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451A -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 Google Patents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451A
KR20040068451A KR1020030006033A KR20030006033A KR20040068451A KR 20040068451 A KR20040068451 A KR 20040068451A KR 1020030006033 A KR1020030006033 A KR 1020030006033A KR 20030006033 A KR20030006033 A KR 20030006033A KR 20040068451 A KR20040068451 A KR 2004006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haft
magnets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3000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451A/ko
Publication of KR2004006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과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응용하여 지구의, 삼구의, 장식품, 천체의, 필기구, 실험구, 완구, 메모지 함, 등을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구성은『구(1)내벽의 지지대(3)에 반구자석(2)이나 자석(7)을 장착하고 자석(7)쪽에 자석(4)을 접근시키며 자석(7)과 자석(4)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A)(B)(C)(D)(E)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하며, 회전체(D)에 물건(9)을 적재하거나 내장하고, 회전체(E)에는 물건(13)을 적재하거나 부착시며, 원통형 틀(14)의 비자성체판(5)의 중심에 구멍(15)을 천공하고 이 구멍(15)에 자석틀(17)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자석틀(17)상면의 요홈(18)마다 자석(4)(4')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회전축하단(19)구멍에 밑 뚜껑(23)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결합한 다음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A)(B)(C)를 올려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 인력이 작용케 하며,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우고, 틀(14)의 비자성체판(5) 위에 회전체(D)(E)를 올려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 인력이 작용케 하며,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원반 중심에 천공된 구멍(15)에 자석틀받이(33)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자석틀받이(33)의 축(35)에 자석(4)(4')이 장착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축 바퀴(34)의 요홈(29)과 비자성체판(5)원반 중심에 형성된 축받이(30)의 요홈(31)을벨트(32)로 8자형이나 0자형으로 연결하며, 회전축하단(19)구멍에 밑 뚜껑(23)에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우고 틀(14)안에 뚜껑(23)의 관(25)을 결합하며,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B)를 올려놓아서 자석(7)과 자석(4)이나 자석(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회전체(B)의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움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으로 흥미를 우발하면서 학습효과를 높인다.

Description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omitted}
본 발명은 자력과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응용하여 지구의, 삼구의, 장식품, 천체의, 필기구, 실험구, 완구, 메모지 함, 등을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응용하여 지구의, 삼구의, 장식품, 천체의, 필기구, 실험구, 완구, 메모지 함, 등을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구의는 자전 공전을 하지 못하며, 삼구의는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이 빈발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의 타원궤도가 불가능하고 , 장식품도 흥미를 유발하기에 부족하며, 천체의, 필기구, 실험용구, 완구 등이 비능률적이었으며 새로운 기술이 내포되지 못하여 그 가치가 떨어지는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과 반구자석 사이에 비자성체 판을 삽입하여 자석이나 비자성체 판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면 반구자석이 회전하는 회전체를 응용하여 지구의, 삼구의, 장식품, 천체의, 필기구, 실험용구, 완구, 메모지 함 등을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것인데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반구자석을 응용한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b]는 원반자석을 응용한 지구본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c]는 원반자석을 응용한 달 모형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d]는 원반자석을 응용한 반구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e]는 원반자석을 응용한 원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f]는 원반자석을 응용한 천체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g]는 지구본과 태양본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h]는 본 발명 삼구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i]는 본 발명 필기구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j]는 본 발명 수도관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k]는 본 발명 수도관의 AA' 횡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l]는 본 발명 수도관의 BB' 횡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m]는 본 발명 화장지 걸이 종단면도의 작용원리도
[도 2n]는 본 발명 문의 핸들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o]는 본 발명 메모지 함 종ㆍ횡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P]는 본 발명 안구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2q]는 본 발명 장식품의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구성된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 원반 중심의 구멍(15)에 축설된 회전축(16)의 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우고, 천체 모형의 에 비자성체판(5) 원반 위에 회전체(B)(C)를 올려놓는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1)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대(3)에 한쪽 자극면(磁極面)이 구면으로 구성된 반구자석(2)을 장착한 회전체(A)를 구성하고, 이 회전체(A)의 반구자석(2)과 자석(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4)을 회전체(A)의 반구자석(2)쪽에 접근시켜서 회전체(A)와 자석(4)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A)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구성한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B)도 회전체(A)와 동일한 구성에서 다만 반구자석(2) 대신 양쪽 자극면이 평면으로 된 원반형이나 환상형의 자석(7)으로 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B)의 자석(7)쪽에 자석(4)을 접근시켜서 회전체(B)와 자석(4) 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B)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구성한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C)도 회전체(B)와 동일한 구성에서 다만 자석(7)의 자극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C)의 자석(7)쪽에 자석(4)을 접근시켜서 회전체(C)와 자석(4)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C)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한다.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구(8)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대(3)에 한쪽 자석(7)을 장착한 회전체(D)를 구성하고, 이 회전체(D)의 자석(7)과 자석(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4)을 회전체(D)의 자석(7)쪽에 접근시켜서 회전체(D)와 자석(4)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A)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구성하되 이 회전체(D)안에 필요한 물건(9)을 적재하거나 내장시킨다.
