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058A -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058A
KR20040069058A KR1020030005481A KR20030005481A KR20040069058A KR 20040069058 A KR20040069058 A KR 20040069058A KR 1020030005481 A KR1020030005481 A KR 1020030005481A KR 20030005481 A KR20030005481 A KR 20030005481A KR 20040069058 A KR20040069058 A KR 20040069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belt
photosensitive drum
backup roller
ton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058A/ko
Publication of KR2004006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전사벨트로 전사한 후에 다시 기록매체로 전사하여 정착시키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감광드럼과 대면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로 전사되도록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전사백업롤러를 포함하며, 감광드럼과 전사백업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전사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사벨트와 전사백업롤러가 상호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한 후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칼라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감광체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칼라화상형성장치의 경우,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서로 중첩되게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 현상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감광체로부터 중간전사체로 차례로 중첩 전사시켜 칼라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이 칼라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하여 정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전사벨트(10)가 도시되어 있다. 전사벨트(10)는 네 개의 지지롤러(21)(22)(23)(24)에 의해 상하 양측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전사벨트(10)의 하측면에는 4개의 감광드럼(30C,30M,30Y,30K)이 상호 소정 간격씩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감광드럼(30C,30M,30Y,30K)마다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40C,40M,40Y,40K)가 각각 배치된다. LSU(laser scanning unit)(50)는 광주사기로서, 감광드럼(30C,30M,30Y,30K)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4개의 전사백업롤러(60)는 전사벨트(10)를 사이에 두고 각 감광드럼(30C,30M,30Y,30K)과 대면되게 설치된다. 전사백업롤러(60)에는 감광드럼(30C,30M,30Y,30K)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로 부착되도록 정전인력을 부여하기 위해 전사바이어스(V)이 인가된다. 참조부호 80은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로 전사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24)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를 표시한 것이며, 참조부호 90은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표시한다.
LSU(50)에 의해 감광드럼(30C,30M,30Y,30K)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기(40C,40M,40Y,40K)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부착되어 토너화상이 형성된다.이 토너화상(Ti1)이 전사벨트(10)와 감광드럼(30C,30M,30Y,30K)이 대면되고 있는 전사닙(nip)에 진입되면, 전사백업롤러(60)에 인가된 전사바이어스(V)에 의해 전사벨트(10)쪽으로 전사된다. 이와 같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로 모두 전사되어 전사벨트(10)상에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칼라토너화상은 지지롤러(24)와 전사롤러(80)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로 전사되고, 정착기(90)로부터 열 및/또는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전사백업롤러(30)에는 감광드럼(30)쪽으로 압착력이 인가되어 있고 또 전사벨트(10)가 강체가 아니므로 압착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엄밀하게는 전사백업롤러(60)와 전사벨트(10)는 면접촉된 상태이다. 하지만, 그 양은 매우 미미하여, 전사백업롤러(60)는 감광드럼(30)과 대면된 위치에서 전사벨트(10)와 선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하는 현상제는 액상의 캐리어에 소정의 색상을 내는 토너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감광드럼(30C,30M,30Y,30K)에 형성된 토너화상(T)은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감광드럼(30C,30M,30Y,30K)에 형성된 토너화상(T)은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한 화상 선단부와 후단부의 밀림현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보면 감광드럼(30)이 회전됨에 따라 토너화상(T)의 선단부가전사닙으로 진입된다. 토너화상(T)의 선단부가 전사벨트(10)와 접촉되는 지점(B)은 전사백업롤러(60), 감광드럼(30), 전사벨트(10)가 접촉된 지점(A)보다 전사벨트(10)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뒤쪽이 된다. 전사백업롤러(60)와 전사벨트(10)는 A지점에서 선접촉되어 있으므로 B지점에서 전사벨트(10)는 전사백업롤러(6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B지점에서 전사백업롤러(60)와 전사벨트(10)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존재하게 된다. 에어 갭이 존재하면, 전사백업롤러(60)에 인가된 전사바이어스(V)이 전기적으로 불안정해져서 토너화상(T)을 전사벨트(10)쪽으로 안정되게 끌어당기지 못하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감광드럼(30)에 부착된 토너화상은 액체 캐리어와 토너가 섞인 것으로서 유동성이 있다. 또 전사백업롤러(60)는 감광드럼(30) 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전사바이어스(V)이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토너화상(T)이 전사닙으로 인입되면,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뒤쪽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제 위치에 부착되지 못하여 화상의 선단부는 정상적인 이미지보다 흐리게 인쇄되며, 후단부는 비화상영역까지 화상이 밀려서 비화상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사닙에서 전사백업롤러와 전사벨트 사이에 에어 갭을 제거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전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한 화상 선단부와 후단부의 밀림현상을 각각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전사벨트 121,122,123,124......지지롤러
130......감광드럼 140......현상기
141......현상롤러 142......디포지트롤러
143......규제롤러 144......크리닝롤러
145......현상제 공급부재 146......대전기
147....제전기 148......클리닝 블레이드
149......격벽 150......LSU
160......전사백업롤러 170......클리너
171......수용부 180......전사롤러
190......정착기 C1......제1수용부
C2......제2수용부 D1,D2......면접촉부
V......전사바이어스 S......쉬프트량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전사벨트로 전사한 후에 다시 기록매체로 전사하여 정착시키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드럼과 대면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너화상이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되도록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전사백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전사백업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백업롤러가 상호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광드럼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되는 다수의 감광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백업롤러는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대면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전사백업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사백업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접촉점으로부터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은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각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을 통과하면서 그 주행방향이 변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전제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감광드럼과 현상기를 구비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이다.
