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2Y1 - 자동차 유리청소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2Y1
KR200400772Y1 KR20-2005-0023121U KR20050023121U KR200400772Y1 KR 200400772 Y1 KR200400772 Y1 KR 200400772Y1 KR 20050023121 U KR20050023121 U KR 20050023121U KR 200400772 Y1 KR200400772 Y1 KR 200400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topper
water
coupling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숙
Original Assignee
이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숙 filed Critical 이상숙
Priority to KR20-2005-0023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2Y1/ko
Priority to PCT/KR2005/004031 priority patent/WO2006065028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7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using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시사철 자동차 유리를 청소할 수 있는 자동차 유리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단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유리를 청소하기 위한 유리청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물병 또는 물 호스가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 유리청소구는 파지부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전용 수통 또는 음료수 병 등의 물병 또는 물 호스를 수밀하게 결합시켜 물병 또는 물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사시사철 간편하게 자동차유리를 맑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온수나 부동 워셔액을 이용하여 성에를 순식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톱날과 평날을 이용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자동차 유리, 본네트 및 지붕 등에 쌓인 눈을 밀어내는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손이 닿지 않는 먼 위치의 눈 등을 간편하게 치울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청소구{CAR GLASS CLEANER}
본 고안은 사시사철 자동차 유리를 청소할 수 있는 자동차 유리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단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유리를 청소하기 위한 유리청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물병 또는 물 호스가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면 유리를 닦는 자동차 윈도우 브러시로는 여름철에 있어 주간 또는 야간 장거리 운전시에 겪게 되는 흙탕물 자국, 각종 날벌레 부딪힘 자국 등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의 자동차 유리에는 대다수의 차량이 윈도우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윈도우를 깨끗이 닦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여름철의 자동차 안전운행과 쾌적한 여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전후 또는 운행 간에 세차를 할 수 없는 경우 전후면유리창만이라도 즉시 물청소를 할 수 있는 기구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음료수 병 또는 일정 전용수통을 자동차 유리청소구에 결합시켜 필요시마다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시사철 자동차 유리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성에를 제거하고 자동차 유리나 본네트 그리고 지붕 등에 쌓인 눈을 밀어서 치우는 등 다 기능적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단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유리를 청소하기 위한 유리청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물병 또는 물 호스가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유리청소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이 평면으로 형성된 평날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 측으로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톱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청소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의 외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착탈부가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금속재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톱날부재, 평날부재와 고무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연질의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와이퍼, 천연·합성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브러시로 이루어진 브러시 부재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결합고정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전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후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거나 전후면 동일하게 암 또는 수나사부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에 연통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윈도우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하는 지지편과, 상기 스프링과 상기 기판의 관통공사이에 게재되는 볼로 구성되는 볼이 구비된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축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버튼부재로 구성되는 버튼식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고 내면에 다공이 형성된 물분사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는 도 1과 같이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리청소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유리청소부(30)는 상기 파지부(10)의 일단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부의 외측면에 결합홈(312)이 형성된 착탈부(310)와, 평날부(330)로 각각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평날부(330) 대신에 착탈부를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파지부(10)에는 도 1과 같이 전용수통과 음료수 병 또는 수도꼭지와 연결된 호스가 결합되는 결합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전용수통과 음료수 병 또는 호스가 결합되는 결합부(50)는 도 1과 같이 상기 파지부(10)의 전후면이 관통되고, 내주면에 전용수통과 음료수 병의 수나사부와 수밀하게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50)엔 전용수통(730)을 도 7과 같이 나합하여 두고, 그 전용수통에 물을 받아 사용할 수 도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10)에 