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919A -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919A
KR20040073919A KR1020030010864A KR20030010864A KR20040073919A KR 20040073919 A KR20040073919 A KR 20040073919A KR 1020030010864 A KR1020030010864 A KR 1020030010864A KR 20030010864 A KR20030010864 A KR 20030010864A KR 20040073919 A KR20040073919 A KR 2004007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tor
windscreen
windshiel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탁
Original Assignee
송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탁 filed Critical 송주탁
Priority to KR102003001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919A/ko
Publication of KR2004007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 하나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쏘이거나 내부의 혼탁한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공기도 정화시킴으로서
종래의 선풍기가 팬을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킴으로서 실내의 더운 바람을 일으키고 공기정화 작용을 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여 선풍기 하나로 외부의 신선하고 서늘한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일으키고 또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빼냄으로서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구는 공기통(1)이 있고 그 안에 방풍막(2)이 방풍막집(8)에 걸려있어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고 있으며 공기통(1)내부 중앙으로는 회전자(5)가 공기통 밖으로 나있는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바 이 회전자에는 공기밀판(3)이 붙어 있어 공기통(1)내에서 공기를 밀며 회전하되 이 공기밀판이 회전하는 앞 부분의 공기는 압축되어 공기배출구(6)로 나오고 뒷 부분의 공기는 진공상태로 되면서 공기흡입구 (7)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바 이때 공기배출구(6)로 나온 공기는 송풍기(13)안에서 압력에 밀려 송풍구(14)를 통해 바람으로 뿜어져 나오며 이때에 호스(16)를 공기 흉입구(7)에 연결하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보내고 공기배출구(6)에 연결하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낸다. 다음에 공기 밀판(3)이 방풍막(2)에 다가갔을 때 삼각대(4)의 앞끝이 방풍막 밑면의 걸침봉(18)을 밀어 올리면서 들어가면 방풍막 (2)은 위로올라가면서 위 아래 두 부분이 접어지고 하나로 합해져서 방풍막집(8)에 밀착되고 이때에 공기밀판(3)은 방풍막(2)을 통과하게 되어 공기밀판이 연속 회전하는 선풍기 인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에서 바람을 일으킴으로 신선하고 서늘한 공기로 바람을 쏘일수 있고 또 실내의 탁한공기를 외부로 빼 냄으로서 공기정화 작용도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omitted}
본 발명은 선풍기와 환풍기를 하나로 합쳐 선풍기 하나로써 환풍기의 역할도 겸하게 하고, 선풍기의 사용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건물밖에 있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바람을 쏘여 건강도 유지케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풍기와 환풍기가 따로 구분되어 있고, 또 선풍기는 실내 공기로 바람을 일으킴으로 여름에 더운 바람을 일으키고 공기 정화를 시키지 못하여 환풍기를 따로 설치하는 관계상 이중의 비용이 들며, 또 환풍기 설치시 건물 벽을 뚫고설치하여야 하며 또 현재의 환풍기는 팬을 회전시키는 방식이어서 환풍기가 설치된 벽면 주위의 공기만 내보낼 뿐이어서 실내 중앙의 공기는 사실상 건물 밖으로 빼내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의 팬을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의 방식 대신 공기통, 방풍막, 공기밀판, 회전자로 이루어진 기구를 사용하는 선풍기로써 공기통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송풍에 의해서 실내에서 바람을 일으키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건물 밖의 신선하고 서늘한 공기로 바람을 일으켜 쏘일수 있고 또 같은 기기로 실내의 탁한 공기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환풍기의 역할도 겸하게 하여 공기정화를 시켜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게 하는데 있다.
