인 수단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수단은 정상 부분으로부터 상기 테두리까지, 즉 상기 임플란트 말단에서 상기 정점 단부까지 이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하학적인 수단은 정상 부분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완전한 나삿니들 까지 이를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하나 이상의 나삿니, 즉 복수개의 나삿니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단단하고 부드러운 뼈안에서 최적으로 위치하는 임플란트를 개발하는 것은, 임플란트의 나삿니 부분을 다음과 같이 디자인 함으로서, 단단한 뼈안에서 낮은 삽입 토크를 제공하고 부드러운뼈에서 좋은 초기 안정성을 나타낸다.
정점으로부터 작게 가늘어지고, 직경은 나사된 부분의 테두리 쪽으로 증가한다. 증가하는 절단면은 정점으로부터 테두리쪽으로 축의 방향으로 나삿니 부분 안에서 확장한다. 강렬한 절단 날들은 정상 영역에서 환형의 리세스로서 나삿니 영역의 최대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반면에 부피를 저감함으로써 증가하는 절단 면의 정상 부분과 함께 협력함으로써 절단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디자인 된다. 이러한 것은 나삿니들이 복수개일 수 있다는 옵션과 합께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드릴을 사용하여 외과적 구멍을 만든다는 조건하에 이루어진다. 나사 틀(screw tap)은 극히 단단한 뼈에서 사용될 때 때로 필요할 수 있다.
원통형의 구멍안에서 원통형의 임플란트를 사용할때 문제는, 상기 임플란트가 삽입됨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임플란트의 나삿니 절단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뼈안에서 나삿니가 마모되고, 이런 마모된 뼈와 함께 뼈안의 구멍의 입구에서 주로 상기 나삿니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약하거나 부드러운 뼈안에서 초기 임플란트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중요한 문제는 원뿔형일 경우 열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끝이 가늘어지는 드릴은 전체 주변부를 따라 자르기에, 상대적으로 큰 열이 발생되고 이는 뼈 조직의 괴사를 야기하고 이런 안좋은 효과는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 의해 더욱 부연될 수 있다. 끝이 가늘어지는 드릴의 절단 구조는 절단면에서 낮은 표면 압력을 유발하고 감소된 효율을 초래한다. 이는 높은 비율 또는 높은 마모의 조각을 형성한다.
이는 성공적인 골융합(osseointegration)의 가능성을 상당히 낮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에 관한 나사 관련 용도는 나사를 죄거나 풀르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뼈와 하나의 임플란트 사이에 회전하려는 유동성의 위험을 나타내며 이러한 위험으로 인해 실패에 이를 수 있다.
이는 특히 만약 상기 임플란트들이 약하거나 물렁항 질의 뼈 안에 맞는지에 적용된다. 상기 느슨해지는 문제점들은 특히 원형적으로 대칭적인 나삿니를 갖는 임플란트 경우에 나타난다. 대부분의 나삿니가 형성된 임플란트에 있어서, 나삿니들을 절단하고 회전의 안정성에 기여하려고, 절단 또는 상기 정점에서 환형의 언더컷 영역들을 배열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또한, 뼈가 속으로 자라게 할 수 있는 횡단 구멍을 갖는 임플란트들이 있다. 이런 알려진 구조들의 공통된 특징은, 상기 임플란트의 나삿니 영역들에 관련하여 보여질 때, 리세스와 구멍들이 상대적으로작다는 것이다. 상기 리세스와 구멍들의 표면적이 작기에, 구멍 안으로 자란 뼈의 변형 또는 파괴는 비트면서 들어가는 것 때문에 수비게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멍과 리세스들은 예를 들면, 단일 피층의 고정시, 대부분의 경우 뼈의 질(경도)이 나쁜 곳에서, 정점의 매우 앞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구멍과 리세스는 상기 임플란트의 나삿니 영역을 감소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빨 보철 또는 가공(架工) 의치로부터 뼈까지 기능성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나삿니 영역을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여기서 반드시 강조되어야한다. 이는 특히 부드러운 뼈일 경우 적용된다.
