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708A -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708A
KR20040078708A KR1020030013499A KR20030013499A KR20040078708A KR 20040078708 A KR20040078708 A KR 20040078708A KR 1020030013499 A KR1020030013499 A KR 1020030013499A KR 20030013499 A KR20030013499 A KR 20030013499A KR 20040078708 A KR20040078708 A KR 2004007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rear console
heater co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남모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708A/en
Publication of KR2004007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0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maintain a rear seat of the vehicle in a delightful temperature state by connecting a front unit and a rear console unit by a rear console duct and directly guiding some of air of the front unit to the rear seat. CONSTITUTION: An air conditioning unit(30) for a vehicle comprises a front unit(31), a rear console unit(310), and a rear console door(319). In the front unit, a blower(33), an evaporator(34), a heater core(37) are arranged in a front case. The front unit supplies air exchanged with heat to each area of the room of the vehicle through a floor outlet(41), a defrost outlet(42) and a vent outlet(43). The rear console unit is connected to the front unit by a rear console duct. In the rear console unit, an auxiliary evaporator(312) and an auxiliary heater core(314) are installed in a rear case(311) and the rear console unit blows air exchanged with heat to a rear seat of the vehicle. The rear console door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unit and the rear console duct. The rear console door selectively opens and shuts an inlet to supply some the air of the front unit to the rear console duct.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Air climate unit for vehicle}Air climate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유니트와 리어 콘솔 유니트를 덕트로 연결하고, 프론트 유니트의 공기 일부를 리어 콘솔 유니트로 유도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connect a front unit and a rear console unit to a duct, and guide a part of the air of the front unit to the rear console unit. .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과,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 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 교환매체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서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와 실내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난방 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 코어로 유입시켜 실내외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cooling system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outdoor air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by driving the compressor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ntroducing the coolant into the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outdoor air.

최근 들어, 자동차의 실내가 비교적 넓은 승용차나 승합차의 경우에는 뒷좌석까지 열교환된 공기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뒷좌석까지 공급해 줌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있다.Recently,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or a van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car is relatively larg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d air is not sufficiently delivered to the rear seat, by supplying the heat exchanged air to the rear seat in various ways, the comfort of the automobile interior is improved. have.

도 1은 일본 특허공개번호 평00-142074호에 개시된 차량용 공조 장치(10)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히이터 유니트를 측방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00-142074, and FIG. 2 shows the heater unit of FIG. 1 laterall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장치(10)는 자동차 앞좌석측의 공조를 행하기 위한 공조 유니트(11)와, 상기 공조 유니트(11)에 접속되고 뒷좌석 탑승자의 상반신에 냉풍을 분출하기 위한 리어 벤트 덕트(12)를 포함한다.1 and 2,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11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n the front seat side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11, and blows cold air to the upper body of the rear seat occupant. And a rear vent duct 12 for the purpose.

상기 공조 유니트(11)는 자동차 실내에 공기 흐름을 분출하는 덕트(13)와, 이 덕트(13)를 이용하여서 차실을 향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14)와, 상기 송풍기(14)의 하류에 배치된 증발기(15)와, 상기 덕트(13) 안의 하류에 있어 냉풍과 온풍과의 비율을 가변하고 송풍 온도를 조절한 온도 조절 수단(16)을 구비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11 includes a duct 13 for blowing air flow into a vehicle interior, a blower 14 for generating an air flow toward the vehicle cabin using the duct 13, and a downstream of the blower 14. And an evaporator 15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ct 13 and a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16 for varying the ratio between cold air and warm air and adjusting the blowing temperature.