[도 2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반(10)의 수직관(11) 내부에 자석(7)을 장착한 회전체(E)를 구성하고, 이 회전체(E)하단의 반구(12)에 자석(4)을 접근시켜서 자석(7)과 자석(4)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반구(12)와 자석(4) 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E)의 반구(12)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하고 회전체(E)의 상면에 필요한 물건(13)을 적재하거나 부착시킨다.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성체로 구성된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 원반 중심의 구멍(15)에 자석틀(17)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이 자석틀(17) 상면의 여러 요홈마다 자석(4)(4')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회전축하단(19)의 구멍에는 밑 뚜껑(23)의 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운 다음 공전하지 않도록 볼트(22)로 고정시키고, 틀(14)안에 밑 뚜껑(23)의 관(25)을 결합하여 이들이 해체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자석(2)(7)이 장착된 많은 회전체(A)(B)(C)를 올린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이들 많은 회전체(A)(B)(C)의 반구가 접하는 각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적용하도록 하며, 회전축(16)의 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끼운 천체의 모형을 만든다.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D)(E)를 올려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이들 회전체(D)(E)의 각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운 장식품을 만들어도 된다.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구성된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원반의 중심에 구멍(15)을 천공하고 이 구멍(15)에 자석틀받이(33)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이 자석틀받이(33)상면에 형성된 축(35)에 자석(4)(4')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이 축 바퀴(34)의 요홈(29)과 비자성체판(5) 원반의 중심에 형성된 축받이(30)의 요홈(31)을 벨트(32)로 연결하되 벨트(32)가 8자형으로 연결되게 하여 자석틀받이(33)와 축 바퀴(34)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회전축하단(19)의 구멍에는 밑 뚜껑(23)의 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운 다음 공전하지 않도록 볼트(22)로 고정시키고, 틀(14)안에 밑 뚜껑(23)의 관(25)을 결합하여 이들이 해체되지 않도록 한다.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B)를 올려놓아서 자석(7)과 자석(4)이나 자석(4') 사이에서 작용하며 회전체(B)의 접점(6)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고,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운 태양과 지구의 모형을 만든다.
[도 2h]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 뚜껑(23)의 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에 자석틀받이(33)의 회전축하단(19)구멍을 끼우고 볼트(22)로 고정한다.
자석틀받이(33)의 상면에 형성된 축(35)에 자석(4)(4')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이 축 바퀴(34)의 요홈(29)과 회전축(36)에 씌운 축받이(37)의 요홈(38)을 벨트(32)로 연결하되 벨트(32)를 8자형으로 연결하여 축(35)의 회전방향과 축 바퀴(34)의 회전방향이 같게 하거나 벨트(32)를 0자형으로 연결하여 축(35)의 회전방향과 축바퀴(34)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한다.
팔(39)이 형성된 축바퀴(40)를 축 바퀴(34)의 상단에 형성된 축(41)에 장착하고 팔(39)의 상면 요홈에 자석(42)을 기울어지게 장착한 다음에 축바퀴(40)의 요홈(43)과 축(35)의 요홈(44)에 벨트(45)를 8자형으로 연결하여 축(41)의 회전방향과 축바퀴(40)의 회전방항이 같게 하거나 벨트(45)를 0자형으로 연결하여 축(41)의 회전방향과 축바퀴(40)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한다.
자석틀받이(33)의 상면에 형성된 축(35')에다가 축(35)에 장착한 부품인『자석(4)(4')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이 축 바퀴(34)의 요홈(29)과 회전축(36)에 씌운 축받이(37)의 요홈(38)을 벨트(32)로 연결하되 벨트(32)를 8자형으로 연결하여 축(35)의 회전방향과 축 바퀴(34)의 회전방향이 같게 하거나 벨트(32)를 0자형으로 연결하여 축(35)의 회전방향과 축바퀴(34)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한다.
