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544A -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 Google Patents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544A
KR20040080544A KR1020030015383A KR20030015383A KR20040080544A KR 20040080544 A KR20040080544 A KR 20040080544A KR 1020030015383 A KR1020030015383 A KR 1020030015383A KR 20030015383 A KR20030015383 A KR 20030015383A KR 20040080544 A KR20040080544 A KR 2004008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snap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철
이종수
한덕수
Original Assignee
윤기철
이종수
한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철, 이종수, 한덕수 filed Critical 윤기철
Priority to KR102003001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0544A/ko
Publication of KR2004008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식 자동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텐트의 구성요소인 지지 폴대에 탄성을 부여하여 상, 하로 안내되는 안내구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각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텐트 산개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연결부재의 휨이나 꺽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스냅 쓰루(SNAP-THRU)를 이용한 자동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텐트 상부의 메인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안내축과, 상기 메인 연결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텐트의 외관형성 및 상기 텐트를 지지하는 메인 폴대와, 상기 메인 폴대가 텐트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폴대의 일측 단부가 절첩식 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 폴대의 타 단부는 상기 안내축을 따라 상, 하로 움직이는 안내구에 연결되며,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에서 연결구에 이르는 직선길이보다 상기 지지 폴대의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지지 폴대는 탄성력을 구비하여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AUTOMATIC TENT USING SNAP-THRU}
본 발명은 우산식 자동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텐트의 구성요소인 지지 폴대에 탄성을 부여하여 상, 하로 안내되는 안내구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각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텐트 산개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연결부재의 휨이나 꺽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스냅 쓰루(SNAP-THRU)을 이용한 자동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등산, 낚시, 캠핑과 같은 레저 생활시 필요로 하는 장비로써 텐트 형상에 따라 A형, 돔형, 셀터형, 터널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텐트는 접, 펼침 방식에 따라 텐트의 기본 골조인 프레임을 수동으로 접혔다 폈다 하도록 하는 캐노피 텐트(일명'접이식 텐트' 혹은 '자바라식 텐트'라고도 함.)와 텐트의 골조가 우산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을 펴고 접는 것처럼 텐트를 산개 시킬 수 있는 우산식 텐트가 있다.
상기 캐노피 텐트나 우산식 텐트에 대하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223717호(명칭: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실용신안등록 제 294997호(명칭: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실용신안등록 제 281391호(명칭: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실용신안등록 제 213389호(명칭: 우산식 텐트) 등과 같이 이미 다수의 건이 출원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텐트들 중 우산식 텐트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 중앙 상부에 연결부재(10)을 설치하여 방사상으로 폴대(4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 직하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부재(20)에는 방사상으로 지지폴대(30)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지지폴대(30)의 타단은 상기 각각의 폴대의 하방을 지지토록 폴대에 힌지 결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와 슬라이딩 부재(20) 사이에 탄성스프링(50)을 구비하여 텐트 산개시 자동으로 폴(40)을 펼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텐트는 신속하게 펼쳐질 수는 있지만, 갑자기 텐트 프레임이 산개되어 사용자가 폴대에 다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텐트의 폴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재(미도시)는 구조적 결함으로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휘어지거나 꺽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제품의 결함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손해를 가져오면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법에 의하여 상기 제품을 제조한 제조업자에게 엄격한 책임을 묻게 되어 있어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폴대를 지지하는 지지 폴대에 탄성을 부여하고, 상기 지지폴대를 상, 하로 안내되는 안내구에 힌지 결합되게 하여 상기 텐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약간의 힘만 가하여도 천천히 쉽게 펼쳐질 수 있는 스냅 쓰루(SNAP-THRU)를 이용한 자동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텐트의 각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텐트 산개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연결부재의 휨이나 꺽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를 이용한 자동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쓰루 자동텐트의 상부 프레임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연결부재 및 메인폴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쓰루 자동텐트의 산개 및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연결부재 101 : 안내축
