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781A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781A
KR20040056781A KR1020020083349A KR20020083349A KR20040056781A KR 20040056781 A KR20040056781 A KR 20040056781A KR 1020020083349 A KR1020020083349 A KR 1020020083349A KR 20020083349 A KR20020083349 A KR 20020083349A KR 20040056781 A KR20040056781 A KR 2004005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gister
video call
information
service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748B1 (ko
Inventor
남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2008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7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74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들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고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지국제어기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상기 기지국제어기와 접속되고 상기 단말들의 정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VIDEO CALL SERVICE SUPPORTING METHOD IN A HIGH RATE PACKET DATA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시에 음성이나 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이다.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선을 통해 연결하지 않고, 무선(RF)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은 아날로그 통신 시스템에서 출발하여 디지털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해왔다. 상기 디지털 통신 시스템은 또한, 셀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보다 진보된 PCS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해왔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최초 음성통화를 위주로 하여 개발되었으나 점차로 데이터통신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서비스로써,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하여 발전한 시스템이므로 데이터 전송에 한계를 가진다. 즉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인 1x EV-DO(EVolution-Data Only)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은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하는 시스템과 다르게 시스템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에 적합한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들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고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지국제어기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상기 기지국제어기와 접속되고 상기 단말들의 정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소정 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서비스 요구 호가 발생되면, 발신/착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1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정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에 미리 저장된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IP 주소정보,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 IP 주소정보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화상통화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2 화상호요구메시지 수신 시, 착신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 수신 시, 화상통화 서비스 응용프로그램을 설정하고, 화상통화 활성화 준비 정보를 상기 착신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 수신 시,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호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1 화상호활성화 응답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상호활성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서비스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호 서비스요구메시지를 해당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로 전송하여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들을 변경하거나 설계하는 기초로서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또한 발명과 균등한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시그널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종료 시 발신선 복구절차를 보여주는 시그널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종료 시 착신선 복구 절차를 보여주는 시그널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들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고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지국제어기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상기 기지국제어기와 접속되고 상기 단말들의 정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1x EV-DO(또는 HRPD : High Rate Packet Data)시스템을 근간으로 한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AT : Access Terminal)(90)에 접속되는 기지국 제어기(ANC : Access Network Controller)(10)는1x EVDO 표준에서 논의된 A14인터페이스를 통해 갠(GAN : General ATM switch Network)(20)과 연결된다. 상기 갠(20)은 표준에서 논의된 A10/A11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8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갠(20)은 상기 A14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DLR : Data Location Register)(30)와 연결된다. 또한 음성을 위주로 서비스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등록기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30)는 상기 갠(20)으로부터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 요구 시 이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30)는 '세션 제어 및 이동성 관리 블록(SC/MM : Session Controller/Mobility Manager)'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30)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갠(2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방법으로 상기 갠(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패킷 제어 기능 블록(도시하지 않음) 내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단말(AT : Access Terminal)(90)이 속하는 망(130)과, 착신측 단말(100)이 속하는 망(160)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와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는 표준에서 논의된 A13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각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들(30, 50)은 화상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데이터 단말 위치 등록기(Central DLR)(40)와 연결된다.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 위치 등록기(40)는 화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각단말의 위치정보 및 프로파일(Profile)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 단말 위치 등록기(30)으로부터 요청되는 화상 서비스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각 단말들(90,10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들(90,100)은 각 단말이 속하는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들(30,50)을 통해 화상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에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발신 단말(90)은 화상통화 시 점대점 프로토콜 협상(PPP Nego : Point to Point Protocol Negotiation)을 마친후, 트래픽 중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통화 서비스 옵션과 착신 단말(100)의 IMSI(International Mobile Identifier)를 상기 A14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시그널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착신 단말(90)로부터 화상 통화 서비스의 요구가 발생하면, 기지국제어기(10)은 200단계에서, 발신/착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 호 활성화요구(VideoCallActivationRequest_A2D)메시지를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화상 호 활성화 요구메시지는 1x EVDO 서비스 옵션에 화상 호(Video Call)임을 나타내는 인식자이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가 인식 가능한 고유 정보이다.
