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226A - Fishing rod - Google Patents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226A
KR20040064226A KR1020040001129A KR20040001129A KR20040064226A KR 20040064226 A KR20040064226 A KR 20040064226A KR 1020040001129 A KR1020040001129 A KR 1020040001129A KR 20040001129 A KR20040001129 A KR 20040001129A KR 20040064226 A KR20040064226 A KR 2004006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ar
rod
fit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8892B1 (en
Inventor
하라다타카후미
오타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6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PURPOSE: A fishing rod, which changes its whole length between a main rod and an extension rod so that a fish is easily taken in, is provided to change the whole length of itself between the main and the extension rod, and to enable a fisherman to angle according to the situations by changing the whole length before angling. CONSTITUTION: The fishing rod is so configured that plural cylinder-shaped pol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includes: a main pole(1); an extension pole(2), arranged on the basic end side of the main pole(1)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drawn out from the main pole(1); and a main upper pole(3), arranged on the water plane side of the main pole(1) so as to be contained inside the mail pole(1) and the extension pole(2). The extension pole(2) and the main upper pole(3) are fixed into the main pole(1) in both states that they are contained respectively into the main pole(1) or drawn out from the latter(1) towards the basic end side thereof or the water plane side. The main pole(1) is a cylindrical body, tapered towards the front end of its own whole length.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Fishing ro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원대의 장대 기단(基端)측으로 뽑거나 넣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신 장대를 가지고, 낚싯대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used for fishing.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having an elongated pole connected to be pulled or inserted into a pole base end of a rod, and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복수의 장대를 뽑이식 또는 병계(竝繼) 형식 등에 의하여 연결하여 한 자루의 낚싯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용도에 맞추어 여러 가지 타입의 낚싯대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은어 낚시용의 은어 낚싯대나 계류 낚싯대 등의 연장 장대에 있어서는, 채비에 걸린 물고기를 쉽게 거두어들이기 위해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낚시 조작시에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Generally, a fishing rod is a fishing rod by connecting several poles by a pull-out type, a military system, etc. And various types of fishing rods ar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 For example, in extension poles, such as a sweetfish fishing rod and a mooring fishing rod for sweetfish fishing, in order to collect | recover the fish caught easily, the function which made it possible to change the fishing rod full length quickly at the time of a fishing operation is provided.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종래의 은어 낚싯대 등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에 별도로 연신 장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신 장대는 원대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시 조작을 한창 하고 있을 때 상황에 따라 낚시꾼은 연신 장대를 뽑거나 넣어 낚싯대 전체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행한다 (특허 문헌 1 등 참조).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이와 같이 낚싯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에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內周面)과 연신 장대의 장대 기단측 둘레면에서 서로 감착(嵌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For example, some types of conventional sweetfish fishing rods ar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rod base end side end of the rod of the far end. This drawing pole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far table in either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far table (storage state) and the state pulled to the handle side in the far table (stretched state). When the fishing operation is in full swing, the angler pulls or puts the extension pol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and adjusts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to perform fishing (see Patent Document 1 and the like). Specifically, in the fishing rod which can adjust the rod length conventionally like this, in a storage state, it adhere | attaches each other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pole base end side edge of a rod, and the pole pole end edge side circumference surface of an extension pole. ) Structure.

<특허 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 3022411호 공보 (도 2, 도 3)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3022411 (Figures 2 and 3)

상술한 낚싯대와 같은 원대의 장대 기단측에 연신 장대를 뽑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한 타입의 낚싯대는, 채비에 물고기가 걸렸을 때 연신 장대를 원대로부터 뽑아 연장하여 낚싯대 전체 길이를 길게 하여, 낚싯대보다 긴 낚싯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물고기를 쉽게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낚시를 할 때 낚싯대에 요구되는 기능은 이것만은 아니다. 물고기가 채비에 걸리기 전 상태에서도 낚싯대 전체 길이를 바꾸어, 낚시터의 상황마다 대응할 필요도 있다.A fishing rod of the type which allows the drawing pole to be pulled out or put on the rod end side of a rod such as the fishing rod described above, when the fish is caught in the preparation, draws the extension pole out of the rod and extends the entire length of the rod, making the rod longer than the rod. Even if it is connected, it is easy to harvest fish. However, this is not the only function required for a fishing rod when fishing. Even before the fish is caugh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and respond to the situation of the fishing ground.

본 발명의 과제는, 원대와 연신 장대 사이에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 물고기를 쉽게 거두어들이고, 또한, 잡기 전 낚시 조작 단계에서도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rod that allows fish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changi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between the far and the stretching pole to easily harvest the fish, and also by changi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in the fishing operation step before catching it.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원대(1), 연신 장대(2), 원상대(3)에 있어서, (a) 원대(1) 내에 연신 장대(2) 및 원상대(3)를 수납한 상태, (b) 원대(1)로부터 연신 장대(2)를 장대 기단측으로 뽑은 상태, (c) 원대(1)로부터 원상대(3)를 뽑은 상태를 도시한 도.1 is a rod 1, a pole 2, a rod 3 in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n the rod 1, the extension pole 2 and the rod ( 3)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state, (b)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extension pole 2 from the original base 1 to the pole base end side, and (c)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original base 3 from the original base 1;

도 2는 원상대(3)를 원대(1)에 수납한 수납 상태에서의 원대(1)의 수선측을 도시한 도.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pair side of the far table 1 in a stored state in which the far table 3 is accommodated in the far table 1;

도 3은 연신 장대(2)와 원대(1)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stretching pole 2 and the far end 1.

