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25A - 아스코마이신의 안검염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아스코마이신의 안검염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825A
KR20040066825A KR10-2004-7007555A KR20047007555A KR20040066825A KR 20040066825 A KR20040066825 A KR 20040066825A KR 20047007555 A KR20047007555 A KR 20047007555A KR 20040066825 A KR20040066825 A KR 2004006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mycin
blepharit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i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프사드니
엘리자베쓰 라투르
피오트르 스크제스니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6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검염을 치료하는 데 있어 아스코마이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코마이신의 안검염 치료 용도 {Use of an Ascomycin for the Treatment of Blepharitis}
본 발명은 안검염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아스코마이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안검염은 눈꺼풀 가장자리의 염증이며, 통상적으로 포도상구균성 (staphylococcal) 안검염, 지루성 안검염 또는 알레르기성 안검염으로 분류된다. 대체로, 환자들은 포도상구균성 안검염과 지루성 안검염 둘 다에 대해 통상적인 증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아스코마이신이 눈꺼풀 발병증 (특히, 안검염)의 치료에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용도는 지루성 안검염 및 알레르기성 안검염, 특히 알레르기성 안검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아스코마이신은 아스코마이신 그 자체, 또는 그의 유도체, 길항제, 효능제 또는 유사체 (예를 들어, FK506 부류의 화합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아스코마이신으로는 FK506, 또는 FK506의 기본 구조를 보유하며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특성 (예를 들어, 면역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FK506의 유도체, 길항제, 효능제 또는 유사체 (예를 들어, EP 184162, EP 315978, EP 323042, EP 423714, EP 427680, EP 465426, EP 474126, WO 91/13889,WO 91/19495, EP 484936, EP 532088, EP 532089, EP 569337, EP 626385, WO 93/5059 등에 기재된 것들); EP 427680의 실시예 66a에 개시된 33-에피-클로로-33-데스옥시-아스코마이신 (이하, 화합물 A로 언급함); EP 569 337의 실시예 6d 및 71에 개시된 {[1E-(1R,3R,4R)]1R,4S,5R,6S,9R,10E,13S,15S,16R,17S,19S,20S}-9-에틸-6,16,20-트리히드록시-4-[2-(4-히드록시-3-메톡시-시클로헥실)-1-메틸비닐]-15,17-디메톡시-5,11,13,19-테트라메틸-3-옥사-22-아자-트리시클로[18.6.1.0(1,22)]헵타코스-10-엔-2,8,21,27-테트라온 (이하, 화합물 B로 언급함); 및 EP 626 385의 실시예 8에 개시된 {1R,5Z,9S,12S-[1E-(1R,3R,4R)],13R,14S,17R,18E,21S,23S,24R,25S,27R}17-에틸-1,14-디히드록시-12-[2-(4-히드록시-3-메톡시-시클로헥실)-1-메틸비닐]-23,25-디메톡시-13,19,21,27-테트라메틸-11,28-디옥사-4-아자-트리시클로[22.3.1.0(4,9)]옥타코사-5,18-디엔-2,3,10,16-테트라온(또한 5,6-데히드로-아스코마이신으로도 알려짐; 이하, 화합물 C로 언급함); WO 97/08182의 실시예 1에 화학식 I의 화합물로 개시된 이미다졸릴메틸옥시아스코마이신 (이하, 화합물 D로 언급함); 문헌 [Transplantation 65 (1998) 10-18, 18-26]의 11페이지 도 1에 개시된 32-O-(1-히드록시에틸인돌-5-일)아스코마이신 (또한 인돌릴-ASC 또는 L-732 531로도 알려짐; 이하, 화합물 E로 언급함); 또는 문헌 [J. Inv. Derm. 112 (1999), 729-738]의 730페이지 도 1에 개시된 (32-데옥시-32-에피-N1-테트라졸릴)아스코마이신 (또한 ABT-281로도 알려짐; 이하, 화합물 F로 언급함)이 있다.
