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551A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551A
KR20040070551A KR1020030006710A KR20030006710A KR20040070551A KR 20040070551 A KR20040070551 A KR 20040070551A KR 1020030006710 A KR1020030006710 A KR 1020030006710A KR 20030006710 A KR20030006710 A KR 20030006710A KR 20040070551 A KR20040070551 A KR 2004007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gd
rendering
integrated
series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워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워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워게이트
Priority to KR102003000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0551A/ko
Priority to JP2003363661A priority patent/JP2005056373A/ja
Publication of KR2004007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56Indirect interconnec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업체(기관)측 콘솔(Console)들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영상물들을 1:N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타겟 영상물들을 다수의 렌더링 툴들을 통해, 분산·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업체측 필요 영상물들이 통합 환경 내에서, 병렬로 고속 랜더링 처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각 업체(기관)측에서, 자체 컴퓨터 자원의 활용 없이도, 소기의 렌더링 영상물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업체(기관)측에서 요청한 다수의 영상물들이 병렬로 속성 렌더링 처리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이 제공되는 경우, 각 업체(기관)측에서는 영상물 자체 렌더링 프로세스의 진행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제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해당 업체(기관)측에서는 고가 컴퓨터 자원의 자체 구비에 따른 비용 소요의 문제점, 타겟 영상물의 렌더링 결과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Integrate system for rendering a graphic data based on the on-line network and method for handling a rendering target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업체(기관)측 콘솔(Console)들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영상물들을 1:N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타겟 영상물들을 다수의 렌더링 툴들을 통해, 분산·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업체측 필요 영상물들이 통합 환경 내에서, 병렬로 고속 랜더링 처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각 업체(기관)측에서, 자체 컴퓨터 자원의 활용 없이도, 소기의 렌더링 영상물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통합 렌더링 시스템을 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그래픽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예컨대, 에니메이션 등과 같은 일련의 가상 영상물을 그 형상이나 위치, 광원 등의 외부 정보를 토대로, 실감나는 화상으로 표현하는 렌더링 기술 또한 급격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01-113720 호 "영상 렌더링 방법 및 장비",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02-12598 호 "영상들을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02-31179 호 "굴절이 있는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02-63917 호 "렌더링 디바이스 및 장치",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02-84216 호 "트랜스마킹, 렌더링 명령들로서의 워터마크 삽입 기능들, 및 멀티미디어 신호들의 특징-기반 워터마킹"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더링 절차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통상, 종래의 체제 하에서, 영상물을 생산·공급하는 업체(기관)에서는 일련의 렌더링 절차를 자체 보유 컴퓨터 자원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의 렌더링 절차는 일반적인 영상 디자인 절차를 능가하는 고도의 화상가공 절차이기 때문에, 만약, 각 업체(기관)에서, 소정의 타겟 영상물을 자체 보유중인 컴퓨터 자원을 통해, 일일이 렌더링 처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체 보유 컴퓨터 자원이 대량으로 장시간 소모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종래의 자체 렌더링 처리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영상물을 생산·공급하는 업체에서는 고가 컴퓨터 자원의 자체 구비에 따른 비용 소요의 문제점, 해당 영상물의 렌더링 결과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원인으로 하여, 영상물 공급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 각 업체(기관)와 관계를 맺은 다수의 이해당사자들 역시 예측하지 못한 선의의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업체(기관)측 콘솔들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영상물들을 1:N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타겟 영상물들을 다수의 렌더링 툴들을 통해, 분산·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업체측 필요 영상물들이 통합 환경 내에서, 병렬로 고속 랜더링 처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각 업체(기관)측에서, 자체 컴퓨터 자원의 활용 없이도, 소기의 렌더링 영상물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각 업체(기관)측에서 요청한 다수의 영상물들을 병렬로 속성 렌더링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각 업체(기관)측의 영상물 자체 렌더링 프로세스 진행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제시킴으로써, 해당 업체(기관)측에서, 고가 컴퓨터 자원의 자체 구비에 따른 비용 소요의 문제점, 타겟 영상물의 렌더링 결과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GD 선택 추출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더링 실행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SGD 