도 4는 연신 장대(2)를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 뽑은 연신 상태에서의 원대(1)의 장대 기단측을 도시한 도.Fig. 4 is a view showing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far pole 1 in the extended state in which the extended pole 2 is pulled to the pole proximal side of the far pole 1;

도 5는 연신 장대(2)를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한 수납 상태에서의 원대(1)의 장대 기단측을 도시한 도.Fig. 5 is a view showing a pole proximal end of the rod 1 in a stored state in which the drawing pole 2 is inserted from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rod 1;

도 6은 원대(1)로부터 원상대(3)를 연신한 연신 상태에서의 원대(1)의 수선측을 도시한 도.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pair side of the far table 1 in the stretched state in which the far table 3 is stretched from the far table 1; FIG.

도 7은 밑마개(11)의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ttom lid 11;

도 8은 기타 실시예를 도시한 도.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원대 1a: 제1 감합자부1: 1a: First fitting part

2: 연신 장대 3: 원상대2: Extension Pole 3: One opponent

3a: 제2 감합웅부 3b: 제3 감합웅부3a: second fitting male 3b: third fitting male

5: 뒷마개 6: 삽입부5: Rear plug 6: Insert

6a: 제1 감합웅부 7: 그립부6a: First fitting part 7: Grip part

10: 링 부재 11: 밑마개10: ring member 11: bottom stopper

발명 1의 낚싯대는,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와, 원대의 장대 기단측에 원대 내로 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연신 장대와, 원대의 수선측에 원대 내 및 연신 장대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원상대를 구비하고 있다. 연신 장대 및 원상대는 각각 원대 내에 수납된 수납 상태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또는 수선측으로 뽑힌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고정할 수 있다.The fishing rod of the first invention is a fishing rod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s, which are ordinary chains, comprising: an extension pole, an extension pole connected to the pole pole proximal side of the pole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into the pole, and an inner pole and an extension pole on the repair side of the pole. It is equipped with the original base connected to accommodate. The stretching pole and the far table can be fixed to the far table in either of the stored state housed in the far table and the extended state drawn to the far end base end or the repair side of the far end.

원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가 행해진 통상체이고, 수선측 단부 내경이 타 부분보다 소경화(小經化)되어 제1 감합자부(嵌合雌部)로 되어 있고,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연결되는 뒷마개를 가지고 있다. 이 뒷마개는,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에 삽입되어 내주면이 제2 감합자부로 되어 있는 삽입부와, 장대 기단측 단부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 훅(hook)부를 가지고 있다.The far-end is generally a taper tapered toward the front end as a whol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pair side en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s, and becomes the first fitting part. It has a back plug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le base end side. The rear plug has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far pole proximal end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erving as a second fitting part, and a first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roximal proximal end.

연신 장대는, 수선측 단부 외주면(外周面)에 타 부분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가 형성되어 원대 내에 출입되는 통상체인 삽입부와,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수선측 단부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술한 제1 훅부와 계합하는 제2 훅부를 가지고 있다.The extension pole ha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normal chain which is formed on the waterline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portion, and enters and exits in the far table. It has a grip part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nd a 2nd hook part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side edge part of a grip part, and engaging with the 1st hook part mentioned above.

원상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고 축 방향 중앙 부근 내지 수선측의 외주면에 타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2 감합웅부가 형성되고, 또한,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도 제3 감합웅부로 되어 있어, 장대 기단측 단부를 폐색(閉塞)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밑마개를 가지고 있다.The original counterpart is a conventional tapered taper which is tapered toward the front end as a whole, and a second fitting male portion forme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ear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on the waterline side, and furthermore, 3 is a fitting part, and has a bottom cap detachably attached so that the end part of the pole base end may be closed.

그리고, 이 연신 장대의 제1 감합웅부는 원대 뒷마개의 제2 감합자부에 감착 가능하며, 원상대의 제2 감합웅부 및 제3 감합웅부는 원대의 제1 감합자부에 감착 가능하다.The first fitting male part of the drawing pole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fitting part of the back end of the far end, and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and the third fitting male part of the far end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fitting part of the far end.

이 낚싯대의 연신 장대는 원대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연신 장대를 원대로부터 손잡이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거나, 또는, 연신 장대를 원대 내에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물고기가 채비에 걸린 후에 물고기를 잡을 때 길이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태에서 원대와 연신 장대는 이하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This rod of the fishing rod can be fixed to the rod in either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rod (storage state) or the state pulled to the handle side in the rod (stretched state). When the fishing is in full swing, the stretching pole is pulled from the far side to the handle side to be in the stretched state, or the stretching pole is pushed into the far side to be stored so that the length is adjusted when the fish is caught after being caught. Specifically, in each state, the far-end and the stretching pole are connected and fixed in the following form.

우선,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 내에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연신 장대가 삽입되고,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의 그립부가 원대의 뒷마개에 이른다. 뒷마개의 제1 훅부가 제2 훅부에 계합하고, 원대와 연신 장대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 한편,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 내로부터 연신 장대를 장대 기단측으로 뽑으면, 삽입부의 제1 감합웅부가 뒷마개의 제2 감합자부에 이르러 감착하고, 원대와 연신 장대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First, in the storage state, the stretching rod is inserted from the pole base end side into the far table, and the grip portion of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reaches the back end of the far rod. The first hook portion of the rear cap engages with the second hook portion, and the far end and the extension pole are fix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stretched state, when the stretching pole is pulled from the far side to the pole base end side, the first fitting male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reaches and fits the second fitting portion of the rear cap, and the far pole and the stretching pole are fixed to each other.

나아가, 이 낚싯대의 원상대도 원대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 내로부터 수선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수선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거나, 또는, 원상대를 원대 내에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낚시터의 상황에 맞추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 조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태에 있어서 원대와 원상대는 이하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Furthermore, the fishing rod's original counterpart can also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riginal rod in either the state stored in the original rod (storing state) or the state pulled from the original rod to the repair side (stretched state). When the fishing is in full swing, the far end is pulled from the far end to the waterline side and stretched, or the far end is pushed into the far end to be stored, and the fishing ro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ntire fishing ro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fishing ground. . Specifically, in each state, the far table and the far table are connected and fixed in the following form.