팔(39)이 형성된 축바퀴(40)를 축 바퀴(34)의 상단에 형성된 축(41)에 장착하고 팔(39)(39')의 상면 요홈에 자석(42)(42')을 기울어지게 장착한 다음에 축바퀴(40)의 요홈(43)과 축(35)의 요홈(44)에 벨트(45)를 8자형으로 연결하여 축(41)의 회전방향과 축바퀴(40)의 회전방향이 같게 하거나 벨트(45)를 0자향으로 연결하여 축(41)의 회전방향과 축바퀴(40)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한다』고 한 모든 부품을 장착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자석틀받이(33)가 원반으로 구성되었을 때는 이 자석틀받이(33)의 상면 적당한 곳에 형성된 단수의 축(35)(35')(35")(35'")‥‥각각『』안에 있는 부품을 장착하여 더욱 다양한 구성으로 만든다.
이와 같이 구성한 다음에 볼트(46)로 비자성체판(5)과 축받이(37)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46)가 들어갈 구멍을 확인하면서 원통형 틀(14)을 밑 뚜껑(23)의 관(25)에 결합한 다음에 볼트(46)로 비자성체판(5)과 축받이(37)를 결합한다.
[도 2i]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구(47)의 상단 캡(48)안에 자석(49)을 내장시키되 그 방법은 고정시키는 방법과 유동되도록 하는 두 방법을 임의로 선택한 다음 캡(48)과 회전체(E) 사이에 비자성체판(5)이 들어가도록 하는데 비자성체판(5)은 종이, 천, 책받침, 유리, 책 등 무엇이든지 판 상형이면 된다.
[도 2j] [도 2k] [도 2l]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관(50)과 투명관(51) 사이의 공간에 회전체(E)를 내장하고 비자성체관(50) 양단 나사에 축받이(53)가 형성된 내관(56)과 축받이(57)가 형성된 내관(58)을 결합하되 회전축(52)과 프로펠러식 날개(62)가 형성된 관(54)의 외주 요홈에 자석(55)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관(54)의 회전축(52)양단을 각각 축받이(53)(57)의 중심공에 축설하여 관(54)이 비자성체관(50)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하며, 자석(7)과 자석(55)사이에서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55)의 자극을 맞추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외관(63)의 턱(60)과 외관(59)의 턱(61)에 의하여 투명관(51)이 굳게 고정되며 외관(63)에 급수관(64)을 연결하고, 외관(59)에는 배수관(65)을 연결한다.
[도 2m]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받이(66)에 축설한 ㄷ자형의 휴지걸이(67)의 상부수평간(68)에 투명창(69)이 있는 뚜껑(72)의 고리(70)를 걸어놓고 하단수평간(71)에는 휴지(76)를 걸어 놓는다.
뚜껑(72)에 형성된 투명창(69)의 안쪽에 보호망(73)이 원반(10)을 보호하며, 뚜껑(72)에 형성된 밑판(74)의 요홈에 자석(75)을 기울어지게 고정시키고, 밑판(74)의 자석(75)과 보호망(73)의 원반(10) 사이에 휴지(76)를 펴서 넣는다.
축받이(66)의 고정판(77)을 벽(79)에 대고 볼트(78)로 고정시킨다.
[도 2n]은 문의 핸들로서 양쪽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대(80)가 있는 핸들(81)의 대(82)에 투명판(83)과 관(88)이 형성된 비자성체판(84)을 씌우고 이들이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틀(85)로 고정시킨다.
이 공간에 자석(7)과 원반(10)으로 구성된 회전체(E)를 내장시킨 다음 자석(86)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원반(87)을 핸들(81)의 대(82)에 고착시켜서 자석(7)과 자석(86)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구성한다.