플랫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SGD 추출 리스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SGD 전송 리스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SGD(Source Graphic Data; 이하, "SGD"라 칭함) 저작 툴을 구비한 상태에서, 통신망에 접속 중인 다수의 업체(기관)측 콘솔들에 개별 설치되며, 위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SGD를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SGD를 특정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SGD를 압축하여,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과, 앞의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과 선택적으로 1:N 신호 연결되며,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로부터 출력된 각 SGD를 일괄 취합하여 압축 해제한 후, 압축 해제된 SGD의 렌더링 분산 실행을 외부 지시함과 아울러, 렌더링 실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오류를 체크하고, 렌더링 처리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여저장 관리하는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와, 앞의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와 병렬로 신호 연결되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의 제어 하에, SGD를 분산 렌더링 처리하여,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다수의 렌더링 실행 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SGD 렌더링 의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SGD 의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SGD를 선택적으로 개방한 후, 개방 완료된 SGD를 검색하여,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 검출하는 단계와,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 체크 결과에 따라, 전체 SGD 중 키 정보와 연관된 일련의 추출 대상 SGD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추출 대상 SGD 내역이 반영된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 SGD 추출 리스트를 토대로 하여, 전체 SGD 중 추출 대상 SGD를 선택 추출하는 단계와, 선택 추출된 SGD를 토대로 하여, 해당 SGD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SGD 전송 리스트 및 SGD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100)은 크게, 일련의 SGD 저작 툴(2)을 구비한 상태에서,통신망(200)에 접속 중인 다수의 업체(기관)측 콘솔(1)들에 개별 설치되는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들과, 앞의 통신망(200)을 매개로 하여,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들과 선택적으로 1:N 신호 연결되는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와, 이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와 병렬로 신호 연결되는 다수의 렌더링 실행 툴(40)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들은 업체(기관)측 콘솔(1)에 설치된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SGD(300)를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SGD(300)를 예컨대,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SGD(300)를 압축하여, 통신망(20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는 앞의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들로부터 출력된 각 SGD(300)를 일괄 취합하여 압축 해제한 후, 압축 해제된 SGD(300)의 렌더링 분산 실행을 외부 지시함과 아울러, 렌더링 실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오류를 체크하고, 렌더링 처리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렌더링 실행 툴(40)들은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의 제어 하에, SGD(300)를 분산 렌더링 처리하여,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는 크게, SGD 핸들링 콘트롤러(11), SGD 선택 추출모듈(12), SGD 변환모듈(13), 압축 관리모듈(14), 통신 보안모듈(15), 통신모듈(16)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SGD 선택 추출모듈(12), SGD변환모듈(13), 통신 보안모듈(15) 및 압축 관리모듈(14)의 동작상황을 총괄·제어함과 아울러, 압축 관리모듈(14)에 의해 압축 완료된 SGD(300)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SGD 선택 추출모듈(12)은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전체 SGD(300) 중 렌더링 절차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SGD만을 선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SGD 변환모듈(13)은 앞의 SGD 선택 추출모듈(12)에 의해 선별 추출된 SGD(300)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압축 관리모듈(14)은 앞의 SGD 변환모듈(13)에 의해 변환 완료된 SGD(300)를 압축·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통신 보안모듈(15)은 앞의 압축 관리모듈(14)에 의해 압축 완료된 SGD(300)에 일련의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 모듈(16)은 SGD 핸들링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통신 보안모듈(15)에 의해 보안 암호가 설정된 SGD(300)를 통신망(200)을 매개로 하여,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SGD 선택 추출모듈(12)은 크게, SGD 추출 관리부(3), SGD 개방부(5), SGD 검색부(7), SGD 설정내역 체크부(4),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 SGD 추출부,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9)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SGD 추출 관리부(3)는 인터페이스부(3a)를 매개로 하여, 앞의 SGD 핸들링 콘트롤러(1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SGD 개방부(5),SGD 검색부(7), SGD 설정내역 체크부(4),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 SGD 추출부(6) 및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9)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SGD 개방부(5)는 앞서 