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0Y1 - 6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6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0Y1
KR200400790Y1 KR20-2005-0023286U KR20050023286U KR200400790Y1 KR 200400790 Y1 KR200400790 Y1 KR 200400790Y1 KR 20050023286 U KR20050023286 U KR 20050023286U KR 200400790 Y1 KR200400790 Y1 KR 20040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ipe
valve body
dischar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건
박정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알
Priority to KR20-2005-0023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6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관로시스템에 연결된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장치의 수리를 하는 동안 다른쪽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밸브가 연결된 관로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두 개의 장치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구동장치의 수량을 줄여 비용절감과 시설비 감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6방향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6방향 밸브{6-way valve}
본 고안은 6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유체 또는 기체 등과 같은 작동유체의 흐름을 변경하여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방향제어밸브는 유체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로서, 유로의 형태 및 접속포트(port)의 수에 의해 분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밸브는 밸브와 연결된 오일필터장치 등의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고장난 장치가 연결된 관로시스템 전체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수리 또는 교체가 완전히 끝난 후 비로소 관로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가 연결된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관로시스템 전체의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관로시스템에 연결된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장치의 수리를 하는 동안 다른쪽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밸브가 연결된 관로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두 개의 장치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6방향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6방향 밸브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이며,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 상기 유입포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배출관로 및 제 2배출관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출포트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 상기 배출포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유입관로 및 제 2유입관로가 각각 형성된 밸브바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상부커버; 상기 밸브바디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시키는 하부커버; 상기 밸브바디 내에 상기 밸브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부에 상기 관통홀을 지나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포트와 동일 평면상에 제 1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포트와 동일 평면상에 상기 제 1홈과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간격을 두고 제 2홈이 형성된 회전축;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 1홈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1배출관로,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2배출관로, 및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1배출관로와 상기 제 2배출관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 2홈은,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1유입관로,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2유입관로, 및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1유입관로와 상기 제 2유입관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 1유입관로와 상기 제 1배출관로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유입관로와 상기 제 2배출관로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6방향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6방향 밸브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회전축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의 a,b,c,d는 도 1의 6방향 밸브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6방향 밸브는 밸브바디(100)와 상부커버(150)와 하부커버(170)와 회전축(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바디(100)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이며, 밸브바디(100)의 외주면에 유입포트(110) 및 배출포트(13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포트(110) 및 배출포트(130)는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포트(110)가 하부에, 배출포트(130)가 상부에 각각 형성되었지만,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입포트(110)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 유입포트(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배출관로(111) 및 제 2배출관로(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배출포트(130)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는 배출포트(130)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유입관로(131) 및 제 2유입관로(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밸브바디(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부커버(150)가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밸브바디(10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킨다. 상부커버(150)의 중앙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회전축(190)과 연결된 회전력전달부재(195)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바디(100)의 개방된 하면에는 하부커버(170)가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밸브바디(100)의 하면을 폐쇄시킴으로써, 밸브바디(100)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밸브바디(100)에는 회전축(190)이 내장되며, 회전축(190)은 밸브바디(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내장된다.
회전축(19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5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지나 상부커버(1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195)가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도 1상에서는 회전력전달부재(19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렌치(196)를 회전력전달부재(195)에 결합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력전달부재(195)는 육각형 형상으로 가공하여 렌치(196)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력전달부재(195)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력전달부재(195)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회전력전달부재(195)에 핸들 등을 부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회전력전달부재(195)의 일단에 모터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축(19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홈(191) 및 제 2홈(192)이 회전축(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90)이 밸브바디(100)에 내장될 때 제 1홈(191)은 밸브바디(100)에 형성된 유입포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도록 하고, 제 2홈(192)은 밸브바디(100)에 형성된 배출포트(130)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회전시 제 1홈(191)은, 유입포트(110)와 제 1배출관로(111), 유입포트(110)와 제 2배출관로(112), 및 유입포트(110)와 제 1배출관로(111)와 제 2배출관로(112)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킨다.
제 1유입관로(131)와 제 1배출관로(111)는 밸브바디(10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90)의 회전시 제 2홈(192)은, 배출포트(130)와 제 1유입관로(131), 배출포트(130)와 제 2유입관로(132), 및 배출포트(130)와 제 1유입관로(131)와 제 2유입관로(132)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킨다.