상기 온도 조절 수단(16)은 증발기(15)의 하류에 배치되고, 통과한 공기를 가열한 히이터 코어(17)와, 상기 히이터 코어(17)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통로(18)와, 상기 히이터 코어(17)를 통과한 온풍과 바이패스 통로(18)를 통과한 냉풍과의 비율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19)를 구비한다.The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16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5, and includes a heater core 17 for heating the air that has passed, a bypass passage 18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17, and the heater. The air mix door 19 which adjusts the ratio of the warm air which passed the core 17 and the cold air which passed the bypass passage 18 is provided.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11)는 증발기(15)로 냉각된 냉풍을 온도 조절 수단(16)을 우회시키고, 페이스 취출구(110)와, 리어 벤트 덕트(12)의 공기 도입구(130)와의 사이에 유도한 냉풍 바이패스 통로(14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unit 11 bypasses the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16 to the cold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15, and between the face outlet 110 and the air inlet 130 of the rear vent duct 12. The cold air bypass passage 140 guided to is formed.

상기 리어 벤트 덕트(12)의 공기 도입구(130)는 냉풍 바이패스 통로(140)의 하측의 덕트(13)의 측면에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고, 냉풍 바이패스 통로(140)로부터 유출된 냉풍 바이패스 바람(C)이 유입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기 도입구(130)에는 리어 벤트 도어(150)가 마련되어 있다.The air inlet 130 of the rear vent duct 12 is provided by opening in the side surface of the duct 13 below the cold air bypass passage 140, and the cold air bypass flowed out from the cold air bypass passage 140. Wind (C) is easy to flow in. The rear vent door 150 is provided at the air inlet 13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조 장치(10)는 히이터 코어(17)로 가열된 온풍(H)이 풋 취출구(120)로 향하여 도출된다. 이 상태에서, 리어 벤트 도어(150)가 개방되면, 풋 취출구(120)에 공급된 온풍(H)이 리어 벤트 도어(150)로 저지되어, 공기 도입구(130)로 유입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리어 벤트 도어(150)의 상방이 개구되어 냉풍 바이패스 통로(140)로부터 냉풍 바이패스 바람(C)이 공기 도입구(130)로 유입되기 용이해진다.In the air conditioner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rm air H heated by the heater core 17 is directed toward the foot outlet 120. In this state, when the rear vent door 150 is opened, the warm air H supplied to the foot outlet 120 is blocked by the rear vent door 15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low into the air inlet 130. The upper side of the rear vent door 150 is opened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the cold wind bypass wind C into the air inlet 130 from the cold wind bypass passage 140.

그런데, 종래의 공조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10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공조 유니트(11)는 증발기(150)와 히이터 코어(170)가 덕트(13) 내에서 각각 전후로 중첩되는 상태로 정렬되어 있어,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상기 히이터 코어(170)를 통과하거나 우회할 때 공히 공기의 유동이 원할하지 않게 되어서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량이 부족하다.First, the air conditioning unit 11 is arranged in such a state that the evaporator 150 and the heater core 170 overlap each other back and forth in the duct 13,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50 again becomes the heater core. When passing or bypassing 170, the flow of air is undesirably insufficient, and the amount of air blown into the rear seat is insufficient.

둘째, 상기 리어 벤트 덕트(12)에는 별도의 공조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Second, since a separate air conditioning unit is not installed in the rear vent duct 12, temperature control of air blown into the rear seat is not proper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론트 유니트와 리어 콘솔 유니트를 리어 콘솔 덕트로 연결하여서 프론트 유니트의 공기 일부를 뒷좌석으로 직접 유도하여서 자동차의 뒷좌석에도 쾌적한 온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necting the front unit and the rear console unit to the rear console duct to direct a part of the air of the front unit to the rear seat structure to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even in the rear seat of the car The object is to provide an improved 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도 2는 도 1의 히이터 유니트를 측방으로부터 관찰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of the heater unit of FIG. 1 observed from the s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유니트의 최대 냉방 상태로서, 벤트-쿨 모드(vent-cool mode)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nt-cool mode state as a maximum cooling state of an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공조 유니트의 최대 난방 상태로서, 플로어-웜 모드(floor-worm mode)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or-worm mode as a maximum he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도 5는 도 3의 공조 유니트의 난방 상태로서, 디프로스트-웜 모드(defrost-worm mode)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frost-worm mode state as a he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도 6은 도 3의 공조 유니트의 혼합 상태로서,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bi-level mode state as a mixed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3. FIG.