언급한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SGD(3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SGD 검색부(7)는 SGD 개방부(5)에 의해 개방된 SGD(300)를 예컨대, 확장자별로 검색하여, 이 SGD(300)에 기록된 여러 정보들 중, 사전에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SGD 설정내역 체크부(4)는 SGD 검색부(7)에 의해 검색된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 예컨대, 키 정보의 경로가 업체(기관)측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는가의 여부, 키 정보의 파일명이 업체(기관)측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는가의 여부 등을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는 SGD 설정 내역 체크부(4)의 체크 결과에 따라, 전체 SGD(300) 중 키 정보와 연관된 추출 대상 SGD(300)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추출대상 SGD(300)를 토대로 하여,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SGD 추출부(6)는 앞의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에 의해 생성된 SGD 추출 리스트를 토대로 하여, 전체 SGD(300) 중 일련의 추출 대상 SGD(300)를 선택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9)는 SGD 추출부(6)에 의해 선택 추출된 SGD(300)를 토대로 하여, 해당 SGD(300)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후, 후술하는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에서는 이 SGD 전송 리스트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 고유의 통합 렌더링 절차를 좀더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200)을 매개로 하여, SGD 핸들링 에이전트(10)와 통신하는 렌더링 관리 서버(20)는 크게,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 및 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압축 관리모듈(36),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3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상술한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전송된 SGD(300)를 일괄 취합한 후, 해당 SGD(300)의 분산 렌더링 절차를 총괄·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압축 관리모듈(36)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23)을 매개로,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전송되는 SGD(300)의 압축을 해제하는 프로세스",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압축하는 프로세스" 등을 진행하여, SGD(300)의 압축상태를 탄력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은 각 렌더링 실행 툴(40)들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해당 렌더링 실행 툴(40)들의 개별 작업 상황에 맞추어, SGD(300)의 렌더링 작업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35)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앞의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정상 유무, 예컨대,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있는가의 여부"등을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더링 관리 서버(20)에는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통신 보안모듈(22), 통신상태 체크모듈(32),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 렌더링 결과 데이터 저장 관리모듈(24), 운영 관리모듈(26), 과금 관리모듈(25) 등이 더 배치된다.
여기서, 통신 보안모듈(22)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23)을 매개로,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전송되는 SGD(10)의 보안 암호를 해제하는 프로세스",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에 소정의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프로세스" 등을 진행하여, SGD(300)의 보안 암호상태를 탄력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상태 체크모듈(32)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각 렌더링 실행 툴과(40)의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고, 만약, 각 렌더링 실행 툴(40)과의 네트워킹 상태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 측으로 신속하게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에러 메시지, 렌더링 경고 메시지 등을 체크하고, 그 결과를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로 신속하게 통지함으로써, 만약, 렌더링 실행 툴(40)들에 의한 렌더링 절차에 일련의 오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예컨대,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에 의한 재 작업 지시를 통해 해당 오류 상황이 탄력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렌더링 결과 데이터 저장 관리모듈(24)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35)에 의해 체크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D/B 관리모듈(27)과의 교신을 통해,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예컨대, 렌더링 결과 D/B(29)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모듈(27)은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함께, 운영 관리모듈(26)은 D/B 관리모듈(27)과의 교신을 통해, 운영관리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운영정보, 예컨대, "각 업체(기관)의 로그인 아이디, 각 업체(기관)의 로그인 비밀번호, 각 업체(기관)측 콘솔의 등록정보, 각 업체(기관)의 주소지 정보, 각 업체(기관)의 연락처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운영정보를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에 의한 세부적인 통합 렌더링 관리 절차가 좀더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과금 관리모듈(25)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각 SGD 렌더링 의뢰 업체(기관)의 렌더링 과금 발생현황을 모니터링 한 후, D/B 관리모듈(27)과의 교신을 통해, 해당 과금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예컨대, 과금 