우선,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상대는 원대 내 (연신 장대의 상황에 따라서는 연신 장대의 삽입부 내)에 삽입되고, 제2 감합웅부가 원대의 수선측 제1 감합자부에 이르러 감착하여, 원대와 원상대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 한편,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 내로부터 원상대를 수선측으로 뽑아, 제3 감합웅부가 원대의 수선측 제1 감합자부에 이르러 감착하여, 원대와 원상대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First, in the stored state, the far table is inserted into the far table (in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drawing pole depending on the drawing pole situation), and the second fitting male portion reaches the first fitting part on the repair side of the far table, And the far end are fixed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stretched state, the far table is pulled from the far table to the repair side, and the third fitting male portion reaches the repair-side first fitting portion of the far table, and the far table and the far table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발명 2의 낚싯대는, 발명 1의 낚싯대에 있어서, 원상대는, 그 외주면의 제2 감합웅부의 수선측 단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부재를 가지고 있다.The fishing rod of invention 2 is a fishing rod of invention 1 WHEREIN: The circular table has a ring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retaining side edge of the 2nd fitting male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원상대를 원대 내에 삽입하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2 감합웅부를 넘어 과도하게 원상대를 원대 내로 밀어 넣어버린 경우에, 링 부재가 원대(1)의 수선측 단면에 맞닿아, 원상대가 원대 내로 들어가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연신 장대를 원대의 장대 기단측으로 뽑은 연신 장대의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상대가 원대 내로 들어가버리는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회피한다.In the storing state in which the original object is inserted into the original object, when the original member is excessively pushed into the original member beyond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the ring member abuts against the end surface of the original member 1, and the original member is the original member. I suppress it to go inside.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stretched pole in which the stretched pole is drawn to the far pole base side of the far side, such risk is avoided because the far side of the far pole enters into the far side.

발명 3의 낚싯대는, 발명 1 또는 발명 2의 낚싯대에 있어서, 원상대의 밑마개는,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돌출하는 활동 부재를 가지고 있다.In the fishing rod of invention 3, the fishing rod of invention 1 or 2 WHEREIN: The base end cap has an active member which protrud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it can protrude outward.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에 장착되는 밑마개는,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을 폐색하고, 원상대 내로 수납되어 가는 원상대의 수선측에 연결되는 타 장대가 원상대를 넘어 장대 기단측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 밑마개 외주면의 활동 부재는 원대 또는 연신 장대 내에서 연신 장대 내주면에 맞닿아, 덜걱거림 방지 기능을 갖게 된다.The underlay mounted o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ar end occludes the pole end end side of the far end, and the other pole connected to the repair side of the far end that is stored in the far end reaches the pole end side beyond the far end. I suppress it. The active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derlay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etching pole in the far-end or the stretching pole, and has a rattling prevention function.

발명 4의 발명은, 발명 3의 낚싯대에 있어서, 연신 장대 삽입부의 수선측 단부에는 원상대를 수선측으로부터 삽입부 내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In the invention of invention 4, in the fishing rod of invention 3,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original rod from the repair side to the insertion portion is attached to the repair side end of the extension rod insertion portion.

원대 내에 연신 장대를 삽입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 나아가, 원상대를 원대 내에 삽입하는 수납 상태로 할 때, 안내 부재가 원상대를 연신 장대의 내부로 원활히 안내한다.In the storage state in which the drawing pole is inserted into the far table, and furthermore, when setting the receiving bed into the storing state to insert the far table into the far table, the guide member smoothly guides the far table into the inside of the drawing pole.

<실시예><Example>

[제1 실시예][First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른 낚싯대는, 은어 낚시 등에 이용되는 낚싯대이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1)와,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뽑거나 넣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신 장대(2)와, 원대(1)의 수선측으로부터 뽑거나 넣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원상대(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상대(3)의 수선측에도 복수의 장대 (중대, 초릿대 등)가 더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음). 이들 각 장대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shing rod used for sweetfish fishing or the like, and as shown in FIG. 1, the fishing rod 1 is connected to the rod 1 so that the rod can be pulled or put in from the pole end of the rod 1. It has the extending pole 2 and the original base 3 connected so that it may be pulled out or put in from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base 1. Further, a plurality of poles (company, chocolate bar, etc.) are further connected to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bed 3 (not shown). Each of these rods is formed by firing a prepreg material in which reinforcing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re impregnated with a synthetic resin.

원대(1)로부터 수선측의 각 장대는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수선측의 장대로부터 순차로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장대 내에 넣거나 뽑을 수 있다.각각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을 장대 기단측에 인접하는 장대의 수선측 내주면에 감착시켜 서로 고정할 수 있다. 가장 수선측에 위치하는 초릿대의 수선측 단부에는 낚싯줄 계지구(係止具)가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원대(1)와 그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연신 장대(2) 및 원대(1)와 그 수선측에 위치하는 원상대(3)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와 수납 상태의 어느 쪽 상태에 있어서도, 각각 서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Each pole on the repair side from the far table 1 is connected by a so-called pull-out type, and can be put into or pulled out of the pole located on the pole proximal side sequentially from the pole on the repair 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of the pole adjacent to the pole base end side and fixed to each other. A fishing line latch is arranged at the waterline side end of the chord table located at the most waterline side. Furthermore, in the far pole 1 and the extension pole 2 located in the pole base end side, and the far base 1 and the far base 3 located in the waterline side, as described later, In either state,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fix each other.

