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045A - 직류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직류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045A
KR20040068045A KR1020040044667A KR20040044667A KR20040068045A KR 20040068045 A KR20040068045 A KR 20040068045A KR 1020040044667 A KR1020040044667 A KR 1020040044667A KR 20040044667 A KR20040044667 A KR 20040044667A KR 20040068045 A KR20040068045 A KR 2004006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converter
selection switch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종
Original Assignee
장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종 filed Critical 장세종
Priority to KR102004004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045A/ko
Publication of KR2004006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출력 전압을 하나의 직류 어댑터를 이용하여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직류 어댑터 출력 선택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용 교류 콘센트에 결합되도록 한 단자; 어뎁터 몸체에 내장되어 교류전압을 강압시키며, 2차 권선 에는 서로 다른 소정 크기의 정격 전압을 출력토록 한 트랜스; 상기 트랜스 출력측의 정격 전압을 개폐하는 전압조절 스위치; 전압조절된 상태를 볼 수 있는 엘이디 인디케이터; 상기 스위치의 선택된 출력을 정류하여 도선으로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직류 어댑터 출력 선택 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종 소형 전자기기가 가지고 있는 정격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트랜스와 전압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전자기기가 가지는 필요한 정격 전압에 맞추므로써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며, 어떤 정격 전압을 가지는 기종의 전자기기라도 서로 호환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직류 멀티콘센트 {DC CONVERTER}
본 발명은 날로 증가하는 소형 전자기기들이 늘어남에 의해 생기는 수많은 종류의 어뎁터들을 통합, 폐합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는 직류변환장치를 구비하여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기기에 간단히 직류동작전원을 공급할수 있도록 하는 직류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는 멀티 콘센트에 직류 변환장치를 일체로 구비하여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기기에 간단히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기기들은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비교적 고가로서 배터리만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휴대용 기기들을 사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은 이동하면서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배터리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집안 및 사무실 등과 같은 고정된 장소에서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별도의 직류 변환장치를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에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사무실 등을 비롯한 각종 고정 구조물에는 전기 및 전자 제품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콘센트는 벽면 등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및 전자 제품을 상기 콘센트가 고정된 벽면 근처에 위치시켜 사용해야 되었다. 또한 복수의 전기 및 전자 제품을 동시에 구동시켜 사용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과, 모니터 및 프린터, 스피커, 핸드폰등의 기기는 동시에 동작시켜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복수의 전기 및 전자 제품을 동시에 구동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콘센트에 구비된 플러그 삽입구멍의 수가 적고 기기에따라 사용전압이 틀려 어뎁터를 많이 사용하여 콘센트 부분이 지저분해진다.
그러므로 많은 사용자들은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는 멀티 콘센트를 구비하고, 이 멀티 콘센트로 상기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콘센트의 교류 전원을 연장하여 전기 및 전자 제품에 공급함은 물론 멀티 콘센트의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에 복수의 전기 및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삽입 및 교류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복수의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멀티 콘센트는 교류전원을 연장하여 복수의 전기 및 전자 제품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이고,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는 없었으므로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기기들을 동작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멀티 콘센트 이외에 별도로 직류 변환장치를 사용해야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멀티 콘센트 및 직류 변환장치를 각기 별도로 구입해야 되며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여 콘센트 주위가 복잡해지는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한 직류 멀티콘센트에 직류변환장치를 일체로 내장하여 복수의 전기 및 전자제품 및 휴대용 기기에 직류의 동작전원을 공급할수 있도록 하는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직류변환장치는;
교류전원을 강압하는 강압 트랜스;
상기 강압 트랜스의 강압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콘덴서; 및
상기 삽입되는 휴대용 기기의 직류 전원용 플러그(6)를 통해 상기 평활된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이다.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가 산업이 고도화됨에따라 소형화 휴대화가 진행되면서 직류전류를 쓰는 기기들이 많아지게 되었는데 이런 기기들의 대부분이 직류전압을 사용하게 되면서 각각마다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주는 어뎁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어뎁터를 사용하게 되어서 나타나는 변환효율저하 및 환경오염 공간의 차지를 줄여보고자 발명하였는데 한국 특허공개공보
2020000008779호에는 기존의 교류 멀티탭에 직류변환장치를 부착하여 전압조절을 할 수 없는 단일 직류출력만을 사용하게 하였다.
또 한국 특허공개공보 2019970041046호에서는 교류콘센트에서 전압조절이 가능하지만 역시 단일 직류출력만을 사용하는 발명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및 전자제품에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할수있음은 물론 별도의 직류전원용 플러그를 직류 멀티콘센트의 잭에 연결 및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정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가정용 및 휴대용기기에 직류전압을 공급하기위해 만들어지는 각각의 어댑터를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C : 교류전원DC : 직류전원
1 : 케이스2 : 슬라이드 스위치
3 : 엘이디4 : 직류콘센트
5 : 직류케이블6 : 교체형 직류소켓
7 : 교류케이블9 : 철심
10 : 철편11 : 삽입홈
12 : 직류변환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직류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류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부호 1은 하부케이스(9)의 상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고정나사(8)로 고정되는 상부케이스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의 내측에는 전압선택스위치(2)가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지만 쉽게 전원선택스위치(2)가 변화되지 않도록 설치됨가 아울러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안의 철편(10)과 철심(9)를 감싸는 직류 콘센트(4)가 구비된다.