상기 제1 화상 호 활성화 요구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단말의 위칭등록기(30)는 화상통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정보를 트리거(trigger)하게 되고, 205단계에서, IMSI를 키(Key)로 착신 가입자의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요구(VideoCallServiceProfileRequest_D2H)메시지를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4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40)는 210단계에서, IMSI를 키로 현재 위치등록 된 가입자의 세션(Session) 정보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IP 주소 정보, 그리고 연결된 기지국시스템 정보, 저장된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응답(ViedoCallServiceProfileResponse_H2D)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응답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215단계에서, 발신측의 화상 통화 서비스 활성화(Activation) 정보를 - 예를들면, 1x EVDO 서비스 옵션, 가입자의 현재 상태 정보 및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정보등 - 포함하는 제2 화상 호 활성화 요구 (VideoCallActivationRequest_D2D)메시지를 상기 A13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5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화상 호 활성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는 220단계에서, 해당 기지국제어기(70)로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제1 호 활성화 지시(VideoCallActivationDirective_D2A)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제1 호 활성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제어기(70)은 착신 단말(100)로 상기 활성화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착신 단말(100)은 화상 통화서비스를 위한 단말의 용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정(Setting)하여 화상 통화 준비를 시작한다. 이후, 상기 단말(100)은 활성화 준비(Activation Ready) 정보를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는 기지국제어기(70)을 통해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로 전송된다. 즉, 22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70)는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호 활성화 지시(VideoCallActivationDirective_A2D)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 호 활성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은 230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 호 활성화 응답(VideoCallActivationResponse_D2D)메시지를 상기 A1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화상 호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235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상 호 활성화 응답(VideoCallActivationResponse_D2A)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제어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화상 호 활성화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200단계에서 기지국제어기의 제1 화상 호 활성화 요구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상태 정보, 착신에 해당되는 세션정보 파라미터(Session Information Parameter), 착신에 해당되는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 IP 주소, 데이터단말의 위치등록기 IP 주소, 임시식별자정보(UATI : 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정보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는 상기 제2 화상 호 활성화 응답메시지를 통해 해당 착신 정보가 어느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에 어떤 세션 정보로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이후,상기 기지국제어기(10)는 240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위해, 해당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80)로 서비스 ID(화상 통화 서비스)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호 서비스 요구(VideoCallServiceRequest_A2P)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80)는 245단계에서, 점대점 프로토콜 세션에 대한 커넥션(Connection) 처리와 함께, 서비스에 대한 과금 목적의 CDR(Call Detail Recording) 생성을 처리하도록 인증 계산 시스템(AAA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110)로 과금 발생(VideoCall_CDR_Generation_P2A)메시지을 전송한다. 상기 과금 발생 메시지에는 호 발생에 대한 날짜/시간 정보와, 발신/착신 IMSI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의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와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은 착신측으로부터 수신된 세션 정보 갱신 정보로 세션 정보 갱신 과정을 수행한다.
250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은 세션 정보 갱신을 위한 제1세션갱신(VideoCallSessionUpdate_A2D)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세션갱신메시지에는 발신 IMSI 정보, 착신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 IP 주소, 착신 세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세션갱신메시지를수신한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250단계에서, 세션정보 변경을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40)로 통보하기 위해, 제2 세션 갱신(VideoCallSessionUpdate_D2H)메시지를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4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세션갱신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40)는 해당 세션 정보를 갱신하고, 응답신호로, 제3 세션갱신(VideoCallSessionUpdate_H2D)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제3 세션갱신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세션정보 갱신 완료를 상기 기지국제어기(10)로 통보하기 위해, 제4세션 갱신(VideoCallSessionUpdate_D2A)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제어기(10)로 전송한다.
상기 200단계 내지 상기 265단계를 통해 발신 단말(90)과 착신 단말(100)은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종료 시 발신선 복구절차를 보여주는 시그널 흐름도이다. 화상 통화가 종료되면 발신 단말(90) 또는 착신 단말(100)에서 세션 닫기(Close)를 수행한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 통화가 종료되면, 300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은 서비스 ID 정보, 세션정보, 가입자 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종료(EndOfVideoCall_A2P)메시지를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80)로 전송한다.
상기 호종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80)는 310단계에서, 과금종료 처리를 위해 호 종료에 대한 시간정보와 가입자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종료(EndOfVideoCall_CDR_P2A)메시지를 인증 계산 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는 320단계에서, 세션 종료 처리를 위해,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세션종료 요구(EndOfVideoCallSessionRequest_A2D)를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세션종료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330단계에서 화상통화의 종료 통보를 위해, 제2세션종료 요구(EndOfVideoCallSessionRequest_D2D)메시지를 상기 A13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세션종료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는 340단계에서, 제1 세션종료 지시(EndOfVideoCallSessionDirective_D2A)메시지를 착신측 기지국제어기(70)로 전송함으로써, 화상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통보한다. 상기 제1 세션종료 지시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측 기지국제어기(70)는 착신 단말(100)로 화상 통화 종료를 통보하고, 상기 화상통화 종료 통보를 수신한 착신 단말(100)은 화상통화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350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기지국제어기(50)는 상기 제1 세션종료 지시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Return값)인 제2 세션종료 지시(EndOfVideoCallSessionDirective_A2D)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세션종료 지시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50)는 360단계에서, 상기 제2 세션종료 요구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인 제1 세젼종료 응답(EndOfVideoCallSessionResponse_D2D)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세션종료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30)는 상기 제1 세션종료 요구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인 제2 세션종료 응답(EndOfVideoCallSessionResponse_D2A)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제어기(10)로 전송함으로써, 세션종료 과정을 마친다.