(원대(1)에 대해서)(About faraway (1))

원대(1)는 전체로서 수선측 정도로 소경화하도록 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수선측 단부에 있어서는 타 부분보다 급테이퍼로 수선측이 소경화하여(내경(內徑)이 타 부분보다 소경화되어 있고), 수선측 단부 내주면은 일정한 축 방향 범위에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면으로 되어 있다. 이 급테이퍼면 내지 축 방향으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면이 제1 감합자부(1a)이다 (도 2·도 6 참조). 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제1 감합자부(1a)가 원상대(3)에 감착한다.The far table 1 is a normal body in which the taper which makes it harden | cure small as a whole on the repair side is performed. At the end of the repair side, the repair side is smaller hardened with a taper than the other part (the inn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pair side end is a surface which does not change in a constant axial range. It is. The first fitting part 1a is the surface of which the diameter does not change in the rapid taper surface or in the axial direction (see FIGS. 2 and 6). As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first fitting part 1a is attached to the original counterpart 3.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후미 링(4)과 뒷마개(5)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As shown in FIG. 3, the rear end ring 4 and the back stopper 5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ng base end side of this far base 1 (refer FIG. 4 and FIG. 5).

후미 링(4)은, 금속 (알루미늄 합금)제의 원통형의 부재이고,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은 나사 홈이 형성되어 제1 암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은, 장대 기단측 단 가장자리에서 일부가 깎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후미 링(4)이 덮도록 하여, 후미 링(4)의 수선측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후미 링(4)의 외경은 원대(1)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The trailing ring 4 is a cylindrical member made of metal (aluminum alloy), and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long base end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first female screw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base end side edge part of the far base 1 is recessed in part by the pole base end side edge, and the rear ring 4 covers this recessed part, and the repair of the tail ring 4 is repaired. It is attached to the part which recessed.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iling ring 4 may be set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far end 1.

뒷마개(5)는 경질 합성 수지제의 원통형 부재이다. 수선측은 외경이 일단 소경화한 삽입 부분으로 되어 있고, 장대 기단측 단부는 외경이 상술한 후미 링(4)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일단 대경화한 머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삽입 부분은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 부분의 내주면은 장대 기단측 정도로 소경화하는 이른바 역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가 제2 감합자부(5a)이다. 이 뒷마개(5)의 제2 감합자부(5a)는, 후술하는 연신 장대(2)의 수선측 단부와 연신 상태에서 감착한다 (도 4 참조). 이 삽입 부분의 장대 기단측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상술한 후미 링(4)의 제1 암 나사부분에 나착(螺着)하는 제1 수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뒷마개(5)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 (머리 부분의 내주)에는,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오목하게 들어간 훅 홈(5b)이 형성되어 있다.The back plug 5 is a cylindrical member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The repair side has an insertion portion of which the outer diameter has been once small-hardened, and the pole proximal end has a head portion that has been once large-siz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coincides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tail ring 4 described above. An insertion part is a part inserted in the inside from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base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a so-called reverse tapered surface that is hardened to about the long proximal end. Here is the second fitting part 5a. The 2nd fitting part 5a of this back stopper 5 is attached in the stretched state with the repair side edge part of the extending pole 2 mentioned later (refer FIG. 4).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ng base end of this insertion part, and it becomes a 1st male screw part screwed to the 1st female screw part of the tail ring 4 mentioned above. Moreover, the hook groove 5b which entered concave over the whol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ng base end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inner circumference of a head part) of the back plug 5.

이와 같이, 이 뒷마개(5)는 제1 수나사 부분을 후미 링(4)의 제1 암나사 부분에 나착하는 것으로, 후미 링(4)을 통하여 원대(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In this manner, the rear plug 5 attaches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to the first female screw portion of the rear ring 4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ar end 1 through the rear ring 4.

(연신 장대(2)에 대해서)(About extension pole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신 장대(2)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와,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태경(太徑)의 파이프상 부재인 그립부(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stretching pole 2 has an insertion portion 6 inserted into the rod from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ar end 1, and a Tae-Kyung connected to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insertion unit 6 ( It consists of the grip part 7 which is a pipe-like member.

삽입부(6)는 원대(1)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외경의 통상체이다. 삽입부(6)는수선측 정도로 소경화하도록 한 부재이다. 원상대(3)를 수납했을 때 활동 링(25)에 접하는 삽입부(6)의 내주면은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것 또는 매우 완만한 테이퍼상이다. 수선측 단부 외주면은, 축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외경이 타 부분보다 대경화되어 있고, 여기가 감합웅부(6a)로 되어 있다. 이 감합웅부(6a)의 외경은, 상술한 원대(1)의 뒷마개(5)의 제2 감합자부(5a)에 합치하도록 하는 역테이퍼면이다 (도 4 참조).The insertion part 6 is a normal body of the outer diameter which can be inserted in the far table 1. The insertion part 6 is a member made to be small hardened about the repair side. When the original counterpart 3 is accommodat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 in contact with the activity ring 25 does not change in diameter or is very tapered. The outer diameter of the waterline side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ade larger in diameter in the axial direction than other portions, and the excitation is the fitting male portion 6a. The outer diameter of this fitting male part 6a is an inverted taper surface which is made to correspond with the 2nd fitting part 5a of the back plug 5 of the far base 1 mentioned above (refer FIG. 4).

이 삽입부(6)는, 수선측 단부에 배치되는 고무 커버(8)를 가지고 있다.This insertion part 6 has the rubber cover 8 arrange | positioned at the waterline side edge part.

고무 커버(8)는 주지의 탄성 고무로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중공(中空)이 관통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장대 기단측 외주면이 일부 깎여, 여기가 삽입부(6)의 수선측 단부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무 커버(8)의 수선측 내경은 수선측 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확대해가는 테이퍼가 행해져 있다. 또한, 수선측 단부로부터는 축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고무 커버(8)는, 원대(1)의 수선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상대(3)를 원대(1) 내에 수납할 때, 원활히 원상대(3)를 삽입부(6) 내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The rubber cover 8 is a cylindrical member formed of well-known elastic rubber and through which the hollow penetrat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ng base end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artially cut off, and the excitation is inserted into the repair side end of the insertion section 6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inner diameter of the repair cover side of the rubber cover 8 is tapered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repair end side. Moreover, you may form a "slit"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epair side end. The rubber cover 8 smoothly inserts the original base 3 into the inserting portion 6 when the original base 3 is housed in the original base 1 which is pulled out on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base 1. It is to head.

