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098A -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098A
KR20040064098A KR1020030001376A KR20030001376A KR20040064098A KR 20040064098 A KR20040064098 A KR 20040064098A KR 1020030001376 A KR1020030001376 A KR 1020030001376A KR 20030001376 A KR20030001376 A KR 20030001376A KR 20040064098 A KR20040064098 A KR 2004006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sound
call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4098A/ko
Publication of KR2004006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을 출력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단계;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THE SOUND AT THE TIME WHEN THE BASE STATION IS CONNECTED WITH THE MOBILE STATION OF RECEIVER AND THE MOBILE 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편 휴대 전화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여 그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통화 연결 시점음을 발생시킴으로써,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통화 대기음의 발생에 관한 특허로는 국내 출원 번호10-2000-0002375(휴대폰의 통화 연결음 발생 방법)이 있다. 이 특허는 통화 시도에 따른 호 연결시 할인 시간 및 비 할인 시간대에 따라 서로 구분된 통화 대기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대편에서 전화를 받은 시점을 알려 주는 종래 기술로는 실용 신안 등록 출원 20-2000-0015029 (이동 단말기)가 있다. 이 등록 실용 신안은, 발신시 상대편이 전화를 받아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단말기 진동, LED 녹색 점멸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기를 장시간 귀에 대지 않거나 손으로 잡지 않고도 상대편이 전화를 받았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대기음을 발생시키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와 접속되어 무선 신호를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부(11), 상기 무선 주파수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부(11)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2),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5), 각종 데이터나 통화 대기음의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하는 메모리(13), 단말기 상태나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4) 및 사용자의 통화 키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통화 대기음을 출력하는 통화 대기음 발생부(16)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 따르면, 상대편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실제로 기지국과 연결되는 시점인 통화 연결 시점을 발신자측에서 알 수가 없었다. 이러한 통화 연결 시점을 알려 주는 서비스가 따로 존재하지 않았기에, 발신자측에서는 통화 대기음이 울리는 중 갑자기 불규칙하게 통화 대기음이 길게 바뀌는 순간이 실제 수신자의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이라는 것을 어렵사리 짐작하였을 뿐이었다.
또한, 최근 상업적인 서비스로 각광받는 통화 대기음 서비스(통화 연결음 대신 수신자가 사전에 지정한 최신음악, 자연의 소리, 효과음 목소리 등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011의 ColorRing, 016의 2Ring, 019의 FeelRing 서비스 등이 있다.)를 신청한 경우에는 발신측에서는 통화 대기음 대신 처음부터 수신자가 설정한 음악이나 효과음이 들리기에 실제로 통화가 연결되고 있는지 아니면 기지국이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였는지 여부를 발신자는 전혀 알 수 없었다. 그리하여, 발신자는 통화 연결이 잘 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계속 통화 키 입력을 눌러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자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수신측의 기지국이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찾지 못한 채 발신자에게 링백톤(ringback tone) 신호 만을 보내는 경우 또는 수신자가 상기에서 언급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를 신청하여 링백톤 신호 대신에 다른 음원이 발신자에게 들리는 경우에, 소리나 진동 등의 수단을 통하여 착신자의 단말기와 기지국이 실제로 연결되는 시점인 통화 연결 시점음을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대기음을 발생시키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0, 208: 이동 전화(MS) 201, 207: 기지국(BTS)
202, 206: 기지국 제어장치(BSC) 203, 205: 교환기(MSC)
300: 제어부 301: 무선 주파수부
302: 음성 처리부 303: 키 입력부
304: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 305: 통화 대기음 발생부
306: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 307: 메모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는,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검출된 통화 연결 시점에서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단계;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신의 경우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단계; 착신측의 무선 주파수부가 기지국과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대편 발신측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 및 상대편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화 연결 시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 보면, 발신측에는 발신측 휴대 전화(200), 유선 전화(209), 기지국(201), 기지국 제어장치(202) 및 교환기(203)가 있으며, 착신측에는 착신측 휴대 전화(208), 기지국(207), 기지국 제어장치(206) 및 교환기(205)가 있으며, 일반 유선 전화로 발신을 할 경우에 접속을 하게 되는 일반 전화 교환망(204)이 있다.
