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7Y1 -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7Y1
KR200400687Y1 KR20-2005-0024507U KR20050024507U KR200400687Y1 KR 200400687 Y1 KR200400687 Y1 KR 200400687Y1 KR 20050024507 U KR20050024507 U KR 20050024507U KR 200400687 Y1 KR200400687 Y1 KR 200400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hocyanin
contact lens
lens
dye
bas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무
신종윤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웰
Priority to KR20-2005-0024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29D11/0090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o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콘택트렌즈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트렌즈를 착색하는 염료로서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항균성이 있어 사용중에 감염될 있는 세균들을 억제하여 알레르기나 염증 등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며, 산소 투과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CONTACT LENS}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끼고 다니기 편안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택즈렌즈는 일반적으로 눈물 중의 단백질 또는 손가락부터 전해오는 단백질이나 지방질 등에 오염되기 쉽다. 이러한 오염물이 많이 부착되면 상기 콘택트렌즈에 의한 시각적 예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콘택즈렌즈로 인하여 이물질이 들어있는 것과 같은 불편함이 커지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콘택트렌즈가 단순한 시력 보정만을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도구로도 이용되고 있다. 즉,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눈동자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착색 콘택트렌즈들이 개발되어 상기 콘택트렌즈가 미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미국 특허 제4468229호, 제4553975호, 및 제4559059호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시되어있으며, 일반적으로 염료 또는 안료 등과 같은 착색제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착색한다.
그러나, 이러한 착색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염료 등은 안구에 직접 접촉되면 알레르기(allergy) 또는 염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어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 등이 콘택트렌즈의 원재료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을 막아버릴 수 있기 때문에 눈에 공급되는 산소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어 산소 투과율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함유시켜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며, 산소 투과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콘택트렌즈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 영역에 착색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소정 영역에 착색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소정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홍채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렌즈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HEMA(Poly-hydroxyethylmethacrylate)등과 같은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콘택트렌즈(100)는 베이스렌즈(110) 내에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 색소(120)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점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상기 베이스렌즈(110) 내에 착색되어 함유되어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렌즈(110)는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캐스팅 몰드(casting mold) 공법,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안구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주재료로서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HEMA(Poly-hydroxyethylmethacrylate) 등과 같은 고분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안토시아니딘의 색소배당체(색소 글리코시드)이다. 이러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 특히, 수용성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PH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의 PH에 따른 색을 살펴보면, 1-2(cherryy red), 3(cerise), 4(plum), 5(royal purple), 6(blue purple), 7(blue), 8(blue green), 9-10(emerald green), 10-11(grass green), 12-13(lime green), 14(yellow)임을 알 수 있다. 숫자는 PH를 의미하며, 괄호 안의 영문은 색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렌즈(110)에 함유되는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콘택트렌즈(100)의 색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를 염료로서 함유시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착색 콘택트렌즈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염료일 뿐만 아니라, 약리적인 효능도 가지고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항세균 작용, 항염증 작용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으며, 복용 시에는 시력 개선의 효과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그 크기는 나노 사이즈이므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상기 베이스렌즈(110)에 함유되어도 산소 투과율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렌즈(110)는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분자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기공에 나노입자 크기의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채워져 착색되어도 산소의 투과를 크게 방해하지는 않는다.
이하,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함유하는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침지법을 이용하여 착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렌즈원단을 가공하여 베이스렌즈(110)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스팅 몰드 공법, 스핀 캐스팅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의 주재료로서 PMMA 또는 P-HEMA 등과 같은 고분자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재료는 단량체(monomer)를 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의 주재료인 고분자재료 및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을 가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를 염료로 하여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착색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착색액을 형성하여 소정의 용기에 저장한다. 상기 착색액에는 적어도 염료로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착색액은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와 매염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대상인 물질과 염료가 결합하는 성질을 염착성이라 하는바,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염착성이 약할 경우 상기 베이스렌즈(110)와 상기 염료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매염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액에 포함되는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렌즈(110)에 원하는 색상을 착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착색액을 미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매염제를 혼합할 경우에는 상기 매염제의 종류를 취사 선택하여 상기 착색액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액의 온도 또는 침지시키는 시간 등을 조절하여 상기 착색액의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상기 착색액이 담긴 용기에 침지시켜 착색시킨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함유된 상기 착색액에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일정시간 침지시키면,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상기 베이스렌즈(110) 내로 침투하여 전 영역에 걸쳐서 착색된다. 상기 베이스렌즈(110)는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분자재료 내에는 수많은 기공이 존재하는바, 상기 기공의 자리에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확산되어 착색되게 된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볼록한 면뿐만 아니라 오목한 면을 통해서도 착색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착색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플라즈마로 전처리할 수 있다. 이는 착색될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표면을 활성화시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의 착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렌즈(110)를 착색한 후에 건조공정, 세척공정, 수화공정 및 멸균공정, 포장공정 등을 수행하여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착색된 콘택트렌즈(100)를 완성한다.
둘째, 도포법을 이용하여 착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침지법에서 설명한 상기 착색액을 상기 베이스렌즈(110)에 도포하여 착색시킨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함유된 상기 착색액은 상기 베이스렌즈(110) 표면에 도포된 후 일정시간 지나면,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상기 베이스렌즈(110) 내로 침투하여 착색된다. 착색되지 않고 유리된 안토시아닌계 색소(120) 및 기타 물질들은 세정공정 등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액은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볼록한 면 및/또는 오목한 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전 영역 또는 착색하고자 하는 소정의 영역에만 도포하여 착색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렌즈(110)의 원단을 미리 안토시아닌계 색소로 착색한 후 가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렌즈원단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은 PMMA 또는 P-HEMA 등과 같은 고분자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재료는 단량체(monomer)를 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를 염료로 하여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을 착색한다. 이때, 상기한 침지법 또는 도포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의 전 영역을 착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착색공정 후 건조공정, 세척공정, 수화공정 및 멸균공정, 포장공정 등을 수행하여 안토시아닌계 색소(120)가 착색된 콘택트렌즈(100)를 완성한다.
넷째, 단량체에 미리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첨가한 후 중합 및 가공공정을 거쳐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즉, 단량체에 염료인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를 첨가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120)는 상기 단량체의 전 영역에 고루 분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고분자재료를 형성한다. 상기 단량체는 MMA(methylmethacrylate)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정한 온도에서 중합공정을 거쳐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인 고분자재료를 형성한다.
이어서, 중합된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을 가공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완성한다. 상기 베이스렌즈원단을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스팅 몰드 공법, 스핀 캐스팅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콘택트렌즈(200)는 베이스렌즈(210) 내에 안토시아닌계 색소(220)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서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베이스렌즈(210)의 전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만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220)가 착색되어 있다. 즉, 상기 베이스렌즈(210) 영역 중 착색하고자 하는 영역에만 선택하여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220)를 착색할 수 있다.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220)를 착색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콘택트렌즈(300)는 베이스렌즈(310)의 표면에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320)가 홍채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콘택트렌즈에는 미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패터닝될 수 있는바,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320)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패터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렌즈(310) 표면에 홍채모양 등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임프린트(imprint)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렌즈(310) 표면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원하는 디자인을 찍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 프린팅법 또는 임프린트법 등에 사용되는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320)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콘택트렌즈(300)에 표현되는 디자인 패턴의 색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법 또는 임프린트법을 이용한 패터닝 공정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콘택트렌즈를 착색하는 염료로서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항균성이 있어 사용중에 감염될 있는 세균들을 억제하여 알레르기나 염증 등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안구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나노입자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산소의 투과 경로를 차단하지 않아 안구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콘택트렌즈
110, 210, 310 : 베이스렌즈
120, 220, 320 : 안토시아닌계 색소

