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139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139A
KR20040064139A KR1020030001438A KR20030001438A KR20040064139A KR 20040064139 A KR20040064139 A KR 20040064139A KR 1020030001438 A KR1020030001438 A KR 1020030001438A KR 20030001438 A KR20030001438 A KR 20030001438A KR 20040064139 A KR20040064139 A KR 2004006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air
main body
cooking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726B1 (ko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7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8Telescope fla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류팬과 히터를 이용해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 전장실의 공기가 조리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내부가 조리실과 전장실로 구획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고주파공급장치와, 상기 전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이 동작할 때 상기 전장실을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장실과 상기 조리실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대류팬과, 상기 대류팬과 상기 히터가 동작할 때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통공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류팬과 히터가 동작하는 동안 조리실의 환기가 제한되도록 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에 놓여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렌지는 본체의 내부에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 조리실과 전장실을 구비한다. 전장실 내에는 조리실로 고주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과,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트랜스가 설치되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설치된다.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킨 후 조리실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조리실을 환기시킨다.
또한 전자렌지 중에는 조리실의 일측에 히터를 설치하여, 히터의 열에 의한 조리와 고주파를 이용한 조리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또 이러한 전자렌지는 히터의 열이 조리실 내부에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대류팬과 이를 구동시키는 대류모터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렌지는 대류팬과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때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전장실 쪽으로부터 조리실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조리실의 온도상승이 지연되어 조리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전자렌지는 히터와 대류팬을 이용해 조리를 하는 동안에도 전장실 내부의 전기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팬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전장실을 경유한 찬 공기가 조리실로 유입되어 조리실을 환기시키는데, 이처럼 조리실로 유입되는 찬 공기에 의해 조리실의 온도가 그 만큼 낮아지거나 온도의 상승이 지연되기 때문에 조리효과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와 대류팬을 이용해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에 전장실의 공기가 조리실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히터와 대류팬을 이용한 조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장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통공개폐장치 및 전장실배기유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횡단면도로, 구획판의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횡단면도로, 구획판의 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 21: 조리실,
22: 전장실, 25: 마그네트론,
26: 고압트랜스, 27: 냉각팬,
30: 전면흡입구, 33: 전면배출구,
50: 배기팬, 51: 제1배기팬,
52: 제2배기팬, 53: 배기모터,
60: 히터, 61: 대류팬,
63: 통공, 64: 대류모터,
80: 통공개폐장치, 81: 덮개,
83: 구동모터, 85: 전장실배기유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내부가 조리실과 전장실로 구획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고주파공급장치와, 상기 전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이 동작할 때 상기 전장실을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장실과 상기 조리실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조리실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대류팬과, 상기 대류팬과 상기 히터가 동작할 때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통공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실 내에는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고주파공급장치를 냉각시킨 후 상기 통공 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안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통공개폐장치가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공개폐장치는 상기 전장실 쪽에서 상기 통공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공개폐장치가 상기 통공을 폐쇄했을 때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면부 쪽으로 연장되는 전장실배기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실배기유로는 유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가 건물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본체 하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배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벽걸이형 전자렌지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내부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리실(21)과, 각종 전기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22)이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조리실(21)은 전면이 개방 가능한 도어(23)를 통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전장실(22)은 구획판(24)을 통해 조리실(21)의 내부와 구획된다. 그리고 전장실(22) 내부에는 조리실(21)의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25), 마그네트론(25)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26), 전장실(22)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7)이 설치된다. 이때 마그네트론(25)은 전장실(22)의 상부에 설치되고, 고압트랜스(26)는 전장실(22)의 바닥에 설치되며, 전장실(22)과 조리실(21)의 상부에는 마그네트론(25)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를 조리실(21)의 내부로 안내하는 도파관(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장실(22)의 전면에는 전자렌지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마련된 조작패널(29)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22) 내부와 조리실(21)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전장실(22)의 냉각 및 조리실(21)의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환기유로를 구비한다. 이 환기유로는 전장실(22)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20) 전면의 조작패널(29) 상측에 형성되며 전장실(22)의 내부와 연통되는전면흡입구(30)와, 전면흡입구(30)를 통해 전장실(22)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전장실(22) 내부를 냉각시킨 후 조리실(2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리실(21)과 전장실(22)을 구획하는 구획판(24)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1)을 포함한다. 또 환기유로는 조리실(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실(2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2)과, 조리실(21) 쪽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전면배출구(33)를 포함한다.
이러한 환기유로는 전장실(22) 내부의 냉각팬(27)이 동작할 때 전면흡입구(30)를 통해 전장실(2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전장실(22) 내부를 냉각시킨 후, 구획판(24)의 통공(31)을 통해 조리실(2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21)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계속해서 조리실(21) 내부의 공기가 상부의 통공(32)과 전면배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20) 하부의 가스오븐렌지(미도시) 쪽에서 생기는 가스나 연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조리실(21) 및 전장실(22)과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상측 후방에는 배기유로를 통해 안내되는 가스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50)이 설치된다.
