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878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878A
KR20040069878A KR1020030006432A KR20030006432A KR20040069878A KR 20040069878 A KR20040069878 A KR 20040069878A KR 1020030006432 A KR1020030006432 A KR 1020030006432A KR 20030006432 A KR20030006432 A KR 20030006432A KR 20040069878 A KR20040069878 A KR 2004006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packet data
terminal
message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878A/ko
Publication of KR2004006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상기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이동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과 연결되는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구성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코드분할 다중접속2000 1엑스(CDMA2000 1X)의 패킷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패킷데이터망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고, 상기 아이디들을 입력받은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에게 아이피 주소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METHOD FOR ASSIGNING IP ADDR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1X EVDO 및 EVDV망에서 핸드오프시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IS-707에서 패킷데이터 단말의 형태는 중계 모델(Relay Model)과 네트워크 모델(Network Model)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함)2000 1X 패킷데이터망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단말(Mobile Terminal : MT)은 대부분 상기 중계 모델이다. 상기 중계 모델의 이동단말은 레이어2(Layer2) 레벨의 중계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히 모뎀으로 동작한다. 실제 패킷 서비스를 위한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 이하 "PPP"라 칭함) 설정이나 응용 등은 상기 이동단말에 연결된 단말장치(Terminal Equipment : TE)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하나의 이동단말은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들을 서비스할 수 없다. 즉, 하나의 이동단말은 하나의 단말장치를 서비스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모델의 이동단말은 PPP뿐만 아니라 TCP/IP 계층을 포함하고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모델의 이동단말은 PPP 설정을 할 수 있고,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 이하 "IP"라 칭함) 주소를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모델의 이동단말이 단말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받은 패킷데이터를 인터넷으로 포워딩 해주고, 인터넷으로부터 입력되는 패킷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모델의 이동단말은 기본적인 호 설정에 관한 기술만 있을 뿐, 이동성과 관련된 기술은 현재 없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MA2000 1X 패킷데이터 망에서 다중(Multiple) 단말장치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델에 대한 기술이 없다. 즉, 하나의 이동단말은 하나의 PPP 링크만을 가지고, 상기 PPP 셋업 중에 할당받은 하나의 IP 주소를 갖기 때문에, 복수개의 단말장치들을 연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1X 패킷데이터 망에서 복수개의 단말장치들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1X 패킷데이터 망에서 복수개의 단말장치들이 이동성을 갖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상기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이동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과 연결되는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구성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코드분할 다중접속2000 1엑스(CDMA2000 1X)의 패킷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패킷데이터망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아이디들을 입력받은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에게 아이피 주소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이동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과 연결된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구성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제1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로 이동하여 핸드오프 발생시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은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P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망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 별 IP 주소 할당을 위한 DHCP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패킷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할당에 관한 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로 IP 주소 재설정에 관한 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상적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제거에 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적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제거에 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시 IP 주소의 할당에 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P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망 구조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각 기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 이하 "IP"라고 칭함)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Terminal Equipment : 이하 "TE"라고 칭함)(111)는 노트북 등의 장치로서, 여러 단말장치들과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된다. 상기 TE(111)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이하 "DHCP"라 칭함) 클라이언트(Client)로서 동작한다. 상기 DHCP는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신규약이다. 또한 상기 DHCP는 RFC2131에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무결정성(Seamless)하게 동적으로 네트워크 형상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 이하 "PDSN"이라 칭함)(103)은 상기 TE(111)가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TE(111)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상기 PDSN(103)은 정적 라우팅 테이블(Static Routing Table)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TE들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TE들에게 전송할 패킷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PDSN(103)은 상기 정적 라우팅 테이블에 상기 TE들의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는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TE들의 IP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버리고(discard),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TE들로 상기 패킷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 PDSN(103)은 DHCP 서버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PDSN(103)은 하나의 PPP 링크로 여러 목적지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패킷데이터를전송할 수 있어야하고, 과금을 위해 상기 TE(111)의 ID별 IP 주소를 관리해야 한다. 무선노드(Radio Node : RN)(102)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PDSN(103)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무선노드(102)는 상기 PDSN(103)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동단말(Mobile Terminal : 이하 "MT"라고 칭함)(101)으로 전달한다.