가운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대(80)가 있는 핸들(81)이나 손잡이(135)의 대(82)에 투명판(83)을 씌우고 관(88)이 형성된 비자성체판(84)을 대(82)에 고정시키되 이들이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틀(85)로 투명판(83)을 고정시킨 다음 이 공간에 자석(7)과 원반(10)으로 구성된 회전체(E)를 내장시키며, 자석(86)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원반(87)을 핸들(81)의 대(82)에 씌워서 자석(7)과 자석(86)간에 인력이 작용토록 자석(86)을 장착하고 원반(87)과 투명판(83)을 틀(85)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2o]는 메모지 함으로서 좌측 도면은 평면도이고 우측 도면은 종단면도인데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지함(89)의 바닥(95)의 중앙 요홈에는 자석(90)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그 둘레의 요홈에는 자석(91)(92)(93)(94)을 바닥(95)상면과 일치하도록 고정시키되 위를 향한 자석(91)(92)(93)(94)의 자극이 N, S, N, S 순으로 고정시킨 다음 그 위에 메모지(96)를 올려놓고 자석(90)의 상면 메모지(96) 위에 올려놓는 반구자석(97)에 장식품(98)을 장착하고 관절이 있는 팔(99)(100)의 양손에 각각 자석(101)(102)을 고정시키되 밑을 향한 자극이 N, S가 되도록 하며 머리(103)에도 다극의 자석(104)이 내장되어 있다.
[도 2p]는 눈의 모형으로서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마(105)와 얼굴(106)사이에 있는 투명체로 구성된 안구(107)의 안에 회전체(E)가 내장되어 있으며, 앞뒤 축받이(108)(108')에 고정된 받침틀(109)의 요홈에 자석(111)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이 자석(111)과 회전체(E)사이에 비자성체판(110)이 들어가게 하되 이 비자성체판(110)은 회전축(11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112)이 회전할 때 자석(111)과 회전체(E)사이에서 비자성체판(110)이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회전체(E)가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축(112)의 원반(113)에 다수의 자석(114)을 필요한 간격으로 고정시키되그 자극의 상면이 N, S, N, S, N, S 순이 되도록 하며, 회전축(112)의 상단은 상면(115)의 축받이(116)에 축설하고 그 하단의 구멍에 모터(117)의 회전축(118)을 고정시키며 모터(117)는하면(119)에 볼트(120)로 고정시킨다.
윗 눈까풀(121)의 레버(123)위에 자석(125)을 부착하고 밑 눈까풀(122)의 레버(124)밑에 자석(126)을 부착하며 두 레버(123)(124)를 눈까풀(121)(122)의 중심점에 축(127)으로 축설하되 두 자석(125)(126)사이에서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극의 방향을 정한다.
[도 2p]의 전체 구성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던가 아니면 상면(115)과 하면(119)이 원반이 되면서 그 둘레에 적당한 간격으로 이 회전축(112)의 좌측과 같이 구성하며 은 눈까풀(121)과 눈까풀(122)의 둘레에 눈섭을 그린다.
[도 2q]는 장식품으로서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구성된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원반의 중심에 형성된 관(128)의 구멍(15)에 자석틀(17)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이 자석틀(17)상면에 여러 요홈마다 자석(4)(4')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회전축하단(19)의 구멍에는 밑 뚜껑(23)의 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운 다음 공전하지 않도록 하고 틀(14)안에 밑뚜껑(23)의 관(25)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자석(7)(7')이 장착된 반구가 형성된 원반(10)(1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E)를 다수 올려놓아서 자석(7)(7')과 자석(4)(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이들 원반(10)(10')의 반구가 접하는 각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자석(7)(7')과 원반(10)(10')위에 인형(133)(133')의 몸과 머리에 각각 자석(134)(134')과 자석(135)(135')을 내장시킨다.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자석(131)의 자극 면이 회전축(16)의 외주 면과 평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회전축(16)의 외주면 요홈에 자석(129)(130)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관(128)의 외주에 반구가 형성된 원반(132)(132')에 자석(133)(133')을 장착시켜서 자석(133')과 자석(130)사이에 인력이 작용토록 하고, 자석(133)과 자석(129)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2b][도 2b][도 2c][도 2d][도 2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판(5)을 고정시키고 자석(4)의 자극면이 비자성체판(5)과 평행하지 않게 하고 자석(4)을 이동시키면 회전체(A)(B)(C)(D)(E)가 자석(4)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자석(4)을 고정시키고 비자성체판(5)을 이동시키면 회전체(A) (B)(C)(D)(E)가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한다.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축(21)이 돌아가면 자석틀(17)이 돌라가면서 자석(4)(4')에 의하여 모든 회전체(A)(B)(C)가 자석(4)(4')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이 때 모든 회전체(A)(B)(C)를 태양계의 각 천체라 하면 이들은 태양계의 운행과 유사하므로 태양계의 실험용으로 사용된다.
모든 회전체(A)(B)(C) 대신 회전체(D)(E)를 비자성체(5)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짐을 적재하면 회전체(D)(E)가 회전하며 이동하는 운송장치가 된다.
