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212A -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212A
KR20040080212A KR1020030015104A KR20030015104A KR20040080212A KR 20040080212 A KR20040080212 A KR 20040080212A KR 1020030015104 A KR1020030015104 A KR 1020030015104A KR 20030015104 A KR20030015104 A KR 20030015104A KR 20040080212 A KR20040080212 A KR 2004008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power
transformer
switch
link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291B1 (ko
Inventor
최항석
허동영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7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mprising a passive stage to generate a rectified sinusoidal voltage and a controlled switching element in series between such stage and the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 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 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입력 전류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회로 변경 및 IC의 추가 없이 종래의 컨버터 회로에 보조 인덕터와 다이오드만을 추가하여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는 역률 보상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률 보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단일 전력 회로단으로 구성된 역률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오디오, 세탁기, TV, 비디오, FAX 기기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가전제품은 교류전력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컨버터는 고조파 전류의 발생원으로써, 이러한 고조파 전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단까지의 임피던스에 의하여 전압강하를 일으키고, 이 전압강하에 따라 비록 전원 전압 파형이 순정현파라 할지라도 부하단의 전압 파형은 왜형파가 된다. 이런 전압 찌그러짐은 각종 계전기 오동작, 정밀 전자기기의 동작 불량, 기기 손상 및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 장비의 전원 장치의 고조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소형 전원 장치에도 역률보상(Power Factor Correction, PFC) 회로를 사용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역률보상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회로와 입력 전압,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60㎐의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디씨 링크(DC link) 커패시터(CB)를 통하여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하고, 다시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DC 전압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방식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VCB)보다 높을 경우에만 입력단에서 전류가 펄스 형태로 유입되게 되며, 이러한 펄스 형태의 입력 전류는 많은 고조파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의 고조파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킬 수 없다.
한편, 종래에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액티브 필터(Active Filter)라는 명칭으로 승압형 컨버터를 프리레귤레이터(Pre-regulator)로서 컨버터 앞단에 삽입하여 AC-DC 변환과 동시에 역률을 개선하고, 이렇게 변환된 DC 전압은 다시 DC-DC 컨버터에 의하여 원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투 스테이지(Two-stage) PFC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고가의 전용 IC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2번 변환함으로써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때문에 저가의 소형 컨버터에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에 보조 인덕터와 다이오드만을 추가하여 역률을 보상할 수 있는 단일 전력 회로단 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역률보상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 플라이백 방식의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회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입력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측(출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차측(입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포워드 (Forward)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측(출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보상 회로가 적용된 포워드(Forward)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차측(입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푸쉬풀(Push-pull)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측(출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푸쉬풀(Push-pull)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 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 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변압기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피드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변압기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 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흐르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방법은 다이오드 정류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스위치 및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컨버터에서 역률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하는 단계; 상기 정류된 교류전원을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를 통하여 평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제2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류를 필터링하여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피드백하거나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제1, 제2 다이오드(D1, D2)와 인덕터(L1)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제1, 제2 다이오드(D1, D2)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D1)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디씨 링크 커패시터(CB)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2 다이오드(D2)와 인덕터(L1)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스위치(Q)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커패시터(CB), 스위치(Q) 및 2차측으로 구성되는 플라이백 컨버터부 이외에 인덕터(L1), 스위치 및 2차측에 의해 부스트 컨버터부가 생성되며, 플라이백 컨버터부와 부스트 컨버터부는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도 4는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부는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부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입력 전압(Vin)이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VCB)보다 높을 경우에만 다이오드(D1)에 전류(ID1)가 펄스 형태로 유입된다. 또한, 부스트 컨버터부는 스위치(Q)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불연속 전류 모드로 동작하므로 다이오드(D2)에 흐르는 전류(ID2)의 파형은 도 4와 같이 나타난다.
또한, 플라이백 컨버터부와 부스트 컨버터부의 입력부는 병렬로 연결되어 동작하므로, 동일한 전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플라이백 컨버터부의 다이오드(D1)에 흐르는 전류(ID1)의 크기가 도 1b의 전류(I)보다 크기가 작다. 또한, 교류 전원단에서 1차측(컨버터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커패시터(CB)에 공급되는 전류(ID1)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부스트 컨버터부로 공급되는 전류(ID2)의 합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 전류는 입력 필터를 거치면서 고조파 성분이 제거되어 도 4의 (c)와 같이 정현파에 가까운 형태가 된다. 따라서 고조파 규제를 만족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측(출력측) 전류 궤환방식의역률 보상 회로를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제1, 제2 다이오드(D1, D2)와 인덕터(L1) 이외에 인덕터(L1)에 연결된 보조권선과 다이오드(D3)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보조권선과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출력측으로 에너지를 직접 전달하여 전력효율을 더욱 증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차측(입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포워드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제1, 제2 다이오드(D1, D2)와 인덕터(L1) 이외에 인덕터(L1)에 연결된 보조권선과 다이오드(D3)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보조권선과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디씨 링크 커패시터(CB)로 에너지를 직접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측(출력측) 전류 궤환방식의 역률보상 회로가 적용된 포워드(Forward)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회로는 인덕터(L1)에 연결된 보조권선과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출력측으로 에너지를 직접 전달하여 전력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가 적용된 푸쉬풀(Push-pull) 컨버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 입력측 전류궤환 방식과 출력측 전류궤환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를 이용한 역률 보상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하고, 정류된 교류전원을 디씨 링크 커패시터(CB)를 통하여 평활한다.
이후,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디씨 링크 커패시터(CB)의 전압(VCB)보다 높을 때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전류(ID1)가 흐르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Q)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불연속적으로 전류(ID2)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ID1. ID2)를 필터링하여 고조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역률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종래의 여러 가지 컨버터 회로에 다이오드 및 인덕터를 추가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함으로써 디씨 링크 커패시터(CB)단(입력측) 또는 출력 커패시터(CO)단(출력측)으로 에너지를 궤환시킴으로써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회로 및 IC를 추가하지 않고 종래의 컨버터 회로에 보조 인덕터와 다이오드만을 추가하여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는 역률 보상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투 스테이지 PFC 방식에 비하여 비용 및 회로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고, 단일 전력 회로단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주파수 제어 없이 커패시터의 전압을 소정 전압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필터 설계 및 2차측 설계에 용이하다.