D/B(30)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과금 D/B(30)에는 "각 업체(기관)의 과금 발생현황, 각 업체(기관)의 결제계좌 내역, 각 업체(기관)의 과금 계약내역‥‥" 등과 같은 일련의 과금 관련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각 렌더링 실행 툴(40)들은 크게, 렌더링 관리모듈(41), 렌더링 실행엔진(46), 데이터 포맷 변환모듈(42)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렌더링 관리모듈(41)은 통신모듈(45)을 매개로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의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의 지시에 따라, 일련의 SGD 렌더링 절차를 총괄적으로 진행·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렌더링 실행 엔진(46)은 렌더링 관리모듈(41)의 제어 하에, SGD(300)를 영상 가공 메모리(48)의 렌더링 영역(48a)에 로딩시킨 후, 일련의 렌더링 루틴을 실행시켜, SGD(300)를 실질적으로 렌더링 가공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메모리 인터페이스(47)는 렌더링 실행엔진(46) 및 영상 가공 메모리(48) 사이를 매개하여, 렌더링 실행엔진(46)에 의한 일련의 렌더링 가공절차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데이터 포맷 변환모듈(42)은 렌더링 관리모듈(41)의 제어 하에, 렌더링 실행 엔진(46)으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포맷을 상술한 업체(기관)측 콘솔(1)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더링 실행 툴(40)들에는 앞의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작업 추적모듈(44), 통신상태 체크모듈(43) 등이 더 배치된다.
여기서, 작업 추적모듈(44)은 통신모듈(45)을 매개로 통합 렌더링 관리서버(20) 측의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렌더링 실행엔진(46)의 렌더링 작업상황을 프로세스 아이디(Process ID)별로 추적 관리하고, 만약, 렌더링 실행엔진(46)의 작업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일련의 렌더링 에러 메시지, 렌더링 경고 메시지 등을 생성하여, 이를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서버(20) 측에 의한 일련의 렌더링 오류 상황 치유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통신상태 체크모듈(43)은 통신모듈(45)을 매개로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의 통신상태 체크모듈(32)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고, 만약,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과의 네트워킹 상태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렌더링 관리모듈(41) 측으로 신속하게 통지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의 이상 상황이 신속하게 치유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100)을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유의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은 콘솔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100) 및 서버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콘솔(1)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영상물을 생산·공급하는 업체(기관)에서는 콘솔(1)에 설치된 SGD 저작 툴(2)을 활용하여, 자사(자 기관)가 원하는 일련의 SGD(300)를 저작·생성한 후,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를 실행시켜, SGD(300)의 렌더링을 의뢰한다.
이 상황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콘솔(1)측 운영체제(도시안됨)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일련의 SGD 렌더링 의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이때, 별도의 SGD 렌더링 의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플로우를 단계 S10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업체(기관)측의 전산작업에 의해 일련의 SGD 렌더링 의뢰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SGD 선택 추출모듈(12)을 활용하여,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SGD(3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한 후, 개방 완료된 SGD(300)를 검색하여,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 검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03,S104).
이러한 절차 내에서, SGD 선택 추출모듈(12)의 SGD 개방부(5)는 앞서 언급한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SGD(3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랫폼(401)으로 선택·개방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SGD 검색부(7)는 SGD 개방부(5)에 의해 개방된 SGD(300)를 예컨대, 확장자별로 검색하여, 이 SGD(300)에 기록된 여러 정보들 중, 사전에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앞의 과정을 통해, SGD 저작 툴(2)에 의해 저작된 SGD(300) 중,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이 선택적으로 검출·완료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SGD선택 추출모듈(12)의 활용을 통해, 앞서 언급한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를 체크하는 절차, 예컨대, 키 정보의 경로가 업체(기관)측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는가의 여부, 키 정보의 파일명이 업체(기관)측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는가의 여부 등을 체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05).
이러한 절차 내에서, SGD 선택 추출모듈(12)의 SGD 설정내역 체크부(4)는 콘솔(1) 측과의 신속한 교신을 통해, SGD 검색부(7)에 의해 검색된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SGD 추출 관리부(3)로 보고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예컨대, 키 정보인 "xx.JPG 파일"이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xx.JPG 파일의 경로 "C:/work/‥‥/"이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아, 키 정보의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xx.JPG 파일이 존재하지 않사오니, 해당 파일의 위치를 정확히 입력하신 후,‥‥" 등과 같은 일련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06).