도1은 전체의 외부 모형도
도2는 공기통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공기통의 외부 모형도
도4는 공기통에 방풍막이 부착되었을때의 모형도
도5의(가)는 방풍막이 완전히 펼쳐져 있을때의 모형도
도5의(나)는 방풍막이 반절 접어졌을때의 모형도
도5의(다)는 방풍막이 완전히 접어져서 하나로 합쳐졌을때의 모형도
도5의(라)는 방풍막의 뒷면과 여기에 붙은 스프링의 모형도
도6의(가)는 회전자와 공기밀판 및 삼각대의 모형도
도6의(나)는 회전자가 앞으로 회전해서 공기밀판과 삼각대가 위로 올라가 있을때의 모형도
도7은 단순히 사각형판으로 나타낸 방풍막과 삼각대가 붙어 있지 않은 공기 밀판으로 표현한 공기흡입 송풍의 원리도로
도7의(가)는 방풍막과 공기밀판이 공기통내에서 벌어져 있을때의 모형
도7의(나)는 공기밀판이 회전해서 공기를 밀며 방풍막에 근접해 있을 때
도8은 도7에서의 공기통을 전면으로 놓았을때의 공기흡입송풍의 원리도로
도8의(가)는 공기통내에서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막 지나서 오른편에 위치해 있을 때
도8의(나)는 공기밀판이 회전해서 왼편으로 와서 방풍막에 근접했을 때
도9는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통과할때의 원리도로
도9의(가)는 회전자가 앞으로 회전해서 공기밀판이 방풍막에 근법하여 삼각대의 앞부분 일부가 방풍막 밑으로 들어가 방풍막이 반절 접어졌을 때
도9의(나)는 공기밀판이 방풍막 밑으로 완전히 들어가고 방풍막이 완전히 접어져서 하나로 합쳐져 방풍막집에 붙어 있을 때
도10은 도9에서의 방풍막과 회전자 및 공기밀판과 삼각대만을 별도 분리하여 전면으로 놓았을때의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통과하는 원리도로
도10의(가)는 공기밀판과 삼각대가 방풍막에 들어가기전의 모형
도10의(나)는 회전자가 회전하여 공기밀판이 앞으로 나가고 이때 삼각대의 일부가 방풍막밑면에 들어가고 방풍막이 반절 접어졌을 때
도10의(다)는 공기밀판이 방풍막밑면으로 완전히 들어가고 방풍막이 완전히 접어져서 하나로 합쳐졌을 때
도11은 송풍기가 공기통 전면에 부착되어 있고 호스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원리도
도12는 송풍기의 모형도로
도12의(가)는 송풍기를 전면으로 보았을때의 모형
도12의(나)는 송풍기를 측면으로 보았을때의 모형
도13은 호스가 공기 배출구에 부착되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원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통 2 : 방풍막 3 : 공기밀판 4 : 삼각대 5 : 회전자
6 :공기배출구 7 :공기흡입구 8 :방풍막집 9 :홈 10 :모터 11 :심보
12 :스프링 13 :송풍기 14 :송풍구 15 :송풍기문 16 :호스 17 :방풍
막걸이 18 :걸침봉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기구는 크게 나누어 공기통과 방풍막 및 회전자와 공기밀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통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부착되어 있고, 공기통 내부에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는 방풍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자에 공기밀판이 부착되어 회전자가 모터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면 여기에 부착된 공기밀판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밀어 공기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배출구로 공기를 내어 보내되, 이때 공기밀판에 붙은 삼각대의 역할에 의해서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통과하면서 연속 회전하여 계속 바람을 일으키는 원리이다.
도1은 전체를 나타낸 외부 모형도로써 본도에 의거 전체의 모형을 보면 공기통(1)이 있으며 공기통에는 공기흡입구(7)와 공기배출구(6)가 나있고, 공기통(1)왼판 중앙에 모터(10)가 심보(11)로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밑면으로는 모터 받침대가 있고 그 밑으로 받침판이 사각으로 되어 선풍기를 받치고 있는바받침 판에는 선풍기를 끄고 켜는 스위치와 선풍기 회전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데 모터 이하는 현재의 선풍기 원리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공기통 및 그 내부 구성과 작동원리만을 설명한다. 즉 현재 선풍기의 구성에 다만 앞에 붙은 선풍기팬 (회전날개)을 떼어내고 이 기기에서 취급하는 공기통을 부착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이다.