도 4를 보면, 4개의 지지롤러(121)(122)(123)(124)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되는 전사벨트(110)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롤러(121)(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이고 나머지는 이에 종동되는 종동롤러이다. 지지롤러(123)(124)는 전사벨트(110)가 순환주행경로를 형성하도록 그 전사벨트(11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이다. 전사벨트(110)는 적절한 텐션(tension)을 유지하며 주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지지롤러(121)(122)(123)(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사벨트(110)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사벨트(110)의 하단은 현상 및 전사가 일어나는 구간으로서, 전사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4개의 감광드럼(130C,130M,130Y,130K)과 전사백업롤러(160)가 서로 대면되게 위치된다. 또한, 각 감광드럼(130C,130M,130Y,130K)에 대해 LSU(laser scanning unit)(150)와 현상기(140)가 설치된다. 4개의 LSU(150)는 각각 감광드럼(130C,130M,130Y,130K)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이다.
현상기(140C,140M,140Y,140K)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감광드럼(130C,130M,130Y,130K)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시켜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현상기(140C,140M,140Y,140K)는 각각 감광드럼(130C,130M,130Y,130K)과 함께 유니트(unit)화되어 있다.
현상기(140)는 감광드럼(130)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141)와, 현상롤러(141)로 현상제를 부착시키는 디포지트롤러(142)와, 현상롤러(141)에 부착된 현상제가 일정한 두께의 현상제층이 되도록 규제하는 규제롤러(143)와 감광드럼(130)으로 현상제를 공급한 후에 현상롤러(141) 표면에 남은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롤러(144)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47과 148은 각각 전사된 후에 감광드럼(130)의 표면전위를 제거하는 제전기와 감광드럼(130)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146은 감광드럼(130)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40)는 격벽(149)에 의해 현상제가 수용된 수용부가 제1수용부(C1)와 제2수용부(C2)로 나누어져 있다. 참조부호 145는 현상제 공급부재로서 제1수용부(C1)에 수용된 현상제를 제2수용부(C2)로 공급한다. 참조부호 C3는 클리닝 블레이드(148)에 의해 감광드럼(13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를 표시한다.
전사백업롤러(160)는 감광드럼(130) 쪽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전사백업롤러(160)에는 감광드럼(130)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10)로 부착되도록 정전인력을 부여하기 위해 전사바이어스(V)이 인가된다.
참조부호 180은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로 전사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24)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를 표시한 것이며, 참조부호 190은 토너화상을 기록매체(S)에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표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170과 171은 각각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10)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전사벨트(110)는 그 주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5를 보면, 전사백업롤러(160)는 전사벨트(110)와 감광드럼(130)과의 접촉점으로부터 전사벨트(110)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약간 쉬프트(shift)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면, 전사백업롤러(160)는 감광드럼(130)쪽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130)의 정점으로부터 약간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서 감광드럼(130)과 대면되게 된다. 전사벨트(110)는 전사백업롤러(160)와 감광드럼(130) 사이를 통과할 때 두 부재(160)(13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기준으로 하여 진행경로가 국부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면의 좌측, 즉, 전사벨트(110)의 주행방향의 반대쪽에서 전사벨트(110)는 전사백업롤러(160)에 어느 정도 감기면서 전사백업롤러(160)와 면접촉되는 면접촉부(D1)가 형성된다.
전사백업롤러(160)의 쉬프트량(S)을 얼마로 할 것인지는 토너화상(T)이 전사벨트(110)와 감광드럼(130)이 대면되고 있는 전사닙으로 인입되는 시점에서 전사백업롤러(160)와 전사벨트(110) 사이에 에어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사백업롤러(160)와 감광드럼(130)의 직경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실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와 같이 전사백업롤러(60)가 감광드럼(30)의 정점과 대면되게 설치된 경우에, 전사백업롤러(60)의 직경이 16mm,감광드럼(30)의 직경이 30mm, 감광드럼(30)과 전사벨트(10)의 접촉 닙이 1mm일 때 전사백업롤러(60)의 하측 정점으로부터 편측으로 0.5mm 지점에서 전사백업롤러(60)와 전사벨트(10) 사이에 약 0.02mm 정도의 에어 갭이 발생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전사백업롤러(160)의 쉬프트량(S)은 약 1∼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쉬프트량(S)은 에어 갭을 없애기 위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전기(146)에 의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30)의 표면에 LSU(150)로부터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이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전위차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해당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드럼(130)이 회전됨에 따라 현상롤러(141)와 대면된 현상닙에서 현상제를 공급받아 정전잠상이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이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10)와 대면된 전사닙에서 전사백업롤러(160)의 압착력과 전사바이어스(V)에 의해 전사벨트(110)로 전사된다.