발신측 휴대 전화(200)는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서, 후술할 도 3에서 도시된 무선 주파수부(301)를 통해 발신 신호를 송출하며 기지국 제어장치(202)의 망 연동 시스템과 연동하여 무선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된다.
기지국(201)은 발신측 휴대 전화(200)와의 무선 접속 및 상기 발신측 휴대 전화(200)와 기지국 제어장치(202) 간의 유무선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위치한 셀 내에 존재하는 발신측 휴대전화의 무선 주파수부(301)로부터의 호 연결을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지국 제어장치(202)로 알린다.
기지국 제어장치(202)는 기지국(201)과 교환기(203)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201)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한다.
교환기(203)는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센터로서, 가입자간 회선 교환, 입출중계 처리,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로밍 등의 기능을 가지며, 타 기지국에 등록된 가입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202)와 상기 교환기(203)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으로 요구된 호에 대해 망 연동 시스템으로의 호 연결을 실행하고 단말기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도시 안 함)는 착신측 휴대 전화(208)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롯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의 현재 상태 및 각종 서비스 관련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센터이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도시 안 함)는 관할 영역 내에 타 기지국의 단말기가 들어 왔을 때, 이를 인지하여 타 기지국과 로밍을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발신측 휴대 전화(200)의 통화 키 입력에 의한 발신 신호 송출에 의해 상기 기지국(201), 기지국 제어장치(202), 교환기(203) 등을 거쳐 착신측의 교환기(205), 기지국 제어장치(206) 및 기지국(207)를 통해 착신측 휴대 전화(208)에 신호가 연결되는데, 이때, 도 2의 점선 내부에서 보여 지듯이 착신측의 기지국(207)이 착신측 휴대 전화(208)의 위치를 찾아 발신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착신측 휴대 전화(208)와 채널이 연결된 시점이 통화 연결 시점이 되며, 이러한 통화 연결 시점은 후술할 도 3에서 도시된 발신측 휴대 전화(200)의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어부(300), 무선 주파수부(301), 음성 처리부(302), 키 입력부(303),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306), 메모리(30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통화 대기음 발생부(30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301)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발신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 및 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성 처리부(302)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조하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로 송출하며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링 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를 통해 상기 링 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키 입력부(303)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과 통화 신호를 수행하는 통화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는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와 기지국(207)이 실제로 연결이 이루어 지는 통화 연결 시점을 상기 교환기(203, 205)를 통해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모리(307)는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이 검출되어 질 때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통화 연결 시점음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통화 연결 시점음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메모리(307)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통신회사가 일률적으로 하나의 소리나 진동음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으며, 현재의 통화 대기음 서비스처럼 통신회사의 서버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여기에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단말기의 모든 구성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의 검출에 의해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307)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306)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306)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받아 이를 진동이나 가청 상태의 짧은 소리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통화 대기음 발생부(305)는 발신자의 통화 키 입력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00)의 무선 주파수부(301)가 상기 기지국(201)으로 발신 신호를 송출한 후 상기 기지국(201)은 발신측 단말기(200)로 발신 대기음 신호(링백 톤)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이러한 링백 톤 신호를 받아 상기 통화 대기음 발생부(305)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은 착신측의 휴대 전화 단말기(208)에서 출력되는 벨 울림 신호보다 시간적으로 약간 앞서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가 고속으로 이동 중이거나, 지하에 있거나 전자파가 차폐된 공간에 머물러 있어 착신측의 기지국(207)이 상기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착신측의 단말기(208)에 벨 울림이 없는 동안에도 발신자의 단말기(200)에만 통화 대기음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발신측의 통화 대기음의 발생은 착신측의 벨울림 신호 발생보다 좀 더 시간적으로 앞서게 되며, 상기 통화 대기음의 발생 중에도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와 기지국(207)이 실제로 연결이 이루어 지는 통화 연결 시점을 검출하여 알려 주게 됨으로써 발신자는 실제 통화 연결 시점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신자가 통화 대기음 대신 상기 기지국(201)의 링백 톤 신호에 상관없이 자신의 통화 키 입력 순간부터 음악이나 자연 음향을 발생하게 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는 발신측의 휴대 전화(200)의 메모리(307)에 음악이나 자연 음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출력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발신자는 실제의 통화 연결 시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발신자는 통화 연결 시점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S402). 통화 연결 시점음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 키 입력에 의한 발신 신호를 송출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300)는 판단하게 된다(S404). 만약, 발신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는 발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0)는 기지국(201)으로부터 링백 톤 신호를 받아 상기 통화 대기음 발생부(305)를 통해 통화 대기음을 발생하게 된다(S406). 또는 위에서 언급한 데로 발신자가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 대신 음악이나 자연 음향을 출력하게 하는 경우라도 상관없다.