모든 회전체(A)(B)(C) 대신 회전체(D)(E)를 비자성체판(5)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장식품을 장착한 다음 작동시키면 회전하며 이동하는 장식품이 된다.
모든 회전체(A)(B)(C) 대신 회전체(D)(E)를 비자성체판(5)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공고할 상품을 올려놓고 작동시키면 상품이 회전하며 이동하는 광고 품이 된다.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축(21)이 돌아사면서 자석틀받이(33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축(35)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벨트(32)에 의하여 축 바퀴(34)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위에 있는 자석(4)에 의하여 회전체(B)가 자석(7)과 자석(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자석(4)을 따라 이동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때 자석(4)이 이동하는 궤적은 타원형이기 때문에 회전체(B)는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바로 지구(地球)의 운행과 같다.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에서 나오는 빛이 지구(地球)본에 해당하는 회전체(B)에 비추어지면 밤과 낮이 생기는 이치를 알 수 있다.
지구(地球)본에 해당하는 회전체(B)를 자석(4')쪽에 접근시킨 다음에 자석틀받이(33)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35)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벨트(32)에 의하여 축 바퀴(34)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위에 있는 자석(4')에 의하여 회전체(B)가 자석(7)과 차석(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자석(4')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때 자석(4')이 이동하는 궤적은 타원형이기 때문에 회전체(B)는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바로 지구(地球)의 공전은 바르게 하지만 자전은 정반대가 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에서 나오는 빛이 지구(地球)본에 해당하는 회전체(B)에 비추어지면 밤과 낮이 생기는데 이 때는 서쪽에서 해가 뜨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도 2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본에 해당되는 회전체(B)의 운행은 [도 2g]와 완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자석(42)위에 있는 달의 모형에 해당하는 회전체(A)는 지구본에 해당되는 회전체(B)의 둘레를 공전하며 지구본에 해당되는 회전체(B)를 따라 태양모형(27)의 둘레를 돌며 보름과 초승 상현 하현의 현상을 실험할 수 있으며 일식과 원식을 실험할 수 있다.
[도 2i]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판(5)을 고정시키고 자석(49)의 자극면이 비자성체판(5)과 평행하지 않게 하고 자석(49)을 이동시키면 회전체(E)가 자석(49)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자석(49)을 고정하고 비자성체판(5)을 이동시키면 회전체(E)가 일정위치에서 회전한다.
[도 2j][도 2k][도 2l]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관(50)으로 물이나 기름 및 가스, 등의 유체가 흐르게 하면 프로펠러 식 날개(62)와 관(54)의 외주 요홈에 기울어지게 장착한 자석(55)이 회전하면서 회전체(E)가 회전하므로 투명관(51)을 통해 그 회전을 확인하며 유체가 정상으로 공급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장식품의 역할을 한다.
[도 2m]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지(76)의 끝을 끌어당기면 휴지(76)가 위에서 설명한 비자성체판(5)과 동일한 역할을 하면서 원반(10)이 회전하게 된다.
휴지(76) 대신 일반 천이나 비닐 종이 등을 사용해도 그 역할이 같다.
[도 2n]의 가운데 도면 같이 핸들(81)이나 손잡이(135)를 돌리면 대(82)와 함께 회전하는 비자성체판(84)이 회정하면서 회전체(E)가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한다.
우측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81)이나 손잡이(135)를 돌리면 대(82)와 함께 회전하는 원반(87)이 회전하면서 회전체(E)가 자석(86)을 따라 돌아가면서 회전한다.
회전체(E)에 다양한 장식품이나 "오십시오", "안녕히 가세요", "천천 만만의 번성", "구하라" 등 다양한 문구를 부착 사용한다.
[도 2o]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지(96)를 잡아당기면 메모지(96)가 비자성체판(5)의 역할을 하며 반구자석(97)이 회전하므로 그위에 장착된 장식품(98)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하며 양쪽 팔(99)(100)의 양손에 각각 자석(101)(102)과 자석(91)(92)(93)(94)에 의하여 이들 자석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때는 팔(99)(100)의 양손이 들리고, 인력이 작용할 때는 팔(99)(100)의 양손이 내려지므로 춤추는 모양을 볼 수 있으며, 머리(103)의 자석(104)과 자석(91)(92)(93)(94)사이에 척력이나 인력이 작용하면서 머리(103)가 다양하게 움직인다.