상기 MT(101)은 상기 TE(111)를 포함한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PDSN(103)과 상기 단말장치들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MT(101)은 복수개의 상기 단말장치들을 지원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상기 MT(101)이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 서버로 동작하여 지원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MT(101)이 DHCP 중계 에이전트(Relay Agent)로 동작하는 방식이다. 상기 MT(101)이 NAT 서버로 동작하여 지원하는 방식에 있어서, 상기 MT(101)은 상기 TE(111)의 네트워크 구성(Network Configuration)을 책임지며, 상기 PDSN(103)은 상기 MT(101)를 일반적인 CDMA2000 단말처럼 인식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단말(101)이 DHCP 중계 에이전트로 동작하여 복수개의 단말장치들을 지원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TE(111)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복수개의 TE들도 동일하게 동작한다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다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프로토콜 계층은 도 2와 도 3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 별 IP 주소 할당을 위한 DHCP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패킷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다. 종래 프로토콜 계층 구조와의 차이점에 있어서, PPP의 종단이 상기 MT(101)이 아니라 상기 TE(111)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TE(111)와 상기 MT(101)의 사이는 직렬 링크(Serial Link) 계층이 아니라 IP 계층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TE(111)가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IP 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TE(111)가 재부팅하거나 임대시간(Lease Time)을 경과하기 전에 IP 주소를 재할당을 요구할 경우, 서비스 종료시 상기 IP 주소를 해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할당에 관한 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TE(111)가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IP 주소를 할당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401단계에서, 상기 TE(111)가 부팅할 경우에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DHCPDISCOVERY[Client ID]를 브로드캐스트 한다. 여기서 상기 DHCPDISCOVERY는 메시지의 일종으로서, 필드 값들은 DHCP 규격을 따르고 있다. 또한 상기 Client ID은 상기 TE(111)을 구분하기 위한 ID로서, 옵션(option)의 값을 상기 TE(111)의 네트워크 처리 ID(Network Access ID : 이하 "NAI"라고 칭함)로 지정한다. 상기 NAI는 클라이언트 식별자이다.
403단계에서, 상기 MT(101)은 상기 TE(111)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DISCOVERY 메시지를 입력받아 DHCP 규격과 같은 메시지로 변경하여 상기 PDSN(103)에 내장된 DHCP 서버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MT(101)은 상기DHCPDISCOVERY 메시지에 Agent Remote ID를 포함시켜 상기 PDSN(103)로 전달한다. 상기 Agent Remote ID는 상기 PDSN(103)이 복수개의 MT들 중 상기 MT(101)을 구분하기 위한 ID이다.
405단계에서, 상기 PDSN(103)은 상기 DHCPDISCOVERY 메시지를 입력받은 상기 Client ID와 상기 Agent Remote ID를 참조하여 상기 TE(111)에 적합한 IP 주소 등의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PDSN(103)는 DHCPOFFER[Server ID, TE's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MT(101)로 전달한다. 상기 DHCPOFFER 메시지는 DHCP 규격에 따라 지정된다.
407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PDSN(103)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OFFER 메시지를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409단계에서, 상기 TE(111)는 상기 MT(101)로부터 상기 DHCPOFFER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TE(111)는 상기 DHCPOFFER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를 가지고 DHCPREQUEST[Client ID, Offered IP Address] 메시지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한다.
411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TE(111)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REQUEST[Client ID, Agent Remote ID, offered IP Address, Offered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PDSN(103)로 전달한다. 상기 MT(101)가 상기 PDSN(103)로 상기 DHCPREQUEST 메시지를 전달할 때, 상기 MT(101)의 NAI를 Agent Remote ID 옵션에 실어 전달한다.
413단계에서, 상기 PDSN(103)는 상기 MT(101)로부터 상기 DHCPREQUEST 메시지를 입력받아 내용을 확인하고, 올바른 설정값이라고 판단되면 DHCPACK를 상기MT(10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PDSN(103)는 할당된 IP 주소를 IP 주소 풀(pool)에서 체크한다. 상기 PDSN(103)은 할당된 IP 주소를 각각의 TE별로 등록한다. 또한 상기 PDSN(103)은 과금을 위해 상기 MT(103)와 관련지어서 상기 TE(111)별 패킷 사용량과 사용시간을 카운트(count)하기 시작한다. 상기 PDSN(103)은 상기 TE(111)로부터 DHCPRESEASE 메시지를 입력받을 때까지 과금을 위해 사용량과 사용시간을 계속 카운트한다.
