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866A -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866A
KR20040071866A KR1020030007773A KR20030007773A KR20040071866A KR 20040071866 A KR20040071866 A KR 20040071866A KR 1020030007773 A KR1020030007773 A KR 1020030007773A KR 20030007773 A KR20030007773 A KR 20030007773A KR 20040071866 A KR20040071866 A KR 2004007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flexible printed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980B1 (ko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9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2Toy hoops, i.e. rings to be rolled by separate sticks; Sticks for prop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가이드 축 기능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부재에 안내되어 뒤틀리지 않고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본 발명은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뒤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휴대폰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folder type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에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연장되게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부재에 안내되어 뒤틀리지 않도록 한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바(Bar)형과, 덮개로 버튼들을 차폐하는 커버를 갖는 플립(Flip)형과, 폴더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포개지게 접을 수 있는 폴더(Folder)형 등으로 분류되며, 근래에는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형 휴대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10)와 폴더(20)로 구성되며, 본체(10)와 폴더(20)는 힌지장치(30)로 연결되어 폴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본체를 개폐시키게 된다.
본체(10)에는 숫자 또는 기능 버튼(12)과 마이크(14)가 포함되고, 내부에는 송수화를 위한 각종 구성 부품들이 내장되며,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팩(16)이 장착된다.
폴더(20)에는 각종 통화정보 및 기능정보를 표시하는 LCD 창(22)과 스피커(24) 등이 포함되고, 내부에는 각종 구성부품들이 내장된다.
한편, 최근에는 음성뿐 아니라 화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2에는 종래의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고정부재(51-1)(51-2)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모듈 하우징의 형태로 설치되고 폴더(20)에 연결된 회동부재로 구성된다.
회동부재는 제 1회동부재(52-1)와 제 2회동부재(52-2)로 구분되고, 제 1 및 제 2회동부재의 사이에는 일면으로 카메라 렌즈부(53a)가 노출된 카메라 모듈(53)이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회동부재(52-1)는 연결부재(54)를 통해 제 1고정부재(51-1)와 연결되고, 제 2회동부재(52-2)는 캠 어세이(55)를 통해 제 2고정부재(51-2)와 연결된다.
그리고, 힌지장치의 내부에는 본체(10)와 폴더(20) 및 카메라 모듈(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59)과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구비된다.
즉,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의 일단은 제 1고정부재(51-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본체(1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회동부재(52-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폴더(2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폴더(20)는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입력된 정보는 LCD 창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은 카메라 모듈(53)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직교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제 1고정부재(51-1)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53)과 본체(10)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본체(10)로 송신되어 저장 또는 전송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때문에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 모듈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촬영하면 된다.
이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의 일단이 제 1회동부재(52-1)를 관통하여 폴더의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이 회전될 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별도의 가이드가 없기 때문에 항상 정확하게 말리는 것이 아니라 뒤틀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과의 간섭으로 인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53)을 모터(56)와 감속기어체(57)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종래의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이 회전될 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힌지장치는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 모듈에서 연장 형성되고,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회동부재 내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모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키고, 감속된 회전력을 카메라 모듈로 전달하여 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감속기어체;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 모듈에서 연장 형성되고,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회동부재 내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모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키고, 감속된 회전력을 카메라 모듈로 전달하여 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감속기어체;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부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따라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리는 현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폴더
51-1: 제 1고정부재 51-2: 제 2고정부재
52-1: 제 1회동부재 52-2: 제 2회동부재
53: 카메라 모듈 53a: 카메라 렌즈부
54: 연결부재 55: 캠 어세이
56: 모터 57: 감속기어체
58: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59: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00: 가이드 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고정부재(51-1)(51-2)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모듈 하우징의 형태로 설치되고 폴더(20)에 연결된 회동부재로 구성된다.
회동부재는 제 1회동부재(52-1)와 제 2회동부재(52-2)로 구분되고, 제 1 및 제 2회동부재의 사이에는 일면으로 카메라 렌즈부(53a)가 노출된 카메라 모듈(53)이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회동부재(52-1)는 연결부재(54)를 통해 제 1고정부재(51-1)와 연결되고, 제 2회동부재(52-2)는 통상의 캠 어세이(55)를 통해 제 2고정부재(51-2)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캠 어세이(55)는 공지된 기술이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힌지장치의 내부에는 본체(10)와 폴더(20) 및 카메라 모듈(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59)과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구비된다.
즉,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의 일단은 제 1고정부재(51-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본체(1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회동부재(52-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폴더(2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폴더(20)는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은 카메라 모듈(53)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직교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제 1고정부재(51-1)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53)과 본체(10)는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53)의 일측에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밀착되도록 가이드 부재(100)가 형성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릴 때 축 기능을 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뒤틀리지 않고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정의 갭을 두고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얇은 판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축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어느 형상이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을 사이에 두고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 양쪽에 형성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양측면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 한 쪽에만 형성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일측면에서만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 모듈(53)에 일체로 사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로 제작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관통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53)의관통공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카메라 모듈(53)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촬영하게 된다.