제 2유입관로(132)와 제 2배출관로(112)는 밸브바디(10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회전축(190)을 도 6의 a와 같이, 0°(본 명세서의 도 6 상에서 제 1홈(191)의 단면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이고, 제 1홈(191)이 하부에 배치된 상태의 각도를 0°라고 하기로 한다.)의 상태이면, 제 1홈(191)은 유입포트(110)와 제 1배출관로(111)와 제 2배출관로(112)를 서로 연통시키고, 제 2홈(192)은 배출포트(130)와 제 1유입관로(131)와 제 2유입관로(132)를 서로 연통시키며, 제 1배출관로(111)와 제 1유입관로(131)는 밸브바디(10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 2유입관로(132)와 제 2배출관로(112)는 밸브바디(10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일 등의 유체가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되어 제 1,2배출관로를 통하여 밸브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다시 제 1,2유입관로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후 배출포트(130)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의 도 6에서는 회전축(190)의 제 1홈(191)의 단면만을 도시하였지만, 제 2홈(192)의 단면도 제 1홈(191)의 단면과 같으므로 도면을 생략하였다.
회전축(190)을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45° 회전시키면 제 1홈(191)은 유입포트(110)와 제 1배출관로(111)를 서로 연통시키고, 제 2홈(192)은 배출포트(130)와 제 1유입관로(131)를 서로 연통시키므로, 유체가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되어 제 1배출관로(111)를 통하여 밸브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다시 제 1유입관로(131)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후 배출포트(130)로 배출된다.
회전축(190)을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135° 회전시키면, 제 1홈(191)은 유입포트(110)와 제 2배출관로(112)를 서로 연통시키고, 제 2홈(192)은 배출포트(130)와 제 2유입관로(132)를 서로 연통시키므로, 유체가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되어 제 2배출관로(112)를 통하여 밸브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다시 제 2유입관로(132)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되어 배출포트(130)로 배출된다.
회전축(190)을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시키면, 회전축(190)이 유입포트(110) 및 배출포트(130)를 폐쇄하여 유체가 밸브바디(100) 내로 유입되거나 밸브바디(10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배출관로(111)와 제 1유입관로(131)에 제 1필터바디(200)가 연결되고, 제 2배출관로(112)와 제 2유입관로(132)에 제 2필터바디(300)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2필터바디(200,300)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필터(250,350)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제 1필터바디(200)에는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제 1,2관로(210,22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 2필터바디(300)에는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제 3,4관로(330,3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밸브바디(100)의 제 1배출관로(111)는 제 1필터바디(200)의 제 1관로(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1유입관로(131)는 제 1필터바디(200)의 제 2관로(220)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바디(100)의 제 2배출관로(112)는 제 2필터바디(300)의 제 3관로(3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유입관로(132)는 제 2필터바디(300)의 제 4관로(3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90)을 0°인 상태가 되도록 하면,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유체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배출관로(111)와 제 1관로(210)를 통해 제 1필터바디(200)로 유입된 후 오일필터(250)를 거쳐 제 2관로(220)와 제 1유입관로(131)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다시 유입되어 배출포트(13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유체가 제 2배출관로(112)와 제 3관로(330)를 통해 제 2필터바디(300)로 유입된 후 오일필터(350)를 거쳐 제 4관로(340)와 제 2유입관로(132)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다시 유입되어 배출포트(130)를 통해 배출된다.
즉,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유체는 제 1,2필터바디(200,300)로 각각 유입되어 오일필터(250,350)를 거친 후 다시 밸브바디(100)로 유입되고, 배출포트(130)를 통해 배출된다.
회전축(190)을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45° 회전시키면,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유체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배출관로(111)와 제 1관로(210)를 통해 제 1필터바디(200)로 유입된 후 오일필터(250)를 거쳐 제 2관로(220)와 제 1유입관로(131)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다시 유입되어 배출포트(130)를 통해 배출된다.
회전축(190)을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135° 회전시키면, 유입포트(110)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유입된 유체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배출관로(112)와 제 3관로(330)를 통해 제 2필터바디(300)로 유입된 후 오일필터(350)를 거쳐 제 4관로(340)와 제 2유입관로(132)를 통해 밸브바디(100)로 다시 유입되어 배출포트(130)를 통해 배출된다.