415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PDSN(103)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ACK를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MT(101)는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한다. 상기 DHCPACK를 입력받은 상기 TE(111)는 인터넷 접속을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로 IP 주소 재설정에 관한 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이전에 사용하였던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를 기본으로 상기 TE(111)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일 예로 상기 TE(111)가 재부팅하거나 임대시간(Lease Time)을 경과하기 전에 IP 주소를 재할당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상기 DHCPDISCOVERY 메시지와 DHCPOFFER 메시지 전송이 필요없다.
501단계에서, 상기 TE(111)는 DHCPREQUEST[Clint ID, Offered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MT(101)로 전달한다. 503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TE(111)로부터 상기 DHCPREQUEST 메시지를 입력받은 상기 PDSN(103)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MT(101)는 Agent Remote ID를 상기 DHCP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달한다.
505단계에서, 상기 PDSN(103)는 입력받은 DHCPREQUEST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이전 네트워크 설정 파라미터로 IP 주소를 재설정한다. 이때, 상기 PDSN(103)는 재설정된 IP 주소를 IP 주소 풀(pool)에서 체크해 놓는다. 또한 상기 PDSN(103)는 DHCPRELEASE 메시지가 입력되기 전까지 과금을 위해 TE별 패킷 사용량과 사용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PDSN(103)는 상기 MT(101)로 DHCPACK를 보낸다. 507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PDSN(103)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ACK를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상기 DHCPACK를 전달받은 상기 TE(111)는 인터넷 접속을 시작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TE(111)가 IP 주소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 두 가지의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나는 정상적인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TE(111)가 IP 주소를 제거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비정상적인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TE(111)를 IP 주소를 제거하는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상적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제거에 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TE(111)가 정상적인 경우의 종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601단계에서, 상기 TE(111)는 DHCPRELEASE[Client ID] 메시지를 상기 MT(101)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DHCPRELEASE 메시지는 파워다운(Power Down)하기 전에 상기 MT(101)에게 알리는 메시지이다. 603단계에서, 상기 MT(101)는 상기 TE(111)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RELEASE 메시지를 상기 PDSN(103)으로 전달한다. 상기 DHCPRELEASE 메시지를 입력받은 상기 PDSN(103)은 할당되었던 IP 주소를 다른 네트워크 설정에 사용할 수 있게 하고, TE별 과금관리를 마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적인 단말장치에서 IP 주소 제거에 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TE(111)가 비정상적인 경우의 종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701단계에서, 상기 MT(101)는 핑(Ping)신호를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상기 핑(Ping)신호는 상기 TE(111)가 동작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신호로서, 상기 MT(101)는 상기 핑(Ping)신호를 상기 TE(111)에게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핑신호는 주기적으로 전달되며,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회수는 시스템 설계시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상기 MT(101)가 상기 TE(111)의 동작이 없다고 판단하면(상기 TE(111)가 비정상적인 상태이면), K번(K times) 더 상기 핑신호를 상기 TE(111)로 전달한다. 상기 TE(111)로 핑신호를 K번 전달하고 리턴신호가 없을 경우(비정상적인 상태), 상기 MT(101)는 7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701단계에서, 상기 TE(111)의 상기 핑신호에 대한 리턴신호가 없는 이유는 상기 TE(111)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703단계에서, 상기 MT(101)는 DHCPRELEASE[Client ID, Agent Remote ID] 메시지를 상기 PDSN(103)을 상기 PDSN(103)로 전달한다. 상기 TE(111)가 비정상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MT(101)가 상기 TE(111)의 IP 주소를 제거하는 DHCPRELEASE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것이다. 상기 PDSN(103)는 상기 MT(101)로부터 상기 DHCPRELEASE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TE(111)에게 할당되었던 IP 주소를 다른 네트워크 설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TE별 과금관리를 마치게 된다.