그러면 이하 공기통과 그 내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도2 이하에서 보기로 한다. 도2는 공기통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인 바 본도에 의거 먼저 그 구성을 보기로한다. 본도에서 보면 공기통(1)이 있고 공기통 내부에 방풍막(2)이 있으며 공기통 (1) 내부 중앙으로 회전자(5)가 공기통 밖으로 나 있는 모터(10)와 심보(11)에 의거 연결되어 있어 모터의 힘에 의해서 회전자(5)가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자(5)에는 공기밀판(3)이 붙어있고, 공기밀판 가운데와 회전자(5)에 걸쳐 삼각대(4)가 세워져 붙어 있는바 이 삼각대는 공기밀판(3)이 방풍막(2)을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또한 공기통에는 공기배출구(6)와 공기흡입구(7)가 나 있어, 이 구멍을 통해서 공기가 나가고 들어오고 한다.
다음에 기기의 부품을 하나씩 별도로 보기로 한다. 도3은 공기통의 외부 모형도인 바 이에 의거 먼저 공기통을 보면, 이 공기통은 그림처럼 둥근 입체의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양편은 둥근 원판으로 되어있고, 윗면 둘레로 공기통 덮개가 좌우 양편 원판을 따라 둥글게 덮고 있으며 그 내부는 공간으로 되어 있어 그 공간에 공기가 들어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공기통(1)에는 그림에서 왼편 원판 쪽으로 공기흡입구(7)가 나 있고 오른편 원판 쪽으로는 공기배출구(6)가 나 있다. 이공기흡입구(7)로는 공기를 빨아들이고 공기배출구(6)로는 공기를 내어 보낸다. 그리고 공기통 위쪽 원둘레의 공기통덮개에 방풍막집(8)이 나 있다. 이 방풍막집(8)은 공기통 위쪽에 볼록 올라온 부분으로 이곳에 방풍막(2)이 붙어 있어 공기밀판(3)이 통과할 때 방풍막이 올라가 붙어있는 곳이다. 그리고 왼쪽편 공기통밖으로 모터(10)가 붙어 있되, 이 모터에 심보(11)가 붙어 있으며 이 심보는 공기통 왼판 중앙 내부를 뚫고 들어가 회전자(5)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서 회전자가 공기통 내부에서 회전한다. (그 상세 원리는 후술)
다음에 도4는 공기통에 방풍막(2)이 부착되었을때의 모형도인 바 이는 이해의 편의상 공기통 내부에 방풍막(2)만 부착되었을 때를 나타내었다. 먼저 여기서 방풍막의 형태를 도5에서 보자. 도5는 방풍막의 모형과 오므라드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 방풍막(2)은 공기통 내부에 붙어서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그 형태를 도5의 (가)에서 보면 방풍막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위 아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가운데를 중심으로 위 아래 두 부분이 회전되게 붙어 있어 서로 맞대고 회전한다. 그리고 도5의(가)에서 방풍막의 형태는 전부 펼쳐져 있을때인바 그 가운데 회전 부분은 약간 앞쪽으로 나와 있어 (그림에서 잘못보면 가운데 부분이 뒤로 가 있는 듯 하나 앞으로 나왔음) 위 아래 양 쪽 방풍막이 회전할때 방풍막의 가운데 부분 (회전되는 곳)은 앞으로 나온다. 그래서 위 아래 방풍막(2)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가운데가 앞으로 나오면서 회전할 때 반절 회전하면 도5의(나)와 같은 형태로 반절 접어지고 또 완전히 회전하여 위 아래 방풍막이 하나로 합쳐지면 도5의(다)와 같은 형태로 된다.
다음에 도5의(가)에서는 방풍막이 완전히 펼쳐져 있을때인 바 이때 방풍막 뒤쪽으로는 가운데 가로로 회전하는 부분에 스프링(12)이 붙어 있다. 이 부분은 도5의(라)에서 나타내었는 바 이 그림은 방풍막 뒤쪽을 나타 내었고 여기에 스프링 (12)이 붙어있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 스프링은 위 아래 방풍막을 항상 펼쳐지게 한다. 그래서 방풍막(2)을 오므려도 오므리는 힘이 없어지면 항상 펼쳐진다. 즉 방풍막의 위아래 두 부분이 이 스프링(12)의 힘에 의해서 공기통 내부에 붙어있으면서 항상 펼쳐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풍막의 위 아래는 공기밀판이 통과할 때 오므라들었다가 통과 후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다시 펼쳐진다.
