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858A - Air-conditioning unit - Google Patents

Air-condition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858A
KR20040073858A KR1020030009603A KR20030009603A KR20040073858A KR 20040073858 A KR20040073858 A KR 20040073858A KR 1020030009603 A KR1020030009603 A KR 1020030009603A KR 20030009603 A KR20030009603 A KR 20030009603A KR 20040073858 A KR20040073858 A KR 2004007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coupling hole
shaft
ar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선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858A/en
Publication of KR2004007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5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ir conditioning unit is provided to reduce time and cost by manufacturing an air conditioning unit used for vehicles controlling a state of air individually or not. CONSTITUTION: An air conditioning case has an air inlet, an air outlet, and a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let with the air outlet, wherein the passage is defined by a partition wall(270) having a through-hole. A first door(181A)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ssag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having a first axial part(281Aa). A second door(181B)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having a second axial part(281Ba). A driving element individually rotates the first axial part and the second axial part, or simultaneously rotates the first axial part and the second axial part.

Description

공조유니트{Air-conditioning unit}Air Conditioning Unit

본 발명은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도어를 구비한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 door for guiding introduced air.

공조유니트는 그 목적에 따라 복잡다양하게 제작되는데, 이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히터,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 내의 공기를 히터나 증발기로 가이드하거나 또는 히터나 증발기를 거치지 않는 경로로 가이드 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air conditioning unit is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purpose, which guides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he heater, the evaporator, and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the heater or the evaporator, or to the path not passing through the heater or the evaporator. It is common to have a door.

도 1 에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지 않은 종래의 공조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조유니트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82, 8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10A)의 외면에는 도어(81)의 축부가 끼워지는 결합공(8a)을 구비하여 축부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아암(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아암의 돌출부(8b)는 캠(7)의 홈부(7c)에 끼워지며, 상기 캠(7)은 제어케이블 연결부(7b)에 연결된 제어케이블(6)의 작동에 따라 캠 축부(7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제어패널(5)의 조작에 의한 제어케이블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캠이 회전하고, 이 회전은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며, 상기 아암은 이와 연결된 도어의 축부를 회전시켜서 공기를 가이드하는 도어의각도를 조정하게 된다.1 shows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unit in which the air flow passage is not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he air conditioning unit has an air inlet case 10 having air inlets and air outlets 82 and 83 formed there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A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arm 8 having a coupling hole 8a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door 81 is fitted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is mounted. The projecting portion 8b of the arm is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7c of the cam 7, and the cam 7 moves the cam shaft portion 7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able 6 connected to the control cable connecting portion 7b. It will rotate around the center. As a result, the cam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able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nel 5, and this rotation rotates the arm, and the arm rotates the shaft portion of the door connected thereto to guide the air to guide the air. Will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케이스는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st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vehicle compartment.

도 2 에는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된 공조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공조유니트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 에 도시된 공조유니트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그 종방향을 따라서 격벽이 설치되고 그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양 공간에 공기를 가이드하는 도어가 각각 설치된다는 차이가 있다. 본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는, 종래의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된 공조유니트에 대하여는 도 1 에 도시된 공조유니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되 100을 더하여 표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된 공조유니트에 대하여는 도 1 에 도시된 공조유니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되 200을 더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제 1 도어는 A를, 제 2 도어는 B를 부기하여 표시하였다. 이와 같은 사항은 도 3 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된다.2 shows an air conditioning unit in which air flow passage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his air conditioning unit basically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shown in FIG. 1,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partitions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oors for guiding air are installed in both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s. have.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conventional air flow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ir conditioning unit shown in Figure 1, but indicated by add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ir conditioning unit in which the flow passage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shown in FIG. 1 are used, and 200 is added. The first door is marked with A and the second door is marked with B. The same applies to FIG. 3.