부호 3은 직류전압상태확인용 엘이디(3)로써 1.5V, 3V, 5V, 6V, 9V, 12V용도로 6가지 직류전압을 표시할수 있도록 각각 전원 선택스위치(2)로 선택한다.
부호 2는 전원선택스위치(2)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선택할수있으며 잘못된 조작으로 직류전압이 변하여 연결된 전자기기가 과전압이나 저전압으로 동작하여 기기에 무리를 주지않게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부호 7은 교류전원 입력용 플러그(7)로서 본 직류멀티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부호 5 및 6은 전원선택스위치(2)에서 선택된 직류를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해주기위한 교체형 소켓으로서 사용하고자하는 전자기기의 직류공급홈의 크기에 맞게 교체될수 있도록 한다.
부호 12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회로(12)이다. 상기 직류변환장치는 강압트랜스, 브리지 다이오드, 콘덴서가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교류플러그(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선택스위치(2)를 온(ON)하여 접속시키면, 직류플러그단자(6)가 끼워진 전기 및 전자제품에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정상동작시킬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및 전자제품에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할수있음은 물론 별도의 직류전원용 플러그를 직류 멀티콘센트의 잭에 연결 및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정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가정용 및 휴대용기기에 직류전압을 공급하기위해 만들어지는 각각의 어댑터를 대체할수있으므로 어뎁터를 별도로 구입함으로써 생기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직류콘센트 주변으로 몰려있는 직류멀티텝이나 어뎁터의 공간차지를 줄일 수 있고,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 변환효율이 좋지 않은 것을 각각의 어뎁터로 하지않고 한 개의 변환장치로 해결함으로 변환효율이 좋아지게 되어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직류 콘센트가 부족한 것을 해결할수 있으며 폐기시 각각의 어뎁터로 인해 생기는 산업폐기물 증가, 환경오염을 어뎁터를 통합함으로서 줄일수 있다.
본 기기가 건물의 벽에 교류콘센트와 같이 내장된다면 더욱더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좋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직류를 공급하는 멀티 변환장칭체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가정용 소형전자기기 및 휴대용 기기에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직류 변환장치가 내장되어 여러개의 직류 콘센트를 구비하여 각각 직류전압을 선택하여 휴대용기기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직류변환장치가 내장된 직류 멀티콘센트.
  2.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직류변환장치는; 교류전원을 강압하는 강압 트랜스;
    상기 강압 트랜스의 강압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콘덴서; 및 상기 삽입되는 휴대용 기기의 직류 전원용 플러그(6)를 통해 상기 평활된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
  3. 제 1,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변환장치를 벽면에 실장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직류 멀티콘센트.
KR1020040044667A 2004-06-16 2004-06-16 직류 멀티콘센트 KR20040068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67A KR20040068045A (ko) 2004-06-16 2004-06-16 직류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67A KR20040068045A (ko) 2004-06-16 2004-06-16 직류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45A true KR20040068045A (ko) 2004-07-30

Family

ID=3735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667A KR20040068045A (ko) 2004-06-16 2004-06-16 직류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102036A4 (en) Usb charger
US8610313B2 (en) DC power outlets in fixed power distribution systems in or on wall installations
US20020154528A1 (en) AC to DC adapter with AC receptacle
US20100231185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ssembly thereof
WO2001043266A1 (en) Electrical power strip with ac to dc power supply
US7258572B2 (en) Modular DC power step down adapter
CN201682301U (zh) 便携式电源装置
KR20040068045A (ko) 직류 멀티콘센트
KR100726014B1 (ko) 통합형 어댑터
KR200198500Y1 (ko) 직류 변환장치가 구비된 멀티 콘센트
KR101197456B1 (ko) Usb 포트를 갖춘 멀티콘센트
KR100757564B1 (ko) 전원공급장치
KR20090077411A (ko) 직류전원장치 내장 전원소켓장치 제조기술
CN101938218A (zh) 一种壁内电源输出适配装置及转接器
AU2014101138A4 (en) Electrical outlet with usb charger
KR200256171Y1 (ko) 전원 어댑터
WO2020224179A1 (zh) 多路直流输出装置
GB2350940A (en) Electrical power supply
KR200262620Y1 (ko) 정류기 내장형 전화 콘센트
JP2005341781A (ja) コンセント
JP2017016948A (ja) 給電ユニット
KR19990050055A (ko) 퍼스널 컴퓨터의 출력전원 다중화 장치
JPH11260486A (ja) 電気製品、電源ユニット及び電気製品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