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802A -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802A
KR20040061802A KR1020020088102A KR20020088102A KR20040061802A KR 20040061802 A KR20040061802 A KR 20040061802A KR 1020020088102 A KR1020020088102 A KR 1020020088102A KR 20020088102 A KR20020088102 A KR 20020088102A KR 20040061802 A KR20040061802 A KR 2004006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push button
angle
support piec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948B1 (ko
Inventor
박기상
Original Assignee
박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상 filed Critical 박기상
Priority to KR10-2002-008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어 통증이나 혹은 염증이 수반되는 경우에 대퇴부와 정강이부에 착용하여 무릎의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보호대가 각각 장착되고, 상,하 한쌍의 밴드에 의해 대퇴부와 정강이부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며, 이들 상,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무릎관절의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축구멍을 가지는 한쌍의 상부지지편과, 상기 각 상부지지편의 축구멍으로 끼워넣어지는 연결축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측 끝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턴과, 상기 누름버턴의 연결축으로 끼워넣어지며, 외측 바깥둘레면에 치열이 형성되고 그 바깥 측면에 결합핀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치열에 맞물리도록 내측 안둘레면을 따라 치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해 일측의 브래킷에 장착된 걸림핀을 가지며, 상기 누름버턴의 타측 연결축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일측의 상부지지편과 상기 누름버턴의 가이드홈 사이에 위치하여 탄력을 부여하도록 연결축의 바깥쪽으로 끼워넣어지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된 결합핀에 끼워넣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하부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Angle adjustment device in a subsidiary implement for the knee joint}
본 발명은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어 통증이나 혹은 염증이 수반되는 경우에 대퇴부와 정강이부에 착용하여 무릎의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사이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어 상당한 통증을 가져오는 질병으로서, 특히나 상체의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는 무릎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시에 상당한 고통을 느끼게 됨은 물론, 무릎운동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상 대퇴부와 정강이부에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착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다소나마 해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한 출원으로서,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328호(2001.9.24 등록)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즉, 이 공보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퇴부를 감싸면서 착용되도록 양측으로 분기된 상부 지지프레임과, 정강이부에 착용되도록 양측으로 분기된 하부 지지프레임을 가지며, 이들 양측의 연결부위에는 힌지축을 구비한 각도조절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는, 상부 및 하부 지지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체결판에 소정간격으로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결합구멍에 고정핀을 끼워넣는 방식, 즉 상부 지지프레임을 사용자의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각 체결판의 결합구멍을 맞춘 후에 고정핀을 끼워넣어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구조인 경우에는, 통상 조임나사에 의한 조절부재들의 압착력에 의존하여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부재들의 접촉부위가 쉽게 마모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보조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후자의 구조는, 단순히 고정핀을 각 체결판의 결합구멍에 끼워넣어 상부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정핀이 쉽게 빠져버려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심지어 분실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프레임의 각도조절을 누름버턴의 누름조작과 치열을 갖는 부재들의 맞물림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도조절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조절부재들의 마모 등에 의한 문제나, 고정핀을 이용한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커버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조기구 2,5 : 보호대
3,3a,6,6a : 고정밴드 4 : 상부프레임
7 : 하부프레임 8,8a : 상부지지편
9 : 연결축 10 : 누름버턴
10a : 가이드홈 ]11 : 고정부재
11a : 치열 11b : 단턱부
11c : 각도표시부 12 : 회전부재
12a : 치열 12b : 브래킷
13 : 걸림핀 14 : 스프링부재
15 : 결합핀 16,16a : 하부지지편
17 : 링크부재 18 : 연결판
18a,18b : 고정핀 19 : 커버부재
20 : 고정나사 21 : 브래킷
22 : 위치고정나사 23 : 벨크로테잎
24 : 보호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측에 보호대가 각각 장착되고, 상,하 한쌍의 밴드에 의해 대퇴부와 정강이부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며, 이들 상,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무릎관절의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축구멍을 가지는 한쌍의 상부지지편과, 상기 각 상부지지편의 축구멍으로 끼워넣어지는 연결축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측 끝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턴과, 상기 누름버턴의 연결축으로 끼워넣어지며, 외측 바깥둘레면에 치열이 형성되고 그 바깥 측면에 결합핀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치열에 맞물리도록 내측 안둘레면을 따라 치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해 일측의 브래킷에 장착된 걸림핀을 가지며, 상기 누름버턴의 타측 연결축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일측의 상부지지편과 상기 누름버턴의 가이드홈 사이에 위치하여 탄력을 부여하도록 연결축의 바깥쪽으로 끼워넣어지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된 결합핀에 끼워넣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하부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편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한쌍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이들 지지편과 연결판을 감싸도록 일측에서 끼워넣어져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안쪽 하부지지편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브래킷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에 위치고정나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노출된 측면부에 치열을 따라 각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누름버턴의 연결축과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된 결합핀이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의 바깥 측면에 벨크로테잎이 부착되어 보호판을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체의 무릎부위에 착용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1)는, 내측에 보호대(2)가 각각 장착되고 상,하 한쌍의 고정밴드(3,3a)에 의해 대퇴부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상부프레임(4)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상부프레임(4)과 마찬가지 형태로 내측에 보호대(5)가 장착되고 상,하한쌍의 밴드(6,6a)에 의해 정강이부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하부프레임(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4)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각각의 축구멍을 가지는 한쌍의 상부지지편(8,8a)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상부지지편(8,8a)의 축구멍에는 연결축(9)을 가지는 누름버턴(10)이 끼워넣어져 장착되어 있다.