배기유로는 본체(20)의 바닥판(35)에 형성된 배기용 흡입구(36), 조리실(21) 및 전장실(22)의 바닥판(37)과 본체의 바닥판(35)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하부유로(38), 조리실(21)의 측방 및 전장실(22)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양측의 두 상승유로(39,40), 그리고 두 상승유로(39,40)를 통해 안내된 가스나 연기를 배기팬(50) 쪽으로 안내하도록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유로(41,42)를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배기팬(50)이 구동될 때 본체 바닥판(35)의 흡입구(36)를 통해 흡입된 가스나 연기가 하부유로(38), 두 상승유로(39,40), 상부유로(41,42)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배기팬(50)은 양측의 두 상승유로(41,42)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를 각각 배기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배기팬(51)과 제2배기팬(52), 그리고 이들 두 배기팬(51,52) 사이에 설치되어 두 배기팬(51,5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배기모터(53)를 포함한다. 즉 상호 이격된 두 배기팬(51,52)은 배기모터(53)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결합된다. 이때 두 배기팬(51,52)은 그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통상의 다익형 원심팬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배기팬(51)과 제2배기팬(52)은 각각 배기유로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51a,52a)와, 배기모터(53)를 냉각시키는 모터냉각부(51b,52b)로 구획된다. 즉 각 배기팬(51,52)의 배기모터(53)와 인접하는 쪽에는 작은 폭의 모터냉각부(51b,52b)가 마련되고, 두 상승유로(41,42) 쪽에는 보다 큰 폭의 배기부(51a,52a)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은 배기모터(53)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가 모터냉각부(51b,52b)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 배기모터(53)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양측 상승유로(41,42)의 공기가 배기부(51a,52a)의 동작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21) 내부의 음식물이 고주파 가열에 의한 조리와 아울러 고온의 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리실(21)의 한 쪽 측면부에 히터(60)가 설치되고, 이 히터(60)가 설치된 쪽으로 조리실(21) 내부공기가 강제 순환하도록 하는 대류팬(61)이 설치된다. 이때 대류팬(61)은 조리실(21)의 측면 외측에 설치되는 팬케이싱(62)을 통해 보호되며, 히터(60)는 팬케이싱(62) 내부의 대류팬(61) 외곽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대류팬(61)이 설치된 쪽의 조리실(21) 측면에는 대류팬(61)이 동작할 때 조리실(21) 내부공기가 유통하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63)이 형성된다.
또 본체(20)의 측방 상부에는 대류팬(61)을 회전시키기 위한 대류모터(64)가 설치되고, 대류모터(64)와 대류팬(61)에는 각각 풀리(65,66)가 설치되며, 두 풀리(65,66) 사이에는 연결벨트(67)가 설치됨으로써 상호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은 대류모터(64)를 본체(20)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본체(20) 측면부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대류팬(61)을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냉각팬이 없이도 대류모터(64)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냉각유로를 구비한다. 이 모터냉각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류모터(64)의 냉각을 위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71)와, 이 흡입구(71)로부터 대류모터(74)가 설치된 공간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후유로(72)와, 전후유로(72)로부터 배기모터(53)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20)의 후방 상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유로(7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두 배기팬(51,52)의 모터냉각부(51b,52b)의 동작에 의해 흡입구(7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대류모터(64)를 냉각시킨 후, 전후유로(72)와 좌우유로(73)를 연속적으로 거쳐 배기모터(53)가 설치된 공간으로 유입되고, 다시 배기모터(53)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히터(60)와 대류팬(61)이 동작하는 동안 전장실(21)과 조리실(22)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24)의 통공(31)을 폐쇄함으로써 히터(60)에 의한 조리실(21)의 가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공개폐장치(80)를 구비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실(22)의 내부에는 냉각팬(27)이 동작할 때 전장실(22) 내부를 순회하면서 마그네트론(25)을 통과한 공기가 구획판(24)의 통공(31) 쪽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공기안내부재(75)가 설치되고, 이 공기안내부재(75)에는 통공개폐장치(80)가 설치된다.