이 상황에서,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콘솔(1) 측으로부터 일련의 수정 정보가 입력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7).
이때, 업체(기관) 측에서, 앞의 오류 메시지를 숙지하고,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여, 콘솔(1) 측으로부터 일련의 수정 정보가 입력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SGD 선택 추출모듈(12)을 활용하여, 키 정보의 설정내역을 변경하고(단계 S108), 플로우를 단계 S104로 리턴 함으로써, 후술하는 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앞의 단계 S105에서, 키 정보인 "xx.JPG 파일"이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고, xx.JPG 파일의 경로 "C:/work/‥‥/" 또한 콘솔(1)의 데이터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여, 키 정보의 실효성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전체 SGD(300) 중 앞의 키 정보와 연관된 일련의 추출 대상 SGD(300)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추출 대상 SGD(300) 내역이 반영된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09).
이러한 절차 내에서, SGD 선택 추출모듈(12)의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는 SGD 설정 내역 체크부(4)의 체크 결과에 따라, 전체 SGD(300) 중 키 정보와 연관된 추출 대상 SGD(300)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추출대상 SGD(300)를 토대로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402)를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SGD 추출 리스트(402)의 생성이 완료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SGD 선택 추출모듈(12)을 활용하여, "앞의 SGD 추출 리스트(402)를 토대로 전체 SGD(300) 중 추출 대상 SGD(300)를 선택 추출하는 절차", "선택 추출된 SGD(300) 및 업체(기관)측 옵션을 토대로 하여, 해당 SGD(300)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를 생성하는 절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단계 S110,S111,S112).
이러한 절차 내에서, SGD 추출부(6)는 앞의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8)에 의해 생성된 SGD 추출 리스트(402)를 토대로 하여, 전체 SGD(300) 중 일련의 추출 대상 SGD(300)를 선택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9)는 SGD추출부(6)에 의해 선택 추출된 SGD(300) 및 업체(기관)측 옵션을 토대로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SGD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403)를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SGD 전송 리스트(403)에는 예컨대, 업체(기관)측 로그인 아이디, 업체(기관)측 로그인 비밀번호, 업체(기관)측에서 설정한 렌더링 관련 옵션, 각 키 정보들의 서버(20) 내 로딩 위치‥‥" 등이 담겨진다.
앞의 과정을 통해, SGD 전송 리스트(403)의 생성이 완료되면,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그 즉시, SGD(300)를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SGD(300) 및 앞의 SGD 전송 리스트(403)를 압축하고, 압축 완료된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에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13,S114,S115).
이러한 절차 내에서, SGD 변환모듈(13)은 앞의 SGD 선택 추출모듈(12)에 의해 선별 추출된 SGD(300)를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압축 관리모듈(14)은 SGD 변환모듈(13)에 의해 변환 완료된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를 압축·관리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통신 보안모듈(15)은 압축 관리모듈(14)에 의해 압축 완료된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에 일련의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후, SGD 핸들링 콘트롤러(11)는 통신 보안모듈(15)에 의해 보안 암호가 설정된 SGD(300)를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콘솔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100)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서버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단계 S100이 선 진행된 상황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측의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인터페이스 모듈(23)을 체크함으로써,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일련의 변환 SGD/SGD 전송 리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이때,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별도의 변환 SGD/SGD 전송 리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플로우를 단계 S20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앞의 단계 S100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되어,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일련의 변환 SGD/SGD 전송 리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통신 보안모듈(22), 압축 관리모듈(36), 운영 관리모듈(26) 등을 활용하여, SGD(300)/SGD 전송 리스트(403)의 암호/압축을 해제하고,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를 송출한 업체(기관)의 정당성 여부를 인증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203,S204).