예를 들면, 씹을때 뼈가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임플란트가 굽는 경우, 또는 환자가 임플란트 위의 점액 물질을 지나는 통상적인 이빨 보철을 갖는 경우, 임플란트가 삽입하자마자, 뼈 안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갖지 못한다면, 임플란트와 주변의 뼈 조직 사이에서 미세한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움직임은 치유 그리고/또는 뼈 형성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의 실패를 초래한다. 따라서 임플란트가 충분한 초기 안정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언급된 방법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전제조건은 치유 과정 동안 설치 위치에서 임플란트와 뼈가 최적으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임플란트를 맞출때 외과적 처치를 꼼꼼하게 수행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임플란트를 위한 원통형 구멍은 매우 정확하게 뚫어져야 하며, 이것과 관련하여 뼈 안에서 온도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조건들은 지금까지는 구멍을 형성하고 죄이는 기구가 낮은 속도에서 조작되어 임플란트의 드릴링(drilling)과 맞춤(fitting)이 행해져 왔다라는 것을 의미했다. 임플란트를 맞출때 정상적으로 적용되는 회전 속도는 15~25rpm이다. 이는 하나의 임플란트를 맞추는데 필요한 시간이 1분 또는 그 이상 소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간 동안, 임플란트를 맞추는 외과의사는, 구멍 주위의 어떠한 양호한 골소주들이 변형되거나, 깨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매우 안정적인 손놀림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이는 동안 기구가 흔들리면 변형 또는 깨짐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조직 안에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보어 구멍안에 하나의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방법은 (i) 물렁하거나 딱딱한 조직안에 원통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 이전에 설명했듯이 끝이 가늘어지는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부드러운 뼈안에 삽입하는 동안, 한편 몇몇의 절단 수단은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충분한 표면 접촉 압력을 갖지 않아, 삽입 과정 동안 뼈의 압박에 의해 삽입 토크가 실질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뼈와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삽입 토크를 위해 특히 만들어지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삽입 토크가 증가하는 부드러운 뼈를 위해 특히 만들어진 임플란트 디자인의 장점을 잃지 않으면서,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뼈안에서 호의적이든 아니든 간에, 같은 형태의 임플란트 디자인이 사용되는 경우에, 원통형의 구멍안에 삽입되는 임플란트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의 원리는 단단한 뼈 속으로 삽입할때, 임플란트의 절단 수단이 모든 기능에 맞도록 디자인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드러운 뼈안에서 증가하는 절단 홈들은 덜 효과적일 것이다.
임플란트의 나삿니 부분을 조절하여 부드러운 뼈에서 좋은 초기 안정성을 나타내며 단단한 뼈에서 낮은 삽입 토크를 갖음으로써, 단단한 뼈 그리고 부드러운 뼈 모두에게 적합한 임플란트는 끝이 가늘어지는 나삿니 부분을 기초로 한다.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부피를 줄이는 것을 통해 절단 홈의 정상 영역과 동시 작동시킴으로써, 절단 능력을 증가시키는 동안, 만일 나삿니 영역의 최대가 유지된다면, 정상 영역에서 환형의 언더컷 영역은 다른 절단 각도를 갖을 수 있다. 약한 정점이 아닌 날렵한 날을 갖기 위해, 이중 반경을 갖는 절단 나선형 홈은 덩어리 물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삿니들은 복수개일 수 있다.
따라서, 특유의 기하학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완만하게 끝이 뾰족해지고;
복수의 목적을 위해 나삿니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절단 홈들;
증가된 직경을 보상하기 위한 절단; 그리고
절단 날에서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주 정상 절단 날을 위한 그리고 그럼으로써 낮은 절단 저항과 그에 따른 낮은 삽입 토크를 제공함을 위한 면적 감소;
감소된 삽입 시간과 증명된 나삿니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한 이중 나삿니들,
아래 턱뼈 안에서 준비된 원통형 구멍안에 삽입.
유사하게, 특유의 기능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단단한 뼈를 위해 중요한, 단단한 뼈 내지 부드러운 뼈를 위한 우수한 삽입 특성들;
뼈와 임플란트의 높은 접합 수준을 야기하는 좋은 절단 특성들과 그에 따른 낮은 삽입 토크(Mk III(machined 또는 TiUnite)에 필적하는);
감소되는 흔들림.
그리고 부드러운 뼈를 위해서는:
더 부드러운 뼈는 상기 홈들의 뼈 절단 날과 회전 안정성 사이에서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기에, 축방향 홈들이 베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임플란트가 삽입됨에 따라 증가된 삽입 토크.
선행 기술의 니즈닉 시스템과는 다르게, 다른 장점으로는, 특히 사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는 임플란크가 들어갈 보어 구멍의 측면과 접촉할 것이다라는 점이다.