다음은 PDSN들간 핸드오프(Hand-off)가 발생하였을 경우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MT 및 TE들이 PDSN1에 포함되어 있다가 PDSN2로 이동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PDSN1에서 새로운 상기 PDSN2로 이동했기 때문에, 상기 PDSN2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 MT와 TE들의 IP 주소는 라우터블(Routable)하지 않은 주소가 할당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SN2는 상기 TE의 IP 주소를 재할당해야 한다. 상기 MT의 IP 주소는 PPP 설정을 통해 정해 주지만, 상기 TE의 IP 주소 재할당에 대한 언급이 IS-835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RFC2131에 따르면,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이 상기 TE가 DHCPDISCOVERY 또는 DHCPREQUEST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PDSN간 핸드오프시 상기 TE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임대시간(Lease Time)이 소진되기 전까지 상기 TE는 DHCP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CDMA2000 1X 패킷데이터 망의 PDSN 관점에서 보면, 상기 MT는 기존의 단말과 동일하기 때문에 실제로 IP 주소의 재할당은 상기 MT가 초기화해야 한다. 따라서 IETF의 권고안과는 달리 상기 MT가 PDSN간 핸드오프 후 PPP 설정을 마친 다음, MT가 DHCP 서버인 PDSN을 대신하여 DHCPFORCERENEW 메시지를 각 TE별에게 유니케스트(unicast)로 보냄으로써 재할당이 행해져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시 IP 주소의 할당에 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에서, 본 발명은 새로운 PDSN(핸드오프 이후)의 정적 라우팅 테이블(Static Routing Table)에, TE가 사용하고 있던 IP 주소(핸드오프 이전)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즉, 핸드오프 이후 새로운 TE들의 IP주소가 중복(기존에 사용하는 IP 주소)되었다고 가정한다.
801단계에서, MT는 DHCPFORCERENEW 메시지를 TE로 전달한다. 상기 DHCPFORCERENEW 메시지는 새로운 PDSN으로 변경되었으니(핸드오프가 발생하였으니) IP 주소를 재할당하기 위해, 상기 TE들의 아이디와 핸드오프 발생 이전의 IP 주소를 전달하라는 메시지이다. 803단계에서, 상기 TE는 상기 MT로부터 상기 DHCPFORCERENEW 메시지를 입력받아, DHCPREQUEST[Client ID, Previous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MT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DHCPREQUEST 메시지는 핸드오프 이전의 PDSN으로부터 할당받았던 IP 주소를 포함한다. 상기 MT는 상기 TE로부터 입력받은 DHCPFORCERENEW 메시지에 Agent Remote ID를 포함시켜 PDSN으로 전달한다.
805단계에서, 상기 PDSN은 상기 MT를 통해 상기 TE로 DHCPNAK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DHCPNAK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의 ID를 입력할 것으로 요구하는 메시지이다. 여기서, 상기 PDSN이 상기 DHCPNAK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유는 상기 TE가 사용하고 있던 IP 주소가 상기 PDSN에 등록되어(할당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TE의 IP 주소를 재할당하기 위해, 상기 PDSN은 상기 TE들과 상기 MT에게 ID를 요구하는 것이다.