102 : 받침대 103 : 메인폴대
104 : 지지폴대 105 : 절첩식 연결부재
106 : 안내구 107 :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
108 : 보조 연결부재 100a: 요홈
100b, 106b : 걸림돌기 103a: 끼움부
106a : 체결홈 107a: 고정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쓰루(SNAP-THRU) 자동텐트는, 텐트 상부의 메인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안내축과, 상기 메인 연결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텐트의 외관형성 및 상기 텐트를 지지하는 메인 폴대와, 상기 메인 폴대가 텐트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폴대의 일측 단부가 절첩식 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 폴대의 타 단부는 상기 안내축을 따라 상, 하로 움직이는 안내구에 연결되며,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에서 연결구에 이르는 직선길이보다 상기 지지 폴대의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지지 폴대는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폴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재는 일측면에 소정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폴대의 타 측면은 상기 보조 연결부재의 고정홈에 부합되는 형상의 끼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쓰루(SNAP-THRU) 자동텐트의 상부 프레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 상부 프레임은 텐트 중앙 상부에 형성된 메인 연결부재(100)와, 상기 메인 연결부재(100)와 연결되고 하부에 받침대(102)가 형성된 안내축(101)과, 상기 메인 연결부재(100)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텐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폴대(103)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폴대(103)가 텐트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폴대(104)의 일측 단부가 절첩식 연결부재(105)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폴대(104)의 타 단부는 상기 안내축(101)을 따라 상, 하로 움직이는 안내구(106)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메인 연결부재(100)는 우산모양으로 외주연에 4개의 요홈(100a)이 방사상으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100a) 양측 내벽에는 메인 폴대(103)와 연결되도록 걸림돌기(10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구(106)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메인 연결부재(10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100a)과 대응되도록 체결홈(106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 양측 내벽에는 상기 메인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폴대(104)와 연결되도록 걸림돌기(106b)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축(101) 밑면에는 연결고리(101a)가 형성되어 텐트의 골조인 프레임 산개시 본체인 직물지(A)의 상부가 평평함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폴대(104)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텐트의안내축(101)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구(106)에서 절첩식 연결부재(105)에 이르는 직선길이(d)보다 상기 지지폴대(104)의 실제 길이(s)를 더 길게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기 메인 폴대(103)를 지지하도록 하고, 텐트 산개시 스냅 쓰루(SNAP-THRU)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폴대(104)의 재질이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나일론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플라스틱의 경우 내구성이나 내한성이 약하여 충격에 쉽게 변형이 일어나는 반면, 상기 나일론은 내구성이 강하여 심한 충격에도 잘 깨지지 않으며 내열성 또한 강하여 쉽게 변형이 일어나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는 절첩식 연결부재(105), 보조 연결부재(108),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 순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폴대(103)를 지지,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는 일측면에 소정의 고정홈(107a)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폴대(103)의 타 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의 고정홈(107a)에 부합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103a)를 갖도록 한다.
도 3b는 상기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에 연결되어 절첩된 메인 폴대(103)의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들이다.
상기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폴대(103)의 일 측면에 끼움돌기나 측면 자체를 각형화 시킨 끼움부(103a)를 형성시켜 상기 보조 연결부재(107)의 고정홈(107a)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 및 메인 폴대(107, 103)는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휨이나 꺽어짐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텐트 본체인 직물지(A)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스냅 쓰루(SNAP-THRU) 자동텐트에 대한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초기엔 텐트 본체인 직물지(A)가 상기 텐트의 각 메인 폴대(103)에 끼워 고정되고, 상기 안내축(101)을 윗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메인 폴대(103)를 지지하는 지지폴대(104)가 안내축(101)을 따라 상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절첩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폴대(104)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어 약간 굽은 형상을 띠면서 접혀지게 되고, 상기 메인 폴대(103)를 연결, 지지하는 보조 연결부재(108)는 상기 텐트 외측으로 절첩되고,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는 상기 텐트 내측으로 절첩된다.