다른 장점과 특징으로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도면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즉시 이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1)는 세로 몸체 부(longitudinal body member, 2)를 구비한다. 상기 세로 몸체부(2)는 첫번째 단부(first end, 3)와 테두리 헤드(flange head, 4)를 구비한다. 상기 테두리 헤드(4)는 예를 들면 치과 보철과 같은 보철과 결합될 수 있는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2)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상기 첫번째 단부(3)의 반대쪽의 두번째 단부(second end) 또는 정점 단부(apex end, 5)는 상기 첫번째 단부(3)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게다가 상기 몸체부(2)는 외부 나삿니(external thread, 6)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2)의 상기 두번째 단부(5)는 언더컷 영역(7)을 갖는다.
상기 몸체부(2)는 또한 세로방향의 홈(longitudinal groove, 9)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증가하는 절단 면(incremental cutting face, 8)을 갖는다.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8)의 상기 정점 단부(10)는 상기 몸체부(2)의 상기 정점 단부(5)에 인접한다. 세로 방향으로,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8)의 상기 정점 단부(10)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정점 단부(5)의 반대 쪽에 있는 상기 환형의 언더컷 영역(7)의 단부(11)와 중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는 세개의 같은 크기의 환형의 언더컷 영역(7)들과 세개의 세로방향의 홈들(9)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1)의 단면도에서, 상기 임플란트(1)는 세개의 비언더컷 영역들(non-undercut region, 12)과, 언터컷 영역(7)인 세개의 홈통을 나타낸다. 상기 세로 방향의 절단 홈들(a)은 각각의 상승된 영역(12) 안에 위치한다.
상기 환형의 언더컷 영역(7)은 상기 언더컷 영역(7)의 공동(空洞, cavity) 안에서 리세스된 월(recessed wall, 13)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환형의 언터컷 영역(7)은 상기 리세스된 월(13)의 양측에서 절단 날(cutting edge, 13) 및 기는날(trailing edge, 1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있어서, 후방의 공동 월(rear cavity wall, 13)은 인도하는 날과 절단하는 날을 명확하게 분리하는데 충분하다. 절단 월과 기는 월 사이의 전체 각이 90도 보다 작을 지라도, 각각의 월과 리세스 월 사이의 각은 90도 보다 크다. 따라서, 언더컷 영역(7)들 사이의 나사 몸체(15)는 통상적인 임플란트보다 두껍다.
상기 임플란트 몸체 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나, 상기 가늘어짐은 2도보다 크지 않다. 상기 정점 단부는 상기 테두리 단부보다 좁다.
사용에 있어서, 원통형의 구멍은 환자의 뼈 속에 형성되며, 끝이 가늘어지는 임플란트는 상기 구멍속에 놓여지고 상기 구멍속에서 시계 방향으로 죄여진다.
이는 수많은 장점들을 갖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상기 절단 영역들 사이의 영역은 종래 장치보다 두꺼울 수 있으며, 다른 등급과 순도의 티타늄과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 1
비교 테스트
테스트는 노벨 바이오케어의 기존의 상품과 비교된 본 발명(테스트)에 따른 임플란트의 절단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래프 1은 하악골(치밀골) 안에서 극히 자가 절단 임플란트인 Mk III 임플란트와의 비교를 나타낸다. 테스트용 임플란트가 조금 더 높으나, 두개의 임플란트가 같은 패턴을 따르며, 전체적으로 허용할만한 삽입 토크 수준을 나타낸다.
그래프 2는 상악골(부드러운 뼈)안에서, 부드러운 뼈안에서 설치를 위한 끝이 가늘어지는 임플란트인 Mk IV 임플란트와의 비교를 나타낸다. 다시, 상기 테스트용 임플란트는 같은 특징을 따르며, 기존의 임플란트와 유사한 삽입토크를 갖으나 부드러운 뼈안에서 설치를 위한 디자인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다양한 기술 분야 및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치과 임플란트에 적용된다. 또는, 척골(脊骨)(spine)의 임플란트와 같이 정형 외과의 임플란트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두개(頭蓋)의 안면의 임플란트와 같은 다른 임플란트들일 수 있다.