이러한 절차 내에서, 압축 관리모듈(36)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전송되는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의 압축을 해제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통신 보안모듈(22)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SGD 핸들링 에이전트(10)로부터 전송되는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의 보안 암호를 해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SGD(300) 및 SGD 전송 리스트(403)의 압축/암호 등이해제되고, 업체(기관)측의 정당성 여부가 인증되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을 활용하여, 일련의 SGD 렌더링 작업을 렌더링 실행 툴(40)들의 개별 작업 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205).
이러한 절차 내에서, 렌더링 실행 툴(40)들의 렌더링 관리모듈(41)은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의 지시에 따라, 일련의 SGD 렌더링 절차를 총괄적으로 진행·관리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렌더링 실행 엔진(46)은 렌더링 관리모듈(41)의 제어 하에, SGD(300)를 영상 가공 메모리(48)의 렌더링 영역(48a)에 로딩시킨 후, 일련의 렌더링 루틴을 실행시켜, SGD(300)를 실질적으로 렌더링 가공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모듈(42)은 렌더링 관리모듈(41)의 제어 하에, 렌더링 실행 엔진(46)으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포맷을 상술한 업체(기관)측 콘솔(1)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작업 추적모듈(44)은 렌더링 실행엔진(46)의 렌더링 작업상황을 프로세스 아이디별로 추적 관리하고, 만약, 렌더링 실행엔진(46)의 작업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일련의 렌더링 에러 메시지, 렌더링 경고 메시지 등을 생성하여, 이를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 측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통신상태 체크모듈(43)은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고, 만약,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20) 측과의 네트워킹 상태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렌더링 관리모듈(41) 측으로 신속하게 통지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물론, 이러한 렌더링 실행 툴(40)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더불어 서버(20)측의 각 구성요소들, 예컨대,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 통신상태 체크모듈(32) 등도 일련의 SGD 렌더링 보조 과정을 동시에 진행한다.
일례로, 통신상태 체크모듈(32)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각 렌더링 실행 툴(40)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고, 만약, 각 렌더링 실행 툴(40)과의 네트워킹 상태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11) 측으로 신속하게 통지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렌더링 오류 데이터 체크모듈(34)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의 제어 하에,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에러 메시지, 렌더링 경고 메시지 등을 체크하고, 그 결과를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로 신속하게 통지함으로써, 만약, 렌더링 실행 툴(40)들에 의한 렌더링 절차에 일련의 오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예컨대,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에 의한 재 작업 지시를 통해 해당 오류 상황이 탄력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렌더링 실행 툴(40)들의 동작상황을 체크함으로써, 해당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가 출력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6).
이때, 각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별도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플로우를 단계 S207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각 렌더링 실행 툴(40)들로부터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가 출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35)을 활용하여,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정상 유무, 예컨대,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있는가의 여부" 등을 체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208,S209).
이때, 렌더링 결과 데이터에 일련의 결함이 발견되는 경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33)을 활용하여, 렌더링 실행 툴(40)로 렌더링 작업의 재실행을 지시하고, 이를 통해,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결함을 수정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210).
그러나, 앞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에 별도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렌더링 결과 데이터 저장 관리모듈(24)을 활용하여,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예컨대, 렌더링 결과 D/B(29)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가 추후, 각 업체(기관)측에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마련한다(단계 S2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각 업체(기관)측 콘솔(1)들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영상물들을 1:N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타겟 영상물들을 다수의 렌더링 툴(40)들을 통해, 분산·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업체(기관)측 필요 영상물들이 통합 환경 내에서, 병렬로 고속 랜더링 처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 각 업체(기관)측에서는 자체 컴퓨터 자원의 활용 없이도, 소기의 렌더링 영상물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업체(기관)측에서 요청한 다수의 영상물들이 병렬로 속성 렌더링 처리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이 제공되는 경우, 각 업체(기관)측에서는 영상물 자체 렌더링 프로세스의 진행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제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해당 업체(기관)측에서는 고가 컴퓨터 자원의 자체 구비에 따른 비용 소요의 문제점, 타겟 영상물의 렌더링 결과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211이 진행된 상황에서,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예컨대, SGD 전송 리스트(403)에 기재된 업체(기관)측 옵션 내역을 체크하여, 해당 업체(기관)측에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온라인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2,S213).
