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859A -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859A
KR20040063859A KR1020040042607A KR20040042607A KR20040063859A KR 20040063859 A KR20040063859 A KR 20040063859A KR 1020040042607 A KR1020040042607 A KR 1020040042607A KR 20040042607 A KR20040042607 A KR 20040042607A KR 20040063859 A KR20040063859 A KR 2004006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ody composition
voltage
constant
bio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828B1 (ko
Inventor
최재권
이우철
고윤석
이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4004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8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체성분 분석방법은,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교류 정전류원과, 상기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정전압부와, 상기 제1소정 위치들과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신체의 다른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교류 전압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의 전원공급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신체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측정하는 교류 전류계와, 측정대상자로부터의 각종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체성분 분석결과를 상기 측정대상자에게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한후에, 상기 교류 전류원을 통해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교류 전압계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NALYZING COMPONENT OF BODY}
본 발명은 체성분 분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이 체형인 측정대상자의 체성분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만측정방법으로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ethod), 표준체중법, 신체질량지수법, 수중체밀도법, 피부주름두께 측정법 등이 있다. 상기한 측정법 중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은 1969년 Hoffer에 의해 체수분량이 신체의 전기저항과 역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이 보고된후, 1980년대 많은 의사, 영양학자, 체육학자의 노력에 의해 그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더욱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에 따른 체성분 분석의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상기한 체성분 분석장치는 널리 상용화되었다.
상기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수분 및 체지방을 내재하는 인체에 약한 교류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전류는 상기 체수분을 따라 흐르며, 상기 체지방은 그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이에따라 인체의 체성분에 따라 전류의 흐름 정도는 상이하게 되며, 그 흐름 정도를 임피던스로 환원함으로써 해당 측정대상자의 체성분을 분석해낼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는 종래의 체성분 분석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각부(P1 내지 P10) 사이에는 생체 임피던스(R1 내지 R9)가 존재한다. 교류 정전류원(100)은 상기 인체의 각부중 손바닥(P5)과 발바닥(P10)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정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교류 전압계(102)는 손목(P4)과 발목(P9) 사이에 연결되어 손목(P4)과 발목(P9)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교류 정전류원(100)은 상기 인체에 정전류를 공급하므로, 상기 교류 전압계(102)가 측정해낸 전압을 토대로 생체 임피던스(X)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X)는 수학식 1과 같이 손목(P4)과 발목(P9)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들의 합성저항값이다.
X = R3 + R5 + R8
상기한 체성분 분석장치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생체 임피던스(X)는 손목(P4)과 발목(P9)간의 합성저항이며, 교류 정전류원(100)은 상기 생체 임피던스(X)에 정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교류 전압계(102)는 상기 생체 임피던스(X)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므로, 상기 생체 임피던스(X)는 옴의 법칙에 의해 산출된다. 아울러, 상기 도 2에 도시된 저항들(R1~RD)은 피부 접촉 저항들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체성분 분석장치는 낮은 교류 정전류원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므로, 낮은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는 측정대상자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분석결과를 제공하지만,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는 측정대상자에 대해서는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이 곤란하였다. 다시 말해,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는 운동선수나 고도 비만자 등의 측정대상자에 대해서는 체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했다.
또한 상기 체성분 분석장치에 구비되는 교류 정정류원이 언제나 이상적인 특성을 가지는 못하므로, 측정 범위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체성분은 인체에 흐르는 교류 정전류가 안정화되어 흐를때 정확하게 산출되나, 종래에는 인체에 흐르는 교류 정전류가 안정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알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는 측정대상자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대상자가 특이 체형인 관계로 신체에 공급되는 교류 정전류가 용이하게 안정화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측정대상자의 체성분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성분 분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등가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분석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등가회로도.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성분 분석방법은,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교류 정전류원과, 상기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정전압부와, 상기 제1소정 위치들과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신체의 다른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교류 전압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의 전원공급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신체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측정하는 교류 전류계와, 측정대상자로부터의 각종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체성분 분석결과를 상기 측정대상자에게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한후에, 상기 교류 전류원을 통해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교류 전압계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임피던스의 정도에 따라 교류 정전류원을 사용한 측정과 교류 정전압원을 사용한 측정을 선택적으로 이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의 정도에 따라 체성분의 분석결과의 신뢰성 저하를 해소함과 아울러 체성분 분석소요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대상자의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까지도 체크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분석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체를 다수의 전극(P1 내지 P10)으로 정하고, 즉 손바닥(P1,P5), 손목(P2,P4), 목(P3), 복부(P6), 발목(P7,P9), 발바닥(P8,P10)을 각기 다른 전극으로 정하며, 각 전극 사이에는 생체 임피던스들(R1 내지 R9)이 각각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상기한 생체 임피던스들중 체성분 분석을 위한 합성 생체 임피던스들을 검출하며, 상기 합성 생체 임피던스들의 검출을 위해 표 1에 따라 신체 각부에 교류 정전류 또는 교류 정전압를 공급함과 아울러 신체 각부에 대한 교류전압을 측정한다.