결합부(50)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를 마신 다음 손쉽게 물을 담아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에 나사결합시켜 수시로 사시사철 유리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자동차 유리에 끼는 성에를 평날부 또는 톱날부만으로 긁어 없애거나 또는 전용수통에 더운물과 부동워셔액 등을 수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당시 현실상황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대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f는 유리청소부(30)의 착탈부(3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리청소부재(350)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착탈부(310)에는 유리청소부재(350)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2)에는 도 2a에 도시된 금속재 또는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평날부재, 도 2b에서 도시된 금속재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톱날부재, 도 2c에서 도시된 고무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도 2d에서 도시된 연질의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와이퍼, 도 2e에서 도시된 천연·합성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워셔티슈 와이퍼, 도 2f에서 도시된 브러시부재 중 사용용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쌓인 눈을 밀어 치운다면 도 2c의 고무재 와이퍼를 결합홈(312)에 삽설하여 유리청소부(30)와 함께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리 청소부의 착탈부(310)에 끼워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평날부재 등을 결합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평날부재 등이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평날부재 등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톱날부재 등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도 2b와 같이 성에 제거시 자동차 유리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날부재의 높이보다 미소만큼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크래치 방지부재(3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성에만 뚫고 들어가 금속 톱날로 하여금 성에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유리에 대해서는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도 2e의 와이퍼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e에서 도시된 상기 천연·합성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워셔티슈 와이퍼(350)는 도 3a와 같이 상기 착탈부(310)의 결합홈(312)에 착탈되고 단면이 ''형상의 브래킷(354)과 상기 브래킷(354)의 공간부에 삽설고정되고 여러 겹으로 겹쳐져 형성되는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워셔티슈(356)로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354)의 내측면에 고무재의 누름판을 더 구비하여 보다 상기 워셔티슈를 상기 브래킷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천연·합성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워셔티슈(356)를 포장지(40)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상기 워셔티슈(356)가 더러워지거나 훼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포장된 와이퍼를 사용자가 구입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워셔티슈(356)에 워셔액이 적셔있어 자동차 유리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파지부(10)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냈고, 도4b는 길이조절봉(130)의 역원추형의 수나사부(132)에 고정부재(170)가 나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길이가 연장된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파지부(10)는 도 4a, 도 4b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관(150)과, 상기 파지관(150)에 삽설되고 일단에 유리청소부(3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역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수나사부(132)가 형성된 길이조절봉(130)과, 내주면에 암나사부(172)가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봉의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132)와 나사결합되고 세로방향의 절개부(174)가 형성된 고정부재(170)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관(15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70)가 상기 파지관(150) 내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70)가 상기 길이조절봉의 역원추형의 수나사부(132)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파지관(1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봉(130)의 역원추형의 수나사부(132)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170)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70)와 파지관(150)과의 마찰도 같이 증가되고, 상기 고정부재(170)에 의하여 상기 파지관(150)이 상기 길이조절봉(130)에 고정된다.
다시 파지관(15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지관(150)을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재(170)와 상기 파지관(150)의 마찰을 최소화한 후 상기 파지관(150)을 상하 이동시켜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파지관(15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파지관(150)을 상기 길이조절봉(130)에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길이가 조절되는 파지부(10)의 구성은 위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파지부(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유리 부분도 손쉽게 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파지부(10)의 결합부(50)에 호스(710)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파지부(10)의 결합부(50)의 일측에 호스(710)를 수밀하게 결합시킨 후 상기 호스(710)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파지부(10)의 결합부(50)의 타측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청소부(30)를 이용하여 자동차 유리 등 을 간편하게 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7은 파지부(10)의 결합부(50)에 전용수통(730)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전용수통의 수용부의 저면에는 도 