그립부(7)는, 삽입부(6)보다 대경이고 또한 원대(1)의 외주면에 합치하도록 한 직경의 파이프상 부재이다. 원대(1)나 삽입부(6)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등으로부터 구성해도 무방하지만, 별도의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삽입부(6)가 수선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나착 등의 주지 수법에 의하여 그립부(7)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립부(7)는 삽입부(6)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도, 그립부(7)의 수선측 단부에 삽입부(6)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라도 무방하다. 덧붙여, 그립부(7)는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The grip portion 7 is a pipe-like memb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portion 6 and coinciding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r end 1. Although it may be comprised from fiber reinforced resin etc. like the base 1 and the insertion part 6, you may comprise with another metal material etc. The grip part 7 is detachably connected by well-known methods, such as screw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art 6 was inserted in the state of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insertion part 6 from the waterline side. The grip portion 7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6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epair side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7 even when the insertion portion 6 is completely inserted. In addition, the grip part 7 may be connected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impossible.

또한, 그립부(7)의 수선측 단부의 삽입부(6) 둘레면에는 훅 부재(9)가 고정되어 있다. 훅 부재(9)는 합성 수지나 경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그 외경은 그립부(7) 및 원대(1) 내지 밑마개(5)와 면일화(面一化)된다. 훅 부재(9)의 수선측 외주면은 일단 소경화하고 있고, 이 소경화한 둘레면에는 바깥 방향으로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돌출하는 계지(係止) 돌기를 가지고 있다. 계지 돌기는 뒷마개(5)의 훅 도랑(5b)에 감합할 수 있다 (도 5 참조).In addition, the hook member 9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 at the repair side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7. The hook member 9 is made of synthetic resin, a light alloy, or the like. The outer diameter is flattened with the grip portion 7 and the far end 1 to the bottom plug 5. The repair-sid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member 9 is once small-hardened, and the small-hardened circumferential surface has locking projections projecting outward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ocking projection can fit the hook groove 5b of the back plug 5 (see FIG. 5).

덧붙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삽입부(6)와 원대(1)의 연결 고정을 위해서 훅 부재(9)의 계지 돌기와 뒷마개(5)의 훅 홈(5b)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하와 같은 수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뒷마개(5)의 소정의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하여 암나사부로 하고, 훅 부재(9)에 대신하여 수나사 부재를 배치하여, 양자를 나착시키는 수법 등이 있다. 이 경우, 나착을 위한 나사는 다조(多條) 나사로 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hook member 9 and the hook groove 5b of the back plug 5 are used for the connection fixing of the insertion part 6 and the far end 1 as follows,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technique. For example,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ck plug 5 to be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member is disposed in place of the hook member 9, and there are methods for screwing both. In this case, the screw for screwing may be a multi-threaded screw.

(원상대(3)에 대해서)(About original partner (3))

원상대(3)는, 원대(1)의 수선측에 뽑거나 넣을 수 있도록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도 1(c) 참조).The original counterpart 3 is a whole body which is tapered toward the front end as a whole which is connected (in a so-called pull type)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or put in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counterpart 1 (refer FIG. 1 (c)). .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3)는, 축 방향 중앙 부근 내지 수선측의 외주면에 축 방향의 일정한 범위에 걸쳐서 두께가 커져 그 전후보다 대경으로 제2 감합웅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도 제3 감합웅부(3b)로 되어 있다. 제3 감합웅부(3b)로 되는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도, 제2 감합웅부(3a)와 같이 타 부분보다 일단 대경화하여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원상대(3)의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로부터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면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6, the original counterpart 3 becomes thick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near the center of an axial direction or a waterline side over a fixed range of an axial direction, and the 2nd fitting male part 3a is made larger in diameter than before and after that. Is formed. Moreover, the long base end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also becomes the 3rd fitting male part 3b. Although the pole base end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used as the 3rd fitting part 3b may be formed to be once large-hardened from other parts like the 2nd fitting part 3a, as above-mentioned, it is the front of the original counterpart 3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portion from the taper tapering toward the end as a surface where the diameter does not change in the axial direction.

상세하게 말하면, 제2 감합웅부(3a)는 제3 감합웅부(3b)보다 소경이고, 이 제2 감합웅부(3a) 및 제3 감합웅부(3b)의 외경은 상술한 원대(1)의 수선측 단부 제1 감합자부(1a)의 내경에 합치하도록 설정되어, 서로 감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2 감합웅부(3a)는 제1 감합자부(1a)의 축 방향으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면에 합치하고, 제3 감합웅부(3b)는 제1 감합자부(1a)의 급테이퍼면에 합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3a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third fitting male part 3b, and the outer diameters of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3a and the third fitting male part 3b are the repairs of the above-described base 1. It is set so that it may correspond to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side edge part 1st fitting part 1a, and it can be mutually attached. In particular, the second fitting male portion 3a matches the surface on which the diameter does not chang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1a, and the third fitting male portion 3b is the tapered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1a.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match.

덧붙여, 원상대(3)를 원대(1) 내에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낚싯대를 조립할 때를 고려하면, 제2 감합웅부(3a)의 외경은, 특히, 제1 감합자부(1a)의 내경에 정밀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 즉, 원상대(3)를 강하게 축 방향으로 뽑거나 넣으면, 제2 감합웅부(3a)는 제1 감합자부(1a)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time when the original base 3 is inserted into the original base 1 from the pole proximal side to assemble the fishing ro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3a is particularly limi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itting part 1a. It needs to be precise. That is, when the original counterpart 3 is strongly pulled out or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second fitting male portion 3a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fitting male portion 1a can penetrate.