도 3 에는 도 2 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공기유입구(120, 22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40, 240)을 통과하여 증발기와 제 1 도어(181A, 281A) 사이에 한정된 진입통로(161, 261)로 이동한다. 진입통로로 이동한 공기는 제 1 도어가 가이드하는 방향에 따라서 히터코어(150, 250)가 설치된 가열통로(162, 262)를 통과하거나 또는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경로에 형성된 우회통로(163, 263)를 통과하여 벤트통로(164, 264)로 이동한다. 벤트통로로 이동한 공기는 벤트도어(182, 282)가 가이드하는 방향에 따라서 차량의 전방패널에 형성된 벤트로 이동하거나, 또는 디프로스트통로(165, 265)로 이동한다. 상기 디프로스트통로로 이동한 공기는 디프로스트도어(183, 283)가 개방된 때에는 차량의 전면유리의 하측에 형성된 디프로스트벤트로 이동한다. 상기 진입통로(161, 261), 가열통로(162, 262), 우회통로(163, 263), 벤트통로(164, 264), 및 디프로스트통로(165, 265)를 통로(160, 260)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본 도면에서는 격벽(170, 270)이 상기 증발기의 상면으로부터 차량의 전방패널에 형성된 패널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까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격벽은 필요에 따라서 그 형성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s 120 and 22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s 140 and 240 and moves to the access passages 161 and 261 defined between the evaporators and the first doors 181A and 281A. The air moved to the entry passage passes through the heating passages 162 and 262 in which the heater cores 150 and 250 are installed or bypasses the heater cores 163 and 263 according to the direction guided by the first door. ) And move to the vent passages (164, 264). The air moved to the vent passage moves to a vent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irection guided by the vent doors 182 and 282 or moves to the defrost passages 165 and 265. The air moved to the defrost passage moves to a defrost vent formed unde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when the defrost doors 183 and 283 are opened. The entry passages 161 and 261, the heating passages 162 and 262, the bypass passages 163 and 263, the vent passages 164 and 264, and the defrost passages 165 and 265 are referred to as passages 160 and 260. Collectively. In this figure, the partition walls 170 and 270 are shown to b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to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to the panel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the partition may be formed as necessary range.

도 4 는 도 2 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종래의 공조유니트의 도어와 이에 인접한 부분을 도시한다. 공조케이스의 제 1 측벽(110A)과 격벽(170) 사이에는 제 1 도어(18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측벽(110B)과 격벽(170) 사이에는 제 2 도어(181B)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공조케이스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는 상기 격벽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중 제 1 도어와 이와 인접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 2 도어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showing a door and a portion adjacent thereto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unit. A first door 181A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110A and the partition wall 17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second door 181B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110B and the partition wall 170. . Sinc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only the first door and other adjacent compon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econd do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mit.

제 1 도어는 제 1 축부(181Aa)와 제 1 도어본체(181A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축부(181Aa)는 상기 제 1 측벽에 인접한 단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된 결합공(181Aaa)을 구비하며, 제 1 측벽의 수용부(110Aa)와 격벽(170)의 수용부(170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단부(181Aa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측벽(110A)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110Ab)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격벽(170)에는그러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 1 측벽의 외면에는 제 1 아암이 장착되는데, 이 제 1 아암에는 상기 결합공(181Aaa) 및 관통공(110Ab)과 연통되는 결합공(108Aa)과 돌출부(108A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어패널 및 제어케이블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에 의하여 상기 결합공(108A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결합공에는 제 1 구동축(190)이 끼워져서 상기 제 1 아암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도어가 함께 회전된다.The first door has a first shaft portion 181Aa and a first door body 181Ab. The first shaft portion 181Aa includes a coupling hole 181Aaa which is formed by being introduced into an interior from an en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0Aa of the first side wall and a receiving portion 170a of the partition wall 170. Each has an end 181Aab that is rotatably received. The through-hole 110Ab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110A, but such a hole is not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70. A first arm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first arm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08Aa and a protrusion 108Ab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hole 181Aaa and the through hole 110Ab. The protrusion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hole 108Aa by a cam controlled by a control panel and a control cable. The first drive shaft 19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first door is rotated together as the first arm is rotated.

상기 도 4 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공조케이스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개별적으로만 구동되도록 되어 있어서,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차량에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벽이 없는 공조유니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장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driven only individually, and thus, the vehicle that does not individually control the st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vehicle compartment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ir conditioner unit without a partition must be manufactured and mounted separately.

본 발명은,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은 물론,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차량에도 장착될 수 있는 공조유니트를 제공하여, 별도의 공조유니트를 제작함으로 인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unit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that individually controls the state of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abin, as well as a vehicle that does not individually control the st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ompartment. The aim i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by manufacturing a separate air conditioning unit.