Claims (30)

  1. 꼭 맞는 보철을 고정시키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뼈 속으로 죄여 들어가며, 첫번째 단부와 두번째 정점 단부를 구비하는 외부 나삿니가 형성된 임플란트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첫번째 단부는 단부가 축방향 구멍인 내부 개구부를 갖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상기 정점 단부가 상기 첫번째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가늘어지는 각도는 2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증가하는 절단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삿니 절단 부로서 작용하는 환형의 언더컷 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언더컷 영역을 구비하는 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영역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증가하는 절단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절단면의 정점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정점 단부와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절단면의 정점 단부는 상기 언더컷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은 세로 방향의 절단 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절단 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정점 부가 그러하여 상기 임플란트는 세개의 상승된 영역과 세개의 홈통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은 각각의 상승된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치과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티타늄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단단한 뼈와 부드러운 뼈 속으로 삽입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6. 물렁하거나 단단한 조직 안에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도록 개조된 나삿니가 형성된 임플란트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임플란트는,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뼈 속으로 죄여 들어가며, 첫번째 단부와 두번째 정점 단부를 구비하는 외부 나삿니가 형성된 임플란트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첫번째 단부는 단부가 축방향 구멍인 내부 개구부를 갖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상기 정점 단부가 상기 첫번째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가늘어지는 각도는 2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증가하는 절단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복수개의 나삿니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절단 면은 인접하는 상기 정점 영역으로부터 상기 첫번째 단부의 태두리에 까지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언더컷 영역은 세측 방향의 축에 직각을 이루는 면에서 3중의 측방향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힘이 작용할때 맞지 않는 상황에 임플란트와 간격을 띄우는 요소 사이에 후속 맞춤동안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단한 뼈와 부드러운 뼈 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i) 부드럽거나 단단한 조직 안에 원통형 구멍을 준비하는 단계; 및
    (ii) 제 1 항에 따른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조직안에서 준비된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멍안에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준비된 원통형 구멍안에 삽입되되, 같은 타입의 임플란트가 디자인이 단단한 뼈든지 부드러운 뼈든지에 사용되며 상기 임플란트는 단단한 뼈에서는 낮은 삽입 토크를 갖으며 부드러운 뼈에서는 삽입 토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뼈는 단단한 뼈이며 상기 뼈는 낮은 삽입 토크를 겪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뼈는 부드러운 뼈이며, 상기 뼈는 증가하는 삽입 토크를 겪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뼈는 턱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1 항에 따른 임플란트;
    상기 임플란트를 옮기고 삽입하데 필요한 도구; 및
    원통형의 구멍을 내기위한 드릴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키트(kit).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키트는 치과 임플란트 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키트.
  30.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임플란트 또는 장치.
KR10-2004-7004908A 2001-10-04 2002-10-04 임플란트 KR20040081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23804.7A GB0123804D0 (en) 2001-10-04 2001-10-04 Implant
GB0123804.7 2001-10-04
PCT/GB2002/004512 WO2003028579A1 (en) 2001-10-04 2002-10-04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419A true KR20040081419A (ko) 2004-09-21

Family

ID=992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908A KR20040081419A (ko) 2001-10-04 2002-10-04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328555B2 (ko)
EP (1) EP1432364B1 (ko)
JP (1) JP4276538B2 (ko)
KR (1) KR20040081419A (ko)
AT (1) ATE417567T1 (ko)
AU (1) AU2002341118B2 (ko)
BR (1) BR0213042A (ko)
CA (1) CA2463042A1 (ko)
DE (1) DE60230429D1 (ko)
DK (1) DK1432364T3 (ko)
ES (1) ES2318047T3 (ko)
GB (1) GB0123804D0 (ko)
WO (1) WO2003028579A1 (ko)
ZA (1) ZA20040260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85B1 (ko) * 2011-12-12 2013-03-11 김노국 임플란트
KR101299792B1 (ko) * 2007-04-18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레인징을수행하는 방법