도 7은 도 3의 공조 유니트의 난방 상태로서, 믹스-웜 모드(mix-warm mode)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ixed-warm mode state as a he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3.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공조유니트 31...프론트 유니트30 ... Air conditioning unit 31 ... Front unit

32...프론트 케이스 33...송풍기32.Front Case 33 ... Blower

34...증발기 37...히이터 코어34 ... Evaporator 37 ... Heater Core

38...바이패스 도어 41...플로어 출구38 ... Bypass door 41 ... Floor exit

42...디프로스트 출구 43...벤트 출구42 ... Defrost Exit 43 ... Vent Exit

310...리어 콘솔 유니트 311...리어 케이스310 Rear console unit 311 Rear case

312...보조 증발기 314...보조 히이터 코어312 Auxiliary Evaporator 314 Auxiliary Heater Core

317...리어 벤트 그릴 318...리어 콘솔 덕트Rear vent grille 317 Rear console duct

319...리어 콘솔 도어319 rear console d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송풍기와,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가 프론트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플로어 출구와, 디프로스트 출구와 벤트 출구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의 각 영역으로 공급하는 프론트 유니트;A blower,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disposed in the front case, and a front unit for supplying heat-exchanged air to each area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floor outlet, the defrost outlet, and the vent outlet;

리어 콘솔 덕트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유니트와 연통되며, 보조 증발기와, 보조 히이터 코어가 리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서 자동차 뒷좌석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리어 콘솔 유니트; 및A rear consol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unit by a rear console duct and having an auxiliary evaporator and an auxiliary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rear case to blow air exchan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상기 프론트 유니트와 리어 콘솔 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유니트의 공기 일부를 상기 리어 콘솔 덕트로 공급가능하도록 그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콘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ar console door installed between the front unit and the rear console duct, the rear console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front unit so that a part of the air of the front unit can be supplied to the rear console duct.

또한, 상기 히이터 코어는 상기 증발기에 대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하류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히이터 코어와 증발기 사이에 상기 리어 콘솔 도어를 배치하여 상기 히이터 코어와 증발기가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er core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and the rear console do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er core and the evaporator so that the heater core and the evaporator do not overl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게다가, 상기 히이터 코어의 입구에는 상기 증발기 하류측에 형성된 냉풍 통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는 히이터 코어의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회동하는 바이패스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ypass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cold air passage forme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and the bypass passage is provided with a bypass door that rotat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It is done.

더욱이,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에 설치된 보조 히이터 코어를 한 쌍의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xiliary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rear console unit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auxiliary doors.

나아가, 상기 리어 콘솔 도어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콘솔 덕트의 결합되는 부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ar consol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onsole duc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ir 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유니트(30)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air conditioning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 유니트(30)는 프론트 유니트(31)와, 이와 연통가능한 리어 콘솔 유니트(3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includes a front unit 31 and a rear console unit 310 in communication therewith.

상기 프론트 유니트(31)는 프론트 케이스(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32)에는 송풍기(33)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33)의 하류측에는 증발기(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34)의 후방에는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34)를 통하여 저온 상태로 열교환되어 유동하는 냉풍 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unit 31 has a front case 32. A blower 33 is installed in the front case 32, and an evaporator 34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blower 33. At the rear of the evaporator 34 is formed a cold air passage 35 through which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flows in a low temperature state through the evaporator 34 and flows.

상기 냉풍 통로(35)의 하류측에는 바이패스 통로(36)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바이패스 통로(36)는 프론트 케이스(32)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 bypass passage 36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ld air passage 35 so that the bypass passage 36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case 32.

상기 바이패스 통로(36)의 일측에는 히이터 코어(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바이패스 통로(36)와 상기 히이터 코어(37)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증발기(34)를 통하여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 또는 증발기(34)에서 열교환되지 않은 차실내의 공기를 히이터 코어(37)로 유도하거나 차단하는 바이패스 도어(3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One side of the bypass passage 36 is provided with a heater core 37. Between the bypass passage 36 and the heater core 37,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exchanges cold air heat-exchanged through the evaporator 34 or air in the cabin not heat-exchanged in the evaporator 34. The bypass door 38 which guides or cuts off the heater core 37 is rotatably provided.

