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123A - 세탁기의 급수구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123A
KR20040069123A KR1020030005577A KR20030005577A KR20040069123A KR 20040069123 A KR20040069123 A KR 20040069123A KR 1020030005577 A KR1020030005577 A KR 1020030005577A KR 20030005577 A KR20030005577 A KR 20030005577A KR 20040069123 A KR20040069123 A KR 2004006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supply
tank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123A/ko
Publication of KR2004006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본 발명은 외조와 내조에 세탁수를 급수시키는 세탁기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수를 샤워 분사시킴으로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구조는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는 내조와, 상기 외조와 내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와 내조로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외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 분사통으로 이루어져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상기 샤워 분사통에 세제가 수납될 수 있어 별도의 세제박스가 필요하지 않고, 세제를 투입하기 용이하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구조 {Water supply structure of a washer}
본 발명은 외조와 내조에 세탁수를 급수시키는 세탁기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수를 샤워 분사시킴으로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로서, 의류에 묻은 때는 세탁액 속에 넣으면 세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섬유에서 떨어지게 되나 세제만의 작용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류를 강제 발생시켜 마찰이나 진동 등의 기계적인 작용을 가하면 때를 손쉽게 빨리 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면에 도어(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내부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4) 및 상기 외조(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도록 내벽면에 다수개의 탈수공(5a)이 형성되는 내조(5)로 이루어진 세탁조(6)와, 상기 내조(5)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에 회전 수류를 형성시키는 펄세이터(8)와, 상기 외조(4) 하부에 상기 내조(5) 및 펄세이터(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조(5) 또는 펄세이터(8)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클러치(10) 및 모터(12)와, 상기 세탁조(6) 상측의 케이스(2)에 내장되어 상기 세탁조(6) 측으로 급수호스(14a)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14)와,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4)와 연결되도록 상기 세탁조(6) 상측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함께 상기 세탁조(6) 내부로 공급되도록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2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4)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세탁수가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세제박스 하우징(22)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세탁수와 함께 공급될 수 있는 세제가 수납되는 세제박스(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은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24) 측으로 샤워 분사되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분사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박스(24)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 하단과 세제박스(24) 하단 사이에 세탁수의 유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도어(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조(5)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상기 세제박스(24)에 적정량의 세제를 수납하여 상기 세제박스(24)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에 장착한 다음, 상기 도어(1)를 닫은 상태에서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여 적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된다.
이때,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4)가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면, 상기 급수호스(14a)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4) 및 세제박스 하우징(22)과 세제박스(24)를 통과하면서 세제와 함께 상기 세탁조(6)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 내부로 급수되면, 상기 펄세이터(8) 및 내조(5)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면서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수행되고, 이와 같이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내조(5)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
물론, 상기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 행정 사이에 간헐 탈수 및 급수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박스(24)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제를 수납한 다음, 상기 세제박스(24)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에 삽입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제를 상기 세제박스(24)에 투입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및 탈수 행정 사이에 간헐 탈수와 급수가 진행되는 경우 간헐 탈수로 인하여 상기 내조(5)가 고속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상기 내조(5) 내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2) 및 세제박스(24)를 통하여 상기 내조(5) 바닥면으로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상기 내조(5) 바닥면에 부딪혀 물튀김 현상이 발생됨으로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수가 소정의 수위 이상으로 급수된 다음, 세탁수와 상기 내조(5)의 내벽면에 부착된 세탁물이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 세탁수와 세탁물의 직접 접촉 시간이 비교적 줄어듦에 따라 세탁 및 헹굼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제 투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세탁수가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샤워 급수되도록 하여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4 : 외조 55 : 내조
56 : 세탁조 64 : 급수밸브 어셈블리
64a : 급수호스 66 : 안내유로
70 : 샤워 분사통 70h : 분사홀
82 : 오토 밸런스 기구 84 : 터브 커버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구조는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는 내조와, 상기 외조와 내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와 내조로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외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 분사통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도어(5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스(52)와, 상기 케이스(52) 내부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54) 및 상기 외조(5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도록 내벽면에 다수개의 탈수공(55a)이 형성되는 내조(55)로 이루어진 세탁조(56)와, 상기 내조(55)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에 회전 수류를 형성시키는 펄세이터(58)와, 상기 외조(54) 하부에 상기 내조(55) 및 펄세이터(5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조(55) 또는 펄세이터(58)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클러치(60) 및 모터(62)와, 상기 세탁조(56) 상측의 케이스(52)에 내장되어 상기 세탁조(56) 측으로 급수호스(64a)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64)와, 상기 외조(54)의 상단에 설치되어 세제가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으로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 분사통(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는 일단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64a)와 연결되고, 타단에 세탁수를 상기 샤워 분사통(70)으로 안내하는 안내유로(66)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내조(55)의 상부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조(55) 회전시 상기 내조(55) 내부에 세탁물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 상기 내조(55)가 상기 외조(54)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조(55)의 균형을유지하기 위하여 오토 밸런스 기구(82)가 장착되고, 상기 외조(54)의 상부에는 상기 내조(55) 회전시 상기 외조(54)와 내조(55) 사이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외조(54) 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부딪힌 다음 다시 상기 내조(55) 상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터브 커버(8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 커버(84) 내주면에는 상기 샤워 분사통(70)의 상단이 고정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샤워 분사통(70)은 상기 오토 밸런스 기구(82) 내둘레 측에 위치되도록 상단이 상기 터브 커버(84) 내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샤워 분사통(70)은 세제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샤워 분사되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분사홀(70h)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51)를 개방시킨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외조(54) 및 내조(55)의 내둘레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워 분사통(70)은 세탁수를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으로 집중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홀(70)을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에만 형성시키거나,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에 집중적으로 더 많이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샤워 분사통(70)은 하면이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세탁수를 유도하여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으로 집중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도어(5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조(55)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상기 샤워 분사통(70)에 적정량의 세제를 수납한 다음, 상기 도어(51)를 닫은 상태에서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여 적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된다.