FK506과, 화합물 A, B, C, D, E 및 F가 바람직한 아스코마이신이고, 화합물A, B 및 C가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FK506 및 화합물 A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화합물 A이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환부 구역에 치료 유효량의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상기 환자의 눈꺼풀에 투여되는 것이고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바람직하게는 안구 조직과 상용성인 연고, 크림, 겔 또는 로션으로 제제화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음)되는 것인, 안검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환부 구역 또는 눈꺼풀에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동안, 상기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일부가 각막, 결막 등과 같은 눈의 안구 조직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검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의 안구 상용성은 바람직한 측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검염 치료용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아스코마이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내에서, 본원의 상기 및 하기에 설명된 모든 바람직한 실시양태 및 측면은 본원의 상기 및 하기에 개시된 용도 및(또는) 방법에 대해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 "치료하다" 또는 "치료하는"은 치유적 또는 질환 완화적 처치 뿐만 아니라 예방 또는 방지적 치유 둘 다를 나타내는 것이며, 여기에는 질환에 걸리고 있는 환자나 질환에 걸렸던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치료 뿐만 아니라, 질환이나 의학 증상을 앓고 있거나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치료가 포함된다.
투여 방식은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 및 보조제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아스코마이신을 투여하는 다양한 방식이 아래에 기재된다. 매우 바람직한 투여 방식은 국소 투여이다.
장내 투여용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비경구, 국부 및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약리 활성 성분을 그 자체로 포함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기타 제약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 0.000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0001% 내지 약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1%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장내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약 조성물 및 국부 투여용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당의정, 정제, 캡슐 또는 좌약, 및 앰풀과 같은 단위 투여 형태의 조성물이다. 이들 조성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예를 들어 종래의 혼합, 과립화, 당제(糖劑) 조제, 용해 또는 동결건조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용 제약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고형 담체와 배합하고, 임의로는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시키고, 필요에 따라 적합한 부형제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 또는 과립을 가공하여 정제 또는 당의정 코어를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전신 투여에 적합한 담체로는, 특히 충전재, 예를 들어 락토스, 사카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 셀룰로스 제제, 및(또는) 인산삼칼슘 또는 인산수소칼슘과 같은 인산칼슘; 결합제, 예를 들어 옥수수, 밀, 쌀 또는 감자 전분을사용한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필요에 따라 붕해제,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전분, 및 카르복시메틸 전분,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또는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이 있다. 부형제로는, 특히 유동성 조절제 (flow conditioner) 및 윤활제, 예를 들어 규산,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스테아르산칼슘),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당의정 코어는 적합한 피복, 임의로는 장용피복되어 제공되며, 여기에는 특히 아라비아 고무, 활석,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는 농축 당 용액, 또는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의 피복 용액, 또는 장용피복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셀룰로스 제제 (예컨대, 아세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프탈레이트)의 용액이 사용된다. 착색제 또는 안료가, 예를 들어 식별 목적으로 또는 상이한 복용량의 활성 성분을 나타내기 위해 정제 또는 당의정 피복에 첨가될 수 있다.
추가로, 경구 투여용 제약 조성물에는 젤라틴으로 구성된 건조-충전 캡슐, 및 젤라틴과 가소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로 구성된 연질 밀봉 캡슐이 포함된다. 건조-충전 캡슐은, 예를 들어 락토스와 같은 충전재,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또는)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활주제, 및 임의로는 안정화제와 배합된 과립 형태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액체 (예를 들어, 지방 오일, 파라핀 오일 또는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용해 또는 현탁되고, 여기에 안정화제가 마찬가지로 첨가될수 있다.
적합한 직장 투여용 제약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과 좌약 기재의 조합 제제로 구성된 좌약이 있다. 적합한 좌약 기재로는,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리드, 파라핀 탄화수소,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고급 알칸올이 있다. 활성 성분과 기재 물질의 조합 제제를 포함하는 젤라틴 좌약 캡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기재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액상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파라핀 탄화수소가 있다.
비경구 투여용으로는, 특히 수용성 형태 (예를 들어, 수용성 염 형태)의 활성 성분의 수용액이 적합하고, 상응하는 오일 주사용 현탁액과 같은 활성 성분의 현탁액도 적합하며, 지방 오일 (예를 들어, 참기름) 또는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적합한 친지성 용매 또는 비히클이나, 또는 점도-증가 물질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르비톨 및(또는) 덱스트란)과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수성 주사용 현탁액이 사용된다.