이때, 해당 업체(기관)측에서, 옵션을 통해,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온라인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 경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그 즉시,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에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214,S215).
이러한 절차 내에서, 압축 관리모듈(36)은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압축·관리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통신 보안모듈(22)은 압축 관리모듈(36)에 의해 압축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에 일련의 보안 암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후,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21)은 통신 보안모듈(22)에 의해 보안 암호가 설정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매개로 하여, SGD 핸들링 에이전트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서버측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단계 S200)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업체(기관)측 콘솔들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영상물들을 1:N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타겟 영상물들을 다수의 렌더링 툴들을 통해, 분산·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업체측 필요 영상물들이 통합 환경 내에서, 병렬로 고속 랜더링 처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각 업체(기관)측에서, 자체 컴퓨터 자원의 활용 없이도, 소기의 렌더링 영상물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업체(기관)측에서 요청한 다수의 영상물들이 병렬로 속성 렌더링 처리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이 제공되는 경우, 각 업체(기관)측에서는 영상물 자체 렌더링 프로세스의 진행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제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해당 업체(기관)측에서는 고가 컴퓨터 자원의 자체 구비에 따른 비용 소요의 문제점, 타겟 영상물의 렌더링 결과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일련의 SGD(Source Graphic Data) 저작 툴을 구비한 상태에서, 통신망에 접속 중인 다수의 업체(기관)측 콘솔(Console)들에 개별 설치되며, 상기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SGD를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SGD를 특정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SGD를 압축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과;
    상기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상기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과 선택적으로 1:N 신호 연결되며, 상기 SGD 핸들링 에이전트들로부터 출력된 각 SGD를 일괄 취합하여 압축 해제한 후, 압축 해제된 SGD의 렌더링 분산 실행을 외부 지시함과 아울러, 렌더링 실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오류를 체크하고, 렌더링 처리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 관리하는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와;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와 병렬로 신호 연결되며,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SGD를 분산 렌더링 처리하여,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다수의 렌더링 실행 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GD 핸들링 에이전트는 상기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전체 SGD 중 렌더링 절차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SGD만을 선별 추출하는 SGD 선택 추출모듈과;
    상기 SGD 선택 추출모듈에 의해 선별 추출된 SGD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SGD 변환모듈과;
    상기 SGD 변화모듈에 의해 변환 완료된 SGD를 압축·관리하는 압축 관리모듈과;
    상기 SGD 선택 추출모듈, SGD 변환모듈 및 압축 관리모듈의 동작상황을 총괄·제어하며, 상기 압축 관리모듈에 의해 압축 완료된 SGD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SGD 핸들링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GD 선택 추출모듈은 상기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SGD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SGD 개방부와;
    상기 SGD 개방부에 의해 개방된 SGD를 검색하여,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 검출하는 SGD 검색부와;
    상기 SGD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를 체크하는 SGD 설정내역 체크부와;
    상기 SGD 설정 내역 체크부의 체크 결과에 따라, 전체 SGD 중 키 정보와 연관된 추출 대상 SGD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추출대상 SGD를 토대로 하여,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를 생성하는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SGD 추출 리스트를 토대로 하여, 전체 SGD 중 추출 대상 SGD를 선택 추출하는 SGD 추출부와;
    상기 SGD 추출부에 의해 선택 추출된 SGD를 토대로 하여, 해당 SGD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를 생성하는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SGD 개방부, SGD 검색부, SGD 설정내역 체크부, SGD 추출 리스트 생성부, SGD 추출부 및 SGD 전송 리스트 생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SGD 추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는 상기 SGD 핸들링 에이전트로부터 전송된 상기 SGD를 일괄 취합한 후, 해당 SGD의 분산 렌더링 절차를 총괄·관리하는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SGD의 압축상태를 관리하는 압축 관리모듈과;
    상기 렌더링 실행 툴들 및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렌더링 실행 툴들의 개별 작업 상황에 맞추어, 상기 SGD의 렌더링 작업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렌더링 작업지시 관리모듈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렌더링 실행 툴들로부터 출력된 상기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정상 유무를 체크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렌더링 결과 데이터 체크모듈에 의해 체크 완료된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 저장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렌더링 실행 툴들은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SGD의 렌더링 절차를 총괄·관리하는 렌더링 관리모듈과;