[도 2p]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117)의 회전축(118)이 작동하면 회전축(112)의 원반(113)에 있는 자석(114)이 레버(123)위의 자석(125)과 레버(124)밑의 자석(126) 사이를 지날 때 이 자석들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때는 눈까풀(121)(122)이 레버(123)(124)의 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열리고, 원반(113)의 자석(114)이 레버(123)위의 자석(125)과 레버(124)밑의 자석(126) 사이를 지날 때 이 자석들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때는 눈까풀(121)(122)이 레버(123)(124)의 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닫힌다.
그리고 자석(111)과 회전체(E)사이에 비자성체판(110)이 모터(117)의 회전축(118)이 좌우로 회전하면서 눈동자에 해당되는 회전체(E)를 돌리며, 자석(111)이 전후좌우로 다양하게 움직이도록 회전축(112)에 연결되는 부품을 장착하며, 눈동자에 해당되는 회전체(E)는 더욱 다양하게 작동하면서 흥미를 유발시킨다.
[도 2q]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축(21)이 작동하면 회전축(16)과 자석틀(17)이 회전하면서 자석(4)(4')에 의하여 인형(133)(133')이 회동하며 자석(129)(130)에 의해 원반(132)(132')가 회동한다.
자석(135)(135')과 자석(129)(130)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면 머리가 자석(129)(130)으로 기울어지고 척력이 작용하면 그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며 다양한머리 짓을 한다.
자석(134)(134')과 자석(129)(130)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때 몸이 자석(129)(130)으로 기울어지고 척력이 작용할 때는 그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다양한 몸짓을 하며, 자석(131)에 의해서도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다양하게 응용하면서 교육자료 장식품 안내문 운송장치 등을 저렴하게 양산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유익한 작용효과가 많다.

Claims (1)

  1. 구(1)내벽의 지지대(3)에 반구자석(2)이나 자석(7)을 장착하고 자석(7)쪽에 자석(4)을 접근시키며 자석(7)과 자석(4)사이에 들어있는 비자성체판(5)과 회전체(A)(B)(C)(D)(E)가 접촉하는 접점(6)이 생기게 하며, 회전체(D)에 물건(9)을 적재하거나 내장하고, 회전체(E)에는 물건(13)을 적재하거나 부착시며, 원통형 틀(14)의 비자성체판(5)의 중심에 구멍(15)을 천공하고 이 구멍(15)에 자석틀(17)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자석틀(17)상면의 요홈(18)마다 자석(4)(4')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회전축하단(19)구멍에 밑 뚜껑(23)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결합한 다음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A)(B)(C)를 올려 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 인력이 작용케 하며,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우고,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D)(E)을 올려놓아서 자석(2)(7)과 자석(4)(4') 사이에 인력이 작용케 하며,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원반 중심에 천공된 구멍(15)에 자석틀받이(33)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자석틀받이(33)의 축(35)에 자석(4)(4')이 장착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축 바퀴(34)의 요홈(29)과 비자성체판(5)원반 중심에 형성된 축받이(30)의 요홈(31)을 벨트(32)로 8자형이나 0자형으로 연결하며, 회전축하단(19)구멍에 밑 뚜껑(23)에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우고 틀(14)안에 뚜껑(23)의 관(25)을 결합하며, 비자성체판(5)위에 회전체(B)를 올려놓아서 자석(7)과 자석(4)이나 자석(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의하여 회전체(B)의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회전축(16)외 상단구멍에 광원(26)이 있는 태양모형(27)의 축(28)을 끼운 2구의와 밑 뚜껑(23)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자석틀받이(33)의 회전축하단(19)의 구멍에 끼우고 볼트(22)를 고정시키며, 자석틀받이(33)의 축(35)에 자석(4)(4')이 장착된 축(41)이 형성된 축 바퀴(34)를 축설하고 이 축바퀴(34)의 요홈(29)과 회전축(36)에 씌운 