7과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체결공(73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732)에는 마개(734)가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마개(734)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의 일측과 상기 마개(734)의 일측을 연결부재(736)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전용수통(730)에 물을 받아 사용하거나 또는 사시사철 자동차 유리를 음료수 병 등의 물병 또는 자동차 전용 워셔액 용기 등을 나합하여 물청소할 수 있으며, 또한 겨울철에는 온수 또는 부동 워셔액 등으로 신속 깨끗하게 성에를 제거하거나 얼어있는 창문을 녹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에 있어 주간 또는 야간 장거리 운전시에 겪게 되는 차창의 흙탕물 자국, 각종 날벌레의 충돌에 의한 자국 등을 자동차 앞유리에 있는 윈도우 브러시로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측면과 후면의 윈도우는 대다수 차량이 윈도우 브러시조차 없어 지저분해진 유리창을 청소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여름철 자동차 안전운행과 쾌적한 여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전후 또는 운행 간에 전체 세차를 할 수 없을 경우 상기 파지부(10)에 결합되는 전용수통(730)과 음료수 병 등의 물을 이용하여 차량의 유리창을 청소하여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운행과 보다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두 개의 결합부(50)가 구비된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유리청소부(30) 전방에 형성된 결합부(50)에 음료수 병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파지부(10)에 물분사구잠금 마개 보관부(192) 및 물분사 마개 보관부(194)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파지부(10)의 일단에는 길이를 신장할 수 있는 길이 조절봉(미도시)이 결합되는 암나사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9a에서는 상기 물분사구잠금 마개 보관부(192) 및 물분사 마개 보관부(194)가 상기 파지부(10)의 상부의 좌우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9b는 물분사 마개(6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는 물분사구잠금 마개(6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미사용시에는 상기 도 9a에 도시된 물분사구잠금 마개 보관부(192) 및 물분사 마개 보관부(194)에 각각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물분사 마개(610) 또는 물분사구잠금 마개(630)를 상기 물분사구잠금 마개 보관부(192) 등에서 분리한 후 상기 결합부(50)의 하측에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물병의 개방부에 억지끼움시킨 후 상기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에 물병을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물분사 마개(610)의 상부면에는 다공(612)이 형성되어 있어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유리를 깨끗이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0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측면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음료수 병 등의 물병을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5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암나사부(510)가 형성된다. 이는 음료수 병 등의 물병 또는 일정 전용수통 등을 필요에 따라 양방향 중 어느 일방향에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c는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결합부(50) 내의 중간부에는 도 10c와 같이 격벽(5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30)에는 상기 결합부(50)의 전면과 후면이 연통되도록 관통공(550)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530)은 상기 결합부(50)에 나사결합되는 음료수 병 등의 물병이 나사결합될 시 물병의 숫나사부가 밀착되어 수밀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a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측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달리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의 일측에는 돌출형성된 수나사부(57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형성된 암나사부(5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0)의 암나사부(510)는 전용수통 또는 음료수병의 개방부에 형성된 숫나사부가 나사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결합부(50)의 수나사부는 원형 윈도우 브러시(90)를 나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형 윈도우 브러시(90)는 차창 유리와 밀착시 내부공간에 물을 일정시간 가둔상태로 유리를 마찰케 함으로 소량의 물로도 넓은 면적의 자동차 유리청소를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도 12a 및 12b는 암나사부(910)가 구비된 윈도우 브러시(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12c는 수나사부(970)가 구비된 윈도우 브러시(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윈도우 브러시(90)의 재질은 고무재, 연질 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윈도우 브러시의 스커트부(930)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자동차 유리 청소시 유리와 접촉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선단부(950)는 고무재 또는 연질 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져 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유리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에서는 윈도우 브러시(90)를 원형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일정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2b와 같이 상기 위도우 브러시의 스커트부 선단부(950)를 유리와 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더욱 원활하게 유리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고, 또한 물이 상기 스커트부 선단부(950)의 내부에 고여 적은 물을 이용하여 유리를 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3a는 원형 윈도우 브러시(90)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유리에 낀 떼밀이용 스펀지(99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직사각형 윈도우 브러시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스펀지(99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스펀지(99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992)은 상기 윈도우 브러시의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내에 삽설되는 도 17a 및 도 17b의 스프링볼마개(650), 도 21a 내지 도 21c의 버튼식마개(670), 도 9b내지 도 9c의 물분사마개(610)등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관통공(992)이다.