착신측 단말기(208)가 기지국(207)과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300)가 판단하게 되며(S408), 실제로 연결이 된 경우는 그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가 검출하게 된다(S410). 그러나, 착신측 기지국(207)이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의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 등에는 발신측의 휴대 전화 단말기(200)에서만 계속해서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게 되고 착신측에는 벨이 울리지 않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S406으로 다시 돌아 가게 된다.
한편,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307)로부터 독출하여 통화 연결 시점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412).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306)는 스피커를 통해 통화 연결 시점음을 출력하게 된다(S41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는 본 발명인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기가 발신의 경우뿐만 아니라 착신의 경우에도 적용이 되는것을 보여 주는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착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8)는 통화 연결 시점음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307)에 저장한 상태에서(S502) 상대편의 발신 신호가 송출되는 때(S504), 상기 제어부(300)는 자신의 단말기의 무선 주파수부(301)가 기지국과 연결되어 신호를 착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6). 착신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304)는 통화 연결 시점을 검출하게 되며(S508),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307)로부터 독출하여 상대편 발신측 단말기로 송신한다(S510). 그러면, 상대편 발신측 휴대 전화 단말기(200)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화 연결 시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S512).
한편, 발신측의 단말기가 휴대 전화 단말기(200)가 아니라 일반 유선전화(209)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어 통화 연결 시점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발신자는 기지국의 링백 톤 신호를 받아 통화 대기음을 출력하는 경우 또는 통화 대기음 대신에 음악이나 자연 음향이 통화 키 입력부터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소리나 진동 등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발신자는 기지국의 링백 톤(Ringback Tone) 신호를 받아 통화 대기음을 출력하는 경우 또는 통화 대기음 대신에 음악이나 자연 음향이 통화 키 입력부터 발생하도록 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도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실제로 연결되는 시점을 소리나 진동 등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수신이 잘 이루어 지지 않는 장소에 수신자의 휴대 전화가 있는데도 연결이 되지 않는지 모르는 채 계속 통화 시도를 하는 노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통화 연결 시점 검출부;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검출된 통화 연결 시점에서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는,
    무선 주파수부가 발신 신호를 송출한 후에 통화 대기음을 발생시키는 통화 대기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은 상기 통화 대기음의 발생 중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착신의 경우, 상기 무선 주파수부가 기지국과 연결되어 신호를 착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대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4.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단계;
    상대편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부가 발신 신호를 송출한 후에 통화 대기음을 발생시키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은 상기 통화 대기음의 발생 중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6.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단계;
    착신측의 무선 주파수부가 기지국과 연결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검출된 시점에서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대편 발신측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 및
    상대편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 시점음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화 연결 시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30001376A 2003-01-09 2003-01-09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KR20040064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76A KR20040064098A (ko) 2003-01-09 2003-01-09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76A KR20040064098A (ko) 2003-01-09 2003-01-09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098A true KR20040064098A (ko) 2004-07-16

Family

ID=3735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76A KR20040064098A (ko) 2003-01-09 2003-01-09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40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1055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5954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를 이용한 착신알림 및통화시스템
KR20040006758A (ko) 블루투스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그룹 통신 제공방법
KR1003898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호 표시 방식 전환 방법
KR20040064098A (ko) 통화 연결 시점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00899A (ko) 휴대폰에서 발신자 식별을 위한 음성 안내방법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082892A (ko)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6986B1 (ko) 발신자별 벨소리 크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60038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출력 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0983743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애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1560A (ko) 착신 휴대폰으로 벨소리를 전송하는 시스템
KR2004001591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장치 및 방법
JPH11313378A (ja) 無線固定端末装置及び発呼側ダイアル番号判別方法
KR20000044500A (ko) 휴대폰에서 통화가능한 시간 통보방법
KR20000044489A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JPH0691585B2 (ja) 無線を利用した構内電子交換機の内線呼出装置
KR20000049377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 방법
KR20010056424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KR20050034197A (ko) 차세대 통신망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97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