국소 투여의 경우, 통상적으로 상응하는 조성물은 대체로 피부에 국소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눈꺼풀 주변의 피부에 국소 투여되고, 특히 눈꺼풀에 국소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눈꺼풀의 피부에 국소 투여되며, 이는 특히 연고, 크림, 겔 또는 로션의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제약 조성물은 연고이다.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크림을 눈꺼풀의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것도 동등하게 적합하다.
그러한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 0.00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특히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로 활성 성분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범위는 0.0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이다.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의 복용량은 투여 방식, 요건, 연령 및(또는) 개체 상태와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통상적인 부형제 또는 첨가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음), 예를 들어 등장화제 (또한 장성 증진제라고도 불리움), 완충액, 착화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국소 투여용 담체로는, 예를 들어 물; 물과 수-혼화성 용매 (예를 들어, C1- 내지 C7-알칸올)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또는 무기 오일; 에틸 올레에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특히 안구 조직과 상용성인 기타 무독성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어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알칼리 금속염,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키토산 및 스클레로글루칸 (scleroglucan)),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의 염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천연 산물 (예컨대, 젤라틴, 알기네이트, 펙틴, 트라가칸트, 카라야 고무, 크산탄 고무, 카라기닌 (carrageenin), 아가 및 아카시아), 전분 유도체 (예컨대, 전분 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및 기타 합성 산물 (예컨대, 폴록사머 (Poloxamer) F127과 같은 폴록사머,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시드, 바람직하게는 천연 카르보폴 (Carbopol)과 같은 가교결합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이 있다. 담체의 농도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농도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000배이다.
안정화제도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시클로덱스트린, 틸록사폴 (tyloxapol), 지방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테르,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안정화제의 구체예로는 피마자유와 에틸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 예를 들어 시판품인 크레모포르 (Cremophor) EL (등록상표) 또는 크레모포르 RH 40 (등록상표)이 있다. 피마자유와 에틸렌 옥시드의 반응 혼합물은 안구 조직과 상용성인 특히 양호한 안정화제인 것으로 증명된 바 있다.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제로는 시클로덱스트린 및 틸록사폴이 있다. 사용되는 농도는 특히 활성 성분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첨가되는 양은 통상적으로 활성 성분을 가용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의 농도는 활성 성분의 농도를 기준으로 0.1 내지 5000배이다.
완충액의 예로는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붕산염, 탄산수소/탄산염, 시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TRIS (트로메타민, tromethamine) 완충액이 있다. 트로메타민 및 붕산염 완충액이 바람직한 완충액이다. 첨가되는 완충액의 양은,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pH 범위를 보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양이다. pH 범위는 통상적으로 4 내지 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5의 범위이다.
장성 증진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할라이드 (예컨대, CaCl2, KBr, KCl, LiCl, NaI, NaBr 또는 NaCl), Na2SO4또는 붕산과 같은 이온성 화합물이다. 비-이온성 장성 증진제로는, 예를 들어 우레아, 글리세롤, 소르비톨, 만니톨,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덱스트로스가 있다. 충분한 양의 장성 증진제를 첨가하여 제약 조성물에 안구 조직과의 보다 양호한 상용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약 50 내지 1000 mOsmol의 삼투농도를 부여한다).
보존제의 예로는 세파조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트리미드 (cetrimid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옥소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브라도솔 (Bradosol, 등록상표)) 또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4급 암모늄염; 티오메르살 (thiomersal), 질산 페닐수은, 아세트산 페닐수은 또는 붕산 페닐수은과 같은 티오살리실산의 알킬-수은염; 메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벤 (paraben); 클로로부탄올, 벤질 알콜 또는 페닐 에탄올과 같은 알콜; 클로로헥시딘 또는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와 같은 구아니딘 유도체; 과붕산나트륨; 게르말 (Germal, 등록상표) Ⅱ 또는 소르브산이 있다. 바람직한 보존제는 4급 암모늄염, 알콜, 알킬-수은염 및 파라벤이다. 필요한 경우, 충분한 양의 보존제를 제약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시 박테리아 및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2차 오염을 예방한다.