이와 같이 윈도우 브러시(90) 내에 스펀지(990)를 더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유리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스펀지는 수세미식 스펀지 기능으로 유리와의 밀착마찰에 의한 떼밀이에 적합해야 하며, 물을 흡수치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14a 및 도 14b는 윈도우 브러시를 결합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와 같이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암나사부(510)에 물병을 결합하고, 상기 물분사 마개(610)를 상기 숫나사부(570) 내주면에 억지끼움 결합하고, 그리고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물분사구 잠금마개(630)를 상기 물분사 마개(610)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수밀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부러시(90)를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숫나사부(570)에 나합하여 결합한다.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도 14a 및 도 14b와 달리 물분사마개(61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에 고정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물분사 마개(610)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물병에 수용된 물이 과다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유리를 청소할 수 있다.
도 14a와 달리 상기 물분사 마개(610) 및 물분사구 잠금마개(630)를 도 14b와 같이 음료수병마개로 억지끼움한 후 윈도 브러시내에까지 관통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암나사부(510)쪽으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의 결합부(50)는 상기 파지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92)과, 상기 관통공(592)에 삽입되고 전용수통 또는 음료수 병과 수밀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59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594)는 도 15와 같이 중간부에 환형턱(595)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턱(595)을 기준으로 일측의 내주면에는 전용수통 또는 음료수 병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9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윈도 브러시 암나사부(910)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597)가 형성된다.
도 16a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파지부(10)의 고정공에 고정결합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c는 고정결합부에 음료수 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8실시예의 파지부(10)에는 도 16a와 같이 중앙에 고정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522)과 파지부(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슬롯(5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0)의 고정공(522)에는 도 16b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부(526)가 상기 슬롯(524)을 통하여 삽입되어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결합부(526)에는 상기 슬롯(524)을 통하여 삽입되도록 측면부에는 가이드홈(527)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52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28)의 전면/후면에는 도 16c와 같이 음료수병(900) 등의 물병 및 윈도우 브러시를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숫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결합부(50)를 상기 파지부(10)에 형성된 슬롯(524)을 통하여 상기 고정공(522)에 삽입 고정한 후 음료수 병 등의 물병을 상기 고정결합부(50)에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단순 편리하다.
도 17a는 파지부의 결합부(50) 일측 또는 물병의 개방부에 고정되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b는 마개에 구비된 볼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와 같이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물병에 끼움고정한 후 본 고안의 파지부(10)에 형성된 결합부(50)에 상기 물병을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상기 결합부(50)의 후면에 억지끼움고정하고 물병을 상기 결합부(50)의 전면에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는 도 17a와 같이 관통공이 형성된 기판(652)과, 상기 기판(652)에 스프링(656)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654)과, 상기 스프링(656)과 상기 기판(652) 사이에 게재되는 볼(658)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652) 또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면은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물병 또는 파지부(10)의 결합부(50)에 끼움 고정한 후 상기 마개의 볼(658)에 외력을 가하면 도 17b와 같이 상기 마개(650)가 개방되어 물병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고, 이와 같이 유출된 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유리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즉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는 볼의 일정부위가 돌출되도록 상기 기판(652)에 고정되어 있고, 돌출된 볼(658)이 자동차 유리 등에 닿아 외력에 의하여 내측으로 눌려질 경우 볼(658)과 상기 기판(652)의 관통공사이로 물이 유출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볼(658)이 스프링(656)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이 수밀하게 밀착되어 물의 유출이 차단되어 물이 더 이상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도 17a 및 도 17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652) 또는 지지편(654)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상기 파지부(10)의 결합부(50)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킬 수 도 있다.
