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8Y1 - 세탁볼 케이스 - Google Patents

세탁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8Y1
KR200400688Y1 KR20-2005-0024513U KR20050024513U KR200400688Y1 KR 200400688 Y1 KR200400688 Y1 KR 200400688Y1 KR 20050024513 U KR20050024513 U KR 20050024513U KR 200400688 Y1 KR200400688 Y1 KR 200400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all case
washing
buoyancy portion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회
Original Assignee
(주)지엔에프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에프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지엔에프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05-0024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with rubbing or beating means not secured to, or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C)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12)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는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공간(A)을 두고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내측에 원판형의 자석(M)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턱(12a)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나사부(12b)를 두어 마개(13)로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그 내부에 실시된 부력부(12)를 2개로 나누면서 상호 대응되도록 하되, 부력부(12)가 대응하는 그 선단부 내부 도는 마개(13)의 외측에 자석(M)을 동일 극성이 되도록 위치시켜 부력부(12)가 마주한 공간 상이에 지나는 물의 분자가 육각수로 쉽게 자화되도록 함으로써, 세제의 사용이 적은 상태, 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은 간단한 세탁에 있어서 세탁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력부를 2개로 나누어 형성시킴으로써, 구형상을 갖도록 반구형체를 열 융착하여 접합하여 세탁볼 케이스는 제작성에 있어서도 그 가장자리의 접합만으로서 간단한 제작이 되므로 제조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볼 케이스{Washing ball case}
본 고안은 세탁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세탁조 내에 세탁물과 함께 넣어 사용되는 세탁볼의 케이스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볼 케이스를 제조하는데 따른 융착공정을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내부에 형성된 부력부를 변형하여 자석 설치에 따른 자화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의 세탁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물의 세탁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를 이용한 각종 의류, 이불 등과 같은 세탁물의 세탁은 세탁조로부터 적정량의 공급수와 함께 세제를 투입하여 강제로 물살을 일으켜 물과 세제의 세척작용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이탈, 분해하는 원리로서 세탁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물과 세제의 사용에 의한 세탁은 세탁물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균과 함께 오염물질의 자체적인 악취를 완전히 세척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항균, 탈취, 표백, 섬유 유연 등의 기능을 강화하는 세탁보조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세탁기의 세탁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대안으로서, 세탁기로 세탁물을 세탁할때,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주요 소재로 만들어진 소위 세탁볼(또는 세라믹볼)을 세제와 함께 세탁조에 투입하여 세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원적외선 방사체인 세라믹 등으로 된 세탁볼은, 항균, 정화, 표백작용 등 세탁에 유용한 각종 작용이 있으며, 세탁볼을 사용하면 세제는 물론 탈취제나 표백제 등의 세탁보조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이 적인 세탁물인 경우, 무세제 세탁까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여러 가지로 실시된 시험들에 의하면, 각종 세라믹을 주 성분으로 성형한 세탁볼을 이용하여 세탁하면, 세탁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과 전자에 의해 물이 우수한 세척력을 갖는 물로 변환되어 세탁후 잔류하는 세제를 제거시켜 주는 효과, 물분자 운동이 활발해져 물이 섬유 내부까지 침투함에 따른 계면활성효과와 잔류 염소를 이온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섬유조직의 변성과 산화를 지연시키는 효과 및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한 항균, 악취제거, 과산화수소 발생에 의한 살균 및 표백효과, 기타 섬유유연 효과와 정전기 방지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런 근거로 물과 세제 및 세탁보조제들의 사용량을 줄이고 섬유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세탁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세탁볼은 세라믹 소재의 구상체로서 일반적인 세탁조에 바로 투입하여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에 넣어 세탁기에 투입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세탁볼 케이스(100)는 원형의 공 형태를 갖는 본체(110)로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101)가 넣어지고,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외측둘레에는 수개의 통수공(120)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세탁볼 케이스(100)는 세탁조 내에 투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통수공(120)을 통해 유입된 물과 함께 케이스 자체적인 비중은 물론, 세라믹 구상체(101)의 무게에 의해 세탁조의 바닥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탁조로부터 강한 물살이 일더라도 세탁볼 케이스가 세탁조 바닥에 편중되어 위치하는 사례가 발생되어 원활한 세탁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20239호(명칭: 세탁볼 케이스)에 개시된 내용으로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수공(20)이 형성된 세탁볼 케이스(1)의 본체(10) 내에 세라믹 구상체(2)가 소정량 담겨지되, 본체(10)의 중심 상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31)을 갖는 원통형의 기둥형상을 갖는 부력부(30)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부력부(30) 내부 양측에는 각각의 자석(50)을 내장하여 물을 자화시키는 구조를 채택한 세탁볼 케이스로서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세탁볼 케이스의 구조는 통상 플라스틱 계열의 사출성형품으로 그 중앙에 하나의 원통형의 부력부를 갖으며, 그 부력부의 양측에 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익히 알려져 있는 자화의 방법과는 실질적으로 어긋남을 알 수 있었다.
