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378A -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378A
KR20040058378A KR1020020084030A KR20020084030A KR20040058378A KR 20040058378 A KR20040058378 A KR 20040058378A KR 1020020084030 A KR1020020084030 A KR 1020020084030A KR 20020084030 A KR20020084030 A KR 20020084030A KR 20040058378 A KR20040058378 A KR 2004005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digital broadcast
broadcast receiver
remote access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681B1 (ko
Inventor
황정식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8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6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메신저를 설치하여 IM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할 수 있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메신저를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보내주면 원격지에서는 텍스트로 명령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GUI 메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명령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쉽게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Remote connect and control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by messenger}
본 발명은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 디지털 방송은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불가능하였던 고화질, 고음질의 영상을 보여준다는 것만으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점차 데이터 방송이 시작되고 양방향 서비스가 실시됨에 따라, 시청자들이 더 이상 수동적으로 방송만 시청하던 시대는 지났다.
TV프로그램 화면을 보면서 해당 화면을 바탕화면으로 한 채 방송 수신기 리모컨을 통해 게임을 한다거나, 날씨·운세·교통 등의 정보를 시청자가 직접 요청해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하여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할 수도 있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연결된 다른 가전기기들까지도 제어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처럼 미래의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홈 네트워크 서버로서 급부상하면서 PC를 이용해서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을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대체할 수 있게 변모되어 가는 추세이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대체하여 할 수 있는 일들이 이메일, 웹 서핑, 채팅, 인터넷 쇼핑, 은행업무, 주식 거래, 게임, 음악 다운로드, 비디오 화상회의 등등 이루 셀 수 없이 많이 있으며, 이는 모두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이 있기에 가능한 일들이라 할 수 있다.
도 1a는 다수의 원격지 접속단말(20)에서 인터넷(50)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 접속하는 경우의 도면으로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서 고정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 변하지 않은 유일한 IP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원격지 접속단말(20)에서 인터넷(50)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고정 IP 주소로 문제없이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서 유동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접속하려는 순간에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 할당된 IP 주소를 알지 못하므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할 수가 없다.
도 1b는 디지털 방송수신기(10)가 로컬 네트워크(60)로 IP 공유기(30)에 접속되어 로컬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서, 이때 할당된 IP는 유일한 IP가 아니라 예약된 로컬 IP이므로 이 역시 원격지 접속단말(20)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 직접 접속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원격지 접속단말(20)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10)에 접속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원격 제어하거나 시청자들끼리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거나 의견을 교환하려고 할 때에는 서로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때, 디지털 방송수신기(10)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고정 IP 주소로 접속하면 된다.
그러나 고정 IP는 이용료가 유동 IP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대다수의가정에서는 현재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다.
유동 IP의 특성상 IP 주소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격지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10)로 접속시 그 순간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IP를 알 수가 없으므로 접속을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10)가 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실상 서버로의 기능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인터넷(50)에 접속되어야 할 기기들이 디지털 방송수신기(10)를 비롯하여 여럿인 경우에는 IP 공유기(30)를 사용하여 IP 공유기에 연결된 각각의 기기들에게는 예약된 로컬 IP(예를 들어 192.168.0.x : 여기서 x는 0~255)를 할당시켜 주어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고정 IP를 사용하든 유동 IP를 사용하든 간에 원격지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10)로 직접 접속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할 수 있고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신저가 탑재된 원격지 접속단말에서 메신저가 탑재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제어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메신저를 실행시켜 원격지 접속단말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오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제어에 대한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원격제어 요청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ID와 암호를 묻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원격지 접속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ID와 암호의 정보를 담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이를 수신하여 ID와 암호를 보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ID를 판단하여 사용자 레벨을 결정하고 사용자 레벨에 따라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원하는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이를 수신하여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이 있는지 판단하며, 하위목록이 없는 경우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원격지 디지털 방송수신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원격지 디지털 방송수신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접속한 다음 보내는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방송수신기 20 : 원격지 접속단말
30 : IP 공유기 40 : PC
50 : 인터넷 60 : 로컬 네트워크
100 : 디지털 방송수신기 110,210 : 메신저
120 : 사용자 DB 130 : 서비스 DB
200 : 원격지 접속단말 300 : 인터넷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초기에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친구들과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채팅, 자료 교환 등을 할 때, 사용자들끼리 정해진 인터넷 서버에 접속을 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이하 'IM'이라 함)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메신저(Messenger)라는 프로그램이 나온 이후로는, 이러한 수고를 거치지 않고서도 사용자들끼리 서로간의 온라인 접속 여부를 알 수도 있고, 원하는 친구와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채팅을 하고 자료를 교환하는 일이 가능해 졌다.