국소 조성물은 유화제, 습윤제 또는 충전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또는 카르보왁스 (Carbowax) 1000, 카르보왁스 1500, 카르보왁스 4000, 카르보왁스 6000 및 카르보왁스 10000과 같은 추가의 무독성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부형제는 아래에 기재되지만, 이들 부형제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가능한 부형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부형제로는 특히, 이나트륨-EDTA 또는 EDTA와 같은 착화제; 아스코르브산, 아세틸시스테인, 시스테인, 아황산수소나트륨,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화방지제; 티오우레아, 티오소르비톨,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같은 안정화제; 또는 라우르산 소르비톨 에스테르, 트리에탄올 아민 올레에이트 또는 팔미트산 에스테르와 같은 기타 부형제가 있다. 바람직한 부형제는 이나트륨-EDTA와 같은 착화제이다. 첨가되는 부형제의 양 및 유형은 특정 요건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약 0.0001 내지 약 9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시클로덱스트린은 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중 어느 하나, 그의 유도체 (히드록시알킬 에테르와 같이 부분적으로 에테르화된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어떠한 시클로덱스트린도 임의의 무작위적인 제약 화합물과 자동적으로 내포 복합체 (inclusion complex)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제약 화합물의 공동 (cavity) 요건을 충족하는 시클로덱스트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통상 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그 자체, 또는 적당하게 치환된 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상기 언급한 시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감염방지성 약물 및 소염성 약물로부터 선택된 제2 약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약물의 조합 제제는 발병을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안검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상기 아스코마이신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조합 제제는 아스코마이신과 감염방지성 약물을 포함한다. 안검염 치료에 있어 바람직한 다른 조합 제제는 아스코마이신과 소염성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아스코마이신, 및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감염을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기에 충분한 치료 유효량의 감염방지성 약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국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검염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안검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아스코마이신, 및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염증을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기에 충분한 치료 유효량의 소염성 약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국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검염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안검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안검염의 치료는 아스코마이신을 유일한 제약 활성 약물로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국소 투여함 (또한 단일 약물 요법이라고도 알려짐)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염성 약물은 통상 덱사메타손, 플루오로메톨론,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스테로이드; COX-억제제 (예를 들어, 디클로페낙, 케토롤락 및 인도메타신)와 같은 소위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성 약물 (NSAID)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소염성 약물은 NSAID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페낙이다.
감염방지성 약물은 통상 클로람페니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오플록사신, 폴리믹신 B 및 토브라마이신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감염방지성 약물은 시프로플록사신 및 토브라마이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토브라마이신이다.

Claims (12)

  1. 안검염 치료용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아스코마이신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FK506; 33-에피-클로로-33-데스옥시-아스코마이신; {[1E-(1R,3R,4R)]1R,4S,5R,6S,9R,10E,13S,15S,16R,17S,19S,20S}-9-에틸-6,16,20-트리히드록시-4-[2-(4-히드록시-3-메톡시-시클로헥실)-1-메틸비닐]-15,17-디메톡시-5,11,13,19-테트라메틸-3-옥사-22-아자-트리시클로[18.6.1.0(1,22)]헵타코스-10-엔-2,8,21,27-테트라온; {1R,5Z,9S,12S-[1E-(1R,3R,4R)],13R,14S,17R,18E,21S,23S,24R,25S,27R}17-에틸-1,14-디히드록시-12-[2-(4-히드록시-3-메톡시-시클로헥실)-1-메틸비닐]-23,25-디메톡시-13,19,21,27-테트라메틸-11,28-디옥사-4-아자-트리시클로[22.3.1.0(4,9)]옥타코사-5,18-디엔-2,3,10,16-테트라온 (또한 5,6-데히드로-아스코마이신으로도 알려짐); 이미다졸릴메틸옥시아스코마이신; 32-O-(1-히드록시에틸인돌-5-일)아스코마이신 (또한 인돌릴-ASC 또는 L-732 531로도 알려짐); 및 (32-데옥시-32-에피-N1-테트라졸릴)아스코마이신 (또한 ABT-281로도 알려짐)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FK506 및 33-에피-클로로-33-데스옥시-아스코마이신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33-에피-클로로-33-데스옥시-아스코마이신인 용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약 조성물이 연고, 크림, 겔 또는 로션, 바람직하게는 연고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약 조성물이 국소 투여용인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환자의 눈꺼풀에 국소 투여되는 것인 용도.