감광드럼(130)에 형성된 토너화상(T)은 액체 캐리어와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입자가 혼합된 상태로서 유동성을 가지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전사백업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유동되면서 화상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은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닙에 진입되기 전에 전사벨트(110)와 전사백업롤러(160)가 면접촉되어 있으므로 전사바이어스(V)을 불안정하게 하는 에어 갭이 제거되어 전사닙으로 인입되는 토너화상(T)에 전사바이어스(V)이 안정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사백업롤러(160)의 가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가지더라도 전사바이어스(V)이 토너화상(T) 중에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입자을 전사벨트(110)쪽으로 안정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화상이 뒤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전사벨트(110)는 주행방향으로 배열된 감광드럼(130C,130M,130Y,130K)으로부터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화상을 중첩되게 전사받는다. 이에 의해 전사벨트(110)에는 완전한 칼라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전사롤러(180)와 지지롤러(122)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로 전사되며, 기록매체(P)가 정착기(190)를 통과하면 정착기(190)의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칼라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융착됨으로써 화상인쇄가 완료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칼라화상형성장치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사벨트와 전사백업롤러를 사용하는 단색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b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감광드럼과 현상기를 구비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위치됨으로써 전사백업롤러와 전사벨트가 면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보면, 전사벨트(110)가 두 개의 지지롤러(121)(122)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이 때 두 지지롤러(121)(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종동롤러이다. 또한, 두 지지롤러(121)(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사벨트(110)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두 지지롤러(121)(122)외에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 4개의 전사백업롤러(160)와 감광드럼(130)은 전사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라운드 형상으로 위치된다. 즉, 각 전사백업롤러(160) 사이에서 전사벨트(110)의 주행방향은 서로 달라진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백업롤러(160)에 전사벨트(110)가 어느 정도 감김으로써 면접촉되는 면접촉부(D2)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현상기(140)는 각 감광드럼(130)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도 6은 그 배치의 일 예로서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나머지 참조부호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자세히 보면, 전사백업롤러(160)가 감광드럼(130)의 정점에 위치되고, 전사벨트(110)는 그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전사백업롤러(160)에 약간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토너화상이 감광드럼(130)과 전사벨트(110)가 접촉된 전사닙에 진입되는 시점에서 전사벨트(110)와 전사백업롤러(160)이 서로 면접촉되어 있으므로 에어 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사바이어스(V)이 안정적으로 토너화상(T)에 인가되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사백업롤러(160)와 감광드럼(130)의 설치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백업롤러(160)와 감광드럼(130)의 직경, 감광드럼(130)과 전사벨트(110)와의 접촉 닙의 길이를 고려하여 에어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전사닙에서 전사백업롤러와 전사벨트와의 에어 갭을 제거하여 전사바이어스가 안정적으로 토너화상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전사되는 화상이 뒤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5)

  1.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전사벨트로 전사한 후에 다시 기록매체로 전사하여 정착시키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드럼과 대면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너화상이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되도록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전사백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전사백업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백업롤러가 상호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되는 다수의 감광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백업롤러는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대면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전사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은 각각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백업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접촉점으로부터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은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각 전사백업롤러와 감광드럼를 통과하면서 그 주행방향이 변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전제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05481A 2003-01-28 2003-01-28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40069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81A KR20040069058A (ko) 2003-01-28 2003-01-28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81A KR20040069058A (ko) 2003-01-28 2003-01-28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58A true KR20040069058A (ko) 2004-08-04

Family

ID=3735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481A KR20040069058A (ko) 2003-01-28 2003-01-28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0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55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US6269231B1 (en) Belt tension variation minimizing mechanism and a reproduction machine having same
US20140270863A1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transfer unit
JP2002328576A (ja) 画像形成装置
US5063411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unitary guide plate fac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JP2009134152A (ja) 中間転写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092205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80990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US74336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voltage of development unit
KR20130030106A (ko)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6873817B2 (en) Electrostatic transfer type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5340473B2 (ja) 画像形成装置
US891803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0069058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719336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6013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5772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7675B1 (ko) 습식화상형성장치
JP2014153398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17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625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45932A (ja) 現像剤層厚規制部材
JP2912258B2 (ja) 背面露光記録画像形成装置
JP2001125337A (ja) 画像形成装置
JP2896683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