즉, 같은 극을 상호 마주하는 상태에서 그 사이에 흐르는 물의 분자가 바뀌도록 하여야 하나 부력부 내에 위치하면서 세탁볼 케이스의 통수공을 지나는 물은 상기 자석 사이를 흐르는 물을 자화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원통형으로 형성한 부력부는 세탁볼 케이스의 부력을 고려한 것이나, 세탁볼 케이스 내에 들어가는 세라믹 구상체가 갖는 무게에 따라 부력부의 정확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통 상기와 같은 세탁볼 케이스는 반구형상으로 일차 기기를 통해 사출 성형된 상태에서 부력부에 자석을 내장하고, 세탁볼 케이스 내에는 세라믹 구상체를 부력부가 갖는 체적에 의한 부력 비례로 침력작용할 수 있는 무게만큼 넣어진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맞댄 상태로 열 융착하여 하나의 구형상을 갖는 세탁볼 케이스를 제작하는 것인 바, 이는 세탁볼 케이스의 가장자리의 접합과 동시에 부력부의 외측둘레 접합이 이루어져야 하나, 접합불량이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아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비경제적인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세탁볼의 케이스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볼 케이스를 제조하는데 따른 융착공정을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내부에 형성된 부력부를 변형하여 자석 설치에 따른 자화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의 세탁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공간을 두고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내측에 원판형의 자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턱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나사부를 두어 마개로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를 갖도록 한 전반적인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외측둘레에 나사부를 두어 마개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마개부의 전면상에 원판형의 자석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인 세탁볼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C)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12)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는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공간(A)을 두고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내측에 원판형의 자석(M)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턱(12a)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나사부(12b)를 두어 마개(13)로 나사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력부(12)는 세탁볼 케이스(10) 내부 중앙으로부터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각 부력부(12)가 마주하는 공간(A)은 15mm~25mm의 거리를 두고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력부(12) 외측둘레에는 오-링(14)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나사부(12b)를 통해 마개(13)가 나사체결되면 상기 오-링(14)이 마개부의 내측면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탁볼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C)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12)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는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외측둘레에 나사부(12b)를 두어 마개(13)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마개부(13)의 전면 상에 원판형의 자석(M)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요홈(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요홈(13a)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M)은 직접적으로 마개(13)의 전면으로부터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자석은 대략 3000가우스(Gauss)정도의 자속밀도를 갖는 자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세탁볼 케이스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반구형체의 사출에 따른 그 중앙측 부력부에 마련된 안내턱(12a)에는 원판형의 자석(M)을 삽입시켜 준다. 이때의 자석(M) 극성을 상호 대응되는 부력부(12)측에 들어갈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대응되는 위치의 부력부(12)에도 자석(M)을 위치시키고, 각 부력부에는 준비된 마개(13)를 이용하여 나사부(12b)에 체결시켜 준다.
마개(13)는 부력부(12)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나사부(12b)에 완전히 체결되면, 세탁볼 케이스(10) 내에 다수개 개입되는 세라믹 구상체(C)의 무게에 준하는 부력 대비 침력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체결되는 상기 마개(13)의 내측 부분은 상기 부력부(12)의 외측둘레에 마련된 오-링(14)에 의해 기밀을 유지시켜 준다.
또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상기 원판형의 자석을 마개(13)의 전면 상에 형성된 요홈(13a)에 압입하는 형태로서 상호 자석(M)이 대응되어 위치하는 공간을 통해 자화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요건을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이 부력부(12)에 대한 마개(13)의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어느 하나의 반구형체에 세라믹 구상체(C)를 부력부(12)의 부력 대비에 따른 설정 양만큼 넣은 다음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열 융착으로서 하나의 세탁볼 케이스(10)를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이 된 세탁볼 케이스(10)를 세탁조 내에 세탁물과 물, 그외 약간의 세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세탁을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세탁볼 케이스(10)의 부력부(12)는 적당한 부력으로 세탁조 내의 수중상태에서 중층에 위치됨과 동시에 강한 물살의 폭기 작용에 의해 세탁물과 함께 뒤섞여 가면서 세제와 함께 세탁물에 간섭을 주면서 세탁물에 곳곳이 묻은 오염원을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세탁볼 케이스(10)의 유동에 있어, 대응되는 부력부(12)의 마개(13)가 위치한 사이 공간(A)으로는 세라믹 구상체(C)의 이동은 물론, 세탁볼 케이스(10)의 외측으로부터 다수개 형성된 통수공(11)으로부터 세탁조 내에 담긴 물이 지나다니면서 분자형태가 바뀌게 된다.
즉, 물의 분자는 이온 활성화되어 육각형의 고리구조의 육각 자화수로 자화되며, 이러한 육각 자화수는 물속에 용해된 유익한 미네랄 이온들을 보통 물에 비하여 더욱 활성화하는 효과를 갖게 되어 자화수 형성에 의한 기타 세탁물의 세탁은 세제가 잘 풀리는 효과와 함께 오염물질의 표백시키는 작용은 물론, 세탁조 내에 물때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자석(M)이 대응되고, 그 사이를 지나는 물의 자화는 기존의 세탁볼 케이스의 부력부 내측에 상당한 거리로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이유와, 부력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이유에서 물이 부력부의 외측으로만 접하여 나감으로써 자화작용이 미약하게 나타났던 점에 비해 세탁효과를 현저하다.
이는 세탁볼 케이스(10) 내부에 대응되는 부력부(12) 사이에 공간(A)을 둠으로써 이를 지나는 물이 쉽게 자화될 수 있는 조건은 곧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세탁볼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실시된 부력부(12)를 2개로 나누면서 상호 대응되도록 하되, 부력부(12)가 대응하는 그 선단부 내부 도는 마개(13)의 외측에 자석(M)을 동일 극성이 되도록 위치시켜 부력부(12)가 마주한 공간 상이에 지나는 물의 분자가 육각수로 쉽게 자화되도록 함으로써, 세제의 사용이 적은 상태, 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은 간단한 세탁에 있어서 세탁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력부를 2개로 나누어 형성시킴으로써, 구형상을 갖도록 반구형체를 열 융착하여 접합하여 세탁볼 케이스는 제작성에 있어서도 그 가장자리의 접합만으로서 간단한 제작이 되므로 제조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또 다른 세탁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세탁볼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탁볼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세탁볼 케이스 11: 통수공
12: 부력부 12a: 안내턱
12b: 나사부 13: 마개
13a: 요홈 14: 오-링
A: 공간 C: 세라믹 구상체
M: 자석