이 누름버턴(10)의 한쪽 내면에는 가이드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의 연결축(9)으로는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단턱부(11b)의 일측에 치열(11a)을 가지는 고정부재(11)가 끼워넣어지고, 연속하여 상기 연결축(9)의 끝단부에 회전부재(12)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의 노출된 측면부에는 치열(11a)을 따라 각도표시부(1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12)는 상기 고정부재(11)의 치열(11a)에 맞물리도록 내측 안둘레면을 따라 치열(1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12b)에는 걸림핀(13)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4)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의 지지편(8a)과 상기 누름버턴(10)의 가이드홈(10a) 사이에는 연결축(9)의 바깥쪽으로 스프링부재(14)가 끼워넣어져 누름버턴(10)에 소정의 탄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11)의 한쪽 측면에는 결합핀(15)이 장착되어 있고, 이 결합핀(15)에는 상기 하부프레임(7)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하부지지편(16,16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버턴(10)의 연결축(9)과 결합핀(15)이 링크부재(1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편(8,16)의 바깥쪽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대략 C자형상의 연결판(18)이 한쌍의 고정핀(18a,18b)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들 상부지지편(8,8a)과 하부지지편(16,16a) 및 연결판(18)을 감싸도록 일측에서 커버부재(19)가 끼워넣어져 고정나사(20)들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7)의 안쪽 하부지지편(16a)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브래킷(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21)에 위치고정나사(22)가 장착되어 상부프레임(4)의 전방 회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2)의 바깥 측면에는 벨크로테잎(2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벨크로테잎(23)에는 무릎의 양측부를 보호하기 위한 원판형태의 보호판(24)이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조기구(1)를 착용하기 위해 우선 상부프레임(4)과 하부프레임(7)을 각각 대퇴부와 정강이부에 밀착시키고, 각각의 고정밴드(3,3a)(6,6a)를 뒤로 돌려 채워줌으로써, 약간 압박된 상태로 무릎을 사이에 두고 보조기구(1)를 대퇴부와 정강이부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4)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프링부재(14)에 의해 소정 탄력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턴(10)을 안쪽으로 눌러줌에 따라 누름버턴(10)이스프링부재(14)를 밀어누르면서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버턴(10)의 연결축(9)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이 연결축(9) 끝단에 장착되어 있던 회전부재(12)도 이동하게 되어 상기 고정부재(11)의 치열(11a)과 회전부재(12)의 치열(12a)이 맞물려진 상태에서 해제된다.
이때, 도 4a 및 도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2)를 파지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파지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스프링부재(1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버턴(10)과 회전부재(1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고정부재(11)와 회전부재(12)의 치열(11a,12a)이 다시 맞물리면서 회전부재(12)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은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회전부재(12)의 브래킷(12b)에 장착된 걸림핀(13)에 의해 더 이상의 회동이 규제되므로, 상기 상부프레임(4)은 하부지지편(16a)의 브래킷(21)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고정나사(22)에 의한 수직상태와 상기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걸림핀(13)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원하는 각도에 맞추어 상기 누름버턴(10)의 누름조작과 치열을 갖는 부재들의 맞물림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4)의 회전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도조절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조절부재들의 마모, 고정핀의 분실 등에 의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내측에 보호대가 각각 장착되고, 상,하 한쌍의 밴드에 의해 대퇴부와 정강이부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며, 이들 상,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무릎관절의 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축구멍을 가지는 한쌍의 상부지지편(8,8a)과,
    상기 각 상부지지편(8,8a)의 축구멍으로 끼워넣어지는 연결축(9)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측 끝단에 가이드홈(10a)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턴(10)과,
    상기 누름버턴(10)의 연결축(9)으로 끼워넣어지며, 외측 바깥둘레면에 치열(11a)이 형성되고 그 바깥 측면에 결합핀(15)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의 치열(11a)에 맞물리도록 내측 안둘레면을 따라 치열(12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해 일측의 브래킷(12b)에 장착된 걸림핀(13)을 가지며, 상기 누름버턴(10)의 타측 연결축(9)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부재(12)와,
    상기 일측의 상부지지편(8a)과 상기 누름버턴(10)의 가이드홈(10a) 사이에 위치하여 탄력을 부여하도록 연결축의 바깥쪽으로 끼워넣어지는 스프링부재(14)와,