Claims (7)

  1.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 영역에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소정 영역에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소정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홍채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는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HEMA(Poly-hydroxyethylmeth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KR20-2005-0024507U 2005-08-25 2005-08-25 콘택트렌즈 KR200400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07U KR200400687Y1 (ko) 2005-08-25 2005-08-25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07U KR200400687Y1 (ko) 2005-08-25 2005-08-25 콘택트렌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38 Division 2005-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7Y1 true KR200400687Y1 (ko) 2005-11-08

Family

ID=4370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07U KR200400687Y1 (ko) 2005-08-25 2005-08-25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5024A (zh) * 2022-08-09 2022-09-20 重庆大学 一种以花青素为染料的多功能彩色隐形眼镜染色方法
CN116997461A (zh) * 2022-03-02 2023-11-03 卡尔蔡司光学国际有限公司 用于对眼镜镜片进行着色的方法和镜片固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7461A (zh) * 2022-03-02 2023-11-03 卡尔蔡司光学国际有限公司 用于对眼镜镜片进行着色的方法和镜片固持器
CN115075024A (zh) * 2022-08-09 2022-09-20 重庆大学 一种以花青素为染料的多功能彩色隐形眼镜染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693C9 (ru)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для создания улучшенного,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и целостного эффектов
CA2657443C (en) Tinted contact lenses having iris patterns with enhanced depth
US6890075B2 (en) Contact lens with PVA cover layer
RU2613585C2 (ru) Ориентируемые контактные линзы со склерой, окрашенной в светлый цвет
RU2611930C2 (ru)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с перламутровой склеральной частью
RU2475360C2 (ru) Окрашенные контактные линзы, обладающие эффектом глубины
CA2428060A1 (en) Contact lens with opaque iris pattern
KR20130137520A (ko) 컬러 콘택트 렌즈
JP2009503578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TWI674452B (zh) 眼睛增強隱形眼鏡
CN103424889A (zh) 具有光环效应的角膜接触镜片
US20220306886A1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cosmesis
KR200400687Y1 (ko) 콘택트렌즈
RU2562696C2 (ru) Контактные линзы с ярко окрашенной частью, располагающейся на склере
US20050094094A1 (en) Contact lenses colored with crystalline colloidal array technology
KR20050079320A (ko) 컬러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6898466B2 (ja) カラー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515395A (ja) 美容上改良されたコンタクトレンズ
KR100586157B1 (ko) 콘택트렌즈
KR20040096826A (ko) 컬러 콘택트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