다음에 다시 도5의(가)에서 방풍막(2)을 보면 방풍막 위쪽 면에 둥근 원기둥 형태의 방풍막걸이(17)가 붙어 있고 방풍막 밑으로는 역시 원기둥 형태의 걸침봉 (18)이 붙어 있다. 그러면 여기서 그 역할을 보면 방풍막 위에 붙은 방풍막 걸이 (17)는 양쪽이 방풍막 위쪽면 보다 약간 길어서 양편으로 나와 있는 바 도4에서 보면 이 나와 있는 부분이 공기통 내부의 방풍막집(8) 위쪽으로 그림처럼 걸려져 있어 방풍막이 공기통 내부에 걸어지게 한다. 그리고 방풍막 밑에 붙은 걸침봉(18)은 오른쪽 끝이 방풍막 보다 약간 길어서 오른편으로 나와 있는 바 이 나온 부분이 공기통 내부의 홈(9)에 들어가 있어 방풍막이 공기의 저항을 받을때에 뒤로 밀리지 않고 고정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는다. (홈은 도면에 의거 후술)
다음에는 공기통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자(5)를 보기로 한다. 도6은 회전자와 공기밀판 및 삼각대의 모형인 바 본도에 의거 먼저 회전자를 보면 이 회전자(5)는 도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둥근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가운데는 모두 막힌형태이다.
다음에 이 회전자(5)에는 공기밀판(3)이 붙어 있는 바 이 공기밀판은 사각형의 판으로 회전자의 위 둥근 부분에 가로로 세워져 붙어 있다. 이 공기밀판(3)은 공기통(1)내에서 공기를 앞으로 미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리고 이 공기밀판(3)에는 삼각대(4)가 붙어 있는바 이 삼각대는 도6의(가)에서와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공기 밀판(3)과 회전자(5)에 걸쳐서 그림처럼 세워져 부착되어 있으며 이 삼각대 (4)는 공기밀판(3)이 회전하면서 방풍막(2)을 통과할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리고 회전자(5)를 돌게 하는 모터(10)가 있는 바 이 모터는 심보(11)에 의거 회전자와 연결되어 있어 모터의 힘에 의해서 회전자가 회전한다.도6의(나)는 회전자(5)가 앞으로 회전해서 공기 밀판(3)이 위로 올라갔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기기의 구성형태를 보았으며 다음에는 그 작동원리를 도7이하에서 보기로 한다.
먼저 도7에서 공기의 흡입과 송풍의 원리를 보겠다. 도7의(가)에서 보면 공기통(1)이 있고 그 내부에 방풍막(2)과 회전자(5)와 회전자에 붙은 공기밀판(3)이 있다.
그런데 본도에서는 공기의 흡입과 송풍의 원리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방풍 막(2)은 하나로된 사각형판으로 나타내었고 공기밀판(3)은 삼각대(4)가 붙어 있지않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며 공기통도 단순한 형태로 공기흡입구(7)와 공기배출구(6)만 표시해 놓았다.
그러면 본 도에 의거 공기의 흡입과 송풍의 원리를 보면 먼저 공기통(1)은 양 옆면이 둥근원판으로 막혀 있고 윗면으로 덮개가 둥글게 덮고 있으며(도7에서는 내부를 표현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지 않음) 그 내부는 전부 막혀진 공간인 바 공기통 내부에는 도7의(가)에서와 같이 방풍막(2)이 공기통 내부를 가로막고 있어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는다. 이 방풍막(2)은 위로는 공기통 윗면의 방풍막집(8)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고(원래의 방풍막 형태의 설명은 위에서 했음) 밑면으로는 회전자 (5)에 닿지않을 정도로 접근해 있으며 옆면으로는 공기통왼판과 오른판에 닿지않을 정도로 나 있다. 그리고 여기서 회전자(5)가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면 여기에 부착된 공기밀판(3)이 회전하는데 앞으로 회전한다. 즉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공기밀판은 공기통 위 덮개와 양 옆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나 있다. 그리고 공기밀판이 회전하면 공기통(1)내에서 방풍막(2)과 공기밀판(3)사이의 앞부분의 공기는 압축된다. 즉 공기밀판(3)이 앞(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때 방풍막이 공기를 가로막아 뒤로 이동을 못하게 하고 공기밀판은 공기를 밀게 되므로 공기를 미는 앞 부분의 공기가 압축된다.