또한 상대방의 이메일(e-mail) 주소만 알면, 상대의 온라인 접속 여부를 알 수 있고,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에도 상대방의 IP 주소를 알 필요가 없다.
이는 각 사용자의 IP 주소와 같은 정보는 IM 서비스 업체들에서 관리하여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와 연계시켜 주기 때문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메신저는 사용자가 만들어 놓은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친구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였을 때,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로서, 어떤 친구가 메시지를 보내오면 그 사실을 알려준다
여기서 미리 자신이 만들어 놓은 목록을 버디 리스트(Buddy List)라고 하는데 온라인 상에서 연락하고 싶은 동료나, 작업그룹 회원, 또는 친구들의 목록을 말하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사람들이 네트워크에 접속했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IM의 장점으로는 전화와 같은 신속성과 정확성, 실시간성 등을 모두 갖고 있으며 단문 텍스트뿐만 아니라 파일을 송수신하거나 음성데이터 혹은 화상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상대방 상태를 확인하여 메시지 송수신 가능하다는것이다.
또한 버디 리스트들의 실시간 상태 확인이 가능하고 광고, 정보채널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IM의 장점을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적용하여 기존에는 쉽지 않았던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유동 IP나 로컬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 종래에는 원격지에서 원격지 접속단말을 이용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도 2에서 보였듯이 메신저(110,210)를 이용해 IM 서비스를 이용하면 디지털 방송수신기(100)가 유동 IP를 가지고 있든지 로컬 IP를 가지고 있든지에 관계없이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 접속단말(200)에서 인터넷(300)을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원격지에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한 다음 보내는 메시지의 일예이다.
이와 같이 일단 메신저(110,210)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접속하면 사용자는 약속된 명령 메시지를 보내어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목록을 요청한 뒤 그 정보를 받아서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디지털 방송수신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메신저를 사용하는 경우, 도 3의 하단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보여줄 수 있으므로텍스트로 제어를 하지 않고 쉽게 숫자를 누르거나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처럼 메신저(110,210)를 사용한 IM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하고 원격제어를 하는 것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의 저장 매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을 화상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볼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사용자들 간의 채팅 및 자료 공유도 가능하므로 방송을 보면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버디 리스트에 있는 사용자들끼리 채팅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는 것과 같은 일들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의 IM을 이용하면 원격지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IP를 알지 못하더라도 이메일 주소만으로 쉽게 인터넷(300)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고 메신저(210)에서 메시지를 보내어 디지털 방송수신기(100)가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료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IM 서비스의 장점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도 4의 순서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접속을 요구하여 제어를 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쪽을 원격지 접속단말(200)이라 하고, 반대로 접속을 요구받고 클라이언트에서 요구하는 동작을 수행하려는 서버 쪽을 디지털 방송수신기(100)라 한다.
서버 쪽인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의 메신저(110)는 원격제어와 관련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여러가지 기능을 GUI 메뉴로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송수신기 업체에서 제작한 것으로, 다른 종류의 메신저와도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호환이 되어야 한다.
도 2에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는 사용자에 대한 신상정보, ID 및 암호와 사용자 레벨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120)와,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를 저장하는 서비스 DB(130)가 구비된다.