생체 임피던스 전원공급전극 전압측정전극
X1=R3+R5+R8 P5,P10 P4,P9
X2=R3+R5+R6 P5,P8 P4,P7
X3=R2+R5+R8 P1,P10 P2,P8
X4=R2+R5+R6 P1,P8 P2,P7
X5=R2+R3 P1,P5 P2,P4
X6=R6+R8 P8,P10 P7,P8
국부생체 임피던스 임의의 두 전극 임의의 두 전극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 각부분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체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안내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교류 정전압원(210) 및 교류 정전류원(212)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측정대상자의 신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가 다소 높은 측정대상자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경로상에 교류 전류계(214)를 연결하여, 상기 전원공급경로상에 흐르는 교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그 교류 전류가 안정화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체성분 분석장치의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체의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안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신체의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을 측정하기 위해, 각 생체 임피던스에 해당되는 전원공급 전극들과 교류 정전압원(210) 또는 교류 정전류원(212)을 연결토록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생체 임피던스에 해당되는 전압측정 전극들과 교류전압계(206)를 연결토록 제2 및 제3스위치부(218,220)을 제어한다.
상기 교류 전압계(206)가 각 생체 임피던스에 대응되는 전압측정 전극들에 대한 전압을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각 생체 임피더스들을 취함하여 측정대상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안내한다.
메모리부(202)는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안정화된 교류 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석한 체성분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교류 전압계(206)는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부(218,220)를 통해 연결된 각 생체 임피던스에 대한 전압측정전극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전압측정전극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제5스위치부(208)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 생체 임피던스에 대응되는 전압측정 전극들과 교류 정전압원(210)을 연결하거나, 교류 정전류원(212)를 연결한다.
상기 교류 정전압원(210)은 제5스위치부(208)의 일단과 교류 전류계(214)의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5스위치부(208)가 교류 정전압원(210)을 선택하면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를 통해 측정대상자의 전압측정 전극들에 교류 정전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교류 정전류원(212)은 스위치부(208)의 일단과 교류 전류계(214)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5스위치부(208)가 교류 정전류원(212)을 선택하면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를 통해 측정대상자의 전압측정 전극들에 교류 정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교류 전류계(214)는 상기 교류 정전압원(210)의 타단과 제4스위치부(22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대상자로 인입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국부측정기(224)는 신체의 국부에 대한 전원을 인가한 후에 그 국부에 대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단자들 및 전압측정단자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중계(226)는 측정 대상자의 발 좌우, 전후에 대한 하중차이를 검출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체중계(228 내지 234)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체중게(228 내지 234)는 측정된 체중을 제어부(200)로 통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 임피던스에 대한 전원측정전극 및 전압측정전극을 연결토록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를 제어한다.
예를들어, 제1생체 임피던스(X1)의 측정시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제1 및제4스위치부(216~222)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P5,P10 전극을 통해 전원이 입력함과 아울러 P4,P9 전극에 대한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한후, 상기 제어부(200)는 교류 전류계(214)를 통해 상기 P5,P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교류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류량에 따라 전원을 교류 정전류원(212) 또는 교류 정전압원(210)으로 결정한다.
상기한 결정후에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및 제4스위치부(216-222)를 변경해가면서 측정대상자의 신체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대상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다수의 체중계로 구성되는 체중계부(224)로부터 발의 좌우전후 각각에 대한 체중측정정보를 제공받아 측정대상자의 척수상태 등의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 통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분석장치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정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우선 신체의 각부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전원공급전극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 및 제4스위치부(22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교류정전류원(212)이 상기 신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5스위치부(208)를 제어한다. 이로서, 상기 신체의 한 부분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전원공급전극들로 교류정전류가 인입된다(300단계).
상기 교류 정전류원(212)을 통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진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교류 전류계(214)를 통해 측정대상자로 인입되는 교류 전류량을 검출한다(302단계).
상기 측정대상자로 인입되는 교류 전류에 대한 전류량의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출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 즉 안정화된 전류량인지를 체크한다(304단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출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면, 교류 정전류원(212)에 의한 측정대상자의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교류 정전류원9212)에 의한 측정대상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교류 정전류원(212)에 의한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면, 신체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도록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4스위치부(216~222)의 스위칭상태를 변경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부(216~222)에 대한 스위칭상태의 변경에 따라 교류 전압계(206)는 신체 각부에 대한 전압측정전극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류 전압계(206)가 제공한 신체 각부에 대한 전압측정전극에 대한 전압측정결과를 통해 측정대상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한다(306단계).