KR20150035351A (ko) * 2011-06-02 2015-04-06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과용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0590B1 (en) 1996-07-02 2006-07-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chip drug delivery devices
US7137987B2 (en) 2004-07-02 2006-11-21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Distal radius bone plating system with locking and non-locking screws
JP2008245994A (ja) * 2007-03-30 2008-10-16 Tokyo Medical & Dental Univ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US20090074526A1 (en) * 2007-09-18 2009-03-19 Yg-1 Co., Ltd. Compound Relief Tap
EP2341852B1 (en) * 2008-08-29 2018-08-15 SMed-TA/TD, LLC Orthopaedic implant
IL201902A (en) 2009-11-03 2012-12-31 Ben-Zion Karmon Dental implant
LU91675B1 (fr) * 2010-04-07 2011-10-10 Krimo Sehb Vis chirurgicale
ITMI20130957A1 (it) * 2013-06-11 2014-12-12 Imax3 S R L Impianto dentale endo-osseo di tipo migliorato
CN103860279B (zh) * 2014-03-20 2016-08-17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防松抗疲劳小螺栓
US11382724B2 (en) * 2017-10-11 2022-07-12 Evollution Ip Holdings, Inc. Three-dimensional stabilization thread form for dental implants
IL254999B2 (en) * 2017-10-15 2024-05-01 Ben Zion Karmon Improved dental implant
US10772709B2 (en) * 2018-04-19 2020-09-15 Charles Buist, DMD, PA Dental implant having split fi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004A (en) * 1986-09-04 1987-12-15 Vent Plant Corporation Submergible screw-typ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tilization
DE3708638A1 (de) * 1987-03-17 1988-09-29 Grafelmann Hans L Selbstschneidendes einschraubbares knochenimplantat fuer zahnaerztliche zwecke
CA2093900C (en) * 1993-04-13 1996-12-10 Norman H. K. Kwan Dental implant having cutting means
US5427527A (en) 1993-05-25 1995-06-27 Vent Plant Corporation Dental implant method of installation
US5527183A (en) * 1993-08-18 1996-06-18 Collaborative Enterprises, Inc. Endosseous implant system
US6068479A (en) * 1995-02-21 2000-05-30 Kwan; Norman Ho-Kwong Dental implant system
AU6404496A (en) * 1995-07-18 1997-02-18 Implant Innovations, Inc. Self-tapping screw-type dental implant
DE69729993T2 (de) 1996-01-18 2004-12-09 Implant Innovations, Inc., Palm Beach Gardens Zahnimplantat zur schraubmontage mit verringerter reibung
SE510956C2 (sv) 1997-11-11 1999-07-12 Nobel Biocare Ab Anordning för förankring av ett gängat implantat i ben, t ex tandben, medelst ett fastvridningsverktyg
US6048204A (en) * 1998-02-03 2000-04-11 Lifecore Biomedical, Inc. Self tapping screw type dental implant
ES2158777B1 (es) 1998-07-08 2002-03-01 Alvaro Manuel Perona Pieza para implantes dentales.
US5967783A (en) * 1998-10-19 1999-10-19 Ura; Robert S. Threaded dental implant with a core to thread ratio facilitating immediate load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SE514142C2 (sv) 1999-03-09 2001-01-08 Nobel Biocare Ab Självgängande implant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792B1 (ko) * 2007-04-18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레인징을수행하는 방법
KR20150035351A (ko) * 2011-06-02 2015-04-06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41685B1 (ko) * 2011-12-12 2013-03-11 김노국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123804D0 (en) 2001-11-21
EP1432364B1 (en) 2008-12-17
CA2463042A1 (en) 2003-04-10
DE60230429D1 (de) 2009-01-29
US20050089818A1 (en) 2005-04-28
EP1432364A1 (en) 2004-06-30
BR0213042A (pt) 2004-10-05
AU2002341118B2 (en) 2007-08-23
JP2005503887A (ja) 2005-02-10
ATE417567T1 (de) 2009-01-15
ES2318047T3 (es) 2009-05-01
DK1432364T3 (da) 2009-03-09
ZA200402605B (en) 2005-05-18
JP4276538B2 (ja) 2009-06-10
US8328555B2 (en) 2012-12-11
WO2003028579A1 (en) 200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295B2 (en) Arrangement for obtaining reliable anchoring of a threaded implant in a bone
US10543029B2 (en)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JP2627385B2 (ja) 固定部材
KR20040081419A (ko) 임플란트
JP2004538084A (ja) インプラント、インプラントを含む配置およびインプラントを骨組織に挿入する方法
RU2543294C2 (ru) Штифт имплантата с множественной конусностью
CA2832385C (en) A fixture, a thread maker and a fixture set
AU2002341118A1 (en) Implant
WO1999023970A1 (en) Arrangement and its use for anchoring a threaded implant in bone, for example dentine
CN111107808B (zh) 牙齿植入物
EP2696796B1 (en) Fixture
US20070190491A1 (en) Out-of-round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