Claims (4)

  1.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C)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12)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는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공간(A)을 두고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내측에 원판형의 자석(M)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턱(12a)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나사부(12b)를 두어 마개(13)로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볼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의 외측둘레에 오-링(14)이 설치되며, 나사부(12b)를 통해 마개(13)의 나사체결에 따라 부력부(12)의 부력 정도를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볼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부력부(12)가 마주하는 공간(A)은 15mm~25mm의 거리를 두고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볼 케이스.
  4. 외측둘레에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반구형체의 가장자리 접합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C)가 채워지며, 내부 중앙으로부터 부력부(12)를 갖도록 한 구형상의 세탁볼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는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그 외측둘레에 나사부(12b)를 두어 마개(13)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마개부(13)의 전면 상에 원판형의 자석(M)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요홈(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볼 케이스.
KR20-2005-0024513U 2005-08-25 2005-08-25 세탁볼 케이스 KR200400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13U KR200400688Y1 (ko) 2005-08-25 2005-08-25 세탁볼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13U KR200400688Y1 (ko) 2005-08-25 2005-08-25 세탁볼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8Y1 true KR200400688Y1 (ko) 2005-11-08

Family

ID=4370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13U KR200400688Y1 (ko) 2005-08-25 2005-08-25 세탁볼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97B1 (ko) 2008-11-12 2010-02-16 (주)웰로스코리아 세탁기용 세탁볼
KR100980337B1 (ko) * 2008-01-28 2010-09-06 주식회사 이온팜스 세탁볼
KR102037965B1 (ko) * 2019-03-27 2019-10-30 주식회사 다소 세라믹볼을 이용한 세탁봉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37B1 (ko) * 2008-01-28 2010-09-06 주식회사 이온팜스 세탁볼
KR100942597B1 (ko) 2008-11-12 2010-02-16 (주)웰로스코리아 세탁기용 세탁볼
KR102037965B1 (ko) * 2019-03-27 2019-10-30 주식회사 다소 세라믹볼을 이용한 세탁봉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88Y1 (ko) 세탁볼 케이스
KR101398018B1 (ko) 세탁기용 자화미세기포 생성장치
KR101310402B1 (ko) 버블 발생기
US6612137B2 (en) Magnetic/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process for laundering garments in an industrial, commercial or residential medium
KR100472614B1 (ko) 자화 활수기
JP3217984U (ja) 磁気ネックレス
KR20030021412A (ko) 세탁기용 세탁볼
KR100408197B1 (ko) 세탁기용 세탁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364017Y1 (ko) 세탁볼 케이스
JP3188955U (ja) 活水器
KR200433887Y1 (ko) 자화 냉온수기
KR20130124252A (ko) 자화수 생성기
CN100528766C (zh) 磁性处理装置
JP4551655B2 (ja) 磁化水器
KR200366758Y1 (ko) 목욕용 세라믹 볼 케이스
KR200473417Y1 (ko) 기능성 육각수 샤워기
KR200145289Y1 (ko) 액체 자화장치
CN205556182U (zh) 一种洗衣机水处理器的磁化装置
US6012308A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laundering garments
JP4171843B2 (ja) 還元水製造装置
KR200344934Y1 (ko) 세탁기용 세탁볼
JP3079166U (ja) 水道水活性装置
KR200463348Y1 (ko) 자기처리 활수장치
JPH114772A (ja) 保温ポット
KR20150000342U (ko) 세탁볼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