상기한 바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200)는 교류 정전류원(212)에 의한 측정이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교류 정전압원(210)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5스위치부(208)의 스위칭상태를 변경한다. 이에따라 상기 측정대상자의 신체로는 상기 교류 정전압원(2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308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신체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도록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4스위치부(216~222)의 스위칭상태를 변경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부(216~222)에 대한 스위칭상태의 변경에 따라 교류 전압계(206)는 신체 각부에 대한 전압측정전극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류 전압계(206)가 제공한 신체 각부에 대한 전압측정전극에 대한 전압측정결과를 통해 측정대상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한다(310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다수의 체중계로 구성되는 체중계부(224)를 통해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312단계).
상기한 체중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신체 각부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과 측정된 체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체성분 및 신체상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측정대상자에게 안내한다(314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 임피던스가 높은 측정 대상자에 대해서는 교류 정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측정대상자에 대해 정확한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 임피던스의 정도에 따라 교류 정전류원을 사용한 측정과 교류 정전압원을 사용한 측정을 선택적으로 이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의 정도에 따라 체성분의 분석결과의 신뢰성 저하를 해소함과 아울러 체성분 분석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대상자의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까지도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체성분 분석방법에 있어서,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다수로 구성된 체중계로 분할측정함으로써, 상기 측정대상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정 위치들을 변경하면서,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들을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 측정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후 소정시간이 경과된 때에 이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면,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방법.
  6. 체성분 분석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하는 교류 정전류원과,
    상기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정전압부와,
    상기 제1소정 위치들과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신체의 다른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교류 전압계와,
    상기 교류 정전류원 또는 상기 교류 정전압부의 전원공급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신체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측정하는 교류 전류계와,
    측정대상자로부터의 각종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체성분 분석결과를 상기 측정대상자에게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류를 공급한후에, 상기 교류 전류원을 통해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 아니면, 상기 신체의 제1소정 위치들에 교류 정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교류 전압계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분할 측정하는 다수의 체중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수의 체중계로부터 체중의 분할 측정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측정대상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측정대상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정 위치들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경하는 다수의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소정 위치들을 변경하면서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들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들을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경로상의 전류량 측정은 상기 교류 정전류의 공급후 소정시간이 경과된 때에 이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둔 전류량이면, 상기 교류 전압계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제2소정 위치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KR1020040042607A 2004-06-10 2004-06-10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KR10059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07A KR100592828B1 (ko) 2004-06-10 2004-06-10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07A KR100592828B1 (ko) 2004-06-10 2004-06-10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859A true KR20040063859A (ko) 2004-07-14
KR100592828B1 KR100592828B1 (ko) 2006-06-26

Family

ID=3735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607A KR100592828B1 (ko) 2004-06-10 2004-06-10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4576A (zh) * 2020-09-30 2021-06-08 世耳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人体生物电检测电路、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2273379B1 (ko) * 2020-10-23 2021-07-06 주식회사 테슬라바이오랩 체성분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4576A (zh) * 2020-09-30 2021-06-08 世耳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人体生物电检测电路、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2914576B (zh) * 2020-09-30 2024-03-22 世耳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人体生物电检测电路、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2273379B1 (ko) * 2020-10-23 2021-07-06 주식회사 테슬라바이오랩 체성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828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6414B (zh) 阻抗测量电路和方法
EP1027861B1 (en) Body fat meter and body weight scales equipped with body fat meter
KR20000075585A (ko) 생체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CA2578106C (en) Oedema detection
KR20160046616A (ko) 체지방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50511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egmental body fat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US7125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udgment of physical constitution and physical strength for person under test
US20200359931A1 (en) Body Composition Scale and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Program
US7065399B2 (en) Muscle fatigue level measuring device
US20100312074A1 (en) Body composition monitor
US7146207B2 (en) Health administration apparatus
US11744517B2 (en)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using clamp electrodes
KR100592828B1 (ko)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CN111526787B (zh) 状况评价装置、状况评价方法以及存储介质
CN111904418A (zh) 阻抗测量方法及阻抗测量设备
KR10043748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장치
JP2003180647A (ja) 体内脂肪計
JP2007181524A (ja) 体組成計
KR20180009431A (ko) 접촉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장치
KR100542795B1 (ko)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진 휴대용 통신단말기
KR101932132B1 (ko) 체지방 측정 장치 및 체지방 측정 방법
KR20050071841A (ko) 신체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 체지방 측정기 및 측정방법
KR200318855Y1 (ko) 체지방 측정기
KR20080012075A (ko) 체지방 측정 장치
WO2022230593A1 (ja) 体組成計、体組成測定方法、体組成測定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非一時的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22

Effective date: 200605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