도 1 은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지 않은 종래의 공조유니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unit in which the air flow passage is not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도 2 는 공기 유동통로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된 공조유니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unit in which an air flow passage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도 3 은 도 2 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 는 도 2 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종래의 공조유니트의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unit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5a 는 도 2 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의 단면도이고,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도 5b 는 도 2 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의 단면도이다.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8A: 제 1 아암 208B: 제 2 아암208A: First Arm 208B: Second Arm

220: 공기유입구 240: 증발기220: air inlet 240: evaporator

230: 공기배출구 250: 히터코어230: air outlet 250: heater core

260: 통로 270: 격벽260: passage 270: partition

281A: 제 1 도어 281Aa: 제 1 축부281A: 1st door 281Aa: 1st shaft part

281B: 제 2 도어 281Ba: 제 2 축부281B: 2nd door 281Ba: 2nd shaft part

290a: 제 1 구동축, 제 2 구동축 290b: 통합구동축290a: first drive shaft, second drive shaft 290b: integrated drive shaf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공기유입구, 공기배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공조케이스;An air inlet, an air outlet, and a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let is formed, and the passage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 격벽에 의해 양분된 상기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1 축부를 구비한제 1 도어;A first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ssag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first shaft portion;

상기 격벽에 의해 양분된 상기 통로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부와 동축을 이루는 제 2 축부를 구비한 제 2 도어; 및A second door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second shaft portion coaxial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And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2 축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공조유니트를 제공한다.It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는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된 템프도어일 수 있다.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may be temporal door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상기 제 1 축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 2 축부에는 양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축부의 결합공들 중 격벽에 인접하여 위치한 결합공은 상기 격벽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haft portion is formed with coupling holes penetr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shaft portion is formed with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both ends, and the coupling hole located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among the coupling holes of the second shaft portion is the partition wall. It is prefer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상기 제 1 축부의 양 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와 이 내면과 대면하는 격벽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부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축부의 양 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타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와 이 내면과 대면하는 격벽의 타면에 형성된 수용부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first shaft portion are rotatably received i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facing the inn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housed i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ceiving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facing the inner surface.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축부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 및 제 1 축부의 결합공에 끼워지고 제 1 축부와 제 1 아암을 연동시키는 제 1 구동축과, 상기 제 2 아암의 결합공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에끼워지고 상기 제 1 축부 및 제 1 아암의 작동과는 별개로 제 2 축부와 제 2 아암을 연동시키는 제 2 구동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arm having a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 second arm having a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a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 coupling hole and a first shaft portion of the first arm. A first drive shaft fit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and interlocking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first arm, and fit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second arm and the coupling shaft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nd operating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first arm.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cond drive shaft for interlocking the second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arm.

상기 제 1 구동축 및 제 2 구동축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driving shaft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may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제 2 축부의 결합공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제 2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first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por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제 2 축부의 결합공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제 2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a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is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 of a 2nd shaft part.

상기 제 1 구동축과 제 1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구동축과 제 2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drive shaft and the first arm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drive shaft and the second arm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 제 1 축부의 결합공, 및 상기 격벽에 인접한 제 2 축부의 결합공에 끼워져서 제 1 아암, 제 1 축부, 및 제 2 아암을 연동시키는 통합구동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means is fitted into a first arm having a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arm,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a coupling hole of a second shaft portion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tegrated drive shaft for lowering and interlocking the first arm,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arm.

상기 통합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제 2 축부의 결합공 내측까지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integrated driving shaft may have a length through which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fits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제 2 축부의 결합공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합구동축은 상기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identically formed to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integrated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과 제 2 축부의 결합공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합구동축은 상기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identically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integrated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It is desirable to have.

상기 통합구동축과 제 1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tegrated drive shaft and the first arm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 2 도어는 제 1 도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oor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oor.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는 공조케이스, 증발기, 히터코어, 격벽, 제 1 도어, 제 2 도어, 및 구동수단을 구비한다.An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an evaporator, a heater core, a partition, a first door, a second door, and a driving means.