그런데 여기서 공기 흡입구(7)는 공기통(1)왼판 위에서 방풍막 바로 뒤에 놓여 있고 공기 배출구(6)는 공기통 오른판 위쪽에서 방풍막(2) 바로 앞쪽에 붙어있다. 공기흡입구(7)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구멍인바 조금 앞으로 솟아 나 있어 호스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공기 배출구(6)는 공기를 내어 보내는 구멍으로 역시 앞으로 조금 나와 있어 호스를 삽입 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면 여기서 방풍막(2)과 공기밀판(3) 사이의 앞쪽의 공기가 압축되면 그곳의 공기는 공기배출구(6)를 통해서 나온다. 공기배출구(6)가 방풍막(2) 바로 앞쪽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방풍막(2)과 공기밀판(3) 사이의 뒷편의 공기는 공기밀판이 앞으로 회전하면 진공상태로 된다. 그러면 이때에 공기통 뒷면에서는 진공상태를 메우기 위하여 공기흡입구(7)로부터 공기가 빨려 들어오게 된다. 공기흡입구(7)가 방풍막 바로 뒤에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공기밀판이 회전함에 따라서 공기흡입구로는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배출구로는 공기가 나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공기흡입 송풍원리를 도8에 의거 그림을 바꾸어서 다시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한다.
도8은 공기통을 전면으로 놓았을 때의 공기흡입 송풍의 원리도이다. 즉 도7에서의 공기통(1)을 돌려서 앞으로 놓고 공기의 흡입 송풍의 원리를 본다. 도8의(가)에서 공기통(1)이 있고 그 안에 회전자(5)가 있으며 공기통 위쪽으로 방풍막(2)이 붙어 있고 방풍막 양쪽으로 공기통 양면에 공기흡입구(7)와 공기배출구(6)가 도7에서와 같은 형태로 붙어 있다. 그런데 여기 도8의 그림에서 공기통은 앞뒤의 양면(겉면)의 둥근면이 (원판) 전부 막혀 있으나 그림에서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막히지 않은 형태로 나타 내었고 위 둘레의 공기통 덮개는 물론 덮여서 막혀있다.
그러면 도8에서 공기통 내부에는 회전자(5)가 들어있어 회전하되 이 회전자에 공기밀판(30이 붙어 있는 바 이 공기밀판이 도8의 (가)에서 (나)의 방향으로 회전자가 회전하면 공기통 내부 공기는 공기 밀판(3)이 회전하는 앞쪽의 공기 즉 방풍막과 공기밀판 사이의 앞부분(그림에서 " 가" 의 부분)의 공기는 압축되어 공기배출구(6)로 나오고 (그림에서 공기배출구앞 화살표 방향으로 나옴) 반대로 도8의 (가)에서 (나)의 방향으로 공기밀판(3)이 회전하면 방풍막(2)과 공기밀판(3)사이의 뒤편 즉 공기밀판이 회전하는 반대쪽 공간의 공기(도 8에서 " 나" 의 부분)는 진공상태로 되어 공기흡입구(7)로 공기가 들어온다 (공기흡입구 앞의 화살표는 공기가 들어옴의 표시).
다음에 공기밀판(3)이 공기통 내에서 계속 회전하기 위하여는 방풍막을 통과하여야 하는바 그 통과 원리를 보겠다. 도9에서 이 원리를 나타내었는 바 먼저 도2의 형태에서 보자. 도2는 방풍막(2)과 공기밀판(3)이 서로 떨어져 있을때이다.
여기서 방풍막(2)밑면에 붙어 있는 걸침봉(18)은 오른쪽 끝이 공기통오른쪽에 나 있는 홈(9) 속에 들어가 있다.