통공개폐장치(80)는 전장실(22) 쪽에서 통공(31)을 폐쇄할 수 있도록 통공(31)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덮개(81)와, 이 덮개(81)가 공기안내부재(75)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81)의 일단에 마련된 지지축(82), 그리고 지지축(8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덮개(81)를 개폐하도록 공기안내부재(75)의 외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통공개폐장치(80)를 통해 구획판(24)의 통공(31)이 폐쇄되었을 경우, 전장실(22) 내부의 공기(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안내부재 쪽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본체(20)의 전면부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장실 배기유로(85)를 구비한다. 이 전장실배기유로(8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안내부재(75)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76)로부터 본체(20) 전면 상부의 배출구(86)가 연통하는 별도의 유로로 구성되며, 이 전면흡입구(30)로부터 전장실(22)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와는 구획된다. 이러한 전장실배기유로(85)는 배기유로 및 환기유로의 형성을 위해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90)와 플라스틱 사출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고주파 가열을 통한 조리를 수행할 때는 조리실(21) 내부에 음식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마그네트론(25)이 가동되도록 한다. 이때는 마그네트론(25)으로부터 조사되는 고주파가 도파관(28)을 통해 조리실(21)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실(22)의 통공개폐장치(80)가 통공(31)을 개방한다. 따라서 이때는 전장실(22) 내부의 냉각팬(27)이 동작하면서 전면흡입구(30)를 통해 전장실(22)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가 각종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계속해서 구획판(24)의 통공(31)을 통해 조리실(21)로 유입되어 조리실(21)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조리실(21)의 공기는 조리실(21) 상부의 통공(32)과 전면배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가열을 통한 조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배기유로와 배기팬(50)을 통해 본체(20) 하부의 가스오븐렌지 쪽에서 생긴 가스나 연기의 배출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조리실(21)의 측면부에 설치된 히터(60)의 열을 이용해서도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체(20) 하부의 가스나 연기의 배기를 위해 배기팬(50)이 동작할 때는 본체 바닥판(35)의 흡입구(36)를 통해 흡입된 가스나 연기가 하부유로(38)로 유입되고, 하부유로(38)의 공기는 본체(20) 양측의 두 상승유로(39,40)를 따라 상승하며 상부유로(41,4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실(21) 측면부의 히터(60)을 이용해 조리를 할 때는 히터(6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됨과 동시에 대류모터(64)의 동작으로 대류팬(6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때는 조리실(21) 내부의 공기가 조리실(21) 측면의 통공(63)을 통해 대류팬(61) 쪽으로 흡입되었다가 다시 배출되면서 히터(6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조리실(21)이 순환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처럼 대류팬(61)과 히터(60)를 이용한 조리를 수행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개폐장치(80)를 통해 구획판(24)의 통공(31)이 폐쇄됨으로써 전장실(22)의 공기가 조리실(2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히터(60) 쪽으로 순회하는 조리실(21) 내부의 공기가 히터(60)에 의해 더욱 신속히 가열되기 때문에 히터(60)의 열에 의한 조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류팬(61)과 히터(60)를 이용해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전장실(22) 내부는 냉각팬(27)의 동작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팬(27)의 동작에 의해 전장실(22)을 순회하는 공기는 전면흡입구(30)를 통해 전장실(22)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가 고압트랜스(26)와 마그네트론(25)을 차례로 냉각시킨 후 공기안내부재(75) 내부로 흐르며, 공기안내부재(75) 상부의 개구부(76)와 전장실배기유로(85)를 통해 본체(2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대류팬과 히터를 이용해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 통공개폐장치를 통해 구획판의 통공을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장실의 공기가 조리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조리실내부공기의 온도를 신속히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히터와 대류팬을 이용하는 전자렌지의 조리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내부가 조리실과 전장실로 구획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고주파공급장치와, 상기 전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이 동작할 때 상기 전장실을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장실과 상기 조리실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대류팬과, 상기 대류팬과 상기 히터가 동작할 때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통공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개폐장치는 상기 전장실 쪽에서 상기 통공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개폐장치가 상기 통공을 폐쇄했을 때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장실배기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내에는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고주파공급장치를 냉각시킨 후 상기 통공 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안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통공개폐장치가 상기 공기안내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개폐장치는 상기 전장실 쪽에서 상기 통공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개폐장치가 상기 통공을 폐쇄했을 때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면부 쪽으로 연장되는 전장실배기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배기유로는 유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전자렌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건물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본체 하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배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3-0001438A 2003-01-09 2003-01-09 전자렌지 KR10050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38A KR100500726B1 (ko) 2003-01-09 2003-01-09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38A KR100500726B1 (ko) 2003-01-09 2003-01-09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139A true KR20040064139A (ko) 2004-07-16
KR100500726B1 KR100500726B1 (ko) 2005-07-12

Family

ID=3735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438A KR100500726B1 (ko) 2003-01-09 2003-01-09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00B1 (ko) * 2007-04-03 2009-03-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46B1 (ko) * 2005-08-2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00B1 (ko) * 2007-04-03 2009-03-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726B1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16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6864472B2 (en) Exhaust and ventilation system for mountable type microwave oven
US7049567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mechanism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42397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EP2235445B1 (en) A microwave oven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500726B1 (ko) 전자렌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0423977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889077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100936153B1 (ko) 전자레인지
KR20050010565A (ko) 전자레인지
KR20010035766A (ko)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KR20070054463A (ko) 전자레인지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0402581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흡기장치
KR200189531Y1 (ko) 전자렌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10067183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286026B1 (ko) 전자렌지
KR100938381B1 (ko) 전자레인지
KR20030057833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