현재 여러 종류의 메신저들이 서로 호환되도록 프로토콜 규격이 만들어 지고 있으므로 서버와 다른 종류의 서버와 다른 종류의 메신저를 사용하더라도 접속에는 문제가 없다.
먼저,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메신저(110) 소프트웨어를 작동시켜 원격지에서 인터넷(300)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인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모니터링 한다(S402).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메시지 내용의 모니터링에 의해, 원격지 접속단말(200)이 원격제어를 요구하는지 아니면 그외 대화 요청이나 정보 교환을 요구하는지 판단한다(S404).
예를 들어 '원격제어'라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원격제어에 대한 명령어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정의해 두었으면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원격지에서 메신저를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원격지 접속단말(200)에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이외에 메신저를 사용하여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기기(예를 들어 PC)가 포함된다.
원격제어를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 서버 쪽 디지털 방송수신기의메신저(110)는 클라이언트 쪽 원격지 접속단말 메신저(210)로 ID와 암호를 요구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클라이언트 쪽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 요구에 따라 ID와 암호가 담긴 인스턴트 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 쪽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전송한다(S408).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00)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ID 및 암호가 사용자 DB(120)에 있는 ID 및 암호와 일치하는지 검색하여 유효한 사용자인 가를 판단한다(S410).
유효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인증에 실패한 횟수가 일정한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고(S422), 일정한 횟수 이하인 경우 ID나 암호가 잘못되었음을 나타내고 ID와 암호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쪽의 원격지 접속단말(200)에 전송한다(S424).
이후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210)에서는 상기 S408단계를 수행한다.
인증에 실패한 횟수가 일정한 횟수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원격지 접속단말(200)의 IP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한 기간동안 그 IP에서 시도되는 재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S426).
그리고 서버 쪽의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불법적인 접속 시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 주어, 유효한 사용자에게 추후에 그 사실을 인지시켜 준다.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S410)에서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서버 쪽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ID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하고 그 사용자 레벨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200)에 전송한다(S412).
예를 들어 "1. 방송 프로그램 정보, 2. 예약 녹화, 3. 녹화된 방송 보기, 4. 오디오 파일 듣기 5.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서비스 가능한 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200)에 보내준다.
여기서 사용자 레벨은 제어 가능한 기능의 제한 정도 등을 기준으로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미리 정해 놓은 것이다.
다음, 인스턴트 메시지를 받은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210)는 원하는 서비스 목록의 번호를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송신한다(S414).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이 있는지 판단하여(S416), 하위목록이 있으면 제공하는 하위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에 보내주고(S428), 원격지 접속단말(200)는 상기 S41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예에서 만약 원격지 접속단말(200)에 의해 2번이 선택되어 인스턴트 메시지로 보내졌다면 예약 녹화를 선택한 것이므로 서버 쪽의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는 여기에 관련된 세부 기능 목록을 보여 준다.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이 없으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한다(S418).
상술한 순서로 클라이언트 쪽의 원격지 접속단말(200)에서 서버인 디지털 방송수신기(100)를 제어하게 된다.
만약 클라이언트 쪽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210)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와 동일한 종류의 것이라면 인터페이스가 호환되는 것이므로 텍스트 형식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GUI 메뉴만 이용하여 쉽게 송수신 할 수 있다.
부가 설명하자면 서버 쪽의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전송하면 클라이언트 쪽 원격지 접속단말(20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사용 가능한 GUI 메뉴만 활성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메뉴는 비활성화 하도록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GUI 메뉴가 선택되었을 시에는 자동으로 서버 쪽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메시지를 보내도록 하면 된다.
상기 S404 단계에서 원격제어를 요구하는 메시지가 아니라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110)는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지 않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S420).
즉, 대화나 단순 정보 및 자료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종류의 메시지 요청이라면, 이를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 준다.