물론, 카메라 모듈(53)을 회전시킬 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의 일단이 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장치 내에서 말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부재(100)가 가이드 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 10a에서 도 10c까지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뒤틀리지 않고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일정하게 말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리면서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과의 간섭으로 인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폴더(20)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것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및 작용 효과를 갖게 되며, 이 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고정부재(51-1)(51-2)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모듈 하우징의 형태로 설치되고 폴더(20)에 연결된 회동부재로 구성된다.
회동부재는 제 1회동부재(52-1)와 제 2회동부재(52-2)로 구분되고, 제 1 및 제 2회동부재의 사이에는 카메라 모듈(53)이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회동부재(52-1)는 연결부재(54)를 통해 제 1고정부재(51-1)와 연결되고, 제 2회동부재(52-2)는 캠 어세이(55)를 통해 제 2고정부재(51-2)와 연결된다.
제 2회동부재(52-2) 내에는 동력발생수단으로서 미도시된 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시키면 작동되는 모터(56)가 설치되고, 모터의 일측에는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체(57)가 설치된다.
감속기어체(57)의 출력축에는 일면으로 카메라 렌즈부(53a)가 노출된 카메라 모듈(53)이 연결되어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힌지장치의 내부에는 본체(10)와 폴더(20) 및 카메라 모듈(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과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구비된다.
즉,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의 일단은 제 1고정부재(51-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본체(1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회동부재(52-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폴더(20)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은 카메라 모듈(53)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직교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제 1고정부재(51-1)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53)의 일측에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밀착되도록 가이드 부재(100)가 형성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릴 때 축 기능을 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뒤틀리지 않고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정의 갭을 두고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얇은 판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축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어느 형상이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을 사이에 두고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 양쪽에 형성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양측면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 한 쪽에만 형성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일측면에서만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 모듈(53)에 일체로 사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로 제작하여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관통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53)의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폴더(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미도시된 버튼을 누르면 모터(56)가 작동되어 감속기어체(57)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카메라 모듈(53)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처럼 카메라 렌즈부(53a)가 휴대폰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도록 회전되기 때문에 편리한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실시예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릴 때 가이드 부재(100)가 가이드 축 기능을 하기 때문에 도 10a에서 도 10c까지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뒤틀리지 않고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일정하게 말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말리면서 LCD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9)과의 간섭으로 인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58)이 폴더(20)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것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및 작용 효과를 갖게 되며, 이 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리게 될 때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축 기능을 하기 때문에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말리게 되며, 따라서 휴대폰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한 쪽면에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본체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폴더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7.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한 쪽면에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별도로 제작되어 카메라 모듈의 관통공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1.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내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키고,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로 전달하여 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감속기어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한 쪽면에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본체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폴더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7. 본체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내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키고,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로 전달하여 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감속기어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연장 절곡되고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말릴 때 가이드 축 기능을 하여 일정하게 말릴 수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카메라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한 쪽면에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별도로 제작되어 카메라 모듈의 관통공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2003-0007773A 2003-02-07 2003-02-07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9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73A KR100498980B1 (ko) 2003-02-07 2003-02-07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73A KR100498980B1 (ko) 2003-02-07 2003-02-07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66A true KR20040071866A (ko) 2004-08-16
KR100498980B1 KR100498980B1 (ko) 2005-07-01

Family

ID=3735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73A KR100498980B1 (ko) 2003-02-07 2003-02-07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627B1 (ko) * 2004-10-22 2006-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EP3697076A4 (en) * 2017-10-10 2021-05-19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FOLDABL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627B1 (ko) * 2004-10-22 2006-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EP3697076A4 (en) * 2017-10-10 2021-05-19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FOLDABL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11277505B2 (en) 2017-10-10 2022-03-15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Foldabl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980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7410A1 (en) Foldable type portable terminal with two hinges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7990457B2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EP1843555B1 (en) Slim portable terminal
US7603149B2 (en) Swivel-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344950A (ja) 電子機器のfpcb
CN110324446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209964100U (zh) 移动终端及安装驱动模组
KR20050041912A (ko) 휴대통신기기
KR10049898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20030003056A (ko) 휴대형 단말기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050073163A (ko)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20050079900A1 (en) Structure of a folder-style mobile phone
KR100640838B1 (ko) 회전형 카메라모듈의 비고정식 접점구조 및 이를 적용한휴대폰
JP4096735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6894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232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안테나 장치
KR1006105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KR100640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fpcb 구조 및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55345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KR200172578Y1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134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40057648A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