회전축(190)을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시키면, 회전축(190)은 유입포트(110) 및 배출포트(130)를 폐쇄하여 유체가 밸브바디(100) 내로 유입되거나 밸브바디(10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밸브바디(100)에 두 개의 필터바디(200,300)가 연결되어 있어, 평상시 어느 하나의 필터바디를 사용하다가 필터바디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필터바디의 수리를 하는 동안 다른 한쪽의 필터바디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밸브가 연결된 관로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회전축(190)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바디 등 두 개의 장치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구동장치의 수량을 줄여 비용절감과 시설비 감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바디(100)에 필터바디(200,300)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실시에 따라 본 고안의 밸브바디(100)에 관로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6방향 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밸브바디에 두개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장치의 수리를 하는 동안 다른쪽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밸브가 연결된 관로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두 개의 장치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구동장치의 수량을 줄여 비용절감과 시설비 감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6방향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6방향 밸브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회전축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의 a,b,c,d는 도 1의 6방향 밸브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바디 110 : 유입포트
111 : 제 1배출관로 112 : 제 2배출관로
130 : 배출포트 131 : 제 1유입관로
132 : 제 2유입관로 150 : 상부커버
170 : 하부커버 190 : 회전축
191 : 제 1홈 192 : 제 2홈
195 : 회전력전달부재 196 : 렌치
200 : 제 1필터바디 210 : 제 1관로
220 : 제 2관로 250 : 오일필터
300 : 제 2필터바디 330 : 제 3관로
340 : 제 4관로 350 : 오일필터

Claims (1)

  1.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이며,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 상기 유입포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배출관로 및 제 2배출관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출포트가 형성된 동일 평면상에 상기 배출포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 1유입관로 및 제 2유입관로가 각각 형성된 밸브바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상부커버;
    상기 밸브바디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시키는 하부커버;
    상기 밸브바디 내에 상기 밸브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부에 상기 관통홀을 지나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포트와 동일 평면상에 제 1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포트와 동일 평면상에 상기 제 1홈과 길이방향의 일직선상에 간격을 두고 제 2홈이 형성된 회전축;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 1홈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1배출관로,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2배출관로, 및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 1배출관로와 상기 제 2배출관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 2홈은,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1유입관로,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2유입관로, 및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제 1유입관로와 상기 제 2유입관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 1유입관로와 상기 제 1배출관로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유입관로와 상기 제 2배출관로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방향 밸브.
KR20-2005-0023286U 2005-08-11 2005-08-11 6방향 밸브 KR20040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86U KR200400790Y1 (ko) 2005-08-11 2005-08-11 6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86U KR200400790Y1 (ko) 2005-08-11 2005-08-11 6방향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0Y1 true KR200400790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286U KR200400790Y1 (ko) 2005-08-11 2005-08-11 6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46B1 (ko) 2010-01-22 2012-11-15 허원 복식여과기에 부착된 6방향 밸브장치
KR102521910B1 (ko) * 2021-11-25 2023-04-28 주식회사 신한전기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원통형 멀티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46B1 (ko) 2010-01-22 2012-11-15 허원 복식여과기에 부착된 6방향 밸브장치
KR102521910B1 (ko) * 2021-11-25 2023-04-28 주식회사 신한전기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원통형 멀티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9919C (en) Kit for mounting an actuator to a valve
US4632148A (en) Hydraulic distribution valve
KR200400790Y1 (ko) 6방향 밸브
JP3054540B2 (ja) 回転弁の駆動装置
JP2015503068A (ja) クイックメンテナンス海底チェックバルブ
KR100572341B1 (ko) 체크밸브 일체형 버터플라이 밸브
US7117882B2 (en) Valv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flow of a fluid in pipe conduits
CN102084162B (zh) 阀内件保持装置
US1214267A (en) Valve.
AU2016102375A4 (en) A torque transfer bracket for a large ball valve
JP6738683B2 (ja) 弁の仮固定構造
KR101168335B1 (ko) 수동 회전이 가능한 3방 밸브
EP2157342A1 (en)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CN208442373U (zh) 一种手动快速开关阀
KR100727571B1 (ko) 바이패스 밸브 부착 양압 버터플라이 밸브
CN205534279U (zh) 蝶板与阀杆的拆装结构及带有该结构的蝶阀
KR100490591B1 (ko) 부관홀이 구비된 양압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30628Y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회전축 로킹구조
JPH07174260A (ja) 中心形バタフライ弁の駆動装置
CN216112454U (zh) 阀门状态检测装置初始位置调节机构和阀门状态检测装置
KR20100099863A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CN217003219U (zh) 一种深海石油开采用特种钢旋塞阀
KR200353377Y1 (ko) 보조 제수밸브를 가지는 버터플라이 밸브
CN219888741U (zh) 法兰式电动蝶阀
KR200378617Y1 (ko) 버터플라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