축받이(37) 요홈(38)을 벨트(32)로 8자형이나 0자형으로 연결하고, 팔(39)이 형성된 축바퀴(40)를 축 바퀴(34)의 축(41)에 장착하고 팔(39)의 상면 요홈에 자석(42)을 장착한 다음 축바퀴(40)의 요홈(43)과 축(35)의 요홈(44)에 벨트(45)를 8자형이나 0자형으로 연결하며, 자석틀받이(33)의 축(35')에도 축(35)에 장착한 부품을 장착하여 평형을 유지하고, 자석틀받이(33)가 원반일 때는 이 자석틀받이(33)의 상면 적당한 곳에 형성된 단수의 축(35)(35')(35")(35'")····각각 축(35)에 장착한 모든 부품을 장착하며, 볼트(46)로 비자성체판(5)과 축받이(37)를 결합하는 삼구의 및 필기구(47)의 캡(48)안에 자석(49)을 내장시킨 다음 캡(48)과 물건(13)이 장착된 회전체(E) 사이에 종이, 천, 책받침, 유리, 책 등으로 구성되는 비자성체판(5)이 들어가도록 하는 필기구와 비자성체관(50)과 투명관(51)사이에 회전체(E)를 내장하고 비자성체관(50)양단나사에 축받이(53)가 형성된 내관(56)과 축받이(57)가 형성된 내관(58)을 결합하되 회전축(52)과 프로펠러 식 날개(62)가 형성된 관(54)의 외주 요홈에 자석(55)이 기울어지게 장착한 관(54)의 회전축(52)양단을 각각 축받이(53)(57) 중심공에 축설하며, 자석(7)과 자석(55)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55)의 자극을 맞추어서 고정시키고, 외관(63)의턱(60)과 외관(59)의 턱(61)에 의하여 투명관(51)이 고정되며 외관(63)에 급수관(64)을 연결하고 외관(59)에는 배수관(65)을 연결하는 유체관과 축받이(66)에 축설한 휴지걸이(67) 상부수평간(68)에 투명창(69)이 있는 뚜껑(72)의 고리(70)를 걸어놓고 하단수평간(71)에는 휴지(76)를 걸어 놓으며, 뚜껑(72)에 형성된 투명창(69)의 안쪽에 보호망(73)이 원반(10)을 보호하며, 뚜껑(72)에 형성된 밑판(74)의 요홈에 자석(75)을 기울게 고정시키고, 밑판(74)의 자석(75)과 보호망(73)의 원반(10) 사이에 휴지(76)를 펴서 넣는 휴지걸이와 잠금대(80)가 있는 핸들(81)의 대(82)에 투명판(83)가 비자성체판(84)을 씌우고 이들이 공간을 유지하게 틀(85)로 고정시키며, 공간에 자석(7)과 원반(10)으로 구성된 회전체(E)를 내장시킨 다음 자석(86)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원반(87)을 핸들(81)의 대(82)에 고착시켜서 자석(7)과 자석(86)간에 인력이 작용하며, 잠금대(80)가 있는 핸들(81)이나 손잡이(135)의 대(82)에 투명판(83)을 씌우고 관(88)이 형성된 비자성체판(84)을 대(82)에 고정시키되 이들이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틀(85)로 투명판(83)을 고정시킨 다음 이 공간에 자석(7)가 원반(10)으로 구성된 회전체(E)를 내장시키며, 자석(86)이 기울어지게 장착된 원반(87)을 핸들(81)의 대(82)에 고정시켜서 자석(7)과 자석(86)간에 인력이 작용토록 자석(86)을 장착하고 원반(87)과 투명판(83)을 틀(85)로 고정시키는 문의 핸들 및 메모지함(89)의 바닥(95)의 중앙 요홈에 자석(90)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그 둘레의 요홈에 자석(91)(92)(93)(94)을 바닥(95)상면과 일치하도록 고정시키되 위를 향한 자석(91)(92)(93)(94)의 자극이 N, S, N, S 순으로 고정시키며, 그 위에 메모지(96)를 올려놓고 자석(90)의 상면 메모지(96) 위에 올려놓는 반구자석(97)에 장식품(98)을 장착하고 관절이 있는 팔(99)(100)의 양손엔 각각 자석(101)(102)을 고정시키되 밑을 향한 자극이 N, S가 되도록 하며 머리(103)에도 다극의 자석(104)이 내장시킨 메모지함과 이마(105)와 얼굴(106)사이에 투명체 안구(107) 안에 회전체(E)가 내장되며, 앞 뒤 축받이(108)(108')에 고정된 받침틀(109) 요홈에 자석(111)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이 자석(111)과 회전체(E)사이에 비자성체판(110)이 들어가게 하되 이 비자성체판(110)은 회전축(112)에 연결되며, 회전축(112)의 원반(113)에 다수의 자석(114)을 필요한 간격으로 고정시키되 그 자극의 상면이 N, S, N, S, N, S 순이 되도록 하며, 회전축(112)의 상단은 상면(115)의 축받이(116)에 축설하고 그 하단의 구멍에 모터(117)의 회전축(118)을 고정시키며 모터(117)는 하면(119)에 볼트(120)로 고정시키고, 윗 눈까풀(121)의 레버(123)위에 자석(125)을 부착하고 밑 눈까풀(122)의 레버(124)밑에 자석(126)을 부착하며 두 레버(123)(124)를 눈까풀(121)(122)의 중심점에 축(127)으로 축설하되 두 자석(125)(126)사이에서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극의 방향을 정하고,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던가 아니면 상면(115)과 하면(119)이 원반이 되면서 그 둘레에 적당한 간격으로 이 회전축(112)의 좌측과 같이 구성하며 눈까풀(121)과 눈까풀(122)의 둘레에 눈섭을 그리며, 원통형 틀(14)의 상단 비자성체판(5)원반의 중심에 형성된 관(128)의 구멍(15)에 자석틀(17)의 회전축(16)을 축설하되 이 자석틀(17)상면의 여러 요홈마다 자석(4)(4')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회전축 하단(19)의 구멍에는 밑 뚜낑(21)의 중심에 