상기 히이터 코어(37)의 출구에는 상기 송풍기(32)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히이터 코어(37)를 통하여 고온 상태로 열교환되어 유동하는 온풍 통로(39)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outlet of the heater core 37 is formed a hot air passage 39 through which air blown from the blower 32 flows in a high temperature state through the heater core 37 to flow.

상기 바이패스 통로(36)와, 온풍 통로(39)의 하류측에는 상기 증발기(34)나, 히이터 코어(37)를 통하여 열교환된 냉풍 또는 온풍이 혼합되거나, 상기 증발기(34)만을 통과한 냉풍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믹싱 통로(4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bypass passage 36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hot air passage 39, cold air or hot air heat exchanged through the evaporator 34 or the heater core 37 is mixed, or cold air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34 alone. Independently flowing mixing passages 40 are formed.

상기 믹싱 통로(40)상에는 이를 통하여 공기가 자동차 실내의 각 영역으로 공급가능하게 플로어 출구(41)와, 디프로스트 출구(42)와, 벤트 출구(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어, 디프로스트 및 벤트 출구(41 내지 43)에는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출구(41 내지 43)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44), 디프로스트 도어(45) 및 벤트 도어(4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On the mixing passage 40, a floor outlet 41, a defrost outlet 42, and a vent outlet 43 are formed to allow air to be supplied to each area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mixing passage 40. And the vent outlets 41 to 43 are provided with a floor door 44, a defrost door 45 and a vent door 46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s 41 to 43 according to the respective blowing modes.

한편,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는 리어 콘솔 덕트(318)와 리어 케이스(3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311) 내에는 보조 증발기(312)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증발기(312)의 후방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보조 냉풍 통로(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냉풍 통로(313)의 대략 중앙에는 보조 히이터 코어(314)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onsole unit 310 is composed of a rear console duct 318 and a rear case 311. An auxiliary evaporator 312 is installed in the rear case 3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uxiliary cold air passage 313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Auxiliary heater core 314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의 하류측에는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통과하면서 고온 상태로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보조 온풍 통로(3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의 상하부에는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의 입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 쌍의 보조 도어(3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is formed an auxiliary hot air passage 315 through which the air heat-exchanged in a high temperature state flows through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 pair of auxiliary doors 316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re respectively provided.

상기 보조 온풍 통로(315)의 후방에는 상기 보조 증발기(312)와,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통하여 저온 또는 고온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자동차의 뒷좌석으로 토출되는 리어 벤트 그릴(317)이 설치되어 있다.The rear vent grille 317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hot air passage 315 so that the air exchanged at low or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and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유니트(31)의 냉풍 통로(35)의 연장선상에는 리어 콘솔 도어(319)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콘솔 도어(319)는 프론트 케이스(32)와 리어 콘솔 덕트(318)의 연결부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console door 319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cold air passage 35 of the front unit 31, the rear console door 319 is the front case 32 and the rear console duct ( 318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유니트(30)의 각 모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3은 상기 공조 유니트(30)의 최대 냉방 상태로서, 벤트-쿨 모드(vent-cool mode)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 vent-cool mode state as a maximum cool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32)는 플로어 출구(41)가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디프로스트 출구(42)는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며, 벤트 출구(43)는 벤트 도어(46)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ront case 32 has a floor outlet 41 closed by the floor door 44, the defrost outlet 42 is closed by the defrost door 45, and the vent outlet 43 is opened by the vent door 46.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34)를 통하여 저온 상태로 열교환되어 냉풍 통로(35)와 바이패스 통로(36)를 경유하여 유동하게 되며, 상기 바이패스 통로(36) 일측에 설치된 바이패스 도어(38)는 히이터 코어(37)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is exchanged to a low temperature state through the evaporator 34 to flow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35 and the bypass passage 36,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ypass passage 36. The bypass door 38 closes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37.