그리고 도 18a 및 도 18b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도시된 볼이 구비된 마개와 달리 도 18a 및 도 18b와 같이 기판(652)의 상부면에 튜브상의 몸통(651)이 결합되고, 상기 기판(652)의 저 부면에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스펀지(659)가 결합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도 18c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암나사부(510)에 물병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숫나사부(570)를 통하여 일단이 상기 물병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장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숫나사부(570)에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이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사용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물이 수용된 물병의 물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사용시에는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의 볼이 외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몰통의 물이 밖으로 유출되어 간편하게 윈도우 브러시(90)를 이용하여 유리를 닦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 물병을 수밀하게 밀폐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9a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에서 도시된 볼이 구비된 마개는 도 18a 및 도 18b에서 도시된 볼이 구비된 마개와 달리 몸통(651)의 일측에 환형턱(651a)이 형성된다.
도 19b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환형턱(651a)은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물병에 장착시 물병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물병내에 장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물병을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암나사부(510)를 통하여 일정만큼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가 숫나사부(57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암나사부(510)에 나사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숫나사부(570)에 나사결합한다.
또한 도 20a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에서 도시된 볼이 구비된 마개는 도 19a에서 도시된 볼이 구비된 마개와 달리 상기 몸통(65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된다.
도 20b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방법은 먼저 도 20b와 같이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92)에 상기 물병의 개방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반대편에서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의 몸통(651)에 형성된 암나사부(651b)와 상기 물병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나사결합시켜 물병을 파지부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92)의 직경은 상기 물병의 개방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형성된 환형턱보다는 작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의 몸통(651)에 형성된 환형턱(651a)의 직경은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관통공(592)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상기 볼이 구비된 마개(650)의 몸통에 형성된 숫나사부(651c)에 나사결합시키면 된다.
그리고 도 21a 내지 21c는 버튼식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버튼식 마개(670)는 상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672)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축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버튼부재(674)로 구성된다.
도 21a는 폐쇄된 버튼식 마개(6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b는 개방된 버튼식 마개(670)의 상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c는 개방된 버튼식 마개(670)의 저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c에서는 몸체(672)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파지부(10)의 결합부(50)에 나사결합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21d는 버튼식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물병을 파지부의 결합부 중 암나사부(510)에 나사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버튼식 마개(670)를 일단이 상기 물병의 개방부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 중 숫나사부(570)를 통하여 장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상기 숫나사부(570)에 나사결합한다. 이때 상기 버튼식 마개(670)가 쉽게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버튼식 마개(670)와 상기 파지부의 결합부의 내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다른 형태의 버튼식 마개를 파지부에 장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버튼식 마개(670)는 도 22와 같이 몸통(672)의 외주면의 일측에 환형턱(672a)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672)의 내주면에는 물병의 개방부상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672b)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윈도우 브러시(90)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672c)가 형성된다.
먼저 물병의 개방부를 도 22와 같이 파지부의 관통구(592)에 관통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버튼식 마개(670)의 암나사부(672b)와 상기 물병의 개방부상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버튼식 마개(670)를 상기 파지부에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브러시(90)를 상기 버튼식 마개(670)의 숫나사부재(672c)에 나사결합한다.
그 밖에 상기 버튼식 마개의 형상을 여러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결합방법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버튼식 마개(670)를 사용함으로써 미사용시 상기 버튼식 마개를 폐쇄시켜 물병에 수납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그 사용 및 보관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청소구는 파지부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음료수 병 등의 물병 또는 물 호스를 수밀하게 결합시켜 물병 또는 물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사시사철 간편하게 자동차 유리를 맑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온수나 부동 워셔액을 이용하여 성에를 순식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물병을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톱날과 평날만으로도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 유리, 본네트 및 지붕 등에 쌓인 눈을 본 유리청소구에 있는 유리청소부를 이용하여 밀어내는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손이 닿지 않는 먼 위치의 눈 등을 간편하게 치울 수 있다.