상기 공조케이스에는 공기유입구(220), 공기배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가 공기유입구(220)와 인접한 위치에는 증발기(2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와 공기배출구 사이에는 증발기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히터코어(2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양분하며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270)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n air inlet 220, an air outlet, and a passage 260 connecting them are form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n evaporator 24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ir inlet 220. The heater core 25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ir out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vaporator, and the partition wall 270 is formed in the air-conditioning case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bisected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상기 제 1 도어(281A)는 상기 격벽에 의해 양분된 상기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도어(281B)는 상기 통로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제 2 도어의 제 2 축부(281Ba)은 상기 제 1 도어의 제 1 축부(281Aa)와 동축을 이룬다.The first door 281A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ssag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door 281B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81Ba of the second door is It is coaxial with the 1st shaft part 281Aa of a 1st door.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2 축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The drive means includes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a 는 도 2 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어들과 이에 인접한 부분을 도시한다. 공조케이스의 제 1 측벽(210A)과 격벽(270) 사이에는 제 1 도어(28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측벽(210B)과 격벽(270) 사이에는 제 2 도어(281B)가 설치되어 있다.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and shows the doors and a portion adjacent thereto wh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first door 281A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210A and the partition wall 27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second door 281B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210B and the partition wall 270. .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축부(281Aa)와 제 1 도어본체(281A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축부(281Aa)는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결합공(281Aaa)을 구비하며, 또한 제 1 측벽의 수용부(210Aa)와 격벽(270)의 수용부(270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단부(281Aa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측벽(210A)에는 상기 결합공(281Aaa)과 연통되는 관통공(210A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270)에도 상기 결합공(281Aaa)과 연통되는 관통공(270b)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door has a first shaft portion 281Aa and a first door body 281Ab. The first shaft portion 281Aa has a coupling hole 281Aaa formed throughout its length and is rotatably received in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Aa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270a of the partition wall 270. End 281Aab. A through hole 210Ab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210A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and a through hole 270b is also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70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have.

상기 제 1 측벽(210A)의 외면에는 제 1 아암(208A)이 장착되는데, 이 제 1 아암에는 상기 결합공(281Aaa) 및 관통공(210Ab)과 연통되는 결합공(208A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공과 이격된 부분에 돌출부(208A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08Ab)는 제어패널 및 제어케이블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에 의하여 상기 결합공(208A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A first arm 208A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210A, and the first arm has a coupling hole 208Aa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and the through hole 210Ab. In addition, the protrusion 208Ab is formed at a portion spaced from the coupling hole. The protrusion 208Ab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hole 208Aa by a cam controlled by a control panel and a control cable.

상기 제 2 도어는 제 2 축부(281Ba)와 제 2 도어본체(281B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축부(281Ba)는 그 양단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인입된 결합공(281Baa)들을구비한다. 이 결합공들은 상기 제 2 축부의 중앙부에서 서로 연통될 수도 있고 연통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연통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도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따로 제작할 필요없이 한가지 도어만 제작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second door has a second shaft portion 281Ba and a second door body 281Bb. The second shaft portion 281Ba has coupling holes 281Baa introduced into the central portion from both ends thereof. The coupling holes may or may not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haft portion. When the coupling holes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holes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oor, so that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one door needs to be manufactured without the need.

또한 제 2 측벽의 수용부(210Ba)와 격벽(270)의 수용부(270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단부(281Ba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측벽(210B)에는 상기 결합공(281Baa)과 연통되는 관통공(210B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측벽(210B)의 외면에는 제 2 아암(208B)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 제 2 아암에는 상기 결합공(281Baa) 및 관통공(210Bb)과 연통되는 결합공(208B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공과 이격된 부분에 돌출부(208B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08Bb)는 제어패널 및 제어케이블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에 의하여 상기 결합공(208B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암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281Bab is rotatably received in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Ba of the second sidewall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270a of the partition wall 270. The second sidewall 210B has a through hole 210Bb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Baa. A second arm 208B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wall 210B, and the second arm may include a coupling hole 208Ba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Baa and the through hole 210Bb. The protrusion 208Bb is formed at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hole. The protrusion 208Bb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hole 208Ba by a cam controlled by a control panel and a control cable. Wh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the second arm is not necessarily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및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을 통하여 제 1 구동축(290a)을 삽입하여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까지 끼운다.In the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rotat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separately, the first door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hole 208Aa of the first arm and the through hole 210Ab of the first side wall. The drive shaft 290a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상기 제 1 구동축은,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에 대하여는 자유로이 회전하면서도 상기 제 1 아암과 제 1 축부에 대하여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구동축(290a),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및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은 사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축의 길이는, 제 1 구동축이 완전히 끼워졌을 때 제 1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격벽(270)의 중심선을 넘지 않도록 제한된다.The first drive shaft should be configured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210Ab of the first side wall while not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and the first shaft por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drive shaft 290a and the first arm The coupling hole 208Aa and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through hole 210Ab of the first sidewall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length of the first drive shaft is limited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does not cross the centerline of the partition wall 270 when the first drive shaft is fully fitted.