이에 따라, 상기 냉풍 통로(35)를 경유한 냉풍은 바이패스 통로(36)와 믹싱 통로(40)를 거쳐 그 입구가 개방된 벤트 출구(43)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Accordingly,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35 is su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 outlet 43 through which the inlet is opened via the bypass passage 36 and the mixing passage 40.

또한, 자동차 뒷좌석에 탑승객이 승차한 경우, 뒤좌석 탑승객이 별도의 에어콘 작동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풍 통로(35)상에 설치된 리어 콘솔 도어(319)는 리어 콘솔 덕트(318)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32)로부터의 냉풍을 상기 리어 콘솔 덕트(318)를 통하여 리어 콘솔 유니트(310)로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assenger rides in the rear seat of the car, the rear seat passenger presses a separate air conditioner switch. Accordingly, the rear console door 319 installed on the cold air passage 35 rotate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let of the rear console duct 318, thereby cooling the cold air from the front case 32 to the rear console duct 318. ) To supply to the rear console unit (310).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 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보조 증발기(313)를 거치면서 다시 한번 저온 상태로 열교환되어 보조 냉풍 통로(313)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는 한 쌍의 보조 도어(316)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상기 보조 냉풍 통로(313)를 통과한 냉풍은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우회하여 리어 벤트 그릴(317)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의 뒷좌석으로 토출되게 된다.The air flowed toward the rear console unit 31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evaporator 313 and once again heat exchanges to a low temperature to flow along the auxiliary cold wind passage 313, wherein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is a pair. It is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316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cold air passage 313 bypasses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rear vent grille 317.

이처럼, 상기 공조 유니트(30)는 하나의 송풍기(33)를 이용하여서 프론트 유니트(31)를 통하여 자동차의 앞좌석으로 저온화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냉풍 통로(35)와 연결되게 설치된 리어 콘솔 유니트(310)를 통하여 자동차의 뒷자석으로 송풍량을 증가시켜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supplies a low temperature air to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through the front unit 31 by using one blower 33, and is connected to the cold wind passage 35 at the rear console. Through the unit 3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ir supply amount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to supply it.

여기서, 상기 프론트 유니트(31)의 증발기(34)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의 보조 증발기(312)만 구동함으로써, 자동차의 뒷좌석에만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Here, of course, by driving only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of the rear console unit 310 without driving the evaporator 34 of the front unit 31, the cold air can be supplied only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도 4는 상기 공조 유니트(30)의 플로어-웜 모드(floor-worm mode)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floor-worm mode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32)에는 플로어 출구(41)가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고, 디프로스트 출구(42)가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전면 폐쇄되어 있고, 벤트 출구(43)가 벤트 도어(46)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loor outlet 41 is opened to the front case 32 by a floor door 44, a defrost outlet 42 is completely closed by a defrost door 45, and a vent The outlet 43 is closed by the vent door 46.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를 거쳐서 냉풍 통로(35)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34)는 구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공기는 저온 상태로 열교환되지 않은 상태이다.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flows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35 through the evaporator 34. At this time, the evaporator 34 is not driven, and thus the air is not heat exchanged to a low temperature state.

상기 냉풍 통로(35)의 하류측에 연장 형성된 바이패스 통로(36)는 바이패스 도어(38)의 회동에 의하여 그 유동 통로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36)의 폐쇄에 의하여 히이터 코어(37)의 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는 히이터 코어(37)를 거치면서 고온 상태로 열교환된다.The bypass passage 36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ld air passage 35 has its flow passage closed by the rotation of the bypass door 38. The air flowing to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37 by the closing of the bypass passage 36 is heat-ex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stat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7.