그리고 유리청소부의 결합홈이 형성된 착탈부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홈에 평날부재, 톱날부재, 브러시, 스펀지, 유리닦이용 워셔티슈 등을 세트화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수도꼭지와 연결된 호스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자동차 세차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능까지 겸비하고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자동차 유리청소구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 등의 계절에 관계없이 차창이 지저분할 경우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즉시 유효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효과적인 자동차 유리청소구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f는 유리청소부의 착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리청소부재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e의 와이퍼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천연·합성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워셔티슈를 포장지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길이조절봉의 역원추형의 수나사부에 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길이가 연장된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파지부의 결합부에 호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파지부의 결합부에 전용수통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두 개의 결합부가 구비된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물분사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는 물분사구잠금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측면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c는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의 측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암나사부가 구비된 윈도우 브러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12c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윈도우 브러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원형 윈도우 브러시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유리에 긴 떼밀이용 스펀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직사각형 윈도우 브러시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스펀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윈도우 브러시를 결합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인 자동차 유리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파지부의 고정공에 고정결합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c는 고정결합부에 음료수 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파지부의 결합부 일측 또는 물병의 개방부에 고정되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b는 마개에 구비된 볼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8c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b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다른 형태의 볼이 구비된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b는 볼이 구비된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내지 21c는 버튼식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d는 버튼식 마개를 파지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형태의 버튼식 마개를 파지부에 장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파지부 30: 유리청소부
50: 결합부 90: 윈도우 브러시

Claims (9)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단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유리를 청소하기 위한 유리청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물병 또는 물 호스가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청소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이 평면으로 형성된 평날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측으로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톱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청소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의 외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착탈부가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금속재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톱날부재, 평날부재와 고무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연질의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와이퍼, 천연·합성 펄프 또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브러시로 이루어진 브러시 부재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전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후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에 연통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윈도우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하는 지지편과, 상기 스프링과 상기 기판의 관통공사이에 게재되는 볼로 구성되는 볼이 구비된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축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관통공을 개폐하는 버튼부재로 구성되는 버튼식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다공이 형성된 물분사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청소구.
KR20-2005-0023121U 2004-12-14 2005-08-08 자동차 유리청소구 KR200400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21U KR200400772Y1 (ko) 2005-06-01 2005-08-08 자동차 유리청소구
PCT/KR2005/004031 WO2006065028A1 (en) 2004-12-14 2005-11-29 Car glass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86 2005-06-01
KR20-2005-0023121U KR200400772Y1 (ko) 2005-06-01 2005-08-08 자동차 유리청소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507A Division KR100723798B1 (ko) 2005-12-05 2005-12-05 자동차 유리청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2Y1 true KR200400772Y1 (ko) 2005-11-09

Family

ID=4370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121U KR200400772Y1 (ko) 2004-12-14 2005-08-08 자동차 유리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255A (en) Scraper or squeegee with curved blade surfaces
US7350998B2 (en) Glass cleaning tool
US4776716A (en) Cleaning device with pivotable head
US6315478B1 (en) Hand held glass washing apparatus
WO2012018677A2 (en) Multifunctional plane surface clea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060032010A1 (en) Autoglass cleaning system
KR100723798B1 (ko) 자동차 유리청소구
KR200400772Y1 (ko) 자동차 유리청소구
US7257855B2 (en) Device for washing side windows of a vehicle
US20090185851A1 (en) Interior Vehicle Windshield Window Cleaning Kit
KR200429423Y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US20100115723A1 (en) Completely portable lightweight handheld window cleaning ket
CA2301481C (en) Compact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CN204452156U (zh) 汽车内置杯托
KR200376832Y1 (ko) 자동차유리의 성에제거구
CN112337863A (zh) 汽车雨刮洗涤壶
WO2006065028A1 (en) Car glass cleaner
KR102651971B1 (ko) 와이퍼 장착용 이물질제거도구
CA2212030A1 (en) Portable windshield washer apparatus
KR20030031738A (ko) 유리창 닦개
US20070101527A1 (en) Squeegee apparatus
KR200241585Y1 (ko) 유리표면의 결로현상 제거장치.
KR200310231Y1 (ko) 진공 유리창 닦이
CN216102036U (zh) 一种便于使用的汽车风窗用洗涤装置
KR20000018364U (ko) 세차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