착신선 복구의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선 복구 절차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단말들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고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패킷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지국제어기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시스템을 통해 상기 기지국제어기와 접속되고 상기 단말들의 정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소정 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서비스 요구 호가 발생되면, 발신/착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1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정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에 미리 저장된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IP 주소정보,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 IP 주소정보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화상통화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상호요구메시지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2 화상호요구메시지 수신 시, 착신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활성화 정보 수신 시, 화상통화 서비스 응용프로그램을 설정하고, 화상통화 활성화 준비 정보를 상기 착신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 수신시, 상기 활성화 준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상호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1 화상호활성화 응답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상호활성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서비스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호 서비스요구메시지를 해당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로 전송하여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는
    화상 통화 호 발생 날짜/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발생 메시지를 소정 인증 계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세션 정보 갱신을 위해, 착신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세션 갱신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는
    상기 제1 세션갱신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세션 정보로 세션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변경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세션갱신 메시지를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는 상기 변경된 세션 정보로 세션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상기 단말로부터 호종료 메시지 수신 시, 서비스 식별자 정보, 세션 정보, 가입자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호종료 메시지를 상기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제어기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세션종료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세션종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는
    상기 호종료 메시지 수신 시, 과금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종료 메시지를 상기 인증 계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종료 과정은
    상기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가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등록기로 제1세션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통화 종료를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데이터 단말의 위치 등록기는 상기 제2 세션종료 지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착신 기지국제어기로 제3 세션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83349A 2002-12-24 2002-12-24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6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3349A KR100469748B1 (ko) 2002-12-24 2002-12-24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3349A KR100469748B1 (ko) 2002-12-24 2002-12-24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781A true KR20040056781A (ko) 2004-07-01
KR100469748B1 KR100469748B1 (ko) 2005-02-02

Family

ID=3734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83349A KR100469748B1 (ko) 2002-12-24 2002-12-24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7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756A1 (en) * 2004-10-22 2006-04-27 Sk Telecom Co., Ltd. Video telephony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8708B1 (ko) * 2004-11-19 2007-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의 통화 요금 부과 방법
US7898564B2 (en) 2004-10-22 2011-03-01 Sk Telecom Co., Ltd. Video telephony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3428847A (zh) * 2012-05-14 2013-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间通讯终端的注册、发现、接入方法、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5971B (en) * 2007-12-11 2010-04-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visual stre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756A1 (en) * 2004-10-22 2006-04-27 Sk Telecom Co., Ltd. Video telephony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898564B2 (en) 2004-10-22 2011-03-01 Sk Telecom Co., Ltd. Video telephony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RE45228E1 (en) 2004-10-22 2014-11-04 Sk Telecom Co., Ltd. Video telephony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8708B1 (ko) * 2004-11-19 2007-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의 통화 요금 부과 방법
CN103428847A (zh) * 2012-05-14 2013-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间通讯终端的注册、发现、接入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748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264B1 (ko)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64904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switched telephony
CN101237677B (zh) 系统间切换时传递聚合最大位速率的方法、网络系统及目的侧网络
KR100920390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의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4080471B2 (ja) ヘテロジーニアス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データプ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59331A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연결의 핸드오프에 대한 방법 및장치
EP1123626A1 (en) Ip roaming number gateway
KR2006008375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WO2006010344A1 (fr)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a un terminal de recevoir un numero appelant a l'avance
EP1102503B1 (en) Integrated IP telephony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20023046A (ko) Cdma 통신 시스템의 호 설정 방법
KR100469748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865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장치
KR100493107B1 (ko)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존베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7016679B2 (en) Mobile network domain having a voice capable serving GPRS support node
KR100706492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선불형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719894B1 (ko) 광대역 이동 통신망에서 화상통화 지역 통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30093603A (ko) 고속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증방법
KR100529019B1 (ko) 비동기 imt-2000망에서의 과금제어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KR100427579B1 (ko) 데이터 전용 망에서 발신 금지 가입자의 데이터 호 처리방법
KR100608282B1 (ko)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501161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100501160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동기 망에서비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9049462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réalisation de service de conseil d'alerte distinc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