또한, 원상대(3)는, 그 외주면의 제2 감합웅부(3a)의 수선측 단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부재(10)와, 장대 기단측 단부를 폐색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밑마개(11)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3 is a ring member 10 detachably mounted to the repair side end edge of the second fitting male portion 3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bottom detachably mounted to close the long base end side. It has a stopper 1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3)의 제1 감합웅부(3a)의 수선측 단 가장자리는 원상대(3)의 외경이 일단 작아지도록 하는 계단식 면으로 되어, 이 단의 장대 기단측 둘레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제2 수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 링 부재(10)가 나합한다. 즉, 링 부재(10)는 장대 기단측 내주면이 이 제2 수나사 부분에 나착하는 나사 홈이 형성된 제2 암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링 부재(10)의 수선측 내주면은 일단 소경화되어 있고, 상술한 원상대(3)의 단에 맞닿아 위치 결정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이 링 부재(10)는 원상대(3)의 수선측으로부터 그 외주면에 배치되어 제2 암나사 부분을 제2 수나사 부분에 나착시키는 것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pair-side end edge of the first fitting male portion 3a of the original table 3 is a stepped surface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original table 3 is made smaller once, and the pole base end side of this stage is reduced.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second male screw portion. The ring member 10 joins here. That is, the ring member 10 is a 2nd internal thread part in which the long groove base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was formed with the screw groove which screwed into this 2nd external thread part. In addition, the repair-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10 is once small-size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ircular mat 3 described above to have a positioning function. That is, this ring member 10 is detachably fixed by being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rom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base 3, and attaching a 2nd female screw part to a 2nd male screw part.

도 7에 자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제3 암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 밑마개(11)가 나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in detail,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long base end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table 3, and it is set as a 3rd female thread part. Here, the bottom stopper 11 is screwed together.

밑마개(11)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수선측 단면에 장착되는 고무판(22)과, 본체부(21)의 장대 기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반부(23)와, 본체부(21)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탄성체(24) 및 탄성체(24)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는 활동 링(25)을 가지고 있다.The lower lid 11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1, a rubber plate 22 mounted on the repair sid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1, and a disc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long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1 ( 23 and an elastic ring 24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and an active ring 25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body 24.

본체부(21)는, 수선측 외주면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상술한 원상대(3)의 제3 암나사 부분에 나착하는 제3 수나사 부분을 가진다. 이 제3 수나사 부분의 장대 기단측은 원상대(3)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대경화한 후에 일단 소경화하고 있어, 수납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아가 장대 기단측 단면의 직경 방향 중앙에서는장대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제4 수나사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21)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된다. 경량화를 위해서 내부를 중공화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구멍을 형성해도 무방하다.The main body portion 21 has a third male screw portion which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on the repair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which is screwed onto the third female screw portion of the circular table 3 described above. The long proximal end of the third male screw portion is largely harden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original counterpart 3 and is once small-sized,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nd further, it has the 4th external thread part which protrudes to the pole base end side at the radial direction center of the pole base end side cross section. The main body portion 21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The interior may be hollowed out for weight reduction. Moreover, you may form the air hole which penetrates to an axial direction.

고무판(22)은 본체부(21)의 수선측 단면을 폐색하도록 장착되는 판 부재이다. 원상대(3) 내에 삽입되어 가는 중대 등을 이 고무판(22)이 받게 된다. 고무판(22)은 본체부(21)에 접착 등을 해도 무방하지만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21)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고무판(22)에도 그 공기 구멍에 연통(連通)하는 관통공을 형성한다.The rubber plate 22 is a plate member mounted to close the repair sid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1. The rubber plate 22 receives a squadron and the like inserted into the original counterpart 3. The rubber plate 22 may be bonded to the main body 21, but may be replac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21, the rubber plate 22 is also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ir hole.

원반부(23)는 둘레 방향 중앙 부근에 본체부(21)의 제4 수나사 부분에 나합하는 나사 구멍 (제4 암나사부)을 가지는 것이다. 외경은 본체부(21)에 가지런히 있다. 이하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탄성체(24) 및 탄성체(24)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는 활동 링(25)을 본체부(21)의 사이에 협지(挾持)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k portion 23 has a screw hole (fourth female threaded portion) screwed to the fourth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 near the cen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uter diameter is arranged in the main body 21. It is for clamping between the main body part 21 and the active ring 25 arrange | position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body 24 and elastic body 24 demonstrated below in detail.

탄성체(24)는 탄성 고무 또는 스펀지재 등으로 형성되는 링상의 부재이다. 본체부(21)의 소경화한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탄성체(24)의 외주 상에는 활동 링(25)이 더 장착된다. 활동 링(25)은 합성 수지 등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링의 일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을 볼록면화하고 또한 미끄러지기 쉽도록 테플론 (등록상표) 수지 가공 등을 행한다. 본체부(21)의 외경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수납부에 배치된다. 이 활동 링(25)은 원상대(3)가 원대(1) 내 내지 연신 장대(2)의 삽입부(6)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특히, 삽입부(6)의 내주면에 맞닿아, 원상대(3)의 둘레 방향으로의 치우침을 억제한다.The elastic body 24 is a ring-shaped member formed of an elastic rubber or a sponge material or the like. It is attached to the small hardened storage part of the main-body part 21. An active ring 25 is further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body 24. The active ring 2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such as synthetic resin, and a slit is formed in part of the ring. Teflon (registered trademark) resin processing etc. are performed so that an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come convex and slipper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it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body part 21. This activity ring 25 abut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 especially when the base 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6 of the base 1 to the extension pole 2. The bia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3) is suppressed.