상기 히이터 코어(37)를 거치면서 고온화된 온풍은 히이터 코어(37)의 출구에 형성된 온풍 통로(39)와 믹싱 통로(40)를 경유하여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개방된 플로어 출구(41)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된다.The hot air heated through the heater core 37 is heated by the floor door 44 through the hot air passage 39 and the mixing passage 40 formed at the outlet of the heater core 37.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r.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론트 유니트(31)의 공기 일부를 유도하여 자동차의 뒷좌석에 온풍으로 공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유니트(31)의 냉풍 통로(35)상에 설치된 리어 콘솔 도어(39)가 프론트 케이스(31)와 연통되는 리어 콘솔 덕트(318)의 입구를 개방하는 쪽으로 회동하여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일부 공기를 리어 콘솔 덕트(318)를 통해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로 공급하게 된다.In this process, a part of the air of the front unit 31 may be guided and suppli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with warm air. In this case, the rear console door 39 installed on the cold air passage 35 of the front unit 31. Rotates toward the opening of the rear console duct 318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case 31 and supplies som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to the rear console unit 310 through the rear console duct 318. Done.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로 공급된 공기는 보조 증발기(312)를 거쳐서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가열된 후 리어 벤트 그릴(317)을 통해 뒷좌석으로 토출된다.The air supplied to the rear console unit 310 is heated once again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through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ar seat through the rear vent grill 317.

이때, 상기 보조 증발기(312)는 구동하지 않으며,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의 상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보조 도어(316)가 연동되어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 쪽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is not driven, and a pair of auxiliary doors 316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re linked to induce air flow toward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도 5는 상기 공조 유니트(30)의 디프로스트-웜 모드(defrost-worm mode)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defrost-worm mode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32)에는 플로어 출구(41)가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디프로스트 출구(42)는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전면 개방되어 있고, 벤트 출구(43)는 벤트 도어(46)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se 32 has a floor outlet 41 closed by the floor door 44, the defrost outlet 42 is fully open by the defrost door 45, and the vent outlet 43 is closed by the vent door 46.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34)를 거쳐서 냉풍 통로(35)를 경유하여 유동하게 된다. 유동된 공기는 히이터 코어(37)로 유입되어서 고온 상태로 열교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바이패스 도어(38)는 전술한 플로어-웜 모드(floor-worm mode) 상태와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통로(3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풍 통로(35)를 경유하여 유동된 공기는 히이터코어(37)로 원할하게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flows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35 through the evaporator 34. The flow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core 37 and heat ex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state. In this case, the bypass door 38 has a bypass passage 36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loor-worm mode. Rotat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Accordingl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ld wind passage 35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heater core 37.

상기 히이터 코어(37)를 거쳐서 고온화된 온풍은 그 출구에 형성된 온풍 통로(39)와, 믹싱 통로(40)를 거쳐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개방된 디프로스트 출구(42)를 통하여 차유리창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앞유리창에 발생된 김서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hot air heated to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heater core 37 passes through the hot air passage 39 formed at the outlet, and the defrost outlet 42 opened by the defrost door 45 via the mixing passage 40. It is discharged toward the glass windo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rost generated in the windshield of the car.

한편, 상기 냉풍 통로(35)상에 설치된 리어 콘솔 도어(35)는 그 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리어 콘솔 유니트(310)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onsole door 35 installed on the cold air passage 3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inlet to block the air flow of the rear console unit 310.

도 6은 상기 공조 유니트(30)의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bi-level mode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32)에는 플로어 출구(41)가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일부 개방되어 있고, 디프로스트 출구(42)는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벤트 출구(43)는 벤트 도어(46)에 의하여 일부 개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loor outlet 41 is partially opened by the floor door 44 in the front case 32, a defrost outlet 42 is closed by a defrost door 45, and a vent The outlet 43 is partially opened by the vent door 46.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34)를 거치면서 저온 상태로 열교환되고, 저온화된 냉풍은 냉풍 통로(35)를 경유하여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풍 통로(35)를 거친 냉풍의 일부는 히이터 코어(37)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히이터 코어(37)를 우회하여 바이패스 통로(36)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도어(38)는 바이패스 통로(36)를 1/2 정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is heat-exchanged to a low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 and the cold air cooled by the low temperature flows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35, wherein the cold air passage 35 Part of the cold air flows into the heater core 37, and the other part bypasses the heater core 37 and passes through the bypass passage 36. For this air flow, the bypass door 38 is rotated in a direction of opening the bypass passage 36 by about 1/2.