Claims (8)

  1.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 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 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변압기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피드백되는 역률 보상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변압기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되는 역률 보상 회로.
  4.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 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되는 역률 보상 회로.
  5.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통해 생성된 교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기의 2 차측에 생성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어 내는 출력 다이오드와 출력 커패시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제1 다이오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보조권선을 추가하여 구성한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역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되는 역률 보상 회로.
  6. 다이오드 정류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스위치 및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컨버터에서 역률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하는 단계;
    상기 정류된 교류전원을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를 통하여 평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을 때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제2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류를 필터링하여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디씨 링크 커패시터 단으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률 보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출력 커패시터 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률 보상 방법.
KR1020030015104A 2003-03-11 2003-03-11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KR10097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104A KR100971291B1 (ko) 2003-03-11 2003-03-11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104A KR100971291B1 (ko) 2003-03-11 2003-03-11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212A true KR20040080212A (ko) 2004-09-18
KR100971291B1 KR100971291B1 (ko) 2010-07-20

Family

ID=3736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104A KR100971291B1 (ko) 2003-03-11 2003-03-11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86A2 (en) * 2010-09-02 201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verter in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20190040875A (ko) * 2017-10-11 2019-04-19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절연형 스위칭 전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8843B2 (en) * 2013-03-19 2016-05-10 Praveen K. Jain High power factor, electrolytic capacitor-less driver circuit for light-emitting diode lamp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389A (en) 1996-05-31 1998-08-04 Virginia Power Technologies, Inc. Consolidated soft-switching AC/DC converters
US5991169A (en) 1998-03-16 1999-11-23 Lincoln Global, Inc. Arc welding power suppl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86A2 (en) * 2010-09-02 201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verter in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O2012030186A3 (en) * 2010-09-02 201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verter in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N103155356A (zh) * 2010-09-02 2013-06-12 三星电子株式会社 谐振电能传输系统中的功率转换器和谐振电能传输设备
KR101314145B1 (ko) * 2010-09-02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변환기 및 공진 전력 전송 장치
US9553456B2 (en) 2010-09-02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verter in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20190040875A (ko) * 2017-10-11 2019-04-19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절연형 스위칭 전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291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panikolaou et al. Active voltage clamp in flyback converters operating in CCM mode under wide load variation
US8102678B2 (en) High power factor isolated buck-typ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S6344986B1 (en) Topology and control method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N108539984B (zh) 开关电源电路的pfwm控制系统
Narimani et al. A new interleaved three-phase single-stage PFC AC–DC converter
TWI477954B (zh) 適於電腦的電源供應裝置
US20100054001A1 (en)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Narimani et al. A new single-phase single-stage three-level power-factor-correction AC–DC converter with phase-shift modulation
US8300437B2 (en) Multi-output DC-to-DC conversion apparatus with voltage-stabilizing function
JPWO2009025157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071161B2 (en) Single stage PFC power supply
US9130472B2 (en) High efficient single switch single stage power factor correction power supply
EP2975753B1 (en) A three-level converter
US6519164B1 (en) Single power stage AC/DC forward converter with power switch voltage clamping function
US6567284B2 (en) DC to DC converting incorporating ZVS circuit and synchronized isolation circuit
US8711588B1 (en) Power supply device
US7884582B2 (en) Method and device in frequency converter
KR100971291B1 (ko)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방법
Pandhi et al. An Approach for Power Factor Correction of Single-Phase Single-Stage Three-Level AC-DC Converter with Phase Shift Modulation
Shaffer Interleaving contributes unique benefits to forward and flyback converters
US20060062027A1 (en) High efficiency switching power converter
US6653822B2 (en) Circu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to DC voltage
TW561677B (en) Magnetic amplifier ac/dc converter with primary side regulation
KR100513317B1 (ko) 역룰보상 및 고조파 저감을 개선한 전원 컨버터
US20050248963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reverse recovery current in a blocking di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