    상기 고정부재(11)에 장착된 결합핀(15)에 끼워넣어지며, 상기하부프레임(7)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하부지지편(16,16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편(8,16)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연결판(18)이 한쌍의 고정핀(18a,18b)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이들 상부지지편(8,8a)과 하부지지편(16,16a) 및 연결판(18)을 감싸도록 일측에서 끼워넣어져 고정나사(20)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재(19)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7)의 안쪽 하부지지편(16a)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브래킷(21)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21)에 위치고정나사(2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의 노출된 측면부에 치열(11a)을 따라 각도표시부(11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턴(10)의 연결축(9)과 상기 고정부재(11)에 장착된 결합핀(15)이 링크부재(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2)의 바깥 측면에 벨크로테잎(23)이 부착되어 보호판(24)을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2-0088102A 2002-12-31 2002-12-31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KR10049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02A KR100491948B1 (ko) 2002-12-31 2002-12-31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02A KR100491948B1 (ko) 2002-12-31 2002-12-31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220U Division KR200307651Y1 (ko) 2002-12-31 2002-12-31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02A true KR20040061802A (ko) 2004-07-07
KR100491948B1 KR100491948B1 (ko) 2005-05-31

Family

ID=3735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102A KR100491948B1 (ko) 2002-12-31 2002-12-31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94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11A (ko) * 2004-08-31 2006-03-06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회전형 슬관절 이단의지
KR100688327B1 (ko) * 2006-01-09 2007-03-02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110075B1 (ko) *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KR101117099B1 (ko) * 2009-11-05 2012-03-14 (주)트리플씨메디칼 회전체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무릎 보조기
KR101651509B1 (ko) * 2015-03-04 2016-08-26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무릎 통증 완화 장치
TWI681765B (zh) * 2019-01-29 2020-01-11 康威利實業有限公司 退化性膝關節調整支架
CN111601574A (zh) * 2017-11-23 2020-08-28 鲍尔法因德股份有限公司 肢体矫形器,特别是膝部矫形器
KR102268890B1 (ko) *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CN117442416A (zh) * 2023-12-22 2024-01-26 山东航维骨科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小儿骨骼复位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11A (ko) * 2004-08-31 2006-03-06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회전형 슬관절 이단의지
KR100688327B1 (ko) * 2006-01-09 2007-03-02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117099B1 (ko) * 2009-11-05 2012-03-14 (주)트리플씨메디칼 회전체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무릎 보조기
KR101110075B1 (ko) *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KR101651509B1 (ko) * 2015-03-04 2016-08-26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무릎 통증 완화 장치
CN111601574A (zh) * 2017-11-23 2020-08-28 鲍尔法因德股份有限公司 肢体矫形器,特别是膝部矫形器
CN111601574B (zh) * 2017-11-23 2022-08-19 鲍尔法因德股份有限公司 肢体矫形器,特别是膝部矫形器
TWI681765B (zh) * 2019-01-29 2020-01-11 康威利實業有限公司 退化性膝關節調整支架
KR102268890B1 (ko) *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CN117442416A (zh) * 2023-12-22 2024-01-26 山东航维骨科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小儿骨骼复位装置
CN117442416B (zh) * 2023-12-22 2024-03-22 山东航维骨科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小儿骨骼复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948B1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850B1 (ko)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CA2252507C (en) Angular compensation device for a joint brace
EP1480584B1 (en) Joint brace with limb-conforming arcuately adjustable cuffs
KR101892573B1 (ko)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WO2021095972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0491948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EP0339052B1 (en) Self-adjusting cuff device
KR200481803Y1 (ko) 미세 폭 조절이 가능한 다이얼식 무릎 관절 보조 기구
JP2005237962A (ja) 身体関節の位置を矯正するための装具
KR101363834B1 (ko) 족관절 보조장치
CA2345473A1 (en) Knee brace with sagittal adjustment
KR101837187B1 (ko) 손목 보호대
US20200206062A1 (en) Wearable robot
WO2010087602A2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200307651Y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의 각도조절장치
CN213217954U (zh) 一种肩部受力的膝关节矫形器
KR20090011357A (ko) 무릎관절 보조기구용 각도조절장치
KR101900422B1 (ko) 손목 보호대
JP2015123273A (ja) 関節用装具
WO2013065888A1 (ko) 기능성 무릎 보호대
EP3171831B1 (en) Device for applying pressure to bones of arm
US5419755A (en) Weight bearing brace for femur and hip joint
KR200382803Y1 (ko)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WO2020229431A1 (en) A virtual reality headset mount
KR101681106B1 (ko) 헤드밴드 조절장치가 부착된 스키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