    상기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렌더링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SGD를 실질적으로 렌더링 가공하여, 일련의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더링 실행 엔진과;
    상기 렌더링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렌더링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렌더링 실행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렌더링 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해당 렌더링 결과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업체(기관)측 콘솔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6. 일련의 SGD 저작 툴을 구비한 상태에서,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 측에 접속 중인 다수의 업체(기관)측 콘솔들에 개별 설치되는 SGD 핸들링 에이전트의 주도로 진행되며,
    일련의 SGD 렌더링 의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SGD 의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SGD 저작 툴에 의해 저작된 SGD를 선택적으로 개방한 후, 개방 완료된 SGD를 검색하여, 미리 정해진 키 정보만을 선택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키 정보의 실효성 여부 체크 결과에 따라, 전체 SGD 중 상기 키 정보와 연관된 일련의 추출 대상 SGD를 선정하고, 선정 완료된 상기 추출 대상 SGD 내역이 반영된 일련의 SGD 추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SGD 추출 리스트를 토대로 하여, 전체 SGD 중 추출 대상 SGD를 선택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추출된 SGD를 토대로 하여, 해당 SGD의 전송에 필요한 일련의 SGD 전송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SGD 전송 리스트 및 SGD를 상기 통합 렌더링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KR1020030006710A 2003-02-04 2003-02-0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KR20040070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710A KR20040070551A (ko) 2003-02-04 2003-02-0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JP2003363661A JP2005056373A (ja) 2003-02-04 2003-10-23 オンライン網を基盤とする統合レンダリング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網を基盤とするレンダリングターゲットデータハンドリン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710A KR20040070551A (ko) 2003-02-04 2003-02-0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551A true KR20040070551A (ko) 2004-08-11

Family

ID=3437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710A KR20040070551A (ko) 2003-02-04 2003-02-0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56373A (ko)
KR (1) KR200400705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3724B (zh) * 2008-01-11 2012-03-28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的分布式多线程字幕渲染和播出方法
CN109615684A (zh) * 2018-12-12 2019-04-12 江苏赞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去中心化在线渲染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56373A (ja)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3585A (zh) 测试监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78200A1 (en) Secure incident investigation event capture
US7987254B2 (en) Automation network, remote access server for an autom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operating data between an automation system and a remote computer
KR20160063381A (ko) 시험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원격 컴퓨팅 장치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터랙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03058395A (ja) ログ収集解析システム、ログ収集方法、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ログ収集プログラム、ログ解析方法、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ログ解析プログラム、ログ収集装置、ログ解析装置、ログ収集端末、ログサーバ
CN104137154A (zh) 用于管理视频数据的系统和方法
CN101779217A (zh) 远程健康监视和控制
JP2010055153A (ja) 秘密情報の非表示化方法
CN103873547A (zh) 存储区域网
WO2021021302A1 (en) Secure investigations platform
CN104982002A (zh) 视频签名系统及方法
CN114003473A (zh) 一种页面操作行为的回溯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30316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r training
JP2003216562A (ja) 可視化処理システム、可視化処理方法及び可視化処理プログラム
CN114676205A (zh) 事件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2005100087A (ja) 現場監視システムおよび現場監視方法
CN114727069A (zh) 一种充电站维护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060123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pplication software for streaming ser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ftware streaming service with network fault tolerance
CN109657167A (zh) 数据采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87387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log-output method
KR20040070551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렌더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렌더링 타겟 데이터 핸들링 방법
US11630684B2 (en) Secure incident investigation workspace generation and investigation control
CN101344740A (zh) 图像形成装置,程序控制方法及程序
CN105491118B (zh) 一种航电以太网数据加载系统
CN101657857A (zh) 用于工作流接口的消息机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