그리고 텐트 산개시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구(106)에 연결된 지지폴대(104)에 안내축(101) 아랫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기 텐트는 서서히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스냅 쓰루(SNAP-THRU)는 삼각형 형상의 메인폴대(101), 안내축(103), 지지폴대(104)의 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스프링 백에의한 위치변화를 주어 전체 텐트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움직임을 주도하면서 실질적인 텐트 구조물의 지지 역할을 하게 되는 원리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텐트를 접거나 펼칠 때 스냅 쓰루(SNAP-THRU)되도록 탄성복원력이 좋은 나일론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텐트가 서서히 펼쳐지게 되므로 갑자기 텐트 폴대가 산개 되어 사용자에게 손상을 입히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쓰루(SNAP-THRU) 자동텐트에 의하면, 메인 폴대를 지지하는 지지 폴대에 탄성력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폴대와 상, 하로 안내되는 안내구와 힌지 결합시켜 상기 텐트에 원터치 방식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천천히 쉽게 펼쳐질 수 있고, 텐트의 각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텐트 산개 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연결부재의 휨이나 꺽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텐트 상부의 메인 연결부재(100)와 연결되고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안내축(101)과;
    상기 메인 연결부재(10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텐트의 외관형성 및 상기 텐트를 지지하는 메인 폴대(103)와;
    상기 메인 폴대(103)가 텐트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폴대(104)의 일측 단부가 절첩식 연결부재(105)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 폴대(104)의 타 단부는 상기 안내축(101)을 따라 상, 하로 움직이는 안내구(106)에 연결되며,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105)에서 안내구(106)에 이르는 직선길이(d)보다 상기 지지 폴대의 길이(s)가 더 길고,
    상기 지지 폴대(104)는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쓰루(SNAP-THRU)를 이용한 자동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대(103)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는 일측면에 소정의 고정홈(107a)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폴대(103)의 타 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끼움식 연결부재(107)의 고정홈(107a)에 부합되는 형상의 끼움부(103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쓰루(SNAP-THRU)를 이용한 자동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대(104)의 재질이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쓰루(SNAP-THRU)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20030015383A 2003-03-12 2003-03-12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40080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383A KR20040080544A (ko) 2003-03-12 2003-03-12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383A KR20040080544A (ko) 2003-03-12 2003-03-12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7343U Division KR200315843Y1 (ko) 2003-03-12 2003-03-12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544A true KR20040080544A (ko) 2004-09-20

Family

ID=3736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383A KR20040080544A (ko) 2003-03-12 2003-03-12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05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585A (zh) * 2020-05-22 2020-09-04 北京军威世纪野战装备科技有限公司 快速展开帐篷骨架及其帐篷
CN113944369A (zh) * 2021-10-26 2022-01-18 安徽荣起安防科技有限公司 便于弯折处定位的防护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585A (zh) * 2020-05-22 2020-09-04 北京军威世纪野战装备科技有限公司 快速展开帐篷骨架及其帐篷
CN113944369A (zh) * 2021-10-26 2022-01-18 安徽荣起安防科技有限公司 便于弯折处定位的防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5884645A (en) Collapsible sunshade
US8485208B2 (en) Canopy tent
US20070051399A1 (en) One-touch type foldable tent
KR200372631Y1 (ko) 텐트 프레임
WO2007064114A1 (en) Structure controlling hight of tent roof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US20220356727A1 (en) Combination-type large tent frame assembly
US7448399B2 (en) Umbrella
KR20040080544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440972Y1 (ko) 자동텐트용 접이식 폴대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US5865201A (en) Umbrella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361563Y1 (ko) 뒤집어지지 않는 접이식 우산
KR200289419Y1 (ko) 천막용 차양막
CN217658495U (zh) 一种反转式折伞结构
KR102059447B1 (ko) 접이식 텐트용 골조
KR102260067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2007528B1 (ko) 변신 텐트
KR20020043204A (ko)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