이때,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가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상기 급수호스(64a)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 및 안내유로와 사워 분사통(70)을 통과하면서 세제와 함께 상기 세탁조(56) 내부로 샤워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56) 내부로 급수되면, 상기 펄세이터(58) 및 내조(55)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면서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수행되고, 이와 같이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내조(55)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세탁수가 상기 샤워 분사통(70)을 통과하면서 상기 세탁조(56) 내부로 샤워 분사됨에 따라 세탁물에 균일하고 신속하게 포적심 또는 헹굼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 행정 사이에 간헐 탈수 및 급수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간헐 탈수 및 급수 과정을 살펴보면, 간헐 탈수가 완료된 경우 상기 내조(55)가 고속 회전됨에 따라 세탁물이 상기 내조(55)의 내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세탁수가 급수되는데,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64)를 통과한 세탁수는 안내유로(66) 및 샤워 분사통(70)을 거치면서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에 집중적으로형성된 분사홀(70h)을 통하여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으로 집중 분사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상기 내조(55)의 내벽면 측에 부착된 세탁물과 직접 접촉되도록 할 뿐 아니라 분사되는 세탁수의 낙차를 줄일 수 있어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고, 헹굼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 분사통(70)은 상단이 상기 외조 상측에 설치된 터브 커버(84)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세탁조(56)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56)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급수되면, 옷감 종류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오르게 되더라도 세탁물이 상기 샤워 분사통(70)에 의해 눌러져 상기 세탁조(56)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구조는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세제가 직접 투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세탁수를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 분사통이 세탁조 내측에 위치되도록 외조의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수를 샤워 분사시킬 수 있어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샤워 분사통은 상기 세탁조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상기 샤워 분사통을 통과하여 분사되면 상기 내조로 떨어지는 세탁수의 낙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어 세탁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전장부품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세탁물이 세탁수에 부양되더라도 상기 샤워 분사통에 의해 눌러져 상기 세탁조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 분사통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면으로 직접 세제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세제박스 어셈블리가 불필요할 뿐 아니라 세제 투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는 내조와,
    상기 외조와 내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와 내조로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외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샤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 분사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 분사통은 상단 일측이 상기 외조의 상단에 설치된 터브 커버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 분사통은 세탁수가 유입됨과 아울러 세제가 수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세탁수가 샤워 분사되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 분사통은 상기 분사홀이 상기 내조 벽면 측에 집중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 분사통은 하면이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6.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겨지는 내조와,
    상기 외조 상단에 설치되어 외조의 세탁수를 내조로 안내하는 터브커버와,
    상기 외조와 내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와 내조로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터브커버에 설치되어 세제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안내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세탁수가 샤워 분사되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홀은 내조 벽면 측에 집중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하면이 상기 내조의 내벽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구조.
KR1020030005577A 2003-01-28 2003-01-28 세탁기의 급수구조 KR20040069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77A KR20040069123A (ko) 2003-01-28 2003-01-28 세탁기의 급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77A KR20040069123A (ko) 2003-01-28 2003-01-28 세탁기의 급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23A true KR20040069123A (ko) 2004-08-04

Family

ID=3735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77A KR20040069123A (ko) 2003-01-28 2003-01-28 세탁기의 급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1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0B1 (ko) * 2007-07-16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0B1 (ko) * 2007-07-16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574B1 (ko) 세탁기
KR200155391Y1 (ko) 세탁기
JP2018149218A (ja) 洗濯機
KR20100083208A (ko) 터브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40069123A (ko) 세탁기의 급수구조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935923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구조
KR100935922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구조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20040069128A (ko) 세탁기의 급수구조
KR100479074B1 (ko) 세탁기
KR100353030B1 (ko) 세탁기
KR0127350Y1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100716248B1 (ko) 드럼세탁기
KR100404211B1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KR100239535B1 (ko) 세탁기의 분사장치
KR100987448B1 (ko) 세탁기용 표백제통 커버
KR100220752B1 (ko)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100457584B1 (ko) 세탁기의 세탁조
JP6082647B2 (ja) 洗濯機
KR100265406B1 (ko) 세탁기
JP2014033836A (ja) 洗濯機
KR20100082983A (ko) 커버 탑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9990060072A (ko) 세탁기의 세제 분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