(원대(1)와 연신 장대(2)의 연결 고정에 대해서)(About the connection fixation of the far end (1) and the extension pole (2))

이 낚싯대의 연신 장대(2)는 원대(1)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1)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1)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연신 장대(2)를 원대(1)로부터 손잡이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거나, 또는, 연신 장대(2)를 원대(1) 내에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물고기가 채비에 걸린 후에 물고기를 잡을 때 길이를 조정한다.The fishing pole 2 of this fishing rod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base 1 in either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base 1 (storage state) and the state pulled to the handle side in the base 1 (stretched state). . When the fishing is in full swing, draw the extension pole 2 from the far end 1 to the handle side and make it stretch, or push the extension pole 2 into the far end 1 to store it, Adjust the length when catching fish after catching it.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1) 내에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연신 장대(2)가 삽입되면, 삽입부(6) 장대 기단측의 그립부(7)까지가 원대(1)의 뒷마개(5)에 이른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마개(5)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훅 홈(5b)에 훅 부재(9)가 계합하여, 원대(1)와 연신 장대(2)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1) 내로부터 연신 장대(2)를 장대 기단측으로 뽑으면, 삽입부(6)의 제1 감합웅부(6a)가 뒷마개(5)의 제2 감합자부(5a)에 이르러 감착하여, 원대(1)와 연신 장대(2)는 서로 연결 고정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in the stored state, when the stretching pole 2 is inserted from the pole base end side into the far table 1, the grip portion 7 on the insertion part 6 pole pole end end is inserted. It reaches the back stopper 5 of the far end 1. Here, as shown in FIG. 5, the hook member 9 engages with the hook groove 5b formed in the pole base end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ck stopper 5, and the far table 1 and the extension pole 2 are The connection to each other is fix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in the stretched state, when the stretching pole 2 is pulled out from the far end 1 to the pole base end side, the first fitting male part 6a of the inserting portion 6 is the rear lid 5. The second fitting part (5a) of the () is reached and attached, the far end 1 and the stretching pole 2 is fixed to each other.

(원대(1)와 원상대(3)의 연결 고정에 대해서)(About connection fixation of far end (1) and far end (3))

나아가, 이 낚싯대의 원상대(3)도 원대(1)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1) 내로부터 수선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1)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원상대(3)를 원대(1)에서 수선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거나, 또는, 원상대(3)를 원대(1) 내에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낚시터의 상황에 맞추어 낚싯대 전체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 조작을 행한다.Further, the fishing rod's original table 3 is also fixed to the original table 1 in either the state of being stored in the original table 1 (storing state) and the state of the fishing rod 1 drawn out from the original table 1 (stretched state). Can be. When the fishing is in full swing, the original body 3 is pulled out from the original body 1 to the waterline side and stretched, or the original body 3 is pushed into the original body 1 to be in a stored state, and in the situation of the fishing ground The fishing ro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상대(3)는 원대(1) 내 (연신 장대(2)가 원대(1)에 대해서 수납되어 있는 경우는, 나아가 연신 장대(2)의 삽입부(6) 내)에 삽입되고, 제2 감합웅부(3a)가 원대(1)의 수선측 제1 감합자부(1a)에 이르러 감착하여, 원대(1)와 원상대(3)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 이 때, 지나치게 원상대(3)를 원대(1) 내 방향으로 밀어 넣어버려도, 링 부재(10)가 원대(1)의 수선측 단부에 맞닿는다. 또한, 원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는, 연신 장대(2) 삽입부(6)의 수선측 고무 커버(8)에 의하여 원활하게 삽입부(6) 내로 안내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in the storage state, the far table 3 is further extended in the far table 1 (when the stretching pole 2 is stored with respect to the far table 1, the extension pole is further extended. (2) and the second fitting male part 3a reaches the repair-side first fitting part 1a of the far table 1, and attaches it to the original table 1 and the original table ( 3) are fixed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ring member 10 abuts on the waterline side end portion of the far end 1 even if the far end 3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ar end 1. Moreover, the pole base end side edge part of the original base 3 is guide | induced smoothly in the insertion part 6 by the repair side rubber cover 8 of the extension pole 2 insertion part 6.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1) 내에서 원상대(3)를 수선측으로 뽑아, 제3 감합웅부(3b)가 원대(1) 수선측의 제1 감합자부(1a)에 이르러 감착하여, 원대(1)와 원상대(3)는 서로 연결 고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etched state, as shown in FIG. 6, the original counterpart 3 is pulled to the repair side in the original stand 1, and the 3rd fitting part 3b is the 1st fitting part by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stand 1; When it arrives at (1a), the far table 1 and the far table 3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기타 실시예][Other Examples]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3)의 제2 감합웅부(3a)를 수선측 단부에 형성하고, 링 부재(10)를 원상대(3)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즉, 프리프레그 소재로부터 원상대(3)를 형성할 때, 두께를 크게 하여 대경화하고 있는 제2 감합웅부(3a)의 수선측에 미리 일단 대경인 부분(T)을 설정하여, 이 대경 부분에서원상대(3)의 원대(1) 내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는, 원상대(3)의 장대 기단측의 제3 감합웅부(3b)를 별체로 구성하여 원상대(3)에 탈착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원상대(3)와 원대(1)를 분해할 때에는, 원상대(3)의 제3 감합웅부(3b)를 원상대(3)로부터 떼어내고 나서, 원상대(3)와 원대(1)를 분해한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으로,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you may form the 2nd fitting male part 3a of the original base 3 in a repair side edge part, and the ring member 1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original base 3.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forming the original counterpart 3 from a prepreg raw material, the part T which is once large diameter was previously set in advance on the repair side of the 2nd fitting male part 3a which enlarged thickness and made large diameter, and this large diameter part To prevent excessive insertion of the far end (3) into the far end (1). In this case, the 3rd fitting male part 3b by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original base 3 is comprised separately, an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original base 3. And when disassembling the original object 3 and the original object 1, after removing the 3rd fitting part 3b of the original object 3 from the original object 3, the original object 3 and the original object 1 Disassemble). 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an external appearance.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의하면, 원대와 연신 장대 사이에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 물고기를 쉽게 거두어들이고, 또한, 잡기 전 낚시 조작 단계에 있어서도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낚시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rod can be easily harvested by changi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rod between the rod and the stretching pole, and the fishing r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changing the entire fishing rod length even in the fishing operation step before catching. .