이에 따라, 증발기(34)를 통과한 냉풍과, 이와 동시에 히이터 코어(37)를 통과한 온풍은 믹싱 통로(40)내에서 혼합되어서 벤트 도어(46)가 일부 개방된 벤트 출구(43)를 통하여 토출된다. 또한,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개방된 플로어 출구(41)를 통해서도 냉풍과 온풍이 혼합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Accordingly,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 and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7 are mixed in the mixing passage 40 through the vent outlet 43 in which the vent door 46 is partially opened. Discharged. In addition, air mixed with cold and warm air is also discharged through the floor outlet 41 opened by the floor door 44.

이처럼, 상기 바이패스 도어(38)는 히이터 코어(37)의 입구 일부만을 개방함으로써 증발기(34)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the bypass door 38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 by opening only a part of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37.

한편, 상기 냉풍 통로(35)상에 설치된 리어 콘솔 도어(319)는 그 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어 콘솔 덕트(318)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onsole door 319 installed on the cold air passage 3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let. Accordingly, air introduced into the rear console duct 318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ar console unit 310.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310)로 유입된 공기는 보조 증발기(312)를 거쳐서 저온화되고, 1/2 정도 개방된 한 쌍의 보조 도어(316)에 의해 상기 보조 증발기(312)를 거친 냉풍의 일부는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거치면서 가열되고, 나머지는 상기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우회하여 상기 가열 공기와 혼합된 후 리어 벤트 그릴(317)를 통하여 자동차의 뒷좌석으로 토출되게 된다.The air flowing into the rear console unit 310 is lowered through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and a part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evaporator 312 by a pair of auxiliary doors 316 opened about one half of the time.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nd the rest is bypassed by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and mixed with the heating air,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ar vent grille 317.

도 7은 상기 공조 유니트(30)의 믹스-웜 모드(mix-warm mode)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mix-warm mod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3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32)에는 플로어 출구(41)가 플로어 도어(44)에 의하여 일부 개방되어 있고, 디프로스트 출구(42)가 디프로스트 도어(45)에 의하여 일부 개방되어 있으며, 벤트 출구(43)는 벤트 도어(46)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ront case 32 is partially opened by the floor door 44, the defrost outlet 42 is partially opened by the defrost door 45, The vent outlet 43 is closed by a vent door 46.

상기 송풍기(33)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35)를 거쳐서 히이터 코어(37)로 원할하게 유입가능하도록 상기 온풍 통로(39)를 최대 한도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도어(38)는 상기 히이터 코어(37)를 바이패스하는 통로(36)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게 된다.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3 passes through the hot air passage 39 to the maximum limit so that the air blown through the evaporator 35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heater core 37. At this time, the bypass door 38 is rotated to block the passage 36 that bypasses the heater core 37.

이에 따라, 냉풍 통로(34)로부터 유동된 공기 전부를 상기 바이패스 도어(38)에 의하여 히이터 코어(37)로 안내되어 이와 열교환되어 온풍이 된다. 이어서, 플로어 도어(41)가 일부 개방된 플로어 출구(44)와, 디프로스트 도어(42)가 일부 개방된 디프로스트 출구(45)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를 난방시키게 된다.As a result, all of the air flowing from the cold wind passage 34 is guided to the heater core 37 by the bypass door 38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hot air. Subsequently,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heated through the floor outlet 44 with the floor door 41 partially open and the defrost outlet 45 with the defrost door 42 partially open.

한편, 상기 냉풍 통로(35)상에 형성된 리어 콘솔 덕트(319)를 통과한 일부 공기는 리어 콘솔 유니트(310)의 보조 히이터 코어(314)를 통과하면서 온풍이 되어서 리어 벤트 그릴(317)를 통해 뒷좌석으로 토출된다.Meanwhile, som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r console duct 319 formed on the cold wind passage 35 becomes warm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heater core 314 of the rear console unit 310 and through the rear vent grill 317. Discharged to the rear seat.