다시 도9의(가)에서 보면 이 홈(9)은 공기통(1)오른쪽판에 세로로 구멍이 나있는 곳에 솟아 나와 홈을 이루고 있고 이 홈은 겉으로는 둘러싸여 막혀 있기 때문에 공기가 새지 않고 걸침봉(18)만 나와 걸려있다. 이 홈은 공기배출구(6)와 겹쳐지지 않고 공기배출구 바로 뒤로 방풍막과 일직선으로 되게 놓여 있다. 도9에서는 홈(9)을 표시하고 공기배출구와 공기흡입구를 도면상 겹쳐지지 않게 표현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는 바 여기의 홈(9)은 걸침봉(18)의 오른쪽끝이 들어가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구멍으로 이 홈에 걸침봉의 끝이 걸려있음으로써 방풍막이 올라가고 내려갈때와 공기의 이동을 막을때에 방풍막이 뒤로 밀리지 않고 공기통 내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도9의 (가)에서는 공기밀판(3)이 회전자(5)에 붙어서 회전자와 함께 돌아서방풍막(2)앞으로 다가와 공기밀판에 붙은 삼각대(4)의 앞부분 일부가 방풍막속으로 들어갔을 때이다. 즉 공기밀판(3)이 방풍막(2)앞으로 다가가서 삼각대(4)의 앞쪽이 방풍막에 닿으면 삼각대의 앞부분이 회전자에 뽀족하게 붙어 있음으로 방풍막을 밀고 들어간다. 그러면 방풍막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위 아래 쪽이 접어짐으로 방풍막 (2) 밑 부분이 위로 올라가면서 위 아래쪽이 접어지게 되는데 도9의(가)는 삼각대 (4)의 일부가 방풍막 밑으로 들어가서 방풍막이 반절 접어졌을때로써 도5의 (나)와 같은 형태이다.
다음에 공기밀판(3)이 방풍막(2) 밑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방풍막은 완전히 접어져서 도9의 (나)에서와 같은 형태로 되고 이때에 방풍막은 방풍막집(8)에 완전히 올라가 붙어 밀착되어서 공기밀판이 방풍막 밑을 통과하게 되는 바 도9의 (나)는 공기밀판이 방풍막 밑에 완전히 들어가 있고 방풍막은 방풍막집(8)에 완전히 올라가 붙어 있는 형태이다. 여기서 걸침봉(18)도 도9의 (가)에서 방풍막의 밑면이 반절 올라갔을때에는 홈(9)의 가운데로 와 있고 (나)에서 방풍막이 위로 올라가 붙어 있을 때에는 걸침봉 끝도 홈에서 위로 올라가 있다.
이렇게 하여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통과 한 후는 방풍막(2)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펼쳐져서 공기통 내부를 가로막아 공기의 이동을 막음으로써 다시공기의 흡입, 송풍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런 원리로 공기밀판(3)은 방풍막(2)을 계속 통과하면서 회전한다.
이의 통과원리를 그림의 형태를 바꾸어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의 형태를 도10에서 나타내었는 바 도10은 회전자를 전면으로 놓았을 때 공기밀판이 방풍막을 통과하는 원리도인바 본 도에서는 이해의 편의 상 공기통은 생략하고 방풍막과 회전자 및 공기밀판과 삼각대만 나타내어 그 통과원리를 설명한다.
도10에서 회전자(5)는 도9의 (가)의 형태에서 공기통 속에 들어있는 회전자만 별도로 나타내되 전면으로 놓고 그 작동 형태를 본다. 도10의 (가)에서 보면 회전자(5)가 있고 여기에 공기밀판(3)이 붙어 있으며 공기밀판에 삼각대(4)가 붙어 있고 방풍막(2)이 공기통 윗면에 붙어 있으며(본 도에서 공기통은 생략하였음)방풍막 밑면은 회전자(5)에 닿지 않을 정도로 근접해 있다.