그러면 서버 쪽 디지털 방송수신기(100) 사용자는 메신저(11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쪽 원격지 접속단말기(200)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거나 정보 및 자료를 교환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메신저를설치하여 IM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접속할 수 있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메신저를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보내주면 원격지에서는 텍스트로 명령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GUI 메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명령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쉽게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이외에도 대화 기능 및 자료 공유 기능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도 가능하므로 디지털 방송수신기 사용자들간에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방송을 보는 중에 서로 방송에 관한 의견을 나누거나 그와 관련된 자료를 공유하는 등, 능동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메신저가 탑재된 원격지 접속단말에서 메신저가 탑재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제어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메신저를 실행시켜 원격지 접속단말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오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제어에 대한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원격제어 요청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ID와 암호를 묻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원격지 접속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ID와 암호의 정보를 담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이를 수신하여 ID와 암호를 보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ID를 판단하여 사용자 레벨을 결정하고 사용자 레벨에 따라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원하는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이를 수신하여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이 있는지 판단하며, 하위목록이 없는 경우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에 대한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원격제어에 대한 요청이 아닌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에 실패한 횟수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정한 일정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여 일정 횟수 이하이면, 유효한 ID와 암호를 요구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원격지 접속단말로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증에 실패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원격지 접속단말의 IP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한 기간동안 그 IP에서 시도되는 재접속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이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에서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하위목록을 인스턴트 메시지로 원격지 접속단말에 전송하고,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에서 원하는 하위 목록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는,
    원격제어와 관련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여러가지 기능을 GUI 메뉴로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종류의 메신저와 호환성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메신저와 원격지 접속단말의 메신저는,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상호 호환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레벨은,
    원격지 접속단말의 제어 가능한 기능의 제한 정도 등을 기준으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미리 정해 놓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KR10-2002-0084030A 2002-12-26 2002-12-26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KR10045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30A KR100459681B1 (ko) 2002-12-26 2002-12-26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30A KR100459681B1 (ko) 2002-12-26 2002-12-26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378A true KR20040058378A (ko) 2004-07-05
KR100459681B1 KR100459681B1 (ko) 2004-12-03

Family

ID=3735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030A KR100459681B1 (ko) 2002-12-26 2002-12-26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98B1 (ko) * 2006-02-07 2006-12-08 (주)정직한기술 인터넷 상의 개인 텔레비전 시스템 구축방법
WO2008105567A1 (en) * 2007-02-28 2008-09-04 Honest Technology Co., Ltd Establishment method for private television system on the inter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708B1 (ko) 2023-09-08 2024-01-11 주식회사 그남자 연습 효율이 개선된 미용 연습용 가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98B1 (ko) * 2006-02-07 2006-12-08 (주)정직한기술 인터넷 상의 개인 텔레비전 시스템 구축방법
WO2008105567A1 (en) * 2007-02-28 2008-09-04 Honest Technology Co., Ltd Establishment method for private television system on the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681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8759B2 (en) Sharing on-line media experiences
RU230203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реемственности между клиентами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US7984098B2 (en) Video messaging
CN102461124B (zh) 用于产生虚拟通用即插即用系统的系统和方法
KR10078285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콘텐트 관리 방법 및장치
US20140095639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program storage medium
US20110281568A1 (en) Management of incoming telephony communications in a local media network
US8621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vailable IPTV devices on a network
US743334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messenger service 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60057595A (ko) 미디어 콘텐트의 공유 경험
CN104052955A (zh) 存在信息共享装置、方法、程序及系统
US20030187936A1 (en) Tag language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s in email
KR101351715B1 (ko) 계승 통신 관리 장치
KR100459681B1 (ko)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원격접속 및 제어방법
JP3882605B2 (ja) 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メッセージング装置、ならびに、メッセージ交換装置
KR100666125B1 (ko)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상에서의 ip 스트리밍 관리 시스템
KR20090038539A (ko) 콘텐츠 전송 스케줄 관리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서버 및 단말기
KR2009005039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송수신 시 그룹 선호도 관리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