상기 807단계에서, 상기 TE는 DHCPDISCOVERY[Client ID] 메시지를 상기 MT로 전달한다. 상기 MT는 상기 TE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HCPDISCOVERY 메시지에 Agent Remote ID 메시지를 포함시켜 상기 PDSN으로 전달한다. 809단계에서, 상기 PDSN은 TE들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DHCPOFFER[Sever ID, TE's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MT를 통해 IP 주소들을 TE들로 전달한다. 상기 DHCPOFFER 메시지는 상기PDSN에 포함된 서버의 ID와 할당된 IP 주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811단계에서, 상기 TE는 DHCPREQUEST[Client ID, Offered IP Address] 메시지를 상기 MT로 전달한다. 상기 DHCPREQUEST 메시지를 입력받은 상기 MT는 Agent Remote ID를 포함시켜 상기 PDSN으로 전달한다. 812단계에서, 상기 PDSN은 상기 MT를 통해 상기 TE로 DHCPACK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DHCPACK 메시지를 입력받은 상기 TE는 인터넷 접속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807단계부터 상기 812단계까지와, 상기 도 4의 상기 401단계부터 상기 415단계까지의 과정이 동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CDMA2000 1X 패킷데이터 망을 제공함으로써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고,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모델 이동단말에 접속함으로써 서브넷 단위의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상기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이동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과 연결되는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구성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코드분할 다중접속2000 1엑스(CDMA2000 1X)의 패킷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패킷데이터망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아이디들을 입력받은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에게 아이피 주소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들에게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은;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등록하는 과정과,
    과금을 위해 상기 단말장치들의 사용량과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들에게 상기 아이피 주소를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복수개의 단말장치들과 연결된 이동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과 연결된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구성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제1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로 이동하여 핸드오프 발생시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은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디와 상기 제1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등록된 아이피 주소를 전달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들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들로부터 상기 아이디와 상기 제1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등록된 아이피 주소를 입력받은 상기 이동단말이 자신의 아이디를 포함시켜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아이디 및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은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장치의 아이디와 상기 제1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등록된 아이피 주소와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입력받아, 상기 아이피 주소를 등록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아이피 주소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의 아이디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들과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아이디를 입력받으면,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피 주소를 재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장치들의 아이피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과,
    과금을 위해 상기 단말장치별 패킷데이터 사용량과 사용시간을 카운트를 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06432A 2003-01-30 2003-01-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KR20040069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32A KR20040069878A (ko) 2003-01-30 2003-01-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32A KR20040069878A (ko) 2003-01-30 2003-01-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878A true KR20040069878A (ko) 2004-08-06

Family

ID=3735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432A KR20040069878A (ko) 2003-01-30 2003-01-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8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14B1 (ko) * 2006-08-31 2007-09-20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국 시험장비의 ip 어드레스 자동 할당 방법
EP2413621A4 (en) * 2009-03-27 2015-03-11 Sharp Kk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14B1 (ko) * 2006-08-31 2007-09-20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국 시험장비의 ip 어드레스 자동 할당 방법
EP2413621A4 (en) * 2009-03-27 2015-03-11 Sharp Kk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37833B2 (en) 2009-03-27 2015-09-15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43437B2 (en) 2009-03-27 2017-08-22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8217B1 (en) Mobile IP communication scheme using dynamic address allocation protocol
US6587455B1 (en) Automatic discovery of nodes associated with a virtual subnet
CN101355474B (zh) 请求、分配连接点地址的方法及设备
US66973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onfiguring layer three intermediate computer network devices
JP4723653B2 (ja) Ipアドレス割り当て方法およびその使用
USRE42078E1 (en) Method for preventing IP address cheating in dynamic address allocation
TWI412244B (zh) 在一寬頻無線存取系統中配置一網際網路協定位址的方法
US6678732B1 (en)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for allocating IP addresses to a plurality of clients
US7788345B1 (en) Resource allocation and reclamation for on-demand address pools
JP2006520548A (ja) デュアルスタック変換メカニズムを使用する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0493102C (zh) 一种宽带无线城域网中ip地址的分配方法
US200902407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hcp message via ppp link and for obtain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KR20100036818A (ko) Dhcp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 할당 방법, 그 화상형성장치, 및 dhcp를 이용한 ip주소 할당 시스템
US8195775B2 (en) Enhanc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ngestion in DHCP network system
US20070153753A1 (en) Method of allocating mobile station identifiers in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KR20040076509A (ko) Dhcp 서버를 이용한 이동 ip 통신 방법
KR20070095059A (ko) 효율적인 IPv6용 IP 주소 할당을 위한 전화 접속네트워킹 방법
KR2004006987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JP2004015795A (ja) IPv6無線LAN環境でのIPv4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KR102211187B1 (ko) 멀티 무선망 ip 주소 할당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4007073A (ja) 無線通信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10308763A (ja) 通信システム
KR100692657B1 (ko) IPv 4 및 IPv6 동시 서비스를 위한 전화접속네트워킹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050000222A (ko) 무선랜에서 서브넷간의 효율적인 이동 ip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377628B1 (ko) Dhcp 서버와 bootp 전달 에이전트의 동시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