이상의 각 모드 상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풍 통로(35)상에 설치된 리어 콘솔 도어(319)를 적절하게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송풍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mode states, it will be said that various blowing modes can be set by appropriat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console door 319 provided on the cold air passage 3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프론트 유니트로부터 일부의 공기를 유동 저항을 최소화한 상태로 리어 콘솔 유니트로 유도함으로써, 리어 콘솔 유니트의 송풍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First, by introducing a part of air from the front unit to the rear console unit with a minimum of flow resistance, the air volume of the rear console unit can be greatly increased.

둘째, 증발기의 하류측에 형성된 냉풍 통로상에 리어 콘솔 유니트와 연결되는 리어 콘솔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콘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뒷좌석으로의 열교환 공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econd, by installing a rear console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console duct connected to the rear console unit on the cold air passag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heat exchange air supply to the rear seat.

셋째,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아 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리어 콘솔 유니트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do not overlap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airflow resistance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air volume to the rear console unit.

넷째,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유니트와, 이와 연결된 리어 콘솔 유니트에 공기를 송풍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 효율이 높은 자동차 공조 유니트를 구성할 수 있다.Fourth, by using a single blower to blow air to the front unit and the rear console unit connected to i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high space efficienc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송풍기와,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가 프론트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플로어 출구와, 디프로스트 출구와 벤트 출구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의 각 영역으로 공급하는 프론트 유니트;A blower,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disposed in the front case, and a front unit for supplying heat-exchanged air to each area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floor outlet, the defrost outlet, and the vent outlet; 리어 콘솔 덕트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유니트와 연통되며, 보조 증발기와, 보조 히이터 코어가 리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서 자동차 뒷좌석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리어 콘솔 유니트; 및A rear consol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unit by a rear console duct and having an auxiliary evaporator and an auxiliary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rear case to blow air exchan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상기 프론트 유니트와 리어 콘솔 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유니트의 공기 일부를 상기 리어 콘솔 덕트로 공급가능하도록 그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콘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And a rear console door installed between the front unit and the rear console duct, the rear console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f the front unit to supply a part of air to the rear console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히이터 코어는 상기 증발기에 대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하류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히이터 코어와 증발기 사이에 상기 리어 콘솔 도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The heater core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and the rear console door is disposed between the heater core and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히이터 코어의 입구에는 상기 증발기 하류측에 형성된 냉풍 통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는 히이터 코어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회동하는 바이패스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A bypass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cold air passage forme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is formed at an inlet of the heater core, and the bypass passage is provided with a bypass door that rotat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heater cor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어 콘솔 유니트에 설치된 보조 히이터 코어를 한 쌍의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And an auxiliary heater core installed at the rear console unit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auxiliary doo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어 콘솔 도어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콘솔 덕트의 결합되는 부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And the rear console door is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n opening of a portion where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onsole duct are coupled to each other.
KR1020030013499A 2003-03-04 2003-03-04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KR200400787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99A KR20040078708A (en) 2003-03-04 2003-03-04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99A KR20040078708A (en) 2003-03-04 2003-03-04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08A true KR20040078708A (en) 2004-09-13

Family

ID=3736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99A KR20040078708A (en) 2003-03-04 2003-03-04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70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674A (en) * 2014-04-29 2015-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674A (en) * 2014-04-29 2015-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89436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109484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3012468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9267620A (en) Vehicle air-conditioner
JP2000326721A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54487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0006588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10904B1 (en) HVAC for electric vehicles
KR20040078708A (en) Air climate unit for vehicle
KR10131358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601834B1 (en) Air conditioner for car seat
KR2019013331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3512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90036370A (en) Air conditioner of seat for vehicle
JP2007038746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2008155716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and air-conditioning controller
JP200029671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40102786A (en) Air-conditioner for car
JP200310402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209662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67996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183054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11898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060183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