상기와 같은 사항은 제 2 도어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 제 1 도어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The same is true for the second door, which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oor.

도 5b 는 도 2 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어들과 이에 인접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5a 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and shows the doors and a portion adjacent thereto wh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together. It demonstrates centering on a different matter from FIG. 5A.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 격벽의 관통공(270b)을 통하여 통합구동축(290b)을 삽입하여 상기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 까지 끼운다. 상기 통합구동축은,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과 격벽의 관통공(270b)에 대하여는 자유로이 회전하면서도 상기 제 1 아암,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에 대하여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통합구동축(290b),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은 사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측벽의 관통공(210Ab)과 격벽의 관통공(270b)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도어와 제 2 도어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모두 제 1 아암(208A)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제 2 아암(208B)이 필요하지 않다.In order to rotat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together, the engaging hole 208Aa of the first arm, the through hole 210Ab of the first side wall, the engag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through hole of the partition wall ( The integrated driving shaft 290b is inserted through 270b to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The integrated drive shaft should be configured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210Ab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through hole 270b of the partition wall, but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the first shaft part, and the second shaft part. The integrated drive shaft 290b, the coupling hole 208Aa of the first arm,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penetrate the first side wall. The hole 210Ab and the through hole 270b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driven together, the second arm 208B is not necessary because both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driven by the first arm 208A.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은 물론, 차량실내의 좌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차량에도 장착될 수 있는 공조유니트가 제공되며, 따라서 별도의 공조유니트를 제작함으로 인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unit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that individually controls the state of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abin, as well as a vehicle that does not individually control the st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ompartment. Therefore, the time and cost required by manufacturing a separate air conditioning unit is reduced.

상기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좌측 및 우측의 통로의 폭이 같고, 또한 제 2 축부(281Ba)의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인입된 결합공(281Baa)들이 상기 제 2 축부의 중앙부에서 서로 연통되는 경우에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어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widths of the passage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are the same, and the engaging holes 281Baa drawn in from the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81Ba toward the center por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haft portio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way,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door can be reduced.

Claims (16)