  8. 안검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환부 구역에 치료 유효량의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상기 환자의 눈꺼풀에 투여되는 것인, 안검염의 치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검염이 포도상구균성 (staphylococcal) 안검염, 지루성 안검염 또는 알레르기성 안검염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마이신이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1.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는 안검염 치료용 제약 조성물.
  12. 안검염에 사용하기 위한 아스코마이신을 포함하며, 연고, 크림, 겔 및 로션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
KR10-2004-7007555A 2001-11-19 2002-11-18 아스코마이신의 안검염 치료 용도 KR20040066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127546 2001-11-19
EP01127546.8 2001-11-19
PCT/EP2002/012921 WO2003043633A1 (en) 2001-11-19 2002-11-18 Use of an ascomycin for the treatment of blepharit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25A true KR20040066825A (ko) 2004-07-27

Family

ID=817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55A KR20040066825A (ko) 2001-11-19 2002-11-18 아스코마이신의 안검염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20050043286A1 (ko)
EP (2) EP1754482A1 (ko)
JP (1) JP2005511633A (ko)
KR (1) KR20040066825A (ko)
CN (1) CN1589144A (ko)
AU (1) AU2002366222A1 (ko)
BR (1) BR0214244A (ko)
CA (1) CA2467549A1 (ko)
HU (1) HUP0500698A2 (ko)
IL (1) IL161849A0 (ko)
MX (1) MXPA04004757A (ko)
NO (1) NO20042542L (ko)
NZ (1) NZ532963A (ko)
PL (1) PL368642A1 (ko)
RU (1) RU2004118424A (ko)
WO (1) WO2003043633A1 (ko)
ZA (1) ZA200403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1367A1 (en) 2019-05-21 2020-11-25 Premark Pharma GmbH Treatment of ocular disease
US11419886B2 (en) 2020-11-23 2022-08-23 Sight Sciences,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ey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1959B1 (en) * 1991-04-26 2001-01-1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Use of macrolide compounds for eye diseases
IL102414A (en) * 1991-07-25 1996-08-04 Univ Louisville Res Found Medicinal preparation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ion, containing rapamycin
SE9904863D0 (sv) * 1999-12-30 1999-12-30 Medscand Medical Ab New use
AR033151A1 (es) * 2001-04-12 2003-12-03 Sucampo Pharmaceuticals Inc Agente para el tratamiento oftalmico topico de las enfermedades inflamatorias ocula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1849A0 (en) 2005-11-20
RU2004118424A (ru) 2005-05-10
ZA200403575B (en) 2006-07-26
EP1450798A1 (en) 2004-09-01
US20050043286A1 (en) 2005-02-24
NZ532963A (en) 2007-01-26
AU2002366222A1 (en) 2003-06-10
JP2005511633A (ja) 2005-04-28
BR0214244A (pt) 2004-09-21
EP1754482A1 (en) 2007-02-21
NO20042542L (no) 2004-06-17
CA2467549A1 (en) 2003-05-30
CN1589144A (zh) 2005-03-02
PL368642A1 (en) 2005-04-04
US20080076793A1 (en) 2008-03-27
HUP0500698A2 (en) 2006-08-28
WO2003043633A1 (en) 2003-05-30
MXPA04004757A (es) 2004-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39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medical and veterinary ophthalmology
US10398725B2 (en)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5891913A (en) Ophthalmic and aural compositions containing diclofenac potassium
CA2457034C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scomycin
WO2002100437A2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hyaluronic acid
AU2002331172A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scomycin
BRPI0709985A2 (pt) composição de brimonidina e timolol
EP1482936B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ascomycin
JP4175801B2 (ja) 消炎鎮痛点眼剤
US20080076793A1 (en) Use of an ascomycin for the treatment of blepharitis
EP3737378B1 (en) Palonosetron eye drop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AU2007200228A1 (en) Use of an ascomycin for the treatment of blepharitis
JPH02212425A (ja) 緑内障の治療のためのアンギ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とカルボネートデヒドラターゼ阻害剤との組合せ
WO2002100436A2 (en) Ophthalmic once-a-day composition
EP1859802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benzo(G)quinoline derivates and prostaglandin derivates
US20180200289A1 (en) Novel ophthalm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JPH09295935A (ja) 抗眼炎症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