그러면 여기 도10의 (가)는 방풍막과 공기밀판이 떨어져 있는 형태이다. 여기서 회전자(5)가 회전하면 공기밀판(3)이 회전하면서 방풍막 앞으로 다가간다. 그리하여 삼각대(4)가 방풍막 밑면에 닿으면 삼각대의 앞쪽 뾰족한 곳이 방풍막 밑면 걸침봉(18) 속으로 들어가면 방풍막은 밑면이 위로 올라가면서 접어진다. 그리하여 삼각대(4)의 일부가 방풍막 속으로 들어가면 도10의 (나)와 같은 형태로 되어 방풍막이 반절 접어져서 방풍막 밑면이 반절 올라가 회전자와 떨어진다. 이 때에 회전자가 돌면서 공기밀판(3)이 계속 앞으로 나가면 삼각대(4)는 방풍막 밑으로 완전히 들어가고 공기밀판도 방풍막 밑으로 완전히 들어가서 도10의 (다)와 같은 형태로 된다. 다음에 공기밀판은 방풍막을 빠져나와 계속 회전하면서 방풍막을 연속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는 선풍기의 공기통(1)에서 공기배출구(6)로 나온 공기가 어떻게 바람을 일으키는가 도11에서 보기로 한다. 도11은 송풍기가 공기통 전면에 부착되어 있고 호스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원리도 인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송풍기(13)가 있는 바 그 형태는 도12에서와 같다.
이 송풍기(13)는 도12의 (가)에서는 전면으로 놓였을때를 나타내고 (나)에서는 옆으로 놓았을때의 모형인바 둥근공을 반절로 나눈 형태로 전면에 구멍 즉 송풍구(14)가 나 있는데 이 송풍구를 통해서 바람이 뿜어져 나온다. 즉 이 송풍기가 도11에서와 같이 공기통의 전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송풍구는 송풍기의 면에 나 있는 작은 구멍들이다.
먼저 여기서 공기배출구(6)로 나온 공기가 송풍기 안으로 밀려 들어왔다가 공기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계속 밀려나오면 송풍기 안의 공기(즉 공기통 전면과 송풍기 사이의 공기)는 압력에 밀려 송풍구(14)로 빠져나오면서 바람을 일으켜 선풍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때에 도11에서와 같이 호스(16)를 공기흡입구(7)에 연결하고 이 호스(16)의 끝을 건물 밖으로 내어서 설치하면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에 있는 선풍기의 공기통 속으로 들어갔다가 공기배출구 (6)를 통해 나와서 송풍기 속으로 들어갔다가 송풍구를 통해서 나옴으로 외부의 시원하고 맑은 공기로 바람을 쏘일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호스를 붙이지 않았을 때에는 일반 선풍기처럼 단순히 실내공기로 바람을 쏘인다.
그러면 다음에 실내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원리를 보겠다. 이는 도13에서 표시하였는바 송풍기(13)에는 공기배출구(6)가 나 있는 쪽으로 송풍기문(15)이 나 있다. 이 송풍기문은 호스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나 있되 열고 닫을수 있으며 닫았을 때에는 고리로 잠가 놓으면 열리지 않는다.
그러면 여기서 송풍기문(15)을 열면 공기배출구(6)가 나타나는바 이 때에 공기배출구(6)에다 공기흡입구(7)에 연결된 호스(16)를 떼어서 붙인다. 즉 호스 한쪽 끝을 공기배출구(6)로 도13에서와 같이 연결한다. 다음에 공기배출구(6)에 연결된 호스의 다른 한쪽 끝을 건물 밖으로 내어서 설치하면 공기흡입구(7)는 실내에 위치해 있음으로 실내의 공기가 공기출입구를 통해서 공기통 속으로 들어갔다가 공기배출구(6)를 통해서 나와 호스를 통해서 밖으로 나감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종래의 선풍기의 팬 대신 공기통을 이용하여 공기의 흡입과 송풍으로 외부공기를 끌어들여 신선하고 서늘한 공기로 바람을 쏘이고 또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환풍기를 겸한 공기의 흡입과 송풍에 의한 선풍기를 구성한다.
본 기기를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를 보면 선풍기 하나로 환풍기 역할도 하게 함으로 환풍기를 따로 설치 할 필요가 없고 현재의 선풍기는 여름에만 사용하고 겨울동안은 쓰지 않음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불편한바 본 선풍기는 환풍기의 역할도 함으로 1년 내내 가정에서 공기 정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따로 보관하는 불편이 없다.
또 본 선풍기는 현재의 선풍기와 형태는 같은바 현재의 선풍기처럼 실내의 공기로만 바람을 일으켜 사용 할 수도 있고 실외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일으킬 수도 있어 건물 밖에 있는 신선한 공기로 바람을 쏘일 수 있는 바 특히 야간에는 외부 공기가 매우 서늘하여 야간 사용 시 매우 쾌적하고 건강에도 도움이된다.