Claims (4)

통상체(筒狀體)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In a fishing rod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s that are ordinary bodies in sequence, 원대와,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에 상기 원대 내로 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연신 장대와, 상기 원대의 수선측에 상기 원대 내 및 상기 연신 장대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원상대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 장대 및 원상대는 각각 상기 원대 내에 수납된 수납 상태와,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 또는 수선측으로 뽑힌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상기 원대에 고정할 수 있고,And an extension pole connected to the base end side of the rod base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from the base pole, and an end pole connected to the repair side of the ro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rod and the extension pole. The far end can be fixed to the far end either in an accommodating state housed in the far end and in an extended state pulled out on the long end or the repair side of the far end, 상기 원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가 행해진 통상체이고 수선측 단부(端部) 내경(內徑)이 타 부분보다 소경화(小經化)되어 제1 감합자부(嵌合雌部)로 되어 있고, 장대 기단(基端)측 단부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연결되는 뒷마개를 가지고, 상기 뒷마개는,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에 삽입되어 내주면(內周面)이 제2 감합자부로 되어 있는 삽입부와, 장대 기단측 단부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 훅(hook)부를 가지고 있고,The far-end is generally a taper tapered toward the front end as a whol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pair side en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 so that the first fitting part ( It has a back stopp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ole base end side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are possible, The said back stopper is inserted in the pole base end side edge part of the said circumference | surface, The insertion part which becomes a 2nd fitting part, and the 1st hook part provided in the pole base end side edge part peripheral part, 상기 연신 장대는, 수선측 단부 외주면(外周面)에 타 부분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가 형성되어 상기 원대 내로 출입되는 통상체인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수선측 단부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훅부와 계합하는 제2 훅부를 가지며,The drawing pole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normal body which is formed on the waterline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 first fitting male portion formed in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portion, and enters and exits into the far table.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pole proximal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 second hook portion provided at a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epair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first hook portion, 상기 원상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고 축 방향 중앙 부근 내지 수선측의 외주면에 타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2 감합웅부가 형성되고, 또한,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도 제3 감합웅부로 되어 있어, 장대 기단측 단부를 폐색(閉塞) 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밑마개를 가지고,The original counterpart is generally a tapered tapered toward the front end as a whole, and a second fitting male part formed in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ear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waterline side, and further, a long base end side end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so has a third fitting male portion, and has a bottom plug detachably attached to close the long end end of the rod. 상기 연신 장대의 제1 감합웅부는 상기 원대 뒷마개의 제2 감합자부에 감착(嵌着) 가능하며,The first fitting male part of the drawing pole is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second fitting part of the back cap of the far end, 상기 원상대의 상기 제2 감합웅부 및 제3 감합웅부는 상기 원대의 제1 감합자부에 감착 가능한 낚싯대.The fishing rod of the second fitting mat and the third fitting male part of the origin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fitting part of the far e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상대는, 그 외주면의 상기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 단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부재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The said rod is a fishing rod which has the ring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repellent side edge of the said 2nd fitting male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원상대의 밑마개는,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돌출하는 활동 부재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The bottom end of the said base member is a fishing rod which has an active member which protrudes outwardly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it can protrud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연신 장대 삽입부의 수선측 단부에는 상기 원상대를 수선측으로부터 삽입부 내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낚싯대.A fishing rod equipp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original rod from the repair side into the insertion portion at the repair side end of the stretching rod insertion portion.
KR1020040001129A 2003-01-09 2004-01-08 Fishing rod KR1009988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3395 2003-01-09
JP2003003395A JP4064247B2 (en) 2003-01-09 2003-01-09 fishing r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26A true KR20040064226A (en) 2004-07-16
KR100998892B1 KR100998892B1 (en) 2010-12-08

Family

ID=3289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29A KR100998892B1 (en) 2003-01-09 2004-01-08 Fishing r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4247B2 (en)
KR (1) KR100998892B1 (en)
CN (1) CN1517011A (en)
TW (1) TW20041836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0992A (en) * 2018-02-06 2018-05-18 何福梅 Power fishing rod is let out in one k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7011A (en) 2004-08-04
JP4064247B2 (en) 2008-03-19
TW200418369A (en) 2004-10-01
KR100998892B1 (en) 2010-12-08
JP2004215509A (en) 2004-08-05
TWI292696B (en)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892B1 (en) Fishing rod
US4520587A (en) Tubular fishing rod with integral handle-reel seat
KR101003741B1 (en) Fishing rod
JP3892695B2 (en) fishing rod
KR100998891B1 (en) Fishing rod
KR100995521B1 (en) Fishing rod
JP5700281B2 (en) Bat and fishing rod
JP4547709B2 (en) fishing rod
JP4027811B2 (en) fishing rod
KR100995512B1 (en) Fishing Float
JP4105035B2 (en) fishing rod
KR101044822B1 (en) Fishing rod
WO2023074398A1 (en) Fishing rod
US20240008467A1 (en) Indicator with internal attachment mechanism
WO2024057601A1 (en) Reel seat and fishing rod
JP2022165743A (en) Handle of landing
JP2024030712A (en) Ash pattern
JP4270939B2 (en) fishing rod
KR900001186Y1 (en) A grip of fishing rods
JP4179603B2 (en) fishing rod
KR20020084822A (en) Hollow fishing rod
KR20040040351A (en) Connection structure of rod
JP3998124B2 (en) Punch
JP2002125529A (en) Fishing rod
JP2004350647A (en)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