볼트(24)로 고정시킨 모터(20)의 회전축(21)을 끼운 다음 공전하지 않도록 하고 틀(14)안에 밑 뚜껑(23)의 관(25)을 결합하고, 틀(14)의 비자성체판(5)위에 자석(7)(7')이 장착된 반구가 형성된 원반(10)(1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E)를 올려놓아서 자석(7)(7')과 자석(4)(4')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이들 원반(10)(10')의 반구가 접하는 각 접점(6)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자석(7)(7')과 원반(10)(10')위에 인형(133)(133')의 몸과 머리에 각각 자석(134)(134')과 자석(135)(135')을 내장시키고, 회전축(16)의 상단구멍에 자석(131)의 자극 면이 회전축(16)의 외주 면과 평하게 장착하며, 회전축(16)의 외주변 요홈에 자석(129)(130)을 기울어지게 장착하고 관(128)의 외주에 반구가 형성된 원반(132)(132')에 자석(133)(133')을 장착시켜서 자석(133')과 자석(130)사이에 인력이 작용토록 하며, 자석(133)과 자석(129)사이에 인력이 작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KR1020030006033A 2003-01-26 2003-01-26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KR20040068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033A KR20040068451A (ko) 2003-01-26 2003-01-26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033A KR20040068451A (ko) 2003-01-26 2003-01-26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51A true KR20040068451A (ko) 2004-07-31

Family

ID=3735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033A KR20040068451A (ko) 2003-01-26 2003-01-26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4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98A (ko) * 2018-03-28 2019-10-08 강성기 인력을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교구
CN110487306A (zh) * 2019-09-04 2019-11-22 太仓敏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骨钉螺丝磁力旋转光学检测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98A (ko) * 2018-03-28 2019-10-08 강성기 인력을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교구
CN110487306A (zh) * 2019-09-04 2019-11-22 太仓敏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骨钉螺丝磁力旋转光学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655A (en) Gyroscopic device and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thereby
US6853283B1 (en) Frictionless self-powered moving display
RU2004125294A (ru) Магнитно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двумя осями вращения
US6132284A (en) Transmission structure to provide an ornament with rotary and swinging motion in a water globe
JP2003512806A (ja) 自転式ディスプレーの球形装置
US20080293325A1 (en) Rotating doll eyeball
CN105996602A (zh) 一种球型可动展示柜
CN102698442A (zh) 医学模拟人仿真眼睛
KR20040068451A (ko) 자력과 마찰력에 의한 회전체의 응용 방법
US6652349B1 (en) Animated hanging ornament
JP2010096044A (ja) 重力を利用した回転装置モーター、および磁力を利用した回転装置
CN108492709B (zh) 月相观察仪
US3089259A (en) Miniature solar system displays
US5377433A (en) Dynamic artwork display
US5967791A (en) Astronomical display apparatus
US4713011A (en) Solar system simulator
CN218996224U (zh) 一种动态星球仪
CN209346542U (zh) 人体上肢运动体态模拟装置
JPH10137451A (ja) 自動回転こま及びこま装置
CN207462660U (zh) 一种掌上磁悬浮陀螺
US9039421B2 (en) Educational apparatus
CN206271315U (zh) 全角度地球运动演示装置
JP5268878B2 (ja) 慣性回転装置、およびその始動方法
JPH07244457A (ja) 球体ディスプレイ装置
CN107441720A (zh) 一种掌上磁悬浮陀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