그리고 본 기기로써 환풍기 역할도 겸함으로 별도 환풍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환풍기처럼 어느 장소에 고정하여 그 주위 공기만 빼내는 것이 아니고 실내의 중앙이나 또는 나쁜 공기를 빼낼 필요한 장소에 본 기기를 놓음으로써 그 곳의 공기를 쉽게 밖으로 빼낼 수 있어 가정은 물론 공공건물이나 지하실 등 실내 공기의 정화가 필요한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이며 또 팬이 없어 별도 선풍기 망을 안 씌우고도 안전하다.
그리고 본 제품은 기구가 간편하여 제조 비용이 적게 들어 기존의 선풍기와 같은 가격대를 형성할 수 있어 누구나 구입,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공기통과 방풍막 및 회전자와 공기밀판으로 구성된 선풍기에 있어 공기통(1)내부에는 방풍막(2)이 방풍막집(8)에 걸려 공기의 이동을 가로막게 나 있으며 공기 밀판(3)이 회전자(5)에 부착되어 모터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바 공기밀판(3)이 방풍막(2)에 다가갔을때에 삼각대(4)의 앞끝이 방풍막 밑면의 걸침봉(18)을 밀어 올리면서 들어가면 방풍막(2)은 위로 올라가면서 위 아래 두부분이 접어지고 하나로 합쳐져 방풍막집(8)에 밀착되고 이 때에 공기밀판(3)은 방풍막(2)을 통과하게 되어 공기밀판이 연속 회전하며 이때 공기밀판(3)이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앞부분의 공기통내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배출구(6)로 내어 보내고 뒷부분의 공기는 진공 상태로 되어 공기흡입구(7)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되 공기배출구(6)로 나온 공기가 송풍기(13) 안에서 압력으로 송풍구(14)를 통해 뿜어져 나와 바람을 일으키고 이때 호스(16)를 공기흡입구(7)에 부착하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에서 바람을 일으키고 공기배출구(6)에 부착하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냄으로써 신선하고 서늘한 공기로 바람을 쏘임과 동시 공기정화 작용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KR1020030010864A 2003-02-10 2003-02-10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KR20040073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864A KR20040073919A (ko) 2003-02-10 2003-02-10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864A KR20040073919A (ko) 2003-02-10 2003-02-10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244U Division KR200316951Y1 (ko) 2003-03-31 2003-03-31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919A true KR20040073919A (ko) 2004-08-21

Family

ID=3736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864A KR20040073919A (ko) 2003-02-10 2003-02-10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3801B2 (en) 2007-04-09 2011-05-17 Lg Chem, Ltd. Catalyst composition including phosphite ligands and hydroformyla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3801B2 (en) 2007-04-09 2011-05-17 Lg Chem, Ltd. Catalyst composition including phosphite ligands and hydroformylation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3447A (en) Wall-installed vacuum cleaner
KR100691894B1 (ko) 공기 조화기
CN109000327A (zh) 一种双向通风的通风机
CN211530463U (zh) 一种防潮室外配电柜
KR200316951Y1 (ko)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CN105135538B (zh) 一种除湿机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73919A (ko) 환풍기를 겸한 공기흡입 송풍식 선풍기
KR200493105Y1 (ko) 흡연부스
KR100467854B1 (ko) 제습기
KR100885571B1 (ko) 공기 조화기
JP4584850B2 (ja) 除湿機
KR101447508B1 (ko)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장치
CN215414948U (zh) 一种除湿迅速的环境试验箱
CN206300310U (zh) 健康厨房
KR20000019391A (ko) 공기흡입배출에 의한 공기 정화식 선풍기
CN1262415A (zh) 除湿机
CN205918327U (zh) 一种透气门
CN201075952Y (zh) 吸入式灭蚊蝇风扇
CN207072239U (zh) 自动净化空气的房车结构
KR101006623B1 (ko) 공기흡입분사식 선풍기
CN208998223U (zh) 一种具备反吹自清理功能的室内新风换气机
CN114593450B (zh) 一种吸油烟机幕帘装置、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CN220442200U (zh) 一种具有通风防潮功能的衣柜
JP2001272066A (ja) 換気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