공기유입구(220), 공기배출구(23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260)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관통공(270b)이 형성된 격벽(270)에 의하여 구획된 공조케이스;An air inlet 220, an air outlet 230, and a passage 260 connecting them are formed, and the passage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270 in which a through hole 270b is formed; 상기 격벽(270)에 의해 양분된 상기 통로(2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1 축부(281Aa)을 구비한 제 1 도어(281A);A first door 281A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ssage 260 bisected by the partition wall 270 and having a first shaft portion 281Aa; 상기 격벽(270)에 의해 양분된 상기 통로(260)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부와 동축을 이루는 제 2 축부(281Ba)를 구비한 제 2 도어(281B); 및A second door 281B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260 bisected by the partition wall 270 and having a second shaft portion 281Ba coaxial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And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2 축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공조유니트.And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는 증발기(240)와 히터코어(250) 사이에 설치된 템프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s an air conditio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 door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240) and the heater core (25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축부(281Aa)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281Aaa)이 형성되고, 제 2 축부(281Ba)에는 양 단부(281Bab)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281Ba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축부의 결합공들 중 격벽에 인접하여 위치한 결합공(281Baa)은 상기 격벽의 관통공(270b)을 통하여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Coupling holes 281Aaa axially penetrated are formed in the first shaft portion 281Aa, and coupling holes 281Baa are formed in the second shaft portion 281Ba axially from both ends 281Bab. The coupling hole (281Baa) located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two shaf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270b) of the partition w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축부(281Aa)의 양 단부(281Aab)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 측벽(210A)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210Aa)와 이 내면과 대면하는 격벽(270)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부(270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Both ends 281Aab of the first shaft portion 281Aa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10Aa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side wall 210A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receiving portion 270a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70 facing the inner surface. Is rotatably housed in each, 상기 제 2 축부(281Ba)의 양 단부(281Bab)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타 측벽(210B)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210Ba)와 이 내면과 대면하는 격벽(270)의 타면에 형성된 수용부(270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Both ends 281Bab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81Ba are receiving portions 21027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wall 210B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ceiving portions 270a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70 facing the inner surface. Air conditio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accommodated in each.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구동수단은:The drive means is: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연통되는 결합공(208Aa)이 형성된 제 1 아암(208A);A first arm 208A having a coupling hole 208Aa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상기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과 연통되는 결합공(208Ba)이 형성된 제 2 아암(208B);A second arm 208B having a coupling hole 208Ba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및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에 끼워지고, 제 1 축부와 제 1 아암을 연동시키는 제 1 구동축(290a); 및A first drive shaft 290a fitted into a coupling hole 208Aa of the first arm and a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interlocking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first arm; And 상기 제 2 아암의 결합공(208Ba)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축부 및 제 1 아암의 작동과는 별개로 제 2 축부와 제 2 아암을 연동시키는 제 2 구동축(290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 second fit between the engaging hole 208Ba of the second arm and the engag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nd interlocking the second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arm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first arm; An air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a drive shaft (290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구동축 및 제 2 구동축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nd the first driving shaft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제 2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first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And a drive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제 2 축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a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구동축과 제 1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구동축과 제 2 아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nd the first drive shaft and the first arm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drive shaft and the second arm are integrally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2 도어(281B)는 제 1 도어(281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nd the second door (281B)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oor (281A).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구동수단은:The drive means is: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연통되는 결합공(208Aa)이 형성된 제 1 아암(208A);A first arm 208A having a coupling hole 208Aa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상기 제 1 아암의 결합공(208Aa),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 및 상기 격벽에 인접한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에 끼워져서 제 1 아암, 제 1 축부, 및 제 2 아암을 연동시키는 통합구동축(290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first arm,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arm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08Aa of the first arm, 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An air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an integrated drive shaft (290b) to interlock.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통합구동축은 제 1 축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제 2 축부의 결합공 내측까지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integrated driving shaft has 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shaft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합구동축은 상기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identically formed to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integrated driving shaft corresponds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An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 shap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축부의 결합공(281Aaa)과 제 2 축부의 결합공(281Baa)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합구동축은 상기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의 결합공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The coupling hole 281Aaa of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81Ba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identically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integrated driving shaft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An air conditio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통합구동축과 제 1 아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nd the integrated drive shaft and the first arm are integrally forme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2 도어(281B)는 제 1 도어(281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And the second door (281B)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oor (281A).
KR1020030009603A 2003-02-15 2003-02-15 Air-conditioning unit KR200400738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03A KR20040073858A (en) 2003-02-15 2003-02-15 Air-condition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03A KR20040073858A (en) 2003-02-15 2003-02-15 Air-condition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58A true KR20040073858A (en) 2004-08-21

Family

ID=3736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603A KR20040073858A (en) 2003-02-15 2003-02-15 Air-condition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85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92B1 (en) * 2005-08-18 2012-09-04 한라공조주식회사 Door of Air-Conditioner for a Vehicle
KR101467265B1 (en) * 2008-04-22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 door driving device in air conditioner unit for a car
KR102380104B1 (en) * 2021-06-08 2022-04-08 한국크노르브레이크(주)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ilroad-car and Method of Improving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ilroad-c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92B1 (en) * 2005-08-18 2012-09-04 한라공조주식회사 Door of Air-Conditioner for a Vehicle
KR101467265B1 (en) * 2008-04-22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 door driving device in air conditioner unit for a car
KR102380104B1 (en) * 2021-06-08 2022-04-08 한국크노르브레이크(주)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ilroad-car and Method of Improving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ilroad-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5263A (en) Fluid passageway structure of defrost duct for vehicles
KR2012002427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54478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20160144688A1 (en) Air introducing apparatus of havc system for vehicle
US2006025429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s
KR20040073858A (en) Air-conditioning unit
KR10175872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9309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065967B1 (en) Multi-planar air diverter.
KR101986290B1 (en) Method of distributing air ventilation in a vehicle
KR10122097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70068568A (en) Duct ramification structure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0923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28622B1 (en) A Door Assembly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Car
KR101201299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71111B1 (en) Mode Door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Car
KR20000014002A (en) Air conditioner and door assembly for vehicle
KR100582123B1 (en) Air Conditioning Unit
KR10171446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43